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725Y1 -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 Google Patents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725Y1
KR200403725Y1 KR20-2005-0028394U KR20050028394U KR200403725Y1 KR 200403725 Y1 KR200403725 Y1 KR 200403725Y1 KR 20050028394 U KR20050028394 U KR 20050028394U KR 200403725 Y1 KR200403725 Y1 KR 2004037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open space
fastening
horizontal support
fram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설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설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설그린
Priority to KR20-2005-0028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7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7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meshes)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임부의 뒤틀림과 휘어짐이 방지되고, 나사 체결에 의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된 벽면 녹화용 메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벽화 녹화용 메쉬는, 프레임부가 시공과정에서 상하 및 좌우로 뒤틀림 내지 휘어짐이 발생되어 시공이 어려웠으며, 용이한 조립 및 분해가 불가능하여 시공함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벽면 녹화용 메쉬에 있어서,
앞쪽 프레임부의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도록,
앞쪽 프레임부는 앞쪽개방 공간부와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 및, 뒤쪽개방 공간부와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절곡된 수평지지대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수평지지대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의 절곡된 부분에는 수직지지대가 체결되어 구비되고,
뒤쪽 프레임부의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도록,
뒤쪽 프레임부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와 같은 구성으로 앞쪽개방 공간부와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 및, 뒤쪽개방 공간부와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절곡된 수평지지대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수평지지대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의 절곡된 부분에는 수직지지대가 체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앞쪽 프레임부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는 나사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체결 부재에 의하여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메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프레임부가 상하 및 좌우로 뒤틀림 내지 휘어짐이 방지되어 시공이 용이하며, 아울러 덩굴 식물의 생육이 자유로우며,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 부재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Meshes for wall surface afforestation}
본 고안은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meshes)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임부의 뒤틀림과 휘어짐이 방지되고, 나사 체결에 의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된 벽면 녹화용 메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벽화 녹화용 메쉬는, 예컨대 등록번호 20-0313448의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기재된 기술 등에서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90) 또는 담장(90)에 설치되어 그 녹화(綠化)를 위하여 덩굴 식물(701)의 식생(植生)이 가능하도록, 수평지지대(1001)와 수직지지대(1002)로 이루어진 메쉬(meshes) 형태의 앞쪽 프레임(frame)부(1000)와, 수평지지대(2001)와 수직지지대(2002)로 이루어진 메쉬(meshes) 형태의 뒤쪽 프레임(frame)부(2000)가, 서로 그 사이에 공간부(500)를 두며, 구비되고, 상기 앞쪽 프레임부(100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00)는 서로 체결부재(3000)에 용접 체결되어 고정 체결되고, 건물의 벽면(90) 또는 담장(90)에 체결 고정부재(800)와 고착부재(801)에 의하여 체결 가능하도록 된 구성임에 따라, 평면 형태로 상기 앞쪽 프레임부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가 이루어져서 시공과정에서 상하 및 좌우로 뒤틀림 내지 휘어짐이 발생되어 시공이 어려웠으며, 아울러 평면 형태로 프레임부가 이루어져서 덩굴 식물의 생육이 자유롭지 못하였으며, 덩굴 식물의 등반을 위한 등반보조재의 설치가 어려웠으며, 용접 체결에 의한 구성이었음에 따라, 용이한 조립 및 분해가 불가능하여 시공함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용이한 분해가 불가능하여 덩굴 식물의 관리 및 제품의 부분적 교환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의 목적은, 벽면 녹화용 메쉬에 있어서,
앞쪽 프레임부의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도록,
앞쪽 프레임부는 앞쪽개방 공간부와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 및, 뒤쪽개방 공간부와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절곡된 수평지지대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수평지지대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의 절곡된 부분에는 수직지지대가 체결되어 구비되고,
뒤쪽 프레임부의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도록,
뒤쪽 프레임부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와 같은 구성으로 앞쪽개방 공간부와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 및, 뒤쪽개방 공간부와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절곡된 수평지지대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수평지지대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의 절곡된 부분에는 수직지지대가 체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앞쪽 프레임부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는 나사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체결 부재에 의하여 나사 체결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와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의 '입체로서의 형태'에 의하여 상기 앞쪽 프레임부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가 시공과정에서 상하 및 좌우로 뒤틀림 내지 휘어짐이 방지되어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 후 견고하게 형태 유지가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입체로서의 형태'로 상기 프레임부가 이루어져서 덩굴 식물의 생육이 자유로우며, 덩굴 식물의 등반을 위한 등반보조재의 설치가 용이하고,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 부재에 의하여, 용이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시공함에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고, 덩굴 식물의 관리 및 제품의 부분적 교환이 가능한 벽면 녹화용 메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 부재가 없이, 하나의 프레임부로 된 하기 제2 실시예에 의한 벽면 녹화용 메쉬에서는, 상기 목적 중,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 부재에 따른 목적 이외의 목적은 상기 목적과 동일하다.
