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187B1 - 조경수 보호판 - Google Patents

조경수 보호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187B1
KR101071187B1 KR1020090040378A KR20090040378A KR101071187B1 KR 101071187 B1 KR101071187 B1 KR 101071187B1 KR 1020090040378 A KR1020090040378 A KR 1020090040378A KR 20090040378 A KR20090040378 A KR 20090040378A KR 101071187 B1 KR101071187 B1 KR 101071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scape water
landscaping
water
divided
prote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293A (ko
Inventor
김상태
Original Assignee
김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태 filed Critical 김상태
Priority to KR1020090040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187B1/ko
Publication of KR20100121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경수 보호판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되어 두 개로 분할된 상자체로서 상부 공간에 잔디 등을 식재할 수 있고 조경수의 뿌리 쪽으로 용이하게 물을 침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경수 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둘 이상의 분할본체가 결합되어 조경수의 식재 공간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된 보호판에 있어서, 상기 분할본체의 가장자리 중 서로 연접되는 이외의 부분에 상향돌조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본체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조경수가 삽입되는 부분에 조경수돌조가 형성되어; 분할본체가 결합될 때 그 상부에 식재 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수 보호판이 제공된다.
조경수, 보호판, 상향돌조, 분할본체, 지지대

Description

조경수 보호판{Protective plate for tree}
본 발명은 조경수 보호판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되어 두 개로 분할된 상자체로서 상부 공간에 잔디 등을 식재할 수 있고 조경수의 뿌리 쪽으로 용이하게 물을 침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경수 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공원, 정원, 가로 등에 식재되어 경관을 좋게 하는 조경수는 식재 단계에서부터 부리의 활착 및 생장의 모든 과정이 관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조경수의 관리를 위해 식재 공간을 보호하는 울타리가 설치되거나, 각각의 조경수를 보호하기 위하여 버팀목과 같은 지지대를 다수 개 설치하기도 하고, 식재 공간의 상부에 철재의 보호판을 덮어 주기도 한다.
본 발명과 같은 조경수의 식재 공간을 덮도록 설치되는 종래의 보호판은 철, 구리 또는 주물 등으로 제조된 평판형태에 다양한 문양이 새겨지고, 조경수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꼽힐 수 있는 지지대 구멍이 다수 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호판 구조는 단순한 평판의 구조이므로, 식재된 상부 토양에 얹혀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강재의 외관이 노출되어 친환경적이지 못하였다.
그리고 무거운 재질로 제작되어 설치되고, 별도의 고정 구조가 없어 도난의 우려가 높았고, 그 자체 하중에 의해 식재된 토양을 압착하여 토양 내부로 공기의 침투가 어려워 조경수의 생장에 좋지 못한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철재 또는 비철 금속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하여 제조 단가를 경감하고, 도난의 우려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며, 식재 토양의 내부로 물과 공기의 공급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지중에 견고히 고정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단순히 식재 공간을 덮어 주는 역할에서 벗어나 보호판에 다른 식물을 식재하여 보다 더 친환경적인 조경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식재에 의해 조경수의 식재 공간으로 출입을 자연스럽게 방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여 토양의 내부로 물과 공기 및 영양분의 공급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판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호판의 분할본체의 가장자리에 상향돌조가 형성되고, 조경수가 위치하는 분할본체가 결합되는 부분에 조경수돌조 가 형성되어, 결합 설치시 상부에 토양이나 잔디 등의 식재 또는 인조 잔디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분할본체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관체인 고정관이 형성되고, 본할본체와 고정관에는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물과 공기 및 영양분이 토양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분할본체 등의 모든 부분은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으로 제작하여 제조원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분할본체에 의해 형성된 상부 공간에 잔디 등을 식재할 수 있어 통행자의 출입을 자연스럽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어 식재된 토양에 압력을 가하지 않아 조경수의 생장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분할본체와 고정관에 형성된 통공에 의해 물과 공기 등이 토양으로의 출입이 용이하여 식재된 조경수의 생장에 도움이 된다. 또한 고정관에 의해 토양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둘 이상의 분할본체(1)가 결합되어 조경수의 식재 공간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된 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분할본체(1)의 가장자리 중 서로 연접되는 이외의 부분에 상향돌조(2)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본체(1)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조경수가 삽입되는 부분에 조경수돌조(3)가 형성되어; 분할본체(1)가 결합될 때 그 상부에 식재 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분할본체(1)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는 서로 위치가 다른 결합단부(4)가 형성되어 일체로 고른 평면으 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분할본체(1)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고정관(5)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분할본체(1)와 고정관(5)에는 다수 개의 통공(6)이 형성되어, 물과 공기가 식재된 토양의 내부로 출입이 용이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분할본체(1)에는 다수 개의 지지대구멍(7)이 형성되어, 조경수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대의 하단부가 관통되어 토양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분할본체(1)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제작될 수 있다. 철이나 비철 이외의 재질로 제작될 경우 제조의 용이함과 원가 절감은 물론이고 도난의 우려에서 벗어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은 도 1에 전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 저면도가, 도 3에 사용시의 수직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조경수가 식재되면, 식재된 상부 토양을 보호하고, 뿌리가 활착될 수 있도록 조경수를 지지대로써 고정하여야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이에 사용되는 것이 본 발명의 보호판이고, 더불어 사용되는 것이 지지대이다.
식재된 조경수의 상부에 본 발명의 설치는 분할된 분할본체(1)를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식재된 조경수가 삽입되는 공간이 분할본체(1)의 갯 수만큼 분할 형성된 공간에 조경수를 삽입한 후, 결합단부(4)끼리 결합하면 하나의 넓은 보호판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경우 분할본체(1)의 하부에 다수 개의 고정관(5)이 형성되어 있으 므로, 분할본체(1)끼리 결합한 후에, 토양에 박아 넣어야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하게 되면, 보호판의 상부에는 조경수 둘레에 조경수돌조(3)와 상향돌조(2)에 의해 상부 개구된 상자체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다양하게 활용되는데, 우선 잔디와 같은 식물을 식재하거나, 인공 잔디를 설치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모래나 자갈 등의 조경용 자재를 담아 둘 수도 있는 등 그 활용이 크다.
그리고 분할본체(1)와 고정관(5)에는 다수 개의 통공(6)이 형성되어 물이나 공기가 토양으로의 유입이 용이하여 조경수의 생장에 도움이 된다.
상기와 같이 분할본체(1)의 상부에 식재 공간이 형성되어 다양한 식물 등을 식재할 수 있어, 그 자체만으로 사람들의 출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의 경우에는 단순한 철판의 설치에만 거쳤기에 누구가 쉽게 출입하여 하중을 토양에 작용시켜 토양의 밀도를 높임으로써 물이나 공기의 토양 출입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조경수의 생장에 나쁜 영향을 끼쳤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
그리고 조경수에 지지대를 설치할 경우, 지지대의 하단부는 분할본체(1)의 지지대구멍(7)에 삽입되어 도 3과 같이 토양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의 수직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할본체 2 : 상향돌조
3 : 조경수돌조 4 : 결합단부
5 : 고정관 6 : 통공
7 : 지지대구멍

