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211B1 -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 - Google Patents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1211B1 KR100901211B1 KR1020070110422A KR20070110422A KR100901211B1 KR 100901211 B1 KR100901211 B1 KR 100901211B1 KR 1020070110422 A KR1020070110422 A KR 1020070110422A KR 20070110422 A KR20070110422 A KR 20070110422A KR 100901211 B1 KR100901211 B1 KR 1009012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vegetation
- mine
- greening
- abandoned mine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69793 Cryothenia peninsulae Species 0.000 title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8673 Chiro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4 acid mine drain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3 craw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65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1 re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4—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unnels or galle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ortals, day-light attenuation at tunnel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에 관한 것으로, 갱구가 보이지 않도록 하면서 생물체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는,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며 폐광산의 갱구에 다수의 앵커로 결합되어 상기 갱구 내부에 생물체가 출입할 수 있으면서 상기 갱구를 막는 생태네트(10)와; 그리고, 상기 갱구의 전방에 설치되며 초목이 식재되어 상기 갱구의 전방을 녹화하는 녹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녹화수단은, 서로 일정 높이를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어 다단의 생태이동홀(21)을 형성하는 다수의 바닥판(22,23,24)을 갖으며 상기 갱구의 전방에 세워지는 식생틀(20), 상부가 개방된 통 구조이며 내부에 식생토가 채워져 초목(31)이 식재되고 상기 식생틀의 바닥판에 안착되는 녹화판(30)을 포함하고, 상기 식생틀은 상기 바닥판들이 다리를 통해 다단으로 적층되되, 상부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계단 형태로 배열된다.
폐광산, 갱구막이, 네트, 녹화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광산의 갱구막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광산의 갱구를 자연친화적으로 폐쇄하여 시각적으로 갱구가 보이지 않도록 하며 자연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는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석탄산업은 지난 30여년간(60∼80년대) 꾸준히 성장 발전하여 80년대 중반에 이르러서 연간 생산량이 2000만톤을 상회하는 명실 공히 국민연료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80년대 후반부터 국민소득의 향상과 더불어 수요감소와 가격 경쟁력 약화라는 이중고를 겪게 되면서 석탄산업 전반에 걸쳐 어려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정부는 이에 대비하여 석탄산업합리화시책을 수립하고 시행한 결과 1988년에 347개 탄광이 가행되었으나 상당수의 탄광이 폐광되고 현재 11개 탄광만이 가행중이다. 이 과정에서 탄광지역의 인구감소와 경기 침체라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석탄산업은 탄광지역의 경제안정을 유지하면서 수요에 비해 생산과잉이 지속되는 수급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석탄산업정책이 필요한 시점에 놓여 있다. 정부는 따라서 탄광지역의 경제안정을 위하여 1995년 3월 석탄산업종합대책을 수립하여 1995년부터 매년 100만톤 규모의 정부 비축을 추진해 오고 있다.
