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341U -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 - Google Patents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341U
KR20130004341U KR2020120000092U KR20120000092U KR20130004341U KR 20130004341 U KR20130004341 U KR 20130004341U KR 2020120000092 U KR2020120000092 U KR 2020120000092U KR 20120000092 U KR20120000092 U KR 20120000092U KR 20130004341 U KR20130004341 U KR 201300043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drainage
drainage structure
plant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철승
Original Assignee
안철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철승 filed Critical 안철승
Priority to KR2020120000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341U/ko
Publication of KR201300043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34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목공사나 조경공사의 수목이나 초화류의 식재 주변에 배수 인공시설인 배수로 구조물 설치에 있어 배수 구조물 덮개에 식재를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식재 틀(41)과 이 식재 틀(41)에 식재 후 과다 수분 공급시 배수가 될수 있도록 하단부에 수개의 배수 구멍(42)을 두고, 식재 틀(41) 안쪽에 토사 유출 방지 및 수분 흡수 유지를 위한 부직포(31)를 부착하여 국부의 식재 식물(22)로 구성된 식재 측구 시설물의 덮개(61)와 배수 구조물이 설치된 구체에 지반과 관통된 식재용 홈(51)을 두고 이 식재용 홈(51)에 국부의 토사 및 식물(21)을 삽입 식재하는 구체(11)로 구성되며, 초화류나 지피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인 홈과 틀을 제공하여 토사나 이물질을 저류시키고 배수속도를 조절하며 미관상 친환경적인 인공 배수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some turfs in the drainage structure}
본 고안은 토목공사나 조경공사의 배수로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배수 구조물에 잔디 식재가 가능하도록 홈(구멍)과 식재 틀을 조성하여 잔디가 식생할 수 있도록 하고 배수로의 구배 및 공간을 고정하여 잔디식재 주변의 배수로에 인위적인 식재를 할 수 있는 친환경 시설물을 조성하는 식재 배수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나 조경공사의 수목이나 초화류의 식재 주변에는 잔디를 심고 그 주변에 배수 인공시설인 반월관이나 플륨관 U형 측구 시설물이 설치되고 있으나, 이는 미관상으로 인공 배수 구조물로 미관상 친환경적이지 못하며 배수 시설로서의 기능적인 면만 고려한 배수시설을 조성한다.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예를 보면 종래의 배수 시설물은 배수 유역의 배수를 위한 배수 구조물의 구체( 플륨관, 10)와 쇠창살 모양의 덮개(그레이팅, 60)를 설치하고 주변에 지피 식물이나 잔디(떼, 20)를 식재한다.
이러한 종래의 인위적인 배수로 시설물은 친환경적이지 못하여 이 시설물에 잔디 식재가 불가능하고, 또한 인공 구조물의 배수시 배수 속도가 인공구조물의 조도계수에 따라 빠르고 토사의 유실을 막지 못하며 이에 따라 맨홀이나 집수정에 토사 및 이물질이 침적되어 배수로의 기능이 저하되고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공 배수 구조물인 반월관 플륨관 u형 측구 배수로 구조물 구체에 초화류나 지피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인 홈과 구체의 덮개에 식재를 할 수 있도록 식재 틀을 제공하여, 구체 내에 흐르는 배수의 속도를 조절하여 토사나 이물질을 저류시키고 미관상 친환경적인 인공 배수 측구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나 PE 및 STEEL로 제작된 인공구조물에 부분적으로 초화류나 지피식물을 식재하여 친환경 복합 구조물로 미관상 보기가 좋고, 인공구조물의 배수로의 구배 및 공간을 고정하는 기능을 유지하며 토사의 유출속도를 제어하고 맨홀이나 집수정에 토사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배수로의 기능이 향상되어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종래의 식재 측구 배수로 구조물 단면도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의 잔디 식재 구조물 중 덮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플륨관 실시 예 잔디 식재 구조물 단면도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도 3의 설치 후의 잔디 식재 구조물 단면도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U형 측구 실시 예 잔디 식재 구조물 단면도와 사시도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배수 시설물 덮개에 식재를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식재 틀(41)과 이 식재 틀(41)에 식재 후 과다 수분 공급시 배수가 될수 있도록 하단부에 수개의 배수구멍(42)을 두고, 식재 틀(41) 안쪽에 토사 유출 방지 및 수분 흡수 유지를 위한 부직포(31)를 부착하여 안쪽에 국부의 식재 잔디(22)로 구성된 잔디 식재 구조물의 덮개(61)와 지반에 설치된 배수 구조물 구체에 지반과 관통된 식재용 홈(51)을 두고 이 식재용 홈(51)에 국부의 토사 및 식물(21)을 삽입 식재하는 구체(11)로 구성되며, 덮개(61)와 구체(11)를 별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의 덮개(61)를 구성요소 별로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본 고안의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의 덮개(61)는 종래의 쇠창살 모양의 그레이팅 내부 틀을 식재를 할 수 있게 U 형 모양의 식재틀(41)과 식재시 과다 수분 공급시 배수가 될 수 있도록 한 식재틀(41) 하단부에 수개의 배수구멍(42)을 두고, 식재 틀(41)에 식재시 식재 토사가 배수구(42)로 유출을 방지하고, 수분을 흡수 유지하며 식재 틀(41)의 온도 변화를 식재 토사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재틀의 모양에 맞게 절취하여 붙인 부직포(31)와 부직포 상단 내부에 평떼나 줄떼의 일부분을 절취한 국부의 식재된 잔디(22)로 구성되어 있고, 본 고안의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의 구체(11)는 종래 다양한 종류의 배수 구조물 중 플륨관의 예를 들면 도 3의 배수 구조물의 형상인 플륨관 구체(11)에 배수 구조물이 설치된 지반과 관통된 식재용 홈(51)으로 구성되며 이 식재용 홈(51)에 평떼나 줄떼의 일부분을 절취한 국부의 잔디(21)를 식재하여 형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플륨관 실시 예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 단면도와 사시도이며, 도 2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의 덮개(61)를 본 고안의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의 플륨관 구체(11)에 설치되는 개념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4는 본 고안의 도 3의 본 고안의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의 덮개(61) 설치 및 배수 구조물 플륨관 구체(11) 식재용 홈(51)에 평떼나 줄떼의 일부분을 절취한 국부의 잔디(21)를 식재 후의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 단면도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의 덮개(61)를 종래의 배수로 구조물인 U형측구 구체(12)에 설치되는 개념을 나타내고 있는 본 고안의 U형 측구 실시 예 잔디 측구 구조물 단면도와 사시도.
10: 종래의 배수로 구조물 구체(플륨관)
11 : 본 고안의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 구체
12: 종래의 배수로 구조물 구체(U형 측구)
20 : 측구 시설물 주변 식재된 잔디
21 : 본 고안의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 구체(플륨관)에 식재된 잔디
22 : 본 고안의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 덮개에 식재된 잔디
31: 잔디(떼)와 식재 틀(U형) 사이의 부직포
41 : 본 고안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 덮개의 식재 틀(U형)
42 : 본 고안 배수로 시설물 덮개 식재 틀(U형)의 배수 구멍
51 : 본 고안 배수로 시설물 구체의 식재용 홈(HOLL)
60: 종래의 배수로 시설물(플륨관) 덮개(그레이팅)
61 : 본 고안의 식재 측구 배수로 시설물 덮개

