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005B1 - 벽면녹화장치 - Google Patents
벽면녹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9005B1 KR101129005B1 KR1020090035023A KR20090035023A KR101129005B1 KR 101129005 B1 KR101129005 B1 KR 101129005B1 KR 1020090035023 A KR1020090035023 A KR 1020090035023A KR 20090035023 A KR20090035023 A KR 20090035023A KR 101129005 B1 KR101129005 B1 KR 1011290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holder
- building
- clipper
- unit bo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벽면에 고정되며 식물을 식재하여 재배하는 박스형태의 유니트박스(100); 상기 유니트박스(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니트박스(100)에서 재배된 식물의 등반을 유도하는 등반보조재(200); 및, 상기 등반보조재(200)를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홀더(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등반보조재(200)는 상기 홀더(300)에 의하여 건물의 벽면과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니트박스, 등반보조재, 홀더, 싱글클리퍼, 더블클리퍼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과 담장, 방음벽을 비롯한 구조물의 수직부재에 식물을 심어 녹지대를 조성하는 벽면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건물의 벽면에 고정되며 식물을 식재하여 재배하는 박스형태의 유니트박스(100); 상기 유니트박스(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니트박스(100)에서 재배된 식물의 등반을 유도하는 등반보조재(200); 및, 상기 등반보조재(200)를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홀더(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등반보조재(200)는 상기 홀더(300)에 의하여 건물의 벽면과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축물의 벽면과 담장, 방음벽을 비롯한 구조물의 수직부재에 식물을 심어 녹지대를 조성하는 것을 벽면녹화라 한다.
벽면녹화 환경은 풍압, 강우 및 일사에 대한 영향력이 강한 편으로, 특히 건축 구조물 자체의 온도는 일사에 의하여 쉽게 상승하여 도시 온난화 현상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구조물의 수직면에 담쟁이 덩굴 등의 수종을 직접 식재하거나, 벽면 녹화용 패널을 씌우는 방법 등으로 구조물의 외피를 녹화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은 벽면에 녹화된 식물들에 대한 수분공급 및 배수와 관련된 기술이 부족하고, 일사에 대한 내통풍성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방법들은 고층구조물에서 벽면에 식재된 식물의 성장에 한계를 가져오고 안전한 시공이 곤란하여, 고층 구조물이 다수 출현되는 국내 실정에 적용하기 어려웠다.
한편, 기존의 벽면 녹화 방법들은 식재 전에 식물체를 성장시키지 않았을 뿐 아니라, 벽체에 작용하는 풍압?강우 등의 스트레스는 식물체의 조기 활착을 어렵게 하였기 때문에, 벽면의 초기 녹피율이 그리 높지 않았다. 이로 인하여 벽면 녹화 후 벽면 전체가 피복되기까지 3~5년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어 벽면 녹화가 근본적인 구조물의 외피 기능을 하지 못하였다.