Claims (4)

  1.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제작된 둘 이상의 분할본체(1)가 결합되어 조경수의 식재 공간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할본체(1)에는 다수 개의 지지대구멍(7)이 형성된 조경수 보호판에 있어서, 상기 분할본체(1)의 가장자리 중 서로 연접되는 이외의 부분에 상향돌조(2)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본체(1)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조경수가 삽입되는 부분에 조경수돌조(3)가 형성되어; 분할본체(1)가 결합될 때 그 상부에 식재 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수 보호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본체(1)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고정관(5)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분할본체(1)와 고정관(5)에는 다수 개의 통공(6)이 형성되어, 물과 공기가 식재된 토양의 내부로 출입이 용이한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수 보호판.
  3. 삭제
  4. 삭제
KR1020090040378A 2009-05-08 2009-05-08 조경수 보호판 KR101071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378A KR101071187B1 (ko) 2009-05-08 2009-05-08 조경수 보호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378A KR101071187B1 (ko) 2009-05-08 2009-05-08 조경수 보호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293A KR20100121293A (ko) 2010-11-17
KR101071187B1 true KR101071187B1 (ko) 2011-10-12

Family

ID=4340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378A KR101071187B1 (ko) 2009-05-08 2009-05-08 조경수 보호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1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279B1 (ko) * 2018-10-17 2020-08-13 어스그린코리아(주) 다기능 가로수 보호 기구
KR102093400B1 (ko) * 2019-11-20 2020-03-25 양태영 도로변 및 야외의 쉼터용 자연친화형 그늘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424B1 (ko) 2000-07-14 2003-12-01 가산종합건설(주) 투수 및 통기성 건축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과 사용방법
KR200401368Y1 (ko) * 2005-08-13 2005-11-15 권주홍 가로수 보호판
KR100968945B1 (ko) 2010-01-25 2010-07-14 박성만 일체형 가로수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424B1 (ko) 2000-07-14 2003-12-01 가산종합건설(주) 투수 및 통기성 건축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과 사용방법
KR200401368Y1 (ko) * 2005-08-13 2005-11-15 권주홍 가로수 보호판
KR100968945B1 (ko) 2010-01-25 2010-07-14 박성만 일체형 가로수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293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672B1 (ko) 식생수목 보호대
WO2013067583A1 (en) Modular planting system
CN201467764U (zh) 树穴专用组合式可蓄水花箱
KR101071187B1 (ko) 조경수 보호판
KR101049249B1 (ko) 수목 지하 지주 설치방법
KR100648884B1 (ko) 암절개지사면 토사 및 조경식재 유실방지구조
KR100916547B1 (ko) 가로수 수분 공급장치
KR100807771B1 (ko) 잔디블럭 구조물
KR20130131053A (ko) 수목 보호용 덮개
CN202899065U (zh) 道路绿化护栏
KR200360168Y1 (ko) 가로수 수분공급장치
CN211297871U (zh) 一种有机覆盖物防护装置
KR101277662B1 (ko) 인도의 변형이 방지되는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공법
KR101250001B1 (ko) 수목보호판
KR20100027677A (ko) 법면보호블록
KR101251988B1 (ko) 수목의 플랜터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플랜터
KR200254952Y1 (ko) 수목의 수분 공급 장치
KR20110101637A (ko) 가로수 식재용 에코파이프 설치구조물
JP2014073105A (ja) 植生マット
KR200295975Y1 (ko) 조경용 브라켓을 이용한 옹벽축조구조
KR101132766B1 (ko) 뿌리 성장 유도 수목보호대
KR20130004341U (ko)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
JP4767116B2 (ja) 間知ブロックによる造成壁面の緑化構造
KR101079854B1 (ko) 환경친화형 수목 보호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053836A (ko) 순환자원을 활용한 조경용 식수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