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759A -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759A
KR20190103759A KR1020180024580A KR20180024580A KR20190103759A KR 20190103759 A KR20190103759 A KR 20190103759A KR 1020180024580 A KR1020180024580 A KR 1020180024580A KR 20180024580 A KR20180024580 A KR 20180024580A KR 20190103759 A KR20190103759 A KR 20190103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y
layer
rock
concrete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6985B1 (ko
Inventor
정병현
김재선
Original Assignee
정병현
김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현, 김재선 filed Critical 정병현
Priority to KR1020180024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98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3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f granular or aggregate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4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unnels or galle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ortals, day-light attenuation at tunnel open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 Y02A40/24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폐갱도의 입구에 암석을 쌓아 암석층을 형성하는 암석쌓기단계와, 상기 암석쌓기단계를 마친 후 폐갱도 내부의 형성된 암반을 천공하여 천공홀 형성하는 암반천공단계와, 상기 암반천공단계를 거쳐 형성된 천공홀에 철근구조물을 설치하는 철근구조물 설치단계와, 상기 철근구조물 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철근구조물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에서 형성된 콘크리트층의 외부에 점토를 쌓아 점토층을 형성하는 점토쌓기단계 및 상기 점토쌓기단계에서 형성된 점토층에 풀씨를 살포하고 수목을 식재하는 식생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에 의하면, 광물생산을 마친 폐갱도의 입구를 폐쇄하여 폐광산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이나 산악을 찾는 등산객들의 출입을 봉쇄하되, 폐갱도 입구를 산지원형대로 원상복구하여 폐갱도의 봉쇄는 물론, 친환경적인 시공방법을 통해 폐갱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Recovery method of waste mine}
본 발명은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물생산을 마친 폐갱도의 입구를 폐쇄하여 폐광산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이나 산악을 찾는 등산객들의 출입을 봉쇄하되, 폐갱도 입구를 산지의 원형대로 원상복구하여 폐갱도의 봉쇄는 물론, 친환경적인 시공방법을 통해 폐갱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탄산업은 지난 30여년간 꾸준히 성장 발전하여 80년대 중반에 이르러서 연간 생산량이 2000만톤을 상회하는 명실 공히 국민연료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80년대 후반부터 국민소득의 향상과 더불어 수요감소와 가격 경쟁력 약화라는 이중고를 겪게 되면서 석탄산업 전반에 걸쳐 어려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정부는 이에 대비하여 석탄산업합리화시책을 수립하고 시행한 결과 1988년에 347개 탄광이 가행되었으나 상당수의 탄광이 폐광되고 현재 11개 탄광만이 가행중이다. 이 과정에서 탄광지역의 인구감소와 경기 침체라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석탄산업은 탄광지역의 경제안정을 유지하면서 수요에 비해 생산과잉이 지속되는 수급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석탄산업정책이 필요한 시점에 놓여 있다. 정부는 따라서 탄광지역의 경제안정을 위하여 1995년 3월 석탄산업종합대책을 수립하여 1995년부터 매년 100만톤 규모의 정부비축을 추진해 오고 있다.