게다가 벽면 녹화를 위한 지지철물은 고가이고, 이들 철물의 내구성 및 안전성 또한 시공상의 제약으로 작용하는 실정이었으며, 동절기가 긴 국내 환경은 녹시율 향상이 중요한 요소인 벽면녹화의 활성화에 어려운 조건이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벽면고정 자재인 홀더를 이용하여 등반보조재를 벽체와 이격시킴으로써 외벽의 불규칙 조건과 다양한 벽면 환경(콘크리트, 목재, 방음벽등)에 적용할 수 있는 벽면녹화장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와이어 또는 메쉬 형태의 등반보조재를 간편하게 벽면에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식물의 식재와 활착에 적합한 유니트박스를 제공하여 벽면녹화의 취약 환경인 일사와 풍압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선 재배한 시스템(plant climbing support system)을 통해 기존 등반형 녹화로 불가능한 고층 및 대면적 벽면녹화가 가능하도록 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네째, 벽면 녹화용 유니트박스 및 등반보조재를 지지하는 수단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고정되며 식물을 식재하여 재배하는 박스형태의 유니트박스(100); 상기 유니트박스(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니트박스(100)에서 재배된 식물의 등반을 유도하는 등반보조재(200); 및, 상기 등반보조재(200)를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홀더(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등반보조재(200)는 상기 홀더(300)에 의하여 건물의 벽면과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벽면고정 자재인 홀더를 이용하여 등반보조재를 벽체와 이격시킴으로써 외벽의 불규칙 조건과 다양한 벽면 환경(콘크리트, 목재, 방음벽등)에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등반보조재(200)를 직접 벽면에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홀더(300)를 이용하여 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 설치하여 외벽에 불규칙한 돌출부가 있더라도 등반보조재(2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둘째, 와이어 또는 메쉬 형태의 등반보조재를 간편하게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규격화된 홀더(300)를 사용하여 와이어나 메쉬 형태의 등반보조재를 간단한 나사체결만으로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
셋째, 식물의 식재와 활착에 적합한 유니트박스를 제공하여 벽면녹화의 취약 환경인 일사와 풍압에 대응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비맞이용경사(120)과 관수호스(150)를 통하여 적정한 수분을 공급받고, 여분의 수분은 통기배수구(1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적정량의 수분은 돌출부(130) 전후방 공간에 저장하고, 토양층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망(170)을 구비하여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네째, 벽면 녹화용 유니트박스 및 등반보조재를 지지하는 수단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유니트박스(100)는 하부고정구(162)와 상부고정구(164)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등반보조재(200)는 홀더(300) 또는 고정보조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가 되어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유니트박스(1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에 고정되며 식물을 식재하여 재배하는 박스형태의 구조이다.
유니트박스(100)는 건물의 벽면을 마주보는 후면부(113), 후면부(113)의 외측에 위치하는 전면부(111), 후면부(113)와 전면부(111)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는 측면부(112), 및 후면부(113), 전면부(111), 및 측면부(112)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박스 형태를 완성하는 하부면(114)으로 구성된다.
비맞이용경사(120)는 전면부(111)를 따라 상광하협의 형태로 돌출되어 빗물을 용이하게 받아들여서 유니트박스(100)로 공급하는 구조가 된다.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11)의 상단부가 하부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되어 빗물을 받아들이는 입구 면적을 증대되는 구조인 것이다.
돌출부(130)는 하부면(114) 중앙부를 따라 길이 방향(좌우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부(130)의 표면에는 다수 개의 통기배수구(140)가 관통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30)의 상부면을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함몰된 물넘이부(135)가 형성된다.
따라서 유니트박스(100) 내부로 일정량 이상의 물이 공급되어 수위가 돌출부(130)를 넘어서게 되면 통기배수구(140)를 통하여 여분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나, 돌출부(130)의 전후방 공간은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 역할을 하게 되어 즉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일정 기간 동안 저장되면서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게 되는데, 물넘이부(135)를 통하여 돌출부(130)의 전후방 공간 사이에 물의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어느 한 편의 물의 수위가 다른 편보다 높을 경우 물넘이부(135)를 통하여 물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일시에 많은 물이 유니트박스(100) 내부로 공급되더라도 돌출부(130) 전후방 공간에 물이 고루 분배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통기배수구(140)는 평상시 유니트박스(100)에 담겨진 토양에 산소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도 한다.
관수호스(15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박스(100)의 측면부(112)를 가로지르도록 통과하도록 설치되는데, 관수호스(150)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 다수 개의 분출구를 통하여 식물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관수호스(150)로 공급된 물도 통기배수구(1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거나 돌출부(130)의 전후방 공간에 일정 기간 저장되면서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통기배수구(1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물은 그냥 공간 상으로 버려지는 것 보다는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수파이프 등으로 집수하여 파이프 라인을 통하여 배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니트박스(100)의 측면부(112)의 상단부에는 이러한 관수호스(150)를 수용하는 관수호스고정홈(155)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유니트박스(100)는 하부고정구(162)와 상부고정구(164)와 함께 건물의 벽면에 앵커볼트로 고정설치된다.
