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772A -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772A
KR20190103772A KR1020180024608A KR20180024608A KR20190103772A KR 20190103772 A KR20190103772 A KR 20190103772A KR 1020180024608 A KR1020180024608 A KR 1020180024608A KR 20180024608 A KR20180024608 A KR 20180024608A KR 20190103772 A KR20190103772 A KR 20190103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vegetation
waste stone
soil layer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861B1 (ko
Inventor
정병현
김재선
Original Assignee
정병현
김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현, 김재선 filed Critical 정병현
Priority to KR1020180024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861B1/ko
Publication of KR20190103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f granular or aggregated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폐석장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법면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소단을 형성하고, 상기 법면과 상기 소단이 다단으로 배치되도록 형성하는 지반정리단계와, 상기 지반정리단계 후 폐석장의 법면 및 소단에 돌망태를 설치하는 돌망태설치단계와, 상기 돌망태설치단계 후 상기 돌망태내부에 폐석장의 폐석을 투입하는 폐석투입단계와, 상기 폐석투입 단계 후 폐석층의 상부에 토사를 적층하고 다짐작업을 하여 토사층을 형성하는 토사층 형성단계와, 상기 토사층의 상부에 식생토를 적층하고 다짐작업을 하여 식생토층을 형성하는 식생토층 형성단계와, 상기 식생토층 형성단계 후 상기 폐석층의 단부에 옹벽을 설치하는 옹벽설치단계와, 상기 폐석장 소단의 일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배수로가 설치되도록 하는 배수로 설치단계 및 상기 식생토층에 풀씨를 살포하고 수목을 식재하여 상기 식생토층에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Waste stone chapter restoration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석장을 복구하되 폐석더미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폐석더미가 흘러내리거나 유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폐석더미의 상부에 식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폐석장의 복구가 친환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업은 국가 산업원료를 공급해 주는 국가의 기간산업으로서의 중요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광산개발에는 불가피하게 산림훼손, 산성광산배수 유출, 폐석 및 광물찌꺼기(광미(鑛尾), tailing) 유실, 지반침하, 소음·진동 및 먼지날림 등의 광해를 발생시켜 국민건강을 해하거나, 자연경관을 훼손하는등 부작용도 발생하고있다.
폐광산에서 유출되는 갱내수에는 유해 중금속이 다량포함되는 경우가 있어 정화처리 없이 그대로 유출하는 경우 중금속이 하천 및 토양에 축적되고, 이러한 오염은 어류나 농작물로 전이되어 국민건강에 악영향을 가져올수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아연광산의 주변 토양이 카드뮴에 오염되고 오염된 토양에서 재배된 농산물을 사람이 섭취하여 카드뮴에 중독된 사례가 발생하기도 하였으며, 국내에서도 작년(2006년)도에는 전국 광산 주변 토양오염도 조사 결과 44개 폐금속광산 주변의 농경지 등에서
재배된 농작물에서 토양환경보전법상 우려 및 대책기준을 초과하는 중금속이검출되었다는 정부의 발표로 커다란 사회문제를 야기시켰다.
따라서 국내광산은 경쟁력약화등으로 가행(稼行) 중인 광산 수는 감소하고 휴·폐광산(休·廢鑛山)의 수는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가행광산의 10% 정도가 매년휴·폐광을 반복하고 있는 실정으로 광산활동으로 인한 광해로 광산주변지역의환경오염은 더욱 증가될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 광산의 경우 광산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석을 광산 주변 계곡이나 산허리에 별다른 대책 없이 적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폐석을 적치할 때에 안정사면의 한계를 넘어 급경사를 이루고 있는 경우가 많아 폭우 또는 해빙기에 사면이 붕괴되어 하부로 유출된 폐석이 하천 하상에 퇴적되어 하천수 범람의 원인이 되고 산성수를 유발하여 수질을 악화시키는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유출된 폐석이 광산주변의 농지로 투기되어 피복하는 경우에는 토양오염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중금속에 오염된 농산물이 생산되는 원인이 되는고 있으며, 광산지역에 광범위하게 방치된 폐석으로 인하여 자연경관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수목의 식생환경에 악영향을주고있다.
