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912B1 -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 Google Patents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912B1
KR100699912B1 KR1020050092632A KR20050092632A KR100699912B1 KR 100699912 B1 KR100699912 B1 KR 100699912B1 KR 1020050092632 A KR1020050092632 A KR 1020050092632A KR 20050092632 A KR20050092632 A KR 20050092632A KR 100699912 B1 KR100699912 B1 KR 100699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open
horizontal
vertic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설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설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설그린
Priority to KR1020050092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meshes)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임부의 뒤틀림과 휘어짐이 방지되고, 나사 체결에 의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화분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된 벽면 녹화용 메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벽화 녹화용 메쉬는, 프레임부가 시공과정에서 상하 및 좌우로 뒤틀림 내지 휘어짐이 발생되어 시공이 어려웠으며, 용이한 조립 및 분해가 불가능하여 시공함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화분을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벽면 녹화용 메쉬에 있어서,
앞쪽 프레임부의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도록,
앞쪽 프레임부는 앞쪽개방 수직공간부와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 및, 뒤쪽개방 수직공간부와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절곡된 수평지지대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수평지지대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의 절곡된 부분에는 수직지지대가 체결되어 구비되고,
뒤쪽 프레임부의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도록,
뒤쪽 프레임부는 앞쪽개방 수평공간부와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 및, 뒤쪽개방 수평공간부와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절곡된 수직지지대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수직지지대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직지지대의 절곡된 부분에는 수평지지대가 체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앞쪽 프레임부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는 나사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체결 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며,
상기 앞쪽 프레임부의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와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에 화분 앞쪽부가 설치되고, 상기 뒤쪽 프레임부의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와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에 화분 뒤쪽부가 설치되어 화분이 설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메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부가 상하 및 좌우로 뒤틀림 내지 휘어짐이 방지되어 시공이 용이하며, 아울러 덩굴 식물의 생육이 자유로우며,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 부재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고, 화분의 설치와 교체가 용이하게 가능하다.
벽면 녹화용 메쉬

Description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Meshes for wall surface afforestation}
도 1a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벽면 녹화용 메쉬를 보인 사시도,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벽면 녹화용 메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의 B-B'선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체결 부재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체결 부재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확대 분해 사시도,
도 6c는 도 6a에서의 C-C'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른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8에서의 D-D'선 단면도,
도 11은 도 8에서의 E-E'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른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앞쪽 프레임부, 11 : 수평지지대, 12 : 수직지지대, 13 : 교차 부분,
20 : 뒤쪽 프레임부, 21 : 수평지지대, 22 : 수직지지대, 23 : 교차 부분,
30 : 체결 부재, 31 : 앞쪽 체결부, 31-c : 홈부, 31-h :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 32 : 뒤쪽 체결부, 32-d : 홈부, 32-n : 나사 체결용 너트(nut), 34 : 볼트(bolt),
70 : 덩굴 식물, 80 : 체결 고정부재, 90 : 벽면(건물의 벽면), F : 절곡(折曲)된 부분,
P :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앞쪽 프레임부에서), Q :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앞쪽 프레임부에서),
M :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뒤쪽 프레임부에서), N :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뒤쪽 프레임부에서),
S1 : 앞쪽개방 수직공간부(앞쪽 프레임부에서), S2 : 뒤쪽개방 수직공간부(앞쪽 프레임부에서), S3 : 앞쪽개방 수평공간부(뒤쪽 프레임부에서), S4 : 뒤쪽개방 수평공간부(뒤쪽 프레임부에서).