하부고정구(162)는 유니트박스(100)의 후면부(113), 하부면(114), 및 전면부(111)를 감싸는 형태가 금속 판재이고, 상부고정구(164)는 유니트박스(100)의 상부 공간을 통과하여 하부고정구(162)의 양측 단부와 맞닿게 된다.
이러한 상부고정구(164)와 하부고정구(162)는 유니트박스(100)를 완전히 감싸게 되고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건물의 벽면에 고정된다.
또한 유니트박스(100) 내부에 적재된 토양층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니트박스(100)의 상부 개방부를 덮는 비산방지망(170)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비산방지망(170)은 유니트박스(100)의 측면부(112)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비산방지망설치고리(175)에 장착된다.
유니트박스(100)에 적재되는 토양층은 경량화를 위해 리사이클링 소재인 바 텀애쉬(bottom ash), 질석, 코코피트를 혼합한 인공토양인 팝소일플러스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유니트박스(100)의 후면부(113) 상단부에는 지주대고정홀(185)이 구비되고, 지주대(180)가 이러한 지주대고정홀(185)에 삽입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지주대(180)는 유니트박스(100)를 벽면 녹화 현장에 설치하기 전에 유니트박스(100)에 식재된 넝쿨성 식물이 지주대(180)를 타고 위로 올라가면서 성장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식재된 넝쿨성 식물이 어느 정도 재배되어 유니트박스(100)를 벽면에 설치할 경우에는 먼저 지주대(180)를 유니트박스(100)에서 분리한다.
다시 말하면 지주대(180)는 유니트박스(100)에 식재된 넝쿨성 식물을 미리 재배하여 유니트박스(100)를 건물의 벽면에 설치할 경우 즉시 녹화의 효과를 상당 부분 거둘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구이다.
지주대(18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반보조재(20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어 등반보조재(200)를 지지하는 지주 역할을 한다.
등반보조재(2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박스(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유니트박스(100)에서 재배된 식물(덩굴성 식물)의 등반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등반보조재(200)의 양측 단부에는 도1 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착되어 벽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보조재(아연 합금과 같은 금속 소재의 파이프가 사용됨이 일반적이다)에 결합되기도 하는데, 반드시 이러한 고정보조재가 필요한 것은 아니며 현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 여부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이러한 등반보조재(200)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된 와이어(211)가 사용될 수도 있고, 상하로 교차하는 형태로 제작된 금속메쉬(220)가 사용될 수도 있다.
등반보조재(200)의 상부에는 도8에 도시된 덩굴가드(600)가 건물의 벽면에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덩굴가드(600)는 등반보조재(200)의 지붕 역할을 하며 덩굴성 식물이 더 이상 자라지 않도록 막아준다.
싱글클리퍼(4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다수 가닥의 와이어(211)로 구성되는 등반보조재(200)에 사용되며, 와이어(211)의 교차점에서 교차되는 와이어(211)를 하나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금속메쉬(220)의 경우에는 싱글클리퍼(400)가 소요되지 않고 홀더(300)만 사용된다.
상기 싱글클리퍼(400)는 원기둥 형상의 일측면에 십자(+) 형태로 절개되고 절개된 중심부를 따라 암나사가 형성된 싱글클리퍼와이어수용홈(410)이 구비된다.
교차되는 와이어(211)가 싱글클리퍼와이어수용홈(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싱글클리퍼와이어수용홈(410)의 암나사에 싱글클리퍼고정나사봉(420)을 체결하면 교차된 와이어(211)가 싱글클리퍼(400)와 일체로 결합된다.