KR 10-0901211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폐석장을 복구하되 폐석더미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폐석더미가 흘러내리거나 유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폐석더미의 상부에 식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폐석장의 복구가 친환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폐석장의 단부에 토사유출망과 배출관이 구비된 옹벽을 설치하여, 토사의 유실이 방지되도록 하고 폐석층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은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에 있어서,상기 폐석장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법면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소단을 형성하고, 상기 법면과 상기 소단이 다단으로 배치되도록 형성하는 지반정리단계와, 상기 지반정리단계 후 폐석장의 법면 및 소단에 돌망태를 설치하는 돌망태설치단계와, 상기 돌망태설치단계 후 상기 돌망태내부에 폐석장의 폐석을 투입하는 폐석투입단계와, 상기 폐석투입 단계 후 폐석층의 상부에 토사를 적층하고 다짐작업을 하여 토사층을 형성하는 토사층 형성단계와, 상기 토사층의 상부에 식생토를 적층하고 다짐작업을 하여 식생토층을 형성하는 식생토층 형성단계와, 상기 식생토층 형성단계 후 상기 폐석층의 단부에 옹벽을 설치하는 옹벽설치단계와, 상기 폐석장 소단의 일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배수로가 설치되도록 하는 배수로 설치단계 및 상기 식생토층에 풀씨를 살포하고 수목을 식재하여 상기 식생토층에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진 법면에 설치되는 상기 돌망태의 중앙에는 중간철망이 설치되어 상기 돌망태의 전면에 가해지는 폐석더미의 압력이 상기 중간철망에 의해 분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로의 상부에 식재부가 형성된 배수로커버가 설치되어, 상기 배수로의 상부에 식재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옹벽은 일단에 토사유출방지망이 형성되고, 일단과 타단을 관통하는 배수관이 형성되며, 상부에 식생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옹벽 식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사층에는 수목의 뿌리가 식재되는 수목식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단계는 풀씨 살포 후 토사유출 방지를 위해 식생커버부를 설치하는 식생커버부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사층은 부식토나 퇴비가 하나 이상 혼합된 양분과, 모래나 마사토가 하나 이상 혼합된 상토와, 보습재 및 물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에 의하면, 폐석장을 복구하되 폐석더미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폐석더미가 흘러내리거나 유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폐석더미의 상부에 식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폐석장의 복구가 친환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폐석장의 단부에 토사유출망과 배출관이 구비된 옹벽을 설치하여, 토사의 유실이 방지되도록 하고 폐석층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의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된 폐석장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돌망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옹벽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수커버의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의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된 폐석장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은 상기 폐석장(10)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법면(20)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소단(30)을 형성하고, 상기 법면(20)과 상기 소단(30)이 다단으로 배치되도록 형성하는 지반정리단계(S10)와, 상기 지반정리단계(S10) 후 폐석장의 법면(20) 및 소단(30)에 돌망태(100)를 설치하는 돌망태 설치단계(S20)와, 상기 돌망태 설치단계(S20) 후 상기 돌망태(100) 내부에 폐석장의 폐석재를 투입하는 폐석재 투입단계(S30)와, 상기 폐석재투입 단계(S30) 후 폐석재의 상부에 토사를 적층하고 다짐작업을 하여 토사층(50)을 형성하는 토사층 형성단계(S40)와, 상기 토사층(50)의 상부에 식생토를 적층하고 다짐작업을 하여 식생토층(60)을 형성하는 식생토층 형성단계(S50)와, 상기 식생토층 형성단계(S50) 후 상기 폐석층(40)의 단부에 옹벽(70)을 설치하는 옹벽설치단계와, 상기 폐석장의 법면(20) 및 소단(30)의 일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배수로(80)가 설치되도록 하는 배수로(80) 설치단계 및 상기 식생토층(60)에 풀씨를 살포하고 수목을 식재하여 상기 식생토층(60)에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생단계(S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지반정리단계(S10)는 폐석장의 사면, 절개지등에 법면(20)과 소단(30)을 형성하고, 상기 법면(20)과 소단(30)에 후술되는 돌망태가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평탄화 작업등을 실시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법면(20)은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각도는 30~60°, 바람직하게는 45°로 이루어는데, 이는 상기 법면(20)의 경사가 30°이하로 형성되면, 상기 법면(20)이 형성되는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시공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상기 법면(20)의 경사가 60°이상으로 형성되면 급격한 경사에 의해 돌망태(100) 및 식생토등이 유실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법면(20)의 