KR101651863B1 - 수목보호판 - Google Patents

수목보호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863B1
KR101651863B1 KR1020140005194A KR20140005194A KR101651863B1 KR 101651863 B1 KR101651863 B1 KR 101651863B1 KR 1020140005194 A KR1020140005194 A KR 1020140005194A KR 20140005194 A KR20140005194 A KR 20140005194A KR 101651863 B1 KR101651863 B1 KR 101651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surface
surface portion
plate
tre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5380A (ko
Inventor
한기웅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5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863B1/ko
Publication of KR2015008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Abstract

수목보호판에 관한 것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수목을 둘러싸는 다수의 판재본체(10)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판재본체(10)가 서로 맞대어진 내측 중앙에는 식재공간부(20)가 구비되고, 상기 판재본체(10)에는 떨어지는 물이 식재공간부(20)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유도부(30)가 형성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수목보호판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비가 오거나 물을 줄 때 수목보호판으로 떨어지는 물을 수목 측으로 유도하여 수분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목보호판{tree preserved plate}
본 발명은 인도나 공원 등에 심겨진 수목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수목보호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비가 오거나 물을 줄 때 수목보호판으로 떨어지는 물을 수목 측으로 유도하여 수분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수목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가로수와 같은 수목은 도로의 환경미화, 공해방지 및 소음방지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보도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식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목보호판은 식재공간부에 가로수 등의 나무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가로수 주변의 땅위에 설치하여, 가로수의 나무뿌리가 심어진 주변의 땅이 보행자들에게 직접 밟혀서 다져지는 것을 방지하고, 통공을 통하여 성장발육에 필요한 수분과 산소를 공급받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수목보호판은 수목 둘레의 지면에 설치되어 수목의 뿌리를 보호함과 함께 수목이 설치된 도로변의 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수목보호판에 있어서는 여러 종류가 안출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대체로 이들은 주물재의 철구조물이거나 콘크리트 구조물인 것으로 중심부에 형성된 식재공간부를 통해 수목을 둘러싸도록 2∼4개로 분할 형성하여 조립토록 되어 있고, 분할된 보호판체는 단순한 색상과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은 수목보호판의 내용은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16659호와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0595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16659호(등록일자 2006.05.11)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0595호(공개일자 2011.01.20)
그러나, 종래의 수목보호판은 중앙 식재공간부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구조가 결여되었기 때문에, 특히 비가 오거나 물을 줄 때 수목보호판에 떨어지는 물이 수목 측으로 흐르도록 유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목보호판은 기능적인 요소와 외적인 미려함이 부족하고 나날이 발전하고 변화하는 도시환경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형태의 미적 욕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비가 오거나 물을 줄 때 수목보호판으로 떨어지는 물을 중앙 식재공간부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유도하여 수목에 수분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수목보호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시경관에 잘 어울리고 도시경관의 미려함을 얻을 수 있는 아름다운 수목보호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목을 감싸도록 다수의 판재본체를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서로 맞대어진 판재본체들의 내측 중앙에 식재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판재본체에 떨어지는 물이 식재공간부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유도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다수의 판재본체에 서로 맞대어지는 장곡면부와 단곡면부를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장곡면부는 단곡면부와 맞대어지는 접촉부와, 단곡면부와 맞대어지지 않는 비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곡면부의 비접촉부들 사이로 식재공간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유도부는 장곡면부와 단곡면부가 만나는 꼭짓점을 향하여 물이 흐르도록 판재본체의 상면에 하향곡면으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판재본체는 천연석재와 불포화 포리에스터 수지를 복합시킨 석재로 형성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판에 의하면, 수목을 수용하는 식재공간부로 물이 흐르도록 안내하는 유도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비가 오거나 물을 줄 때 수목보호판으로 떨어지는 물을 수목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판에 의하면, 다수의 판재본체들이 장곡면부와 단곡면부를 통해 서로 미려하게 맞대어지므로 도시경관에 잘 어울리고 아름다움을 추구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작용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설치상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수목보호판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수목을 둘러싸는 다수의 판재본체(10)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판재본체(10)가 맞대어진 내측 중앙에는 식재공간부(20)가 구비되고, 상기 판재본체(10)에는 떨어지는 물이 식재공간부(20)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유도부(30)가 형성된다.
상기 판재본체(10)는 수목을 둘러싸도록 지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판재본체(10)는 다수개가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판재본체(10)는 수목을 감싸도록 서로 맞대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판재본체(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서로 맞대어져 사각형의 수목보호판을 형성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판재본체(10)는 다수개가 서로 맞대어져 원형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수목보호판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한편, 상기 판재본체(10)는 버려지는 자원을 재활용한 친환경 소재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친환경 소재는 천연석재와 불포화 포리에스터 수지를 복합시켜 만든 석재로서, 천연석재의 아름다운을 그대로 재현 하면서 곡면판재생산까지 가능하고, 몰드를 이용한 특수형태의 석조물을 대량생산 할 수 있다. 또한 역학적 성질이 시멘트 콘크리트보다 월등히 우수하고, 방수성이 높으며 내약품성이 뛰어나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식재공간부(20)는 4개의 판재본체(10)가 서로 맞대어진 내측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식재공간부(20)를 통해 수목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식재공간부(20)를 통해 수목에 필요한 수분과 영양분 등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30)는 비가 오거나 물을 줄 때 판재본체(10)에 떨어지는 물이 식재공간부(20)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유도부(30)는 판재본체(10)들의 상면에 각각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기술적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판재본체(10)의 각각에는 서로 맞대어지는 장곡면부(40)와 단곡면부(50)가 형성된다. 수목보호판의 설치 시 서로 마주하는 하나의 판재본체(10)의 장곡면부(40)에는 다른 하나의 판재본체(10)의 단곡면부(50)가 서로 맞대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곡면부(40)는 단곡면부(50)와 맞대어지는 접촉부(41)와, 단곡면부(50)와 맞대어지지 않는 비접촉부(42)를 포함하고, 상기 장곡면부(40)의 비접촉부(42)들 사이로 식재공간부(20)가 형성된다. 상기 비접촉부(42)의 길이는 식재공간부(20)가 수목을 수용함에 있어서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수목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도부(30)는 장곡면부(40)와 단곡면부(50)가 만나는 꼭짓점을 향하여 물이 흐르도록 판재본체(10)의 상면에 하향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곡면부(40)와 단곡면부(50)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도록 유선형의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물이 식재공간부(20)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유도부(30)가 하향곡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서로 맞대어진 판재본체(10)들의 외곽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식재공간부(20)로 물이 흐르도록 안내하는 유도부(30)가 형성되므로 비가 오거나 물을 줄 때 판재본체(10)로 떨어지는 물을 수목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판재본체(10)들이 장곡면부(40)와 단곡면부(50)를 통해 서로 미려하게 맞대어지므로 도시경관에 잘 어울리는 아름다움을 추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판재본체 20 : 식재공간부
30 : 유도부 40 : 장곡면부
41 : 접촉부 42 : 비접촉부
50 : 단곡면부