상기 비경제성 탄광을 정리하는 석탄산업합리화사업으로 단기간 동안 대부분의 탄광이 구조조정과 정리를 거치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노출시켰는데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첫째, 탄광지역의 경기침체 및 인구감소와 둘째, 환경 및 안전 문제를 들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대표적 실예가 폐갱구 및 광산폐기물 주변에서 유출되는 산성광산배수와 폐갱도 및 폐채굴적의 붕괴로부터 발생하는 지반 침하를 들 수 있다. 폐광 이후 폐갱도 및 광산폐기물에서 산성수이면서 중금속을 함유한 폐수가 아무런 정화과정 없이 그대로 주변 수계 혹은 토양으로 유출되어 환경오염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한편 상당수의 광산들이 가행 당시 갱도 및 채굴적이 폐광 이후 적절한 광산보안조치가 수행되지 못한 채 방치되어 각종 지표침하 등 지반의 안정성이 대두되면서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즉, 이러한 광산폐수 및 지반침하 문제는 폐광지역에서 가장 대표적인 환경 및 재해 문제로서 민원을 유발하며 폐광지역의 자연환경을 훼손하여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사안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 중 폐광산 내에서 중금속이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최근들어 폐광산의 갱구막이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갱구막이 공사는 갱도 내 자연환경을 무시한 채 무차별적으로 콘크리트 등으로 폐쇄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연생태계를 파괴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갱구막이가 대개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되지 못하여 시각적으로 거부감을 일으키고 주변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갱도 내부에서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이 갱구를 통해 배출되어 갱구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KR 10-0901211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광물생산을 마친 폐갱도의 입구를 폐쇄하여 폐광산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이나 산악을 찾는 등산객들의 출입을 봉쇄하되, 폐갱도 입구를 산지원형대로 원상복구하여 폐갱도의 봉쇄는 물론, 친환경적인 시공방법을 통해 폐갱도의 입구를 원래의 형상대로 복구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폐갱도의 내부에 설치되는 암석쌓기와 콘크리트 타설을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폐갱도의 봉쇄할 수 있도록 하는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은, 폐갱도 입구의 내부에 암석을 쌓아 암석층을 형성하는 암석층 형성단계와, 상기 암석층 형성단계 후 암석층에서 폐갱도의 입구 방향으로 일정거리 띄워진 폐갱도의 내부 암반을 천공하여 천공홀 형성하는 천공홀 형성단계와, 상기 천공홀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천공홀에 철근구조물을 설치하는 철근구조물 설치단계와, 상기 철근구조물 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철근구조물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층 형성단계와, 상기 콘크리트층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콘크리트층의 외부에 점토를 쌓고 다져서 점토층을 형성하는 점토층 형성단계 및 상기 점토층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점토층에 풀씨를 살포하고 수목을 식재하는 식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철근구조물 설치단계 후 상기 암석층과 상기 콘크리트층을 견고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암석층에 설치하는 결합수단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암석층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암석층 상부측의 폐갱도 암반층에 소정의 경사를 갖는 상측홈을 형성하되, 상기 상측홈이 갖는 소정의 경사는 폐갱도의 입구측보다 내측이 높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암석층 하부측의 폐갱도 암반층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하측홈을 형성하여, 상기 하측홈에서부터 상측홈까지 암석을 쌓아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점토층 형성단계는 황토 및 점토가 포함된 흙으로 제조된 흙벽돌을 쌓으면서 형성하되, 흙벽돌과 흙벽돌 사이에는 점토를 다져 넣으면서 형성하고, 폐갱도 입구측의 점토층은 식생을 위해 식생토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식생단계는 수목 및 풀씨를 식생하되, 수목은 폐갱도 입구측의 점토층의 흙벽돌과 흙벽돌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식생토는 특수부식질재료 토양개량제와 안정제를 혼합하고, 발포제를 첨가하여 단립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풀씨는 식생매트를 이용하여 식생하되, 상기 식생매트는 물, 옥수수전분 및 수산화나트륨을 1: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분해성수지망을 제조하여 상기 식생매트의 상부와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생분해성수지망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목화솜과 활생토층을 1:1비율의 두께로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식생매트는 상기 점토층의 최외측 폐갱도 입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에 의하면, 광물생산을 마친 폐갱도의 입구를 폐쇄하여 폐광산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이나 산악을 찾는 등산객들의 출입을 봉쇄하되, 폐갱도 입구를 산지원형대로 원상복구하여 폐갱도의 봉쇄는 물론, 친환경적인 시공방법을 통해 폐갱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갱도의 내부에 설치되는 암석쌓기와 콘크리트 타설을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폐갱도의 내부가 봉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의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으로 형성된 폐갱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폐갱도 복수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폐갱도를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의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으로 형성된 폐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은 폐갱도(10) 입구의 내부에 암석을 쌓아 암석층(100)을 형성하는 암석층 형성단계(S10)와, 상기 암석층 형성단계(S10) 후 암석층(100)에서 폐갱도(10)의 입구 방향으로 일정거리 띄워진 폐갱도(10)의 내부 암반을 천공하여 천공홀 형성하는 천공홀 형성단계(S20)와, 상기 천공홀 형성단계(S20)에서 형성된 천공홀에 철근구조물(200)을 설치하는 철근구조물 설치단계(S30)와, 상기 철근구조물 설치단계(S30)에서 설치된 철근구조물(2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30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40)와, 상기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40)에서 형성된 콘크리트층(300)의 외부에 점토를 쌓고 다져서 점토층(400)을 형성하는 점토층 형성단계(S50) 및 상기 점토층 형성단계(S50)에서 형성된 점토층(400)에 풀씨를 살포하고 수목을 식재하는 식생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암석층 형성단계(S10)는 폐갱도(10) 내부에 암석을 적재하여 암석층(10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암석층(100)에 의해 폐갱도(10) 내부가 봉쇄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암석층 형성단계(S10)는 암석쌓기에 적합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는 화강암, 사암 및 대리석 중의 하나를 암석으로 사용하며, 막돌쌓기, 허튼층쌓기, 쪼갠돌쌓기, 층지어쌓기 중 하나의 공법을 이용하여 암석을 쌓아 암석층(100)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암석층(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암석층(100)의 외측(폐갱도 입구측) 경사각도는 30~60°,바람직하게는 45°로 이루어진다.