경사를 30~60°, 바람직하게는 45°로 형성하여 상기 법면(20)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게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돌망태(100) 및 식생토등의 유실이 방지되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단(30)은 수평하게 형성되고, 길이는 1~3m, 바람직하게 2m의 길이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소단(30)의 길이가 1m이하로 형성되면, 상기 소단(30)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법면(20)에 설치되는 돌망태(100) 및 토사층(50)의 무게를 지지하기 어렵고, 상기 소단(30)의 길이가 3m 이상이 되면, 상기 폐석장의 구조적인 안정을 위해 상기 법면(20)의 길이도 길게 형성 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소단(30)과 상기 법면(20) 길이는 2:5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망태 설치단계(S20)는 지반정리단계(S10)에서 형성된 상기 법면(20)과 상기 소단(30)에 적정대응위치에 돌망태(10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돌망태(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철망(110),후면철망(120),측면철망(130) 및 하부철망(1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망태(100)의 중앙부에 중간철망(15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돌망태(100)는 각각의 철망들을 용접하거나, 철사와 같은 결속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돌망태(100)의 내부에 폐석재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법면(20)과 상기 소단(30)의 길이는 다르게 형성되므로, 상기 법면(20)에 설치되는 상기 돌망태(100)와 상기 소단(30)에 설치되는 상기 돌망태(100)의 길이에 맞게 상기 돌망태(100)를 제작하여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어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법면(20)에 설치되는 상기 돌망태(100)의 중앙에는 중간철망(150)이 설치되어 상기 돌망태(100)의 전면철망(110)에 가해지는 폐석더미의 압력이 상기 중간철망(150)에 의해 분산되도록 하여 상기 철망사이의 결합이 끊어지거나 이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중간철망(150)을 설치하지 않으면, 상기 법면(20)에 설치된 돌망태(100)의 내부에서 폐석재의 쏠림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전면철망(110)쪽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어 안전성을 저하시키고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중간철망(150)을 설치하여 이러한 문제를 예방코자 하는 것이다.
상기 중간철망(150)은 상기 전면철망(110) 또는 후면철망(120)을 상기 돌망태(100)의 중앙에 설치하여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제작으로 인한 시공비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중간철망(150)의 설치가 필요한 곳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석재 투입단계(S30)는 상기 법면(20)과 상기 소단(30)에 설치된 돌망태(100)에 폐석재를 투입하여 상기 돌망태(100)의 내부가 폐석재로 채워지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폐석재 투입단계(S30)는 폐석장의 폐석더미를 상기 돌망태(100)에 투입하여 상기 돌망태(100) 내부에 폐석층(40)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법면(20)의 안정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토사층 형성단계(S40)는 상기 폐석층(40)의 상부에 토사를 적층하고 다짐작업을 하여 토사층(5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토사층 형성단계(S40)에서는 상기 토사층(50)이 상기 폐석층(40)의 상부에 용이하게 자리잡을 수 있도록 토사를 투입하고, 물을 뿌리면서 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사층(50)은 부식토나 퇴비가 하나 이상 혼합된 양분과, 모래나 마사토가 하나 이상 혼합된 상토와, 보습재 및 물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토사층을 양분, 상토, 보습재 및 물을 혼합하여 형성함으로써 토사층이 더욱 견고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토사가 유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토사층(50)에는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수목이 식재되는데, 이때 상기 토사층(50)은 단단한 토사로 이루어져 수목의 뿌리유착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수목식재부(51)를 형성하여 수목식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목식재부(51)는 수목의 뿌리가 식재되는 부위에 일정공간을 형성하고, 일정공간에 식생토를 쌓아 상기 수목식재부(51)에 식재되는 수목의 뿌리가 용이하게 유착되도록 하여 수목을 이용하여 토사층(50)의 유실방지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식생토층 형성단계(S50)는 상기 토사층(50)의 상부에 식생토를 적층하여 식생토층(60)을 형성하는 단계로, 식생토를 식물의 생육에 정정한 경도화 수분이 유지되도록 하여 식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식생토는 토탄 5~10 중량부, 하수슬러지 5~10 중량부, 펄프슬러지 10~30중량부, 유기질원 20~30중량부 및 마사토 50~60중량부의 조성비를 갖도록 식생토를 형성하여 상기 식생토에 후술되는 식생단계(S80)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토사층(50) 높이의 1/40~1/10의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식생단계(S80)에서 살포되는 풀씨가 용이하게 생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옹벽 설치단계(S60)는 상기 폐석층(40)의 단부에 옹벽(70)을 설치하여, 상기 