상기 비경제성 탄광을 정리하는 석탄산업합리화사업으로 단기간 동안 대부분의 탄광이 구조조정과 정리를 거치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노출시켰는데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첫째 탄광지역의 경기침체 및 인구감소와 둘째 환경 및 안전 문제를 들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대표적 실예가 폐갱구 및 광산폐기물 주변에서 유출되는 산성광산배수와 폐갱도 및 폐채굴적의 붕괴로부터 발생하는 지반 침하를 들 수 있다. 폐광 이후 폐갱도 및 광산폐기물에서 산성수이면서 중금속을 함유한 폐수가 아무런 정화과정 없이 그대로 주변 수계 혹은 토양으로 유출되어 환경오염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한편 상당수의 광산들이 가행 당시 갱도 및 채굴적이 폐광 이후 적절한 광산보안조치가 수행되지 못한 채 방치되어 각종 지표침하 등 지반의 안정성이 대두되면서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즉, 이러한 광산폐수 및 지반침하 문제는 폐광지역에서 가장 대표적인 환경 및 재해 문제로서 민원을 유발하며 폐광지역의 자연환경을 훼손하여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사안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 중 폐광산 내에서 중금속이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최근들어 폐광산의 갱구막이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갱구막이 공사는 갱도 내 자연환경을 무시한 채 무차별적으로 콘크리트 등으로 폐쇄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연생태계를 파괴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갱도 내에는 천연기념물 452호로 지정된 황금박쥐, 멸종 위기의 다양한 생물체 등이 서식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같이 갱구를 콘크리트나 폐쇄 등을 쌓아 막게 되면 빛, 공기와 물이 갱도 안으로 공급되지 못하므로 갱도 내부는 생물체의 서식공간이 조성되지 못하여 결국 갱도 내부에서 서식하는 생물체가 폐사할 수밖에 없으며, 또한, 갱도 내부의 생물체가 갱도 밖으로 나오거나 갱도 외부의 생물체가 갱도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여 생물체를 위한 안전한 서식공간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갱구막이가 대개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되지 못하여 시각적으로 거부감을 일으키고 주변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갱도 내부에서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이 갱구를 통해 배출되어 갱구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갱도의 갱구를 막으면서 갱도 내부에 서식하는 생물체에게 안전한 서식 공간을 마련하여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폐광산의 갱구막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갱구를 시각적으로 폐쇄된 상태로 보여지도록 함으로써 갱도의 출입을 막을 수 있고 갱구를 친자연적 환경으로 조성하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갱도 내부에서 발생되는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이 갱도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려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는, 폐광산의 갱구를 막는 생태네트, 상기 갱구의 전방에 설치되며 다단의 생태이동홀을 형성하며 초목이 식생되는 녹화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에 의하면, 갱구 전방에 초목이 식생하여 갱구 전방이 녹화됨에 따라 외부에서 볼 때 갱구가 전혀 보이지 않고 녹지로 보이게 되므로 시각적인 측면에서 볼 때 갱구 및 종래 갱구막이인 콘크리트에 의한 거부감과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그리고, 폐광산의 갱도 내부에서 서식하는 각종 생물체 및 갱도 외부에서 서식하는 생물체가 자유롭게 갱도를 출입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갱도를 안전한 서식공간으로 조성하여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다. 또한, 갱구를 자연친화적으로 폐쇄함과 더불어 생물체가 갱구 주변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여 역시 자연 생태계 보존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갱도 내부에서 발생되는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이 배수수단을 통해 집수시설에 집수 및 정화되어 갱도 주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는, 생물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폐광산의 갱구(1)를 폐쇄하는 생태네트(10)와; 생태네트(10)의 전방에 설치되며 생태이동홀(21)을 형성하는 식생틀(20)과; 식생틀(20)에 형성되며 초목(각종 관목, 각종 수목)이 식재되어 갱구(1) 전방을 녹화하는 녹화판(30)으로 구성되며, 이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생태네트(10)는 와이어가 종횡방향으로 엮인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져 앵커(11)를 통해 갱구(1)에 설치된다. 즉, 생태네트(10)는 그물망 형태이기 때문에 생명체가 갱구(1) 내부로 이동하고 갱구(1) 외부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식생틀(20)은 다단의 생태이동홀(21)을 갖도록 다수의 바닥판(22,23,24)(도면에는 3개로 도시하였지만, 바닥판의 수량은 갱구(1)의 크기 등에 따라 자유롭게 달리할 수 있다)을 갖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식생틀(20)은 각각의 바닥판(22,23,24)이 다리(22a,23a,24a)를 구비하여 각각 지면에 지지되는데, 각각의 바닥판(22,23,24)의 다리(22a,23a,24a)의 길이를 달리하여 바닥판(22,23,24)들이 지면에서부터 다단으로 적층 배열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서로 구획된 다수의 생태이동홀(21)이 구비되어 지면을 기어다니는 생물체 날아다니는 생물체가 다른 생물체의 간섭을 받 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생물체가 갱구(1)를 출입할 수 있는 것일 뿐 갱구(1) 위쪽의 녹지로 이동할 수는 없을 것이며, 갱구(1) 위쪽의 녹지에서 서식하는 생물체가 갱구(1) 지면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지면에서 서식하는 생물체가 갱구(1) 위쪽의 녹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식생틀(20)의 바닥판(22,23,24)들은 다단으로 적층되되, 상부측에 적층되는 것일수록 전후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계단 형태로 배열된다. 즉,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생물체가 바닥판(22,23,24)을 밟고 올라가거나 내려올 수 있으므로 식생틀(20)은 생물체의 이동통로를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조의 식생틀(20)은 각각의 바닥판(22,23,24)이 각각의 다리(22a,23a,24a)를 통해 지면에 지지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바닥판이 높은 바닥판 하부에 삽입되는 구조인 것이다.