상기 암석층(100)의 경사가 30°이하로 형성되면, 암석의 적층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석층(100)의 후방에 콘크리트가 안정적으로 타설되는 장점이 있으나, 암석층(100)의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많은 양의 암석이 필요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암석층(100)의 경사가 60°이상으로 형성되면, 암석층(100)의 면적이 좁아져 암석층(100)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암석의 양은 줄어드는 장점이 있으나, 암석층(100)의 붕괴위험이 높아지고, 콘크리트의 타설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암석층(100)의 외측 경사각도를 30~60°,바람직하게는 45°로 형성하여 암석의 적층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암석층(100)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암석의 양이 적정량이 되도록 하고, 상기 암석층(100)의 후방에 콘크리트가 용이하게 타설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폐갱도(10)의 내측부터 암석을 쌓되, 암석이 폐갱도(10)의 상부까지 용이하게 적층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갱도(10) 내측방향에 형성되는 상기 암반층(20)의 상부 높이를 폐갱도(10) 외측방향에 형성되는 상기 암반층(20)의 상부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암석층(100)의 상부측과 접하는 폐갱도의 암반층(20) 상부에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상측홈(21)을 형성하고, 상기 암석층(100)의 상부가 상기 상측홈(21)에 밀폐되도록 암석을 쌓아 암석층(100)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시공 후 암석층(100)이 상기 상측홈(21)을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측홈(21)이 갖는 소정의 경사는 암석이 용이하게 적층되도록 폐갱도(10)의 입구측보다 내측이 높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암석층(100)이 폐갱도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상기 암석층(100)의 하부가 폐갱도 내 지면보다 일정간격 깊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암석층(100)의 하부측과 접하는 상기 폐갱도 암반층(20)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하측홈(22)을 형성하여, 상기 하측홈(22)에서부터 상기 상측홈(21)까지 암석이 쌓아올려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암석층(100)의 하부두께는 상기 폐갱도(10) 내부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암석층(100)으로 인해 폐갱도의 봉쇄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지역마다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폐갱도에 높이에 따라 상기 암석층(100)의 두께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공홀 형성단계(S20)는 상기 폐갱도(10) 내부에 형성되는 암반층(2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는 천공홀(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천공홀에 후술되는 철근구조물(200)이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상기 천공홀 형성단계(S20)에서는 철근구조물(200)이 설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곳에 천공홀을 형성하여 각각의 천공홀에 철근구조물(200)의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폐갱도(10) 내부에 철근구조물(2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철근구조물 설치단계(S30)는 상기 천공홀 형성단계(S20)에서 형성된 다수개의 천공홀에 철근구조물(200)을 설치하여 폐갱도 내부에 철근구조물(200)이 고정설치 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철근구조물(200)은 철근(210)을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한 후 상기 암석층(100)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철근구조물(200)에 사용되는 철근(210)은 15~17mm, 바람직하게는 16mm의 직경으로 형성되며, 철근(210)과 철근(210)사이의 간격은 10~30mm, 바람직하게는 20mm로 이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타설단계 전에 철근구조물(200)을 설치하여 동하중, 풍하중, 고정하중, 열순환등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 및 흼 응력에 대응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이 파괴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철근구조물 설치단계(S30) 후 상기 암석층(100)과 상기 콘크리트층(30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수단(500)을 상기 암석층(100)에 설치하는 결합수단 설치단계(S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 설치단계(S70)는 상기 암석층(100)에 결합수단(500)을 설치하여 상기 결합수단(500)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층(300)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콘크리트가 상기 결합수단(500) 및 상기 철근구조물(200)을 감싸는 형태로 타설되도록 하여 콘크리트층(300)이 더욱 견고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수단(500)이 상기 암석층(100)과 상기 콘크리트층(300)을 연결하여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암석층(100)과 상기 콘크리트층(300)간의 결합력 및 지지력을 