법면(20)에서 발생되는 토사의 유실로 인해 폐석장(10)이 붕괴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옹벽(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72)와 수평부(73)로 이루어지는 몸체(71)와, 상기 수직부(7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수관(74)과, 상기 수직부(72)의 상부에 형성되는 옹벽 식재부(7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71)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철근(76)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부(72)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72)의 내측에는 토사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토사유출방지망(75)이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토사유출방지망(75)은 부직포재질로 형성하여 토사가 빗물등에 의해 유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관(74)은 상기 수직부(72)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72)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옹벽 식재부(77)는 식생토와 상기 식생토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식생토수용부(미도시)로 이루어져 상기 옹벽(70)의 상부에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토사의 유실이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 옹벽(70)이 친환경적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자연경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로(80) 설치단계는 상기 폐석장(10) 소단(30)의 가운데에 공간부를 형성한 후 , 상기 배수로(80)가 설치되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공간부는 상기 폐석층(40)의 상부 일부를 포함하여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로(80)가 상기 폐석장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로(80)의 상부에는 식재부가 형성된 배수로커버(90)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배수로커버(90)를 도 5를 통해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로커버(90)는, 식재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다수개의 배수홀(92)이 형성되는 식재부(91)와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부에 철망부(94)가 설치된 배수부(92)가 상기 배수로커버(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식재부(91)에는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식생토가 적층되고, 상기 식재부(91)에 고인 물이 상기 배수홀(92)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식재부(91)에 고인 물에 의해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이루어져, 상기 식재부(91)에서 식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부(92)는 상기 배수로(80)의 상부방향에서 유입되는 물이 상기 배수로(80)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이루어지도록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상기 철망부(94)가 설치되어 이물질등이 상기 배수로(80)에 유입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배수로(80)의 상부에 식재부(91)와 배수부(92)로 이루어지는 배수로커버(90)를 설치함으로써, 식재부(91)를 통해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수로(80)의 상부가 자연친화적으로 형성되면서 토사의 유실이 방지되도록 하고, 배수로(80)를 통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토사의 유출속도를 제어하고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배수로(80)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식생단계(S80)는 상기 식생토층(60)에 풀씨를 살포하고 수목을 식재함으로써, 본 발명의 폐석장 외부가 친환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수려한 자연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식생단계(S80)에서 살포되는 풀씨는 금계국, 루드베키아, 코스모스, 구절초 및 끈끈이대나물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야생화 30~40중량부와 톨훼스큐, 캔터키블루그래스 및 패러니얼라이그래스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지피류 60~7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생단계(S80)에서는 풀씨 살포 후 토사유출 방지를 위해 식생커버부(미도시)를 설치하는 식생커버부 설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생커버부는 코코넛섬유를 압착시켜 형성되도록 하며, PP(Polypropylene)씨앗네트가 포함되도록 하여 토사등이 상기 식생커버부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풀씨가 상기 식생커버부 내에서 안정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식생커버부는 살포된 풀씨가 태양 등 외부 환경에 그대로 노출됨으로써 초기 성장에 발아를 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풀씨의 초기 발아에 필요한 그늘제공 및 수분유지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식생단계(S80)에서 식재되는 수목은 외생균근이 포함된 소나무,너도밤나무,자작나부,버드나무 또는 내생균근이 포함된 삼나무, 편백나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생균과 내생균은 고등식물의 뿌리와 균류가 긴밀히 결합하여 일체되고 공생관계가 맺어닌 뿌리인 균근(mycorrhiza, 菌根)의 종류이다.