Claims (1)

  1. 본 고안은 배수 구조물 덮개에 식재를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식재 틀(41)과 이 식재틀(41)에 식재 후 과다 수분 공급시 배수가 될수 있도록 하단부에 수개의 배수구멍(42)을 두고, 식재틀(41) 안쪽에 토사 유출 방지 및 수분 흡수 유지를 위한 부직포(31)를 부착하여 국부의 식재식물(22)로 구성된 배수로 구조물의 덮개(61)와 배수 구조물 구체에 배수 구조물이 설치된 지반과 관통된 식재용 홈(51)을 두고 이 식재용 홈(51)에 국부의 토사 및 식물(21)을 삽입 식재하는 구체(11)로 구성되는 식재 배수로 구조물.
KR2020120000092U 2012-01-04 2012-01-04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 KR201300043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092U KR20130004341U (ko) 2012-01-04 2012-01-04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092U KR20130004341U (ko) 2012-01-04 2012-01-04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341U true KR20130004341U (ko) 2013-07-12

Family

ID=53716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092U KR20130004341U (ko) 2012-01-04 2012-01-04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434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772A (ko) * 2018-02-28 2019-09-05 정병현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KR20220152676A (ko) *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퍼팩트 방충기능 및 투수블록을 구비한 우수배수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772A (ko) * 2018-02-28 2019-09-05 정병현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KR20220152676A (ko) *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퍼팩트 방충기능 및 투수블록을 구비한 우수배수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rnbuckle et al. Controlled water table management as a strategy for reducing salt loads from subsurface drainage under perennial agriculture in semi-arid Australia
KR101215777B1 (ko) 지중 관?배수 시스템
JP7075031B2 (ja) 法面の施工方法とそれに用いるシート体
KR20140135441A (ko) 에어컨 배출수를 활용한 관수시스템
KR100868986B1 (ko)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KR101019776B1 (ko) 식생블록의 수분공급 시스템
KR100648884B1 (ko) 암절개지사면 토사 및 조경식재 유실방지구조
KR100681708B1 (ko) 식생용 옹벽블럭
KR20130004341U (ko)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
KR20130118006A (ko) 지질특성을 이용한 배수로형 지하수 인공함양방법
KR101182722B1 (ko) 가로수 물공급장치
KR100916547B1 (ko) 가로수 수분 공급장치
CN103993606A (zh) 一种松软边坡的立体防护方法
KR101024843B1 (ko) 주택지 또는 도로의 법면에서 조경용 급,배수 장치
CN107836245A (zh) 灌溉方便的植物种植箱
AU2011100491A4 (en) Root Barrier
KR20080099937A (ko) 계단식 화단 옹벽용 배수구조 및 계단식 화단 옹벽시공방법
CN207692594U (zh) 一种乔木地下分根滴灌装置
KR101244804B1 (ko)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KR200360168Y1 (ko) 가로수 수분공급장치
KR100549498B1 (ko) 건축용 조립식 옹벽블럭의 설치구조
CN211498716U (zh) 一种种植石墙
KR100352143B1 (ko) 가로수의 생육여건개선용 식수대(植樹帶) 시공방법
KR101129005B1 (ko) 벽면녹화장치
KR101071187B1 (ko) 조경수 보호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