높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40)는 상기 철근구조물 설치단계(S30)에서 설치된 철근구조물(2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폐갱도 내부에 콘크리트층(300)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40)는 상기 결합수단(500)과 상기 철근구조물(200)에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콘크리트층(300)이 더욱 견고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콘크리트층(300)의 상부가 폐갱도 내부 상부에 밀폐되도록 하여 폐갱도 내부가 완전히 봉쇄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점토층 형성단계(S50)는 상기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40)에서 설치된 콘크리트층(300)의 외부에 점토를 쌓아 점토층(4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점토층 형성단계(S50)에서는 황토 및 점토를 포함한 흙으로 제조된 흙벽돌(410)을 쌓으면서 형성하고, 상기 흙벽돌(410)과 흙벽돌(410) 사이에 점토(420)를 넣어 상기 점토층(400)의 일부가 상기 흙벽돌(410)과 상기 점토(420)로 형성되도록 하고, 폐갱도 입구측의 점토층(400)은 식생을 위해 식생토(430)를 형성하여 상기 점토층(400)의 일부가 식생토(430)로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흙벽돌(410)과 흙벽돌(41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440)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440)에 수목을 식재 하여 수목의 뿌리로 인해 상기 점토층(400)이 유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점토층(400)에 상기 흙벽돌(410)을 다수개 적층함으로써, 상기 점토층(400)이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흙벽돌(410)의 외부에 식생토(430)를 채움으로써, 식생토(430)에서 식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점토층(400)과 상기 콘크리트층(300)은 5:0.3 비율의 두께로 형성되도록 하여 폐갱도의 내부를 봉쇄하도록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점토층(400)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층(300)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토(430)는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과 무기물, 유기물등을 보유하고 뿌리를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인공배합재료로써, 특수부식질재료(부엽토 및 이에 유사한 재료)에 토양개량제와 안정제를 혼합하고, 발포제를 첨가하여 보수성을 가지도록 하며, 토양의 단일입자가 집합하여 입단을 형성하는 구조인 단립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재료의 배합율은 지반의 토성 ,상기 점토층(400)의 경사도,살포두께, 기후, 풍토에 따라 결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점토층(400)은 다수개의 흙주머니(450)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 이러한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3을 통해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폐갱도 복수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폐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토층(400)은 다수개의 흙주머니(450)를 다단으로 적층하고, 흙주머니(450)와 흙주머니(450)의 사이를 점토(420)로 채워 점토층(400)의 일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흙주머니(450)는 수용성 부직포 또는 수용성 비닐로 형성되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충진되는 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성 비닐 상기 수용성 부직포는 PVA(Poly Vinyl Alcoho), 폴리아크릴아마이드(PAM), 메틸롤화요소수지, 메티롤화 멜라닌 수지 및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CMC)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PVA를 사용하여 전기 방사에 의하여 부직포가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흙주머니(450)의 외피를 수용성 부직포 또는 수용성 비닐로 형성하여 자연환경을 유지시키면서 사면 및 제방의 안정성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되는 상기 흙주머니(450)는 제조가 용이하여 제조기간이 비교적 짧기때문에 상기 점토층(400)이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흙주머니(450)와 상기 흙주머니(450) 사이에 공간부(440)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440)에 수목이 식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생단계(S60)는 상기 점토층(400)의 식생토(430)에 풀씨살포 및 수목식재를 실시하여 점토층(400)에 식생부(600)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며, 식생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식생매트(7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매트(700)는 상부와 하부에 생분해성수지망(710)을 형성하고, 생분해성수지망(710) 사이에 목화솜(720)과 활생토층(730)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생매트(700)는 물, 옥수수전분 및 수산화나트륨을 1: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분해성수지망(710)을 제조 하여 상기 식생매트(700)의 상부와 하부를 형성하고, 각각의생분해성수지망(710) 사이에 목화솜(720)과 활생토층(730)을 1:1비율의 두께로 적층하여 형성된다.