이와 같은 균근은 식물체에게 무기양분(인, 질소 등)을 공급하고, 뿌리에 붙어서 해로운 병원균의 침입을 막아주고 뿌리를 굵게 만들어 토양과 접촉 면적을 넓혀주고 토양에 있는 양분 가동력을 크게 하여 식물이 더 잘 생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장마철에 집중호우가 내리더라도 지상부의 잎들과 줄기들이 강한 충격을 완화시켜 폐석장의 침식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균근을 포함하는 수목을 식재하여 폐석장의 붕괴르 방지하면서 폐석장이 친환경적으로 복구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에 의하면, 폐석장을 복구하되 폐석더미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폐석더미가 흘러내리거나 유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폐석더미의 상부에 식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폐석장의 복구가 친환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폐석장의 단부에 토사유출망과 배출관이 구비된 옹벽(70)을 설치하여, 토사의 유실이 방지되도록 하고 폐석층(4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폐석장 20 :법면
30 : 소단 40 : 폐석층
50 : 토사층 51 : 수목식재부
60 : 식생토층 70 : 옹벽
71 : 몸체 72 : 수직부
73 : 수평부 74 : 배수관
75 : 토사유출방지망 76 : 철근
77 : 옹벽 식재부 80 : 배수로
90 : 배수로커버 91 : 식재부
92 : 배수홀 93 : 배수부
94 : 철망부 100 : 돌망태
110 : 전면철망 120 : 후면철망
130 : 측면철망 140 : 하부철망
150 : 중간철망

Claims (8)

  1.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폐석장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법면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소단을 형성하고, 상기 법면과 상기 소단이 다단으로 배치되도록 형성하는 지반정리단계;
    상기 지반정리단계 후 폐석장의 법면 및 소단에 돌망태를 설치하는 돌망태설치단계;
    상기 돌망태설치단계 후 상기 돌망태내부에 폐석장의 폐석을 투입하는 폐석투입단계;
    상기 폐석투입 단계 후 폐석층의 상부에 토사를 적층하고 다짐작업을 하여 토사층을 형성하는 토사층 형성단계;
    상기 토사층의 상부에 식생토를 적층하고 다짐작업을 하여 식생토층을 형성하는 식생토층 형성단계;
    상기 식생토층 형성단계 후 상기 폐석층의 단부에 옹벽을 설치하는 옹벽설치단계;
    상기 폐석장 소단의 일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배수로가 설치되도록 하는 배수로 설치단계; 및
    상기 식생토층에 풀씨를 살포하고 수목을 식재하여 상기 식생토층에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생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법면에 설치되는 상기 돌망태의 중앙에는 중간철망이 설치되어 상기 돌망태의 전면에 가해지는 폐석더미의 압력이 상기 중간철망에 의해 분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의 상부에 식재부가 형성된 배수로커버가 설치되어, 상기 배수로의 상부에 식재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은 일단에 토사유출방지망이 형성되고, 일단과 타단을 관통하는 배수관이 형성되며, 상부에 식생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옹벽 식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층에는 수목의 뿌리가 식재되는 수목식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단계는 풀씨 살포 후 토사유출 방지를 위해 식생커버부를 설치하는 식생커버부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층은 부식토나 퇴비가 하나 이상 혼합된 양분과, 모래나 마사토가 하나 이상 혼합된 상토와, 보습재 및 물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단계에서 식재되는 수목은 외생균근이 포함된 소나무,너도밤나무,자작나부,버드나무 또는 내생균근이 포함된 삼나무, 편백나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KR1020180024608A 2018-02-28 2018-02-28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KR102079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608A KR102079861B1 (ko) 2018-02-28 2018-02-28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608A KR102079861B1 (ko) 2018-02-28 2018-02-28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772A true KR20190103772A (ko) 2019-09-05
KR102079861B1 KR102079861B1 (ko) 2020-02-20

Family

ID=67949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608A KR102079861B1 (ko) 2018-02-28 2018-02-28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8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2356A (zh) * 2019-09-25 2019-12-10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高原区道路下边坡挂渣综合治理系统及其施工方法