본 발명은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meshes)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임부의 뒤틀림과 휘어짐이 방지되고, 나사 체결에 의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화분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된 벽면 녹화용 메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벽화 녹화용 메쉬는, 예컨대 등록번호 20-0313448의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기재된 기술 등에서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90)에 설치되어 그 녹화(綠化)를 위하여 덩굴 식물(701)의 식생(植生)이 가능하도록, 수평지지대(1001)와 수직지지대(1002)로 이루어진 메쉬(meshes) 형태의 앞쪽 프레임(frame)부(1000)와, 수평지지대(2001)와 수직지지대(2002)로 이루어진 메쉬(meshes) 형태의 뒤쪽 프레임(frame)부(2000)가 구비되고, 상기 앞쪽 프레임부(100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00)는 서로 체결부재(3000)에 용접 체결되어 고정 체결되고, 건물의 벽면(90)에 체결 고정부재(800)와 고착부재(801)에 의하여 체결 가능하도록 된 구성임에 따라, 평면 형태로 상기 앞쪽 프레임부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가 이루어져서 시공과정에서 상하 및 좌우로 뒤틀림 내지 휘어짐이 발생되어 시공이 어려웠으며, 아울러 평면 형태로 프레임부가 이루어져서 덩굴 식물의 생육이 자유롭지 못하였으며, 덩굴 식물의 등반을 위한 등반보조재의 설치가 어려웠으며, 용접 체결에 의한 구성이었음에 따라, 용이한 조립 및 분해가 불가능하여 시공함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용이한 분해가 불가능하여 덩굴 식물의 관리 및 제품의 부분적 교환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아울러 화분을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벽면 녹화용 메쉬에 있어서,
앞쪽 프레임부의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도록,
앞쪽 프레임부는 앞쪽개방 수직공간부와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 및, 뒤쪽개방 수직공간부와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절곡된 수평지지대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수평지지대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의 절곡된 부분에는 수직지지대가 체결되어 구비되고,
뒤쪽 프레임부의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도록,
뒤쪽 프레임부는 앞쪽개방 수평공간부와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 및, 뒤쪽개방 수평공간부와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절곡된 수직지지대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수직지지대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직지지대의 절곡된 부분에는 수평지지대가 체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앞쪽 프레임부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는 나사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체결 부재에 의하여 나사 체결되고,
상기 앞쪽 프레임부의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와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에 화분 앞쪽부가 설치되고, 상기 뒤쪽 프레임부의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와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에 화분 뒤쪽부가 설치되어 화분이 설치되도록 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와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의 '입체로서의 형태' 및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와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 지지부의 '입체로서의 형태'에 의하여 상기 앞쪽 프레임부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가 시공과정에서 상하 및 좌우로 뒤틀림 내지 휘어짐이 방지되어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 후 견고하게 형태 유지가 가능하고, 아울러 상기 '입체로서의 형태'로 상기 프레임부가 이루어져서 덩굴 식물의 생육이 자유로우며, 덩굴 식물의 등반을 위한 등반보조재의 설치가 용이하고,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 부재에 의하여, 용이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시공함에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고, 덩굴 식물의 관리 및 제품의 부분적 교환이 가능하며, 화분을 설치 및 교체함이 용이하게 가능한 벽면 녹화용 메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화분의 구비 및 그 설치가 없는 구성인 하기 제2 실시예에 의한 벽면 녹화용 메쉬에서는, 상기 목적 중, 화분의 설치에 따른 목적 이외의 목적은 상기 목적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제1 실시예로서,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90)에 설치되어 그 녹화(綠化)를 위하여 덩굴 식물(70)의 식생(植生)이 가능하도록, 수평지지대(11)와 수직지지대(12)로 이루어진 메쉬(meshes) 형태의 앞쪽 프레임(frame)부(10)와, 수평지지대(21)와 수직지지대(22)로 이루어진 메쉬(meshes) 형태의 뒤쪽 프레임(frame)부(20)가 구비되고,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벽면(90)에 체결 고정부재(80)에 의하여 체결 가능하도록 된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meshes)에 있어서;
상기 앞쪽 프레임부(1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도록,
앞쪽(S1-a)으로 열려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앞쪽개방 수직공간부(S1)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대(11)가 구비되고,
아울러 뒤쪽(S2-b)으로 열려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대(11)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S1)와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가 서로 교대로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지도록,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가 서로 교대로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된 상기 수평지지대(11)가 상하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구비된다.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는 서로 중복되는 부분[즉, 상기 수평지지대(11)에서,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S1)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의 사이의 부분]이 서로 공유된 구성이다.
상기 수평지지대(11)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11)의 절곡된 부분(F)에 수직지지대(12)가 체결 고정되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지지대(11)의 절곡된 부분(F)과 상기 수직지지대(12)는 통상의 용접 방법으로 체결된다.