상기 목화솜(720)은 수분흡수력이 뛰어나 다량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보온성이 탁월하여 상기 식생매트(700)에 파종된 종자의 보습력을 유지시키고, 종자를 적정온도로 보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활생토층(730)은 친환경적인 인공토양으로써, 유해미생물 및 악취를 제거하고, 폐갱도에서 발생되는 중금속을 흡수하여 종자의 식생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식생단계(S60)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식생매트(700)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상기 식생토(430)가 형성된 비탈진 장소에 설치하여 보다 편리하게 녹화시공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식생토(430)에 상기 식생매트(7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고정수단(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식생매트(700)가 상기 식생토(430)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토사의 유실로 인해 상기 식생매트(700)가 떨어져 나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광물생산을 마친 폐갱도의 입구를 폐쇄하여 폐광산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이나 산악을 찾는 등산객들의 출입을 봉쇄하되, 폐갱도 입구를 산지원형대로 원상복구하여 폐갱도의 봉쇄는 물론, 친환경적인 시공방법을 통해 폐갱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폐갱도의 내부에 설치되는 암석쌓기와 콘크리트 타설을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폐갱도의 내부가 봉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폐갱도 20 : 암반층
21 : 상측홈 22 : 하측홈
100 : 암석층 200 : 철근구조물
210 : 철근 300 :콘크리트층
400 : 점토층 410 : 흙벽돌
420 : 점토 430 : 식생토
440 : 공간부 450 : 흙주머니
500 : 결합수단 600 : 식생부
700 : 식생매트 710 : 생분해성수지망
720 : 목화솜 730 : 활생토층

Claims (7)

  1. 폐갱도 입구의 내부에 암석을 쌓아 암석층을 형성하는 암석층 형성단계;
    상기 암석층 형성단계 후 암석층에서 폐갱도의 입구 방향으로 일정거리 띄워진 폐갱도의 내부 암반을 천공하여 천공홀 형성하는 천공홀 형성단계;
    상기 천공홀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천공홀에 철근구조물을 설치하는 철근구조물 설치단계;
    상기 철근구조물 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철근구조물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층 형성단계;
    상기 콘크리트층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콘크리트층의 외부에 점토를 쌓고 다져서 점토층을 형성하는 점토층 형성단계; 및
    상기 점토층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점토층에 풀씨를 살포하고 수목을 식재하는 식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구조물 설치단계 후 상기 암석층과 상기 콘크리트층을 견고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암석층에 설치하는 결합수단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석층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암석층 상부측의 폐갱도 암반층에 소정의 경사를 갖는 상측홈을 형성하되,
    상기 상측홈이 갖는 소정의 경사는 폐갱도의 입구측보다 내측이 높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암석층 하부측의 폐갱도 암반층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하측홈을 형성하여,
    상기 하측홈에서부터 상측홈까지 암석을 쌓아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토층 형성단계는 황토 및 점토가 포함된 흙으로 제조된 흙벽돌을 쌓으면서 형성하되,
    흙벽돌과 흙벽돌 사이에는 점토를 다져 넣으면서 형성하고,
    폐갱도 입구측의 점토층은 식생을 위해 식생토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단계는 수목 및 풀씨를 식생하되,
    수목은 폐갱도 입구측의 점토층의 흙벽돌과 흙벽돌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는 특수부식질재료 토양개량제와 안정제를 혼합하고, 발포제를 첨가하여 단립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풀씨는 식생매트를 이용하여 식생하되,