이러한 싱글클리퍼(400)는 벽면과는 별도로 결합되지 않으며 교차되는 두 개의 와이어를 하나로 묶어주는 역할만을 하게 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반보조재(200)는 상하로 교차하는 형태로 제작된 금속메쉬(220)로 구성되는데, 금속메쉬(220)를 구성하기 위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수평 부재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부(221)와 일방향(벽체의 외향)으로 돌출된 원호부(222)가 반복되는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원호부(222)가 반복됨으로써 덩굴성 식물들의 성장을 돕는 것과 함께 조류 등의 서식처 공간으로서의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홀더(300)는 등반보조재(200)를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홀더(300)에 의하여 고정되는 등반보조재(200)는 건물의 벽면과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벽면의 형태가 불규칙적으로 돌출된 경우에도 등반보조재(2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와이어(211) 형태나 도1에 도시된 금속메쉬(220) 형태의 등반보조재(200)에는 도6에 도시된 형태의 홀더(300)가 사용되는데, 몸체부(310), 홀더와이어수용홈(320), 및 홀더고정나사봉(330)으로 구성된다.
몸체부(310)는 앵커볼트 또는 피스로 건물 벽면에 고정되고, 몸체부(310)의 상단부에 십자(+) 형태로 절개되고 절개된 중심부를 따라 암나사가 형성된 홀더와이어수용홈(320)이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부(31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고정되는 부분과 홀더와이어수용홈(320)이 구비된 부분으로 분리 가능한 형태가 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홀더와이어수용홈(320)에 교차하는 와이어(211) 또는 금속메쉬(220)의 교차점이 수용된 상태에서 홀더와이어수용홈(320)의 암나사에 홀더고정나사봉(330)을 나사체결하면 결합이 완료된다.
홀더고정나사봉(330)의 상단부에는 꽃모양 장식이 부가되어 식재의 부재기인 겨울에도 심미감을 제공하는 부가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홀더(300)의 수량은 등반보조재(20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결정하면 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메쉬(220)가 한 개 더 추가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되어 양측 단부가 용접 결합되는 경우에는 도5에 도시된 더블클리퍼(500)와 도7에 도시된 형태의 홀더(300)가 사용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메쉬(220) 두 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면 원호부(222)가 각기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어 볼록한 형태가 반복되게 된다.
원호부(222)가 반복되면서 형성되는 공간은 금속메쉬(220)가 한 개만 사용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덩굴성 식물의 성장과 조류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더블클리퍼(50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되는 금속메쉬(220)를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의 양측면에 각각 십자(+) 형태로 더블클리퍼와이어수용홈(510)이 구비되고, 더블클리퍼와이어수용홈(510) 각각의 중앙을 따라 암나사가 구비된다.
서로 마주보는 금속메쉬(220) 각각의 교차점이 더블클리퍼와이어수용홈(510) 각각에 삽입된 상태에서 더블클리퍼고정나사봉(520)을 더블클리퍼와이어수용홈(510) 각각의 암나사에 체결하면 결합이 완료되는데, 서로 마주보는 금속메쉬(220)는 양측 단부가 용접결합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더블클리퍼(500)에 의하여 다시 상호 결합되는 구조가 된다.
더블클리퍼고정나사봉(520)의 경우에도 상단부에는 꽃모양 장식이 부가되어 식재의 부재기인 겨울에도 심미감을 제공하는 부가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형태의 금속메쉬(220)의 경우 이를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도7에 도시된 형태의 홀더(300)가 사용되는데, 홀더(300)와 더블클리퍼(500)의 수량과 설치 간격은 금속메쉬(22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간격으로 서로 교차 배열될 수 있도록 결정하면 된다.
도7에 도시된 홀더는 제1몸체부(340), 제1홀더와이어수용홈(350), 제1홀더고정나사봉(360), 제2홀더와이어수용홈(370) 및 제2홀더고정나사봉(380)으로 구성된다.
제1몸체부(340)는 앵커볼트 또는 피스로 건물 벽면에 고정되는데, 제1몸체부(340)의 상단부에 십자(+) 형태로 절개되고 절개된 중심부를 따라 암나사가 구비되는 제1홀더와이어수용홈(350)이 구비된다.