상기 수직지지대(12)는, 상기 수평지지대(11)의 절곡된 부분(F)에 체결 고정되는 수직지지대(12)와 이에 인접하여 상기 수평지지대(11)의 절곡된 부분(F)에 체결 고정되는 수직지지대(12)의 사이에서, 통상의 적절한 갯수로 추가 가능하며 상기 수평지지대(11)에 통상의 용접으로 체결되며, 상기 수평지지대(11)의 좌측끝단부와 우측끝단부에도 통상의 용접으로 체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도록,
앞쪽(S3-a)으로 열려 개방되며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직지지대(22)가 구비되고,
아울러 뒤쪽(S4-b)으로 열려 개방되며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뒤쪽개방 수평공간부(S4)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직지지대(22)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와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S4)가 서로 교대로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지도록,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와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가 서로 교대로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된 상기 수직지지대(22)가 좌우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구비된다.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는 서로 중복되는 부분[즉, 상기 수직지지대(22)에서,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S4) 사이의 부분]이 서로 공유된 구성이다.
상기 수직지지대(22)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지지대(22)의 절곡된 부분(F)에 수평지지대(21)가 체결 고정되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지지대(22)의 절곡된 부분(F)과 상기 수평지지대(21)는 통상의 용접 방법으로 체결된다.
상기 수평지지대(21)는, 상기 수직지지대(22)의 절곡된 부분(F)에 체결 고정되는 수평지지대(21)와 이에 인접하여 상기 수직지지대(22)의 절곡된 부분(F)에 체결 고정되는 수평지지대(21)의 사이에서, 통상의 적절한 갯수로 추가 가능하며 상기 수직지지대(22)에 통상의 용접으로 체결되며, 상기 수직지지대(22)의 상측끝단부와 하측끝단부에도 통상의 용접으로 체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와 같은 형상과 같은 크기로서 90도 회전 및 전후 반전된 구성이 바람직하며, 같은 형상이며 조금 크거나 조금 작은 구성도 가능하며,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S4)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S1)와 같은 형상과 같은 크기로서 90도 회전 및 전후 반전된 구성이 바람직하며, 같은 형상이며 조금 크거나 조금 작은 구성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가 서로 나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 부재(3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 부재(3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수평지지대(11)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수직지지대(22)가 서로 접(接)하며 교차하는 부분[이하, "교차 부분"이라고 함](13)(23)이 끼워지도록, 상기 수평지지대(11)의 "교차 부분"(13)이 끼워지는 홈부(31-c)와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31-h)이 형성된 앞쪽 체결부(31)와, 상기 수직지지대(22)의 "교차 부분"(23)이 끼워지는 홈부(32-d)와 나사 체결용 너트(nut)(32-n)가 형성된 뒤쪽 체결부(32)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나사 체결용 너트(32-n)에 상기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31-h)을 통하여 나사 체결되는 볼트(bolt)(34)가 구비된다.
아울러, 화분 앞쪽부(60-1)와 화분 뒤쪽부(60-2)가 형성된 화분(60)이 구비되고, 상기 화분 앞쪽부(60-1)는 상응하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즉, 수평지지대(11)]에 끼워져 그 상응하는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에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화분 뒤쪽부(60-2)는 상응하는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즉, 수직지지부(22)]에 끼워져 그 상응하는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에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화분(60)에는 상기 화분 앞쪽부(60-1)가 끼워지는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즉, 수평지지대(11)]의 상응하는 부분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부(60-a)와, 상기 화분 앞쪽부(60-1)가 끼워지는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즉, 수평지지대(11)]에 체결된 수직지지대(12)의 상응하는 부분이 끼워지는 끼움공간부(60-h)가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화분(60)에는 상기 화분 뒤쪽부(60-2)가 끼워지는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즉, 수직지지대(22)]에 체결된 수평지지대(21)의 상응하는 부분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부(60-a)와, 상기 화분 뒤쪽부(60-2)가 끼워지는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즉, 수직지지대(22)]의 상응하는 부분이 끼워지도록 끼움공간부(60-h)와 하부끼움공간부(60-t)가 형성된다.
상기 화분(60)에서, 내부에는 식재(植栽)용 부재가 넣어지는 공간부(60-s)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끼움공간부(60-t)는 끼움 입구가 크고, 안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60-s)로 돌출된 60-t'는 상기 하부끼움공간부(60-t)를 형성하여 지지하는 지지부이다.
아울러, 상기 화분 앞쪽부(60-1)가 이에 상응하는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에 설치되고 아울러 상기 화분 뒤쪽부(60-2)가 이에 상응하는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에 설치되어 상기 화분(60)이 설치되도록,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가 서로 접(接)하여 수직으로 교차하며 마주 대하게,
상기 체결 부재(30)에 의하여 서로 나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본 발명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철재, 아연도(鍍) 철재 등 금속재가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화분(60)의 재질은 합성수지 등 통상의 화분의 재질이다.