그러나, 식생틀(20)은 전술한 것처럼 바닥판이 삽입되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바닥판(22,23,24)을 지지하는 다리(22a,23a,24a)가 그 아래측에 배치되는 바닥판(22,23,24) 위에 안착되면서 체결구(22c,23c,24c)로 고정됨으로써 적층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식생틀(20)은 다수의 바닥판(22,23,24)을 선택하여 설치함으로써 갱구(1)의 크기에 맞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식생틀(20)은 목재 등과 같이 친환경적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2b,23b,24b는 체결구(22c,23c,24c)가 체결되는 고정부이며, D는 녹화판(30)에서 배수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이다.
도 1과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녹화판(30)은 초목(31)을 식재할 수 있는 상부가 개방된 단지이다. 녹화판(30)은 내부에 식생토가 채워져 초목(31)이 식생될 수 있다. 녹화판(30)은 바닥판(22,23,24)에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에 삽입 안착되거나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녹화판(30)은 모든 바닥판(22,23,24)에 설치되어 키가 크지 않은 초목(31)을 식재하더라도 갱구(1) 전체를 녹화한 것으로 보여 질 수 있다.
여기서는 초목(31)을 식재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목적에 비추어 볼 때 식생토에 씨앗을 파종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는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식생토와 초목(31)이 물에 의해 썩지 않도록 배수가 가능하도록 녹화판(30)에는 다수의 배수공이 구비된다.
그리고, 갱구(1)의 주변 및 바닥이 황폐되어 녹화판(30)에서 식생되는 초목(31)만으로는 갱구(1) 주변을 녹화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갱구(1) 밖의 바닥에 초목을 식재할 수 있으며, 이때, 갱구(1) 밖의 바닥이 황폐하면 초목을 식재할 수 없을 것이므로 복토를 통해 갱구(1) 주변의 바닥을 친환경적으로 조성하여 초목을 식재하거나 초목이 식재된 식생매트(40)(도 5참고)를 깔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에 따르면, 식생틀(20)의 바닥판(22,23,24)들 상에 각각 설치된 녹화판(30)에서 초목(31)이 식생하며, 이때, 녹화판(30)에 공급된 물이 배수공을 통해 원활하게 배수되어 초목(31)은 썩지 않고 성장할 수 있다.
여기서, 초목(31)이 식재된 녹화판(30)이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어 있지만, 멀리서 볼 때 갱구(1) 전체에 초목이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갱구(1)가 보이지 않으므로 갱구(1)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다.
한편, 갱구(1) 내부에서 서식하는 생물체는 생태네트(10)를 통과하여 자연스럽게 갱도 밖으로 나올 수 있으며, 이어서, 식생틀(20)의 생태이동홀(21)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갱구(1) 밖에서 서식하는 생물체 역시 생태이동홀(21)과 생태네트(10)를 통과하여 갱도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즉, 자연재해 등의 발생시 생물체가 갱구(1) 내부로 이동하여 피신할 수 있는 것이다.