제1몸체부(34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고정되는 부분과 홀더와이어수용홈(320)이 구비된 부분으로 분리 가능한 형태가 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1홀더와이어수용홈(350)에 금속메쉬(220) 가운데 어느 하나의 교차점이 수 용된 상태에서 제1홀더와이어수용홈(350)의 암나사에는 제1홀더고정나사봉(360)이 체결된다.
제1홀더고정나사봉(360)의 상단부에는 십자(+) 형태로 절개되고 절개된 중심부를 따라 암나사가 구비되는 제2홀더와이어수용홈(370)이 구비된다.
제1홀더고정나사봉(36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홀더와이어수용홈(350)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부분과 제2홀더와이어수용홈(370)이 구비된 부분이 분리 가능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2홀더와이어수용홈(370)에 금속메쉬(220) 가운데 나머지 하나의 교차점이 수용된 상태에서 제2홀더와이어수용홈(370)의 암나사에는 제2홀더고정나사봉(380)이 체결된다.
제2홀더고정나사봉(380)의 경우에도 상단부에는 꽃모양 장식이 부가되어 식재의 부재기인 겨울에도 심미감을 제공하는 부가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금속메쉬(220)가 사용된 경우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금속메쉬(220)가 추가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된 경우이다.
도3은 유니트박스(100) 및 이를 벽체에 고정시키는 상부고정구(164) 및 하부고정구(162)를 도시한다.
도4는 싱글클리퍼(400)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5는 더블클리퍼(500)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6은 홀더(300)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7은 홀더(300)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8은 덩굴가드(600)의 구체적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유니트박스
111:전면부 112:측면부
113:후면부 114:하부면
120:비맞이용경사
130:돌출부
140:통기배수구
150:관수호스
155:관수호스고정홈
162:하부고정구
164:상부고정구
170:비산방지망
175:비산방지망설치고리
180:지주대
185:지주대고정홀
200:등반보조재
211:와이어
220:금속메쉬
221:직선부 222:원호부
300:홀더
310:몸체부
320:홀더와이어수용홈
330:홀더고정나사봉
340:제1몸체부
350:제1홀더와이어수용홈
360:제1홀더고정나사봉
370:제2홀더와이어수용홈
380:제2홀더고정나사봉
400:싱글클리퍼(single clipper)
410:싱글클리퍼와이어수용홈
420:싱글클리퍼고정나사봉
500:더블클리퍼(double clipper)
510:더블클리퍼와이어수용홈
520:더블클리퍼고정나사봉
600:덩굴가드
Claims (10)
-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건물의 벽면에 고정되며 식물을 식재하여 재배하는 박스형태의 유니트박스(100);상기 유니트박스(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니트박스(100)에서 재배된 식물의 등반을 유도하는 등반보조재(200); 및,상기 등반보조재(200)를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홀더(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등반보조재(200)는 상기 홀더(300)에 의하여 건물의 벽면과 간격을 유지하고,상기 유니트박스(100)는,건물의 벽면을 마주보는 후면부(113), 상기 후면부(113)의 외측에 위치하는 전면부(111), 상기 후면부(113)와 전면부(111)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는 측면부(112), 및 상기 후면부(113), 상기 전면부(111), 및 상기 측면부(112)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박스 형태를 완성하는 하부면(114)으로 구성되고,상기 전면부(111)를 따라 상광하협의 형태로 돌출된 비맞이용경사(120);상기 하부면(114) 중앙부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30);상기 돌출부(130)의 상부면이 전후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물넘이부(135); 및,상기 돌출부(130)의 표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통기배수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장치.