    상기 식생매트는 물, 옥수수전분 및 수산화나트륨을 1: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분해성수지망을 제조하여 상기 식생매트의 상부와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생분해성수지망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목화솜과 활생토층을 1:1비율의 두께로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식생매트는 상기 점토층의 최외측 폐갱도 입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KR1020180024580A 2018-02-28 2018-02-28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KR102036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580A KR102036985B1 (ko) 2018-02-28 2018-02-28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580A KR102036985B1 (ko) 2018-02-28 2018-02-28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759A true KR20190103759A (ko) 2019-09-05
KR102036985B1 KR102036985B1 (ko) 2019-10-25

Family

ID=67949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580A KR102036985B1 (ko) 2018-02-28 2018-02-28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9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582B1 (ko) * 1986-12-18 1990-03-15 주식회사 삼신스프레이 특수식생재료의 뿜어붙이기에 의한 법면녹화공법
KR20020095878A (ko) * 2001-06-16 2002-12-28 최길준 폐광산 지하공동 충진을 통한 오염확산방지방법
KR100660003B1 (ko) * 2006-05-03 2006-12-20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폐광산 터널의 유해물질 유출 방지 구조
KR100901211B1 (ko) 2007-10-31 2009-06-08 한국광해관리공단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
KR20110029201A (ko) * 2009-09-15 2011-03-23 장익식 인공생태연못 및 그 조성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582B1 (ko) * 1986-12-18 1990-03-15 주식회사 삼신스프레이 특수식생재료의 뿜어붙이기에 의한 법면녹화공법
KR20020095878A (ko) * 2001-06-16 2002-12-28 최길준 폐광산 지하공동 충진을 통한 오염확산방지방법
KR100660003B1 (ko) * 2006-05-03 2006-12-20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폐광산 터널의 유해물질 유출 방지 구조
KR100901211B1 (ko) 2007-10-31 2009-06-08 한국광해관리공단 휴폐광산의 친환경 갱구막이
KR20110029201A (ko) * 2009-09-15 2011-03-23 장익식 인공생태연못 및 그 조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985B1 (ko)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62887B (zh) 一种离子型稀土矿山生态护坡结构
CN101580305B (zh) 一种用于改善水库消落区生态环境的湿地治理方法
CN108222026B (zh) 煤矿小型矸石山的修复方法
CN106193066A (zh) 一种基于生态修复的黄土崩塌治理方法
CN102505700A (zh) 用于黄土区的柳杆锚固护坡方法
Gidon et al. Rainfall-induced slope failures and use of bamboo as a remedial measure: A review
CN201581411U (zh) 斜插式桩板墙
CN205530299U (zh) 一种离子型稀土矿山生态护坡结构
KR102036986B1 (ko) 폐갱수 차단 시공방법
KR102036985B1 (ko)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CN102943480B (zh) 一种黄土基坑支护方法
CN105133635B (zh) 湿陷性黄土利用废料的地基处理方法
CN105421471A (zh) 一种喷混植生、治理、灌溉一体化的护坡治理系统
CN106337422A (zh) 一种处理湿陷性黄土地区填方地基的方法
KR101035264B1 (ko) 연속섬유보강토를 활용한 식생호안의 조성방법
CN212896451U (zh) 一种生态挡土墙
CN108716222A (zh) 一种边坡主动防护墙体
CN204849819U (zh) 一种生态型挡土墙
KR101525942B1 (ko) 표층개량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 옹벽공법
CN210917225U (zh) 一种阶梯状生态护坡
KR100831879B1 (ko) 재해를 방지하여 주는 작용과 식물들이 용이하게 자랄 수있도록 구성되는 친환경 호안공법
CN108487269B (zh) 一种生态装配式框架支护形式的构建方法
Frechette et al. Selection of a water balance cover over a barrier cap–a case study of the reclamation of the Mineral Hill Mine dry tailings facility
KR20210108540A (ko) 식생패각덮개를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CN205917649U (zh) 一种河岸护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