통상의 체결 고정부재(80)는,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수평지지대(21)의 상응부분(25)이 끼워지도록 끼움턱부(80-1)와 끼움걸림턱부(80-2)가 구비되고,
통상의 부착부재(81)에 의하여 상기 통상의 체결 고정부재(80)의 고착부재 설치용 관통구멍(80-4)을 통하여 상기 벽면(90)에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은, 제2 실시예로서,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 중, 상기 화분(60)의 구비 및 그 설치가 없는 구성이며, 기타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제2 실시예로서,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90)에 설치되어 그 녹화(綠化)를 위하여 덩굴 식물(70)의 식생(植生)이 가능하도록, 수평지지대(11)와 수직지지대(12)로 이루어진 메쉬(meshes) 형태의 앞쪽 프레임(frame)부(10)와, 수평지지대(21)와 수직지지대(22)로 이루어진 메쉬(meshes) 형태의 뒤쪽 프레임(frame)부(20)가 구비되고,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벽면(90)에 체결 고정부재(80)에 의하여 체결 가능하도록 된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meshes)에 있어서;
상기 앞쪽 프레임부(1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도록,
앞쪽(S1-a)으로 열려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앞쪽개방 수직공간부(S1)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대(11)가 구비되고,
아울러 뒤쪽(S2-b)으로 열려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대(11)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S1)와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가 서로 교대로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지도록,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가 서로 교대로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된 상기 수평지지대(11)가 상하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구비된다.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는 서로 중복되는 부분[즉, 상기 수평지지대(11)에서,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S1)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의 사이의 부분]이 서로 공유된 구성이다.
상기 수평지지대(11)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11)의 절곡된 부분(F)에 수직지지대(12)가 체결 고정되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지지대(11)의 절곡된 부분(F)과 상기 수직지지대(12)는 통상의 용접 방법으로 체결된다.
상기 수직지지대(12)는, 상기 수평지지대(11)의 절곡된 부분(F)에 체결 고정되는 수직지지대(12)와 이에 인접하여 상기 수평지지대(11)의 절곡된 부분(F)에 체결 고정되는 수직지지대(12)의 사이에서, 통상의 적절한 갯수로 추가 가능하며 상기 수평지지대(11)에 통상의 용접으로 체결되며, 상기 수평지지대(11)의 좌측끝단부와 우측끝단부에도 통상의 용접으로 체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도록,
앞쪽(S3-a)으로 열려 개방되며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직지지대(22)가 구비되고,
아울러 뒤쪽(S4-b)으로 열려 개방되며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뒤쪽개방 수평공간부(S4)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직지지대(22)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와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S4)가 서로 교대로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지도록,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와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가 서로 교대로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된 상기 수직지지대(22)가 좌우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구비된다.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는 서로 중복되는 부분[즉, 상기 수직지지대(22)에서,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S4) 사이의 부분]이 서로 공유된 구성이다.
상기 수직지지대(22)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지지대(22)의 절곡된 부분(F)에 수평지지대(21)가 체결 고정되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지지대(22)의 절곡된 부분(F)과 상기 수평지지대(21)는 통상의 용접 방법으로 체결된다.
상기 수평지지대(21)는, 상기 수직지지대(22)의 절곡된 부분(F)에 체결 고정되는 수평지지대(21)와 이에 인접하여 상기 수직지지대(22)의 절곡된 부분(F)에 체결 고정되는 수평지지대(21)의 사이에서, 통상의 적절한 갯수로 추가 가능하며 상기 수직지지대(22)에 통상의 용접으로 체결되며, 상기 수직지지대(22)의 상측끝단부와 하측끝단부에도 통상의 용접으로 체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와 같은 형상과 같은 크기로서 90도 회전 및 전후 반전된 구성이 바람직하며, 같은 형상이며 조금 크거나 조금 작은 구성도 가능하며,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S4)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S1)와 같은 형상과 같은 크기로서 90도 회전 및 전후 반전된 구성이 바람직하며, 같은 형상이며 조금 크거나 작은 구성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가 서로 나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 부재(3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 부재(3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수평지지대(11)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수직지지대(22)가 서로 접(接)하며 교차하는 부분[이하, "교차 부분"이라고 함](13)(23)이 끼워지도록, 상기 수평지지대(11)의 "교차 부분"(13)이 끼워지는 홈부(31-c)와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31-h)이 형성된 앞쪽 체결부(31)와, 상기 수직지지대(22)의 "교차 부분"(23)이 끼워지는 홈부(32-d)와 나사 체결용 너트(nut)(32-n)가 형성된 뒤쪽 체결부(32)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나사 체결용 너트(32-n)에 상기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31-h)을 통하여 나사 체결되는 볼트(bolt)(34)가 구비된다.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가 서로 접(接)하여 수직으로 교차하며 마주 대하게,
상기 체결 부재(30)에 의하여 서로 나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본 발명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철재, 아연도(鍍) 철재 등 금속재가 바람직하다.