- 제1항에서,상기 유니트박스(100)는,상기 측면부(112)를 가로지르도록 통과하면서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 다수 개의 분출구를 통하여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관수호스(150);상기 측면부(112)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관수호스(150)를 수용하는 관수호스고정홈(155);상기 후면부(113), 상기 하부면(114), 및 상기 전면부(111)를 감싸는 형태의 하부고정구(162); 및,상기 유니트박스(100)의 상부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고정구(162)의 양측 단부와 맞닿고, 상기 하부고정구(162)와 함께 건물의 벽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상부고정구(16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장치.
- 제2항에서,상기 유니트박스(100)는,상기 측면부(112)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비산방지망설치고리(175); 및,상기 비산방지망설치고리(175)에 결합되어 상기 유니트박스(100) 내부에 적재된 토양층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망(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장치.
- 제3항에서,상기 유니트박스(100)는,상기 후면부(113) 상단부에 구비된 지주대고정홀(185); 및,상기 지주대고정홀(185)에 삽입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주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장치.
- 제4항에서,상기 등반보조재(200)는,서로 교차하는 다수 가닥의 와이어(211)로 구성되고,상기 와이어(211)의 교차점에서 교차되는 상기 와이어(211)를 결합시키는 싱글클리퍼(400);가 더 포함되되,상기 싱글클리퍼(400)는,원기둥 형상의 일측면에 십자(+) 형태로 절개되고 절개된 중심부를 따라 암나사가 형성된 싱글클리퍼와이어수용홈(410)이 구비되고, 교차되는 상기 와이어(211)가 상기 싱글클리퍼와이어수용홈(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싱글클리퍼와이어수용홈(410)의 암나사에 싱글클리퍼고정나사봉(420)이 체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장치.
- 제4항에서,상기 등반보조재(200)는,상하로 교차하는 형태의 금속메쉬(220)로 구성되되,상기 금속메쉬(220)를 구성하기 위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수평부재는 직선부(221)와 일방향으로 돌출된 원호부(222)가 반복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장치.
- 제5항에서,상기 홀더(300)는,앵커볼트 또는 피스로 건물 벽면에 고정되는 몸체부(310);상기 몸체부(310)의 상단부에 십자(+) 형태로 절개되고 절개된 중심부를 따라 암나사가 형성된 홀더와이어수용홈(320); 및,상기 홀더와이어수용홈(320)에 교차하는 상기 와이어(211)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와이어수용홈(320)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홀더고정나사봉(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장치.
- 제6항에서,상기 금속메쉬(220)가 한 개 더 추가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되어 양측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원호부(222)가 각기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어 볼록한 형태가 되며,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되는 상기 금속메쉬(220)를 결합하는 더블클리퍼(500);가 더 포함되되,상기 더블클리퍼(500)는,원기둥 형상의 양측면에 각각 십자(+) 형태로 더블클리퍼와이어수용홈(510)이 구비되고 상기 더블클리퍼와이어수용홈(510) 각각의 중앙을 따라 암나사가 구비되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금속메쉬(220) 각각의 교차점이 상기 더블클리퍼와이어수용홈(510) 각각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더블클리퍼와이어수용홈(510) 각각의 암나사에 더블클리퍼고정나사봉(520)이 체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장치.