Claims (5)

  1.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수목을 둘러싸는 다수의 판재본체(10)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판재본체(10)가 서로 맞대어진 내측 중앙에는 식재공간부(20)가 구비되고,
    상기 판재본체(10)에는 떨어지는 물이 식재공간부(20)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유도부(30)가 형성되며,
    상기 유도부(30)는 장곡면부(40)와 단곡면부(50)가 만나는 꼭짓점을 향하여 물이 흐르도록 판재본체(10)의 상면에 하향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곡면부(40)와 단곡면부(50)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도록 유선형의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재본체(10)의 각각에는 서로 맞대어지는 장곡면부(40)와 단곡면부(50)가 형성되며,
    상기 장곡면부(40)는 단곡면부(50)와 맞대어지는 접촉부(41)와, 단곡면부(50)와 맞대어지지 않는 비접촉부(42)를 포함하고, 상기 장곡면부(40)의 비접촉부(42)들 사이로 식재공간부(20)가 형성되는 수목보호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본체(10)는 천연석재와 불포화 포리에스터 수지를 복합시킨 석재로 형성되는 수목보호판.
KR1020140005194A 2014-01-15 2014-01-15 수목보호판 KR101651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194A KR101651863B1 (ko) 2014-01-15 2014-01-15 수목보호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194A KR101651863B1 (ko) 2014-01-15 2014-01-15 수목보호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380A KR20150085380A (ko) 2015-07-23
KR101651863B1 true KR101651863B1 (ko) 2016-08-30

Family

ID=53875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194A KR101651863B1 (ko) 2014-01-15 2014-01-15 수목보호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8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978A (ja) 1998-12-29 2000-07-11 Akitoshi Osawa 降雨貯水植樹自水法
KR100870550B1 (ko) * 2008-05-30 2008-11-26 (주)자움 가로수 보호블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8977B2 (ja) * 1996-06-13 2002-10-28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樹木の保護装置
KR200416659Y1 (ko) 2006-03-03 2006-05-19 (주) 미도랜드 수목 보호판
KR20110000595U (ko) 2009-07-13 2011-01-20 이병식 수목보호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978A (ja) 1998-12-29 2000-07-11 Akitoshi Osawa 降雨貯水植樹自水法
KR100870550B1 (ko) * 2008-05-30 2008-11-26 (주)자움 가로수 보호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380A (ko)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467B1 (ko) 내경 조절기능을 갖는 내부식성 가로수 보호대
CN204608650U (zh) 一种自动浇水的绿化环保防护栏
KR101651863B1 (ko) 수목보호판
KR200401368Y1 (ko) 가로수 보호판
CN204540102U (zh) 一种能够持续提供养料的花盆
CN203381417U (zh) 一种磁悬浮假山
CN203708944U (zh) 上凸立体造型仿生态树穴遮护盖
KR101071187B1 (ko) 조경수 보호판
CN204682040U (zh) 一种护树板
CN202276684U (zh) 树池防护装饰格栅
CN203327606U (zh) 一种花盆
KR200393137Y1 (ko) 자연석 형태의 장식모형
KR101186671B1 (ko) 띠녹지용 가로수 보호덮개
CN204191240U (zh) 一种带景观灯的花钵结构
CN2912241Y (zh) 路标花盆
CN201947742U (zh) 菱形塑木树池防护格栅
CN208763117U (zh) 一种埋地式取水阀安装结构
CN201648999U (zh) 花坛形隔离栏
CN203884283U (zh) 一种木塑花箱
CN205089057U (zh) 一种可绿化景观栅栏
CN206380369U (zh) 立体园艺花盆
KR200360399Y1 (ko) 가로수 보호용 덮개.
KR200467543Y1 (ko) 밴드형 식물식재박스
CN204191115U (zh) 五色草花坛打孔板
KR20090009169U (ko) 가로수 보호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