통상의 체결 고정부재(80)는,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수평지지대(21)의 상응부분(25)이 끼워지도록 끼움턱부(80-1)와 끼움걸림턱부(80-2)가 구비되고,
통상의 부착부재(81)에 의하여 상기 통상의 체결 고정부재(80)의 고착부재 설치용 관통구멍(80-4)을 통하여 상기 벽면(9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작용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S1)와, 이 앞쪽개방 수직공간부(S1)의 형상을 유지하여 지지하는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를 형성하는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된 수평지지대(11)와,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와, 이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의 형상을 유지하여 지지하는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를 형성하는 절곡된 형상으로 된 수평지지대(11)는, 모두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되게 설치되는 구성이며,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와, 이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의 형상을 유지하여 지지하는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를 형성하는 절곡된 형상으로 된 수직지지대(22)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S4)와, 이 뒤쪽개방 수평공간부(S4)의 형상을 유지하여 지지하는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를 형성하는 절곡된 형상으로 된 수직지지대(22)는, 모두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수평지지대(11) 및 상기 수직지지대(22)를 각각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11) 및 상기 수직지지대(22)의 각각의 절곡된 부분(F)에는 이에 각각 상응하는 수직지지대(12) 및 수평지지대(21)가 각각 체결되어 고정되므로,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되게 설치된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수직의 공간부(즉, S1와 S2)를 각각 내포하는 '입체로서의 형태'를 가지게 되며,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되게 설치된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와,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수평의 공간부(즉, S3와 S4)를 각각 내포하는 '입체로서의 형태'를 가지게 되어,
종래의 기술에서의 설치된 수평지지대의 '평면으로서의 형태'에 비하여 현저히 강한 형태유지의 지지력을 가지게 되므로, 상기 앞쪽 프레임부(10) 및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각각의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다.
즉, 종이에서 평면 그대로의 종이는 '평면으로서의 형태'로 인하여 형태유지의 지지력이 없어 그 종이를 상하 방향으로 세우면 그 종이는 상하 및 좌우로 뒤틀리거나 휘어지지만, 종이를 '입체로서의 형태'로 접으면, 종이는 형태유지의 지지력이 생겨 '입체로서의 형태'로서의 종이는 상하 및 좌우로 종이의 뒤틀림이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원리와 동일한 원리로, 본 발명에서도, 상기 앞쪽 프레임부(10) 및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각각의 상하 및 좌우로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다.
상기 '입체로서의 형태'인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 및, 상기 '입체로서의 형태'인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와,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는 각각 상기 '입체로서의 형태'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된, 덩굴 식물의, 등반 보조재의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입체로서의 형태'인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 및, 상기 '입체로서의 형태'인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와,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는 '입체로서의 형태'임에 따라, 덩굴 식물의 생장이 다양한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덩굴 식물이 다양한 방향으로 생장함이 가능하다.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가, 서로 나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 부재(30)에 의하여 나사 체결되므로,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체결 부재(30)에 의하여 시공현장에서 용이하게 나사 체결이 가능하고, 필요시 용이하게 서로 분리함이 가능하다.