- 제8항에서,상기 홀더(300)는,앵커볼트 또는 피스로 건물 벽면에 고정되는 제1몸체부(340);상기 제1몸체부(340)의 상단부에 십자(+) 형태로 절개되고 절개된 중심부를 따라 암나사가 구비되는 제1홀더와이어수용홈(350);상기 제1홀더와이어수용홈(350)에 상기 금속메쉬(220) 가운데 어느 하나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홀더와이어수용홈(350)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제1홀더고정나사봉(360);상기 제1홀더고정나사봉(360)의 상단부에 십자(+) 형태로 절개되고 절개된 중심부를 따라 암나사가 구비되는 제2홀더와이어수용홈(370); 및,상기 제2홀더와이어수용홈(370)에 상기 금속메쉬(220) 가운데 나머지 하나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2홀더와이어수용홈(370)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제2홀더고정나사봉(3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5023A KR101129005B1 (ko) | 2009-04-22 | 2009-04-22 | 벽면녹화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5023A KR101129005B1 (ko) | 2009-04-22 | 2009-04-22 | 벽면녹화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6360A KR20100116360A (ko) | 2010-11-01 |
KR101129005B1 true KR101129005B1 (ko) | 2012-03-23 |
Family
ID=4340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5023A KR101129005B1 (ko) | 2009-04-22 | 2009-04-22 | 벽면녹화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900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82221A (ko) | 2016-01-06 | 2017-07-14 |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 벽면 녹화시스템 |
KR20170142060A (ko) * | 2016-06-16 | 2017-12-27 |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 벽면 녹화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13306A (ko) * | 2005-04-30 | 2006-11-02 | 주식회사 한설그린 | 벽면 녹화용(壁面 綠化用) 클램프 |
KR100699912B1 (ko) * | 2005-09-30 | 2007-03-28 | 주식회사 한설그린 |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
JP2008054611A (ja) * | 2006-09-01 | 2008-03-13 | Tankatsu:Kk | 壁面緑化装置とそれを用いた壁面緑化工法 |
-
2009
- 2009-04-22 KR KR1020090035023A patent/KR1011290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13306A (ko) * | 2005-04-30 | 2006-11-02 | 주식회사 한설그린 | 벽면 녹화용(壁面 綠化用) 클램프 |
KR100699912B1 (ko) * | 2005-09-30 | 2007-03-28 | 주식회사 한설그린 |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
JP2008054611A (ja) * | 2006-09-01 | 2008-03-13 | Tankatsu:Kk | 壁面緑化装置とそれを用いた壁面緑化工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82221A (ko) | 2016-01-06 | 2017-07-14 |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 벽면 녹화시스템 |
KR20170142060A (ko) * | 2016-06-16 | 2017-12-27 |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 벽면 녹화시스템 |
KR101884200B1 (ko) | 2016-06-16 | 2018-08-02 |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 벽면 녹화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6360A (ko) | 2010-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im | Greenwall classification and critical design-management assessments | |
JP2006262712A (ja) | 緑化構造および緑化方法 | |
JP2002330631A (ja) | 立体プランター | |
KR101129005B1 (ko) | 벽면녹화장치 | |
KR101620883B1 (ko) | 가로수 조경을 위한 조립식 화분 | |
JP2012075397A (ja) | 緑化用板状部材及び壁面等の緑化構造 | |
JP5208079B2 (ja) | 緑化ポール | |
KR101187407B1 (ko) | 벽면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녹화방법 | |
JP4927038B2 (ja) | 緑化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植え込み構造、並びに緑化工法 | |
JP4376109B2 (ja) | プランター | |
JP2010213622A (ja) | 壁面用植栽マット体及び壁面緑化方法 | |
JP3109861U (ja) | 支柱網付植生植栽装置 | |
JP2007306862A (ja) | 壁面緑化パネルと、その壁面緑化パネルを用いた壁面の緑化工法 | |
JP2007291724A (ja) | 法面等の修景方法 | |
KR20210093208A (ko) | 등반매트와 격자가 조합된 덩굴식물류를 이용한 벽면 녹화 프레임 | |
JP2012023992A (ja) | 建築物に敷設する立体庭園 | |
JP3199042U (ja) | 緑化用板状部材及び壁面等の緑化構造 | |
JP4452316B1 (ja) | モルタル・コンクリート法面の緑化工法 | |
JP2008142044A (ja) | 緑化パネル | |
JP2005270000A (ja) | 壁面緑化具 | |
JP4767116B2 (ja) | 間知ブロックによる造成壁面の緑化構造 | |
CN219478629U (zh) | 拼装植生槽护坡 | |
JP2012120462A (ja) | 緑化地盤ユニット | |
JP6978055B2 (ja) | 定植方法、緑化方法及び緑化システム | |
CN209816875U (zh) | 一种新型边坡防护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