CN114398708A (zh) * 2022-01-14 2022-04-26 上海园林(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提高区域水资源环境保护性能的滨水园林景观构建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116B1 (ko) * 2005-11-24 2006-03-10 (주)세일엔지니어링 도로 비탈면의 보호시설 설치구조
KR100901211B1 (ko) 2007-10-31 2009-06-08 한국광해관리공단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
KR100917790B1 (ko) * 2009-03-09 2009-09-21 주식회사동인건설 제방 생태복원용 격자형 중공블록 및 그것들을 이용한 제방의 구축공법
KR20130004341U (ko) * 2012-01-04 2013-07-12 안철승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
KR101283514B1 (ko) * 2013-03-22 2013-07-15 이철우 보강재와 유기식생기반재를 이용한 생태복원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116B1 (ko) * 2005-11-24 2006-03-10 (주)세일엔지니어링 도로 비탈면의 보호시설 설치구조
KR100901211B1 (ko) 2007-10-31 2009-06-08 한국광해관리공단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
KR100917790B1 (ko) * 2009-03-09 2009-09-21 주식회사동인건설 제방 생태복원용 격자형 중공블록 및 그것들을 이용한 제방의 구축공법
KR20130004341U (ko) * 2012-01-04 2013-07-12 안철승 잔디 식재 배수로 구조물
KR101283514B1 (ko) * 2013-03-22 2013-07-15 이철우 보강재와 유기식생기반재를 이용한 생태복원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2356A (zh) * 2019-09-25 2019-12-10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高原区道路下边坡挂渣综合治理系统及其施工方法
CN110552356B (zh) * 2019-09-25 2024-02-06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高原区道路下边坡挂渣综合治理系统及其施工方法
CN114398708A (zh) * 2022-01-14 2022-04-26 上海园林(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提高区域水资源环境保护性能的滨水园林景观构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861B1 (ko)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00342B (zh) 一体化半岩质高边坡植被重建保护方法
JP3053071B2 (ja) 自然生態自己復元式法面工法および法面構造
CN105103843A (zh) 防治干热河谷矿山排土场水土流失的植被配置方法
CN203755318U (zh) 生态防护型边坡
CN101818499A (zh) 高陡岩质边坡植被重建系统及该系统的实施方法
Singh Bioengineering techniques of slope stabilization and landslide mitigation
CN1943316A (zh) 薄膜水平带沟和桶式袋防渗保水、节水肥营养液灌溉种植法
CN101580305A (zh) 一种用于改善水库消落区生态环境的湿地治理方法
KR102226656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사면 녹화공법
KR102079861B1 (ko)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Reddy et al. FARM PONDS: A Climate Resilient Technology for Rainfed Agriculture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CN107165176A (zh) 一种加强崩岗沟口土谷坊或拦沙坝拦沙蓄水的方法
KR100648884B1 (ko) 암절개지사면 토사 및 조경식재 유실방지구조
CN112012229A (zh) 一种用于石灰岩矿采场高陡坡岩石边坡的生态修复系统
CN110603924A (zh) 一种盐碱地种植系统及其施工工艺
KR20060011929A (ko) 토사면의 녹지화촉진 요철매트활용 식생공법
KR101074565B1 (ko) 황마네트와 펄프를 이용한 친환경 사면 녹화 시공방법
CN111042158B (zh) 一种用于混凝土框架和浆砌片石骨架护坡的植物种植方法
KR100466007B1 (ko) 녹화토를 이용한 돌망태
KR20120038665A (ko) 어스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시공방법
Andreu et al. Ecotechnological solutions for unstable slopes: Ground bio-and eco-engineering techniques and strategies
KR20090075476A (ko) 사면녹화공법
KR20080111218A (ko)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Applegate et al. The impact of drainage and degradation on tropical peatland hydr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effective rehabilitation
CN104067720A (zh) 煤矿采空沉陷稳定区损毁水田的修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