상기 체결 부재(3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수평지지대(11)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수직지지대(22)가 서로 접(接)하며 교차하는 부분[즉, "교차 부분"](13)(23) 중 상기 수평지지대(11)의 "교차 부분"(13)이 끼워지는 홈부(31-c)와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31-h)이 형성된 앞쪽 체결부(31)와, "교차 부분"](13)(23) 중 상기 수직지지대(22)의 "교차 부분"(23)이 끼워지는 홈부(32-d)와 나사 체결용 너트(nut)(32-n)가 형성된 뒤쪽 체결부(32)가 구비되고, 상기 볼트(34)가 구비되므로, 용이하게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가 서로 나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서로 용접으로 고정 체결된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시공현장에서 상기 체결 부재(30)에 의하여 용이하게 나사 체결이 가능하고, 필요시 용이하게 서로 분리함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가 서로 접(接)하여 수직으로 교차하며 마주 대하게,
상기 체결 부재(30)에 의하여 서로 나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므로,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하와 좌우로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극히 효율적이며,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서로 용접으로 고정 체결된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시공현장에서 상기 체결 부재(30)에 의하여 용이하게 나사 체결이 가능하고, 필요시 용이하게 서로 분리함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1 실시예에서, 화분 앞쪽부(60-1)과 화분 뒤쪽부(60-2)가 형성된 화분(60)이 구비되고, 상기 화분 앞쪽부(60-1)는 상응하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즉, 수평지지대(11)]에 끼워져 그 상응하는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므로, 용이하게 그 설치가 가능하고,
상기 화분 뒤쪽부(60-2)는 상응하는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즉, 수직지지대(22)]에 끼워져 그 상응하는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므로, 용이하게 그 설치가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화분(60)에는 상기 화분 앞쪽부(60-1)가 끼워지는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즉, 수평지지대(11)]의 상응하는 부분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부(60-a)와, 상기 화분 앞쪽부(60-1)가 끼워지는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즉, 수평지지대(11)]에 체결된 수직지지대(12)의 상응하는 부분이 끼워지는 끼움공간부(60-h)가 형성되므로, 상기 화분 앞쪽부(60-1)는 용이하게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에 끼워져 안정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화분(60)에는 상기 화분 뒤쪽부(60-2)가 끼워지는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즉, 수직지지대(22)]에 체결된 수평지지대(21)의 상응하는 부분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부(60-a)와, 상기 화분 뒤쪽부(60-2)가 끼워지는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즉, 수직지지대(22)]의 상응하는 부분이 끼워지도록 끼움공간부(60-h)와 하부끼움공간부(60-t)가 형성되므로, 상기 화분 앞쪽부(60-1)는 용이하게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에 끼워져 안정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가 서로 접(接)하여 수직으로 교차하며 마주 대하게, 상기 체결 부재(30)에 의하여 서로 나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므로, 상기 화분 앞쪽부(60-1)가 이에 상응하는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에 설치되고 아울러 상기 화분 뒤쪽부(60-2)가 이에 상응하는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에 설치되어 상기 화분(60)이 설치 가능하여,
상기 화분(60)의 설치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화분(60)의 교체가 용이하며, 필요한 다양한 위치에 화분(60)을 설치함이 가능하다.
화분(60)을 필요한 다양한 위치에 설치함이 가능하여, 바닥에 덩굴 식물의 식재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덩굴 식물의 생장을 다양한 형태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가 동일한 형상과 크기인 경우에는 규격화되어 그 제조가 용이하고, 그 시공 과정이 용이하다.
상기 제1 실시예 및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상기 통상의 체결 고정부재(80)에 의하여, 본 발명은 상기 벽면(90)에 설치된다.
상기 벽면(90)에 설치되는 상기 구성 및 상기 작용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상기 제1 실시예 및 상기 제2 실시예에 의하여, 담장에도 설치되는 구성 및 작용이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와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의 '입체로서의 형태' 및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 지지부와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 지지부의 '입체로서의 형태'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부가 시공과정에서 상하 및 좌우로 뒤틀림 내지 휘어짐이 방지되어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 후 견고하게 형태 유지가 가능하고, 아울러 상기 '입체로서의 형태'로 상기 프레임부가 이루어져서 시공 후 덩굴 식물의 생육이 자유로우며, 더욱이 볼륨감 있는 메쉬 형태의 프레임부로 구성되므로, 종래의 단순한 평면 형태의 메쉬 보다, 입체감 있는 벽면 녹화가 가능하며, 상기 '입체로서의 형태'로 상기 프레임부가 이루어져서 덩굴 식물의 등반을 위한 등반보조재의 설치가 용이하고,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 부재에 의하여, 용이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시공함에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고, 시공 후 덩굴 식물의 관리 및 제품의 부분적 교환이 용이하게 가능하며,
제1 실시예에서 화분의 설치가 용이하고, 필요시 화분의 교체가 용이하며, 필요한 다양한 위치에 화분을 설치함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로 식재함이 가능하다.