다단의 녹화판(30)은 시각적인 녹화효과 뿐만 아니라 작은 곤충이나 생물체에게 안전한 서식공간을 제공하여 생물체가 녹화판(30)에 서식하거나 피신할 수 있고 휴식을 할 수 있다.
식생틀(20)은 계단 형태이기 때문에 갱구(1) 주변에서 서식하는 생물체가 식생틀(20)을 밟고 갱구(1) 위쪽의 녹지로 이동할 수 있고, 갱구(1) 위쪽의 녹지에서 서식하는 생물체가 식생틀(20)을 밟고 갱구(1) 주변으로 내려올 수 있으므로 폐광산에 서식하는 생물체가 자유롭게 생태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에 배수수단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측면도로, 폐광산 내에서 발생되는 갱내수에 의해 갱구(1) 주변이 오염되지 않도록 배수수단(50)이 적용될 수 있다.
배수수단(50)은 폐광산 내부의 바닥부에 매설되어 폐광산의 바닥을 타고 흐르는 갱내수를 집수하는 트렌치(51), 지중에 매설되면서 일측은 트렌치(51)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타측은 집수시설 등에 연결되어 트렌치(51)에 의해 집수 된 갱내수를 안내하는 배수관(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집수시설은 오염된 갱내수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시설일 수 있고, 갱내수를 정화할 수 있는 수생 식물이 식재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를 도시한 시공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의 시공 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에 적용된 식생틀의 다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에 적용된 녹화판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에 배수수단이 적용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1 : 갱구, 10 : 생태네트
20 : 식생틀, 21 : 생태이동홀
22,23,24 : 바닥판, 30 : 녹화판
31 : 초목, 40 : 식생매트
50 : 배수수단,
Claims (4)
- 삭제
- 삭제
- 삭제
-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며 폐광산의 갱구에 다수의 앵커로 결합되어 상기 갱구 내부에 생물체가 출입할 수 있으면서 상기 갱구를 막는 생태네트(10)와; 그리고,상기 갱구의 전방에 설치되며 초목이 식재되어 상기 갱구의 전방을 녹화하는 녹화수단과; 그리고,상기 폐광산 내부의 바닥부에 매설되어 상기 폐광산의 바닥을 타고 흐르는 갱내수를 집수하는 트렌치(51), 지중에 매설되면서 일측은 상기 트렌치(51)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타측은 집수시설에 연결되어 상기 트렌치(51)에 의해 집수된 갱내수를 지중으로 안내하는 배수관(52)으로 이루어진 배수수단(50)을 포함하고,상기 녹화수단은,서로 일정 높이를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어 다단의 생태이동홀(21)을 형성하는 다수의 바닥판(22,23,24)을 갖으며 상기 갱구의 전방에 세워지는 식생틀(20),상부가 개방된 통 구조이며 내부에 식생토가 채워져 초목(31)이 식재되고 상기 식생틀의 바닥판에 안착되는 녹화판(30)을 포함하며,상기 식생틀은 상기 바닥판들이 다리를 통해 다단으로 적층되되, 상부측으로 갈수록 전후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계단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0422A KR100901211B1 (ko) | 2007-10-31 | 2007-10-31 |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0422A KR100901211B1 (ko) | 2007-10-31 | 2007-10-31 |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4349A KR20090044349A (ko) | 2009-05-07 |
KR100901211B1 true KR100901211B1 (ko) | 2009-06-08 |
Family
ID=40854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0422A KR100901211B1 (ko) | 2007-10-31 | 2007-10-31 |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121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3772A (ko) | 2018-02-28 | 2019-09-05 | 정병현 |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
KR20190103759A (ko) | 2018-02-28 | 2019-09-05 | 정병현 |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548254B (zh) * | 2023-07-11 | 2023-09-22 | 矿冶科技集团有限公司 | 干旱区矸石堆生态修复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78495A (ko) * | 2004-02-02 | 2005-08-0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광미 및 광재의 안정화 처리방법 |
KR100660004B1 (ko) | 2006-05-12 | 2006-12-20 |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 폐광산의 갱구 폐쇄구조 |
KR100660003B1 (ko) | 2006-05-03 | 2006-12-20 |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 폐광산 터널의 유해물질 유출 방지 구조 |
JP2007001011A (ja) * | 2006-10-10 | 2007-01-11 | Mitsubishi Materials Corp | 穴明け工具 |
-
2007