Claims (2)

  1. 건물의 벽면(90)에 설치되어 그 녹화(綠化)를 위하여 덩굴 식물(70)의 식생(植生)이 가능하도록, 수평지지대(11)와 수직지지대(12)로 이루어진 메쉬(meshes) 형태의 앞쪽 프레임(frame)부(10)와, 수평지지대(21)와 수직지지대(22)로 이루어진 메쉬(meshes) 형태의 뒤쪽 프레임(frame)부(20)가 구비되고,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벽면(90)에 체결 고정부재(80)에 의하여 체결 가능하도록 된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meshes)에 있어서;
    상기 앞쪽 프레임부(10)는,
    앞쪽(S1-a)으로 열려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앞쪽개방 수직공간부(S1)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대(11)가 구비되고,
    아울러 뒤쪽(S2-b)으로 열려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대(11)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S1)와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가 서로 교대로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지도록,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가 서로 교대로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된 상기 수평지지대(11)가 상하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구비되고,
    상기 수평지지대(11)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11)의 절곡된 부분(F)에 수직지지대(12)가 체결 고정되어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앞쪽(S3-a)으로 열려 개방되며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직지지대(22)가 구비되고,
    아울러 뒤쪽(S4-b)으로 열려 개방되며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뒤쪽개방 수평공간부(S4)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직지지대(22)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와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S4)가 서로 교대로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지도록,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와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가 서로 교대로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된 상기 수직지지대(22)가 좌우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구비되고,
    상기 수직지지대(22)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지지대(22)의 절곡된 부분(F)에 수평지지대(21)가 체결 고정되어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가 서로 나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 부재(3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 부재(3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수평지지대(11)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수직지지대(22)가 서로 접(接)하며 교차하는 부분[이하, "교차 부분"이라고 함](13)(23)이 끼워지도록, 상기 수평지지대(11)의 "교차 부분"(13)이 끼워지는 홈부(31-c)와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31-h)이 형성된 앞쪽 체결부(31)와, 상기 수직지지대(22)의 "교차 부분"(23)이 끼워지는 홈부(32-d)와 나사 체결용 너트(nut)(32-n)가 형성된 뒤쪽 체결부(32)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나사 체결용 너트(32-n)에 상기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31-h)을 통하여 나사 체결되는 볼트(bolt)(34)가 구비되고;
    화분 앞쪽부(60-1)와 화분 뒤쪽부(60-2)가 형성된 화분(60)이 구비되고, 상기 화분 앞쪽부(60-1)는 상응하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에 끼워져 그 상응하는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에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화분 뒤쪽부(60-2)는 상응하는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에 끼워져 그 상응하는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에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화분(60)에는 상기 화분 앞쪽부(60-1)가 끼워지는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의 상응하는 부분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부(60-a)와, 상기 화분 앞쪽부(60-1)가 끼워지는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에 체결된 수직지지대(12)의 상응하는 부분이 끼워지는 끼움공간부(60-h)가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화분(60)에는 상기 화분 뒤쪽부(60-2)가 끼워지는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에 체결된 수평지지대(21)의 상응하는 부분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부(60-a)와, 상기 화분 뒤쪽부(60-2)가 끼워지는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의 상응하는 부분이 끼워지도록 끼움공간부(60-h)와 하부끼움공간부(60-t)가 형성되고;
    상기 화분 앞쪽부(60-1)가 이에 상응하는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에 설치되고 아울러 상기 화분 뒤쪽부(60-2)가 이에 상응하는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에 설치되어 상기 화분(60)이 설치되도록,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가 서로 접(接)하여 수직으로 교차하며 마주 대하게,
    상기 체결 부재(30)에 의하여 서로 나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meshes).
  2. 건물의 벽면(90)에 설치되어 그 녹화(綠化)를 위하여 덩굴 식물(70)의 식생(植生)이 가능하도록, 수평지지대(11)와 수직지지대(12)로 이루어진 메쉬(meshes) 형태의 앞쪽 프레임(frame)부(10)와, 수평지지대(21)와 수직지지대(22)로 이루어진 메쉬(meshes) 형태의 뒤쪽 프레임(frame)부(20)가 구비되고,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벽면(90)에 체결 고정부재(80)에 의하여 체결 가능하도록 된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meshes)에 있어서;
    상기 앞쪽 프레임부(10)는,
    앞쪽(S1-a)으로 열려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앞쪽개방 수직공간부(S1)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대(11)가 구비되고,
    아울러 뒤쪽(S2-b)으로 열려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대(11)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S1)와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S2)가 서로 교대로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지도록,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Q)가 서로 교대로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된 상기 수평지지대(11)가 상하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구비되고,
    상기 수평지지대(11)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11)의 절곡된 부분(F)에 수직지지대(12)가 체결 고정되어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앞쪽(S3-a)으로 열려 개방되며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직지지대(22)가 구비되고,
    아울러 뒤쪽(S4-b)으로 열려 개방되며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뒤쪽개방 수평공간부(S4)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직지지대(22)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S3)와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S4)가 서로 교대로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지도록, 상기 앞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M)와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가 서로 교대로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된 상기 수직지지대(22)가 좌우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구비되고,
    상기 수직지지대(22)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지지대(22)의 절곡된 부분(F)에 수평지지대(21)가 체결 고정되어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가 서로 나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 부재(3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 부재(3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수평지지대(11)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수직지지대(22)가 서로 접(接)하며 교차하는 부분[이하, "교차 부분"이라고 함](13)(23)이 끼워지도록, 상기 수평지지대(11)의 "교차 부분"(13)이 끼워지는 홈부(31-c)와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31-h)이 형성된 앞쪽 체결부(31)와, 상기 수직지지대(22)의 "교차 부분"(23)이 끼워지는 홈부(32-d)와 나사 체결용 너트(nut)(32-n)가 형성된 뒤쪽 체결부(32)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나사 체결용 너트(32-n)에 상기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31-h)을 통하여 나사 체결되는 볼트(bolt)(34)가 구비되고;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앞쪽개방 수직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뒤쪽개방 수평공간부 지지부(N)가 서로 접(接)하여 수직으로 교차하며 마주 대하게,
    상기 체결 부재(30)에 의하여 서로 나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meshes).
KR1020050092632A 2005-09-30 2005-09-30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KR100699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632A KR100699912B1 (ko) 2005-09-30 2005-09-30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632A KR100699912B1 (ko) 2005-09-30 2005-09-30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735U Division KR200408699Y1 (ko) 2005-10-07 2005-10-07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9912B1 true KR100699912B1 (ko) 2007-03-28

Family

ID=4156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632A KR100699912B1 (ko) 2005-09-30 2005-09-30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9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20Y1 (ko) 2009-07-20 2010-04-21 에코이앤씨(주) 옥상 및 벽면녹화용 덩굴식물 화분 어셈블리
KR101129005B1 (ko) * 2009-04-22 2012-03-23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벽면녹화장치
KR101324922B1 (ko) * 2013-03-28 2013-11-01 최영옥 화훼장식물
KR20200072014A (ko) * 2018-12-12 2020-06-22 배종진 벽면형 식물 조경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005B1 (ko) * 2009-04-22 2012-03-23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벽면녹화장치
KR200448520Y1 (ko) 2009-07-20 2010-04-21 에코이앤씨(주) 옥상 및 벽면녹화용 덩굴식물 화분 어셈블리
KR101324922B1 (ko) * 2013-03-28 2013-11-01 최영옥 화훼장식물
KR20200072014A (ko) * 2018-12-12 2020-06-22 배종진 벽면형 식물 조경장치
KR102164922B1 (ko) 2018-12-12 2020-10-13 배종진 벽면형 식물 조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19689A1 (en) Botanical Arrangement and Display Apparatus
KR100699912B1 (ko)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JP2014502842A (ja) 内部空気循環を有する緑化壁
CN203608609U (zh) 一种模块式垂直绿化系统
CN205276591U (zh) 一种网箱式植物幕墙
KR200408699Y1 (ko)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KR20150039305A (ko)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KR100520887B1 (ko) 합성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단지 조경 울타리 시공 구조
KR100638556B1 (ko)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JP4940089B2 (ja) 緑化ユニット
JP2007104986A (ja) 壁面用植栽基盤とその製造方法
KR200403725Y1 (ko)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KR100846722B1 (ko) 꽃탑용 화분
JP3177622U (ja) 高設栽培用支持スタンド及び高設栽培装置
CN214593086U (zh) 一种三角梅立体培育垂直美化花架
JP5419381B2 (ja) 格子状壁体
KR20120118131A (ko)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화분
CN212489361U (zh) 花卉种植用培养架
JPH08112039A (ja) 植物棚
CN201384293Y (zh) 接合组件
KR200480429Y1 (ko) 수경재배시설용 베드 지주구조물
JP3177994U (ja) 土譲混入容器
KR100463918B1 (ko)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
KR102164922B1 (ko) 벽면형 식물 조경장치
JP2009039083A (ja) 壁面緑化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