- 2007-10-31 KR KR1020070110422A patent/KR10090121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78495A (ko) * | 2004-02-02 | 2005-08-0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광미 및 광재의 안정화 처리방법 |
KR100660003B1 (ko) | 2006-05-03 | 2006-12-20 |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 폐광산 터널의 유해물질 유출 방지 구조 |
KR100660004B1 (ko) | 2006-05-12 | 2006-12-20 |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 폐광산의 갱구 폐쇄구조 |
JP2007001011A (ja) * | 2006-10-10 | 2007-01-11 | Mitsubishi Materials Corp | 穴明け工具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논문2007.10.11*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3772A (ko) | 2018-02-28 | 2019-09-05 | 정병현 | 폐석장 복구 시공방법 |
KR20190103759A (ko) | 2018-02-28 | 2019-09-05 | 정병현 |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4349A (ko) | 2009-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ey et al. | Soil and water bioengineering: Practice and research needs for reconciling natural hazard control and ecological restoration | |
Kuzovkina et al. | The characterization of willow (Salix L.) varieties for use in ecological engineering applications: co-ordination of structure, function and autecology | |
Landry et al. | The drainage of peatlands: impacts and rewetting techniques | |
KR100901211B1 (ko) |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 | |
Dohong | An assessment of the restoration efforts of degraded peatland in central Kalimantan, Indonesia | |
Suryadiputra et al. | A Guide to the Blocking of Canals and Ditches | |
KR100873423B1 (ko) | 끼움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방틀 | |
Willard et al. | Creation and restoration of riparian wetlands in the agricultural midwest | |
KR101058340B1 (ko) | 생태통로 | |
Lohwasser | A Survey in the Western Bayuda: The Wadi Abu Dom Itinerary Project (WADI) | |
KR100541923B1 (ko) | 하천 정비 공법 및 그 구조 | |
Aapala et al. | Peatland biodiversity | |
KR101472362B1 (ko) | 식생자루 및 식생자루를 이용한 광산지역 사면 녹화공법 | |
Pakalne et al. | Best Practice Book for Peatland Restoration and Climate Change Mitigation. Experiences from LIFE Peat Restore Project. University of Latvia, Riga, 184 p. The book was prepared and printed with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European Commission’s LIFE programme within the project “Reduction of CO2 emissions by restoring degraded peatlands in Northern European Lowland”(LIFE15 CCM/DE/000138, LIFE Peat Restore). The book reflects only the authors’ views. The European Climate,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Executive Agency (CINEA) is not responsible for any use that may be made of the information it contains | |
KR200340324Y1 (ko) | 특수 합성재료를 부착한 연약지반용 인공어초 | |
Rohling et al. | Flood Risk in Humanitarian Settlements-Compendium of Mitigation Measures | |
Wells | Biotechnical Streambank Protection: The use of plants to stabilize streambanks | |
Graber et al. | Technical issues in small dam removal engineering | |
KR20170105952A (ko) | 식생용 토목블록 | |
Kroese | Understanding Sediment Dynamics and Hydrology to Manage Water Resources in a Tropical Montane Forest of Kenya | |
JP2002294769A (ja) | 木製枠組工法による地下貯水槽 | |
Russell et al. | WET-RehabMethods | |
Peck | The invertebrate fauna of the caves of the Uinta Mountains, northeastern Utah | |
Fitzwilliam-Hall | The Living Khettras of Southern Morocco: A Traditional Water Harvesting Technology on the Brink | |
Hart | Protective structures for springs: Spring box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