본 고안은 실시예에 따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은 제1 실시예로서,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90) 또는 담장(90)에 설치되어 그 녹화(綠化)를 위하여 덩굴 식물(70)의 식생(植生)이 가능하도록, 수평지지대(11)와 수직지지대(12)로 이루어진 메쉬(meshes) 형태의 앞쪽 프레임(frame)부(10)와, 수평지지대(21)와 수직지지대(22)로 이루어진 메쉬(meshes) 형태의 뒤쪽 프레임(frame)부(20)가, 서로 그 사이에 공간부(50)를 두며, 구비되고,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벽면(90)에 체결 고정부재(80)에 의하여 체결 가능하도록 된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meshes)에 있어서;
상기 앞쪽 프레임부(1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도록,
앞쪽(S1-a)으로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앞쪽개방 공간부(S1)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대(11)가 구비되고,
아울러 뒤쪽(S2-b)으로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뒤쪽개방 공간부(S2)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대(11)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S1)와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S2)가 서로 교대로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지도록,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가 서로 교대로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된 상기 수평지지대(11)가 상하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구비된다.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는 서로 중복되는 부분[즉, 상기 수평지지대(11)에서,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S1)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S2)의 사이의 부분]이 서로 공유된 구성이다.
상기 수평지지대(11)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11)의 절곡된 부분(F)에 수직지지대(12)가 체결 고정되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지지대(11)의 절곡된 부분(F)과 상기 수직지지대(12)는 통상의 용접 방법으로 체결된다.
상기 수직지지대(12)는, 상기 수평지지대(11)의 절곡된 부분(F)에 체결 고정되는 수직지지대(12)와 이에 인접하여 상기 수평지지대(11)의 절곡된 부분(F)에 체결 고정되는 수직지지대(12)의 사이에서, 통상의 적절한 갯수로 추가되어 상기 수평지지대(11)에 통상의 용접으로 체결되며, 상기 수평지지대(11)의 좌측끝단부와 우측끝단부에도 체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도록,
앞쪽(S1'-a)으로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앞쪽개방 공간부(S1')를,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S1)와 같은 형상과 같은 크기로, 형성하며 내포하는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대(21)가 구비되고,
아울러 뒤쪽(S2'-b)으로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뒤쪽개방 공간부(S2')를,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S2)와 같은 형상과 같은 크기로, 형성하며 내포하는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대(21)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S1')와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S2')가 서로 교대로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지도록,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가 서로 교대로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된 상기 수평지지대(21)가 상하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구비된다.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는 서로 중복되는 부분[즉, 상기 수평지지대(21)에서,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S1')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S2') 사이의 부분]이 서로 공유된 구성이다.
상기 수평지지대(21)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21)의 절곡된 부분(F)에 수직지지대(22)가 체결 고정되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지지대(21)의 절곡된 부분(F)과 상기 수직지지대(22)는 통상의 용접 방법으로 체결된다.
상기 수직지지대(22)는, 상기 수평지지대(21)의 절곡된 부분(F)에 체결 고정되는 수직지지대(22)와 이에 인접하여 상기 수평지지대(21)의 절곡된 부분(F)에 체결 고정되는 수직지지대(22)의 사이에서, 통상의 적절한 갯수로 추가되어 상기 수평지지대(21)에 통상의 용접으로 체결되며, 상기 수평지지대(21)의 좌측끝단부와 우측끝단부에도 통상의 용접으로 체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가 서로 나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 부재(3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 부재(3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수평지지대(11)와 상기 수직지지대(12)가 서로 교차하여 체결된 부분(13)이 끼워지도록, 상기 수평지지대(11)가 끼워지는 홈부(31-c)와 나사 체결용 너트(nut)(31-n)가 형성된 체결용 안쪽 부재(31-2)와, 상기 수직지지대(12)가 끼워지는 홈부(31-d)와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31-h)이 형성된 체결용 바깥쪽 부재(31-1)가 구비된 앞쪽 체결부(31)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체결 부재(30)는,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수평지지대(21)와 상기 수직지지대(22)가 서로 교차하여 체결된 부분(23)이 끼워지도록, 상기 수직지지대(22)가 끼워지는 홈부(32-d)와 나사 체결용 너트(nut)(32-n)가 형성된 체결용 안쪽 부재(32-2)와, 상기 수평지지대(21)가 끼워지는 홈부(32-c)와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32-h)이 형성된 체결용 바깥쪽 부재(32-1)가 구비된 뒤쪽 체결부(32)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체결 부재(30)는, 상기 앞쪽 체결부(31)의 상기 체결용 안쪽 부재(31-2)와 상기 뒤쪽 체결부(32)의 상기 체결용 안쪽 부재(32-2)가 각각 앞쪽 끝단부(33-a)와 뒤쪽 끝단부(33-b)에 일체로 연결된 본체부(33)가 구비되고, 상기 나사 체결용 너트(31-n)와 상기 나사 체결용 너트(32-n)에 각각 상기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31-h)(32-h)을 통하여 나사 체결되는 볼트(bolt)(34)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33)의 길이는 상기 공간부(50)의 전후 간격이 적절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소정의 길이로 한다.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S1')가 서로 마주 대하며, 아울러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S2)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가 서로 마주 대하도록,
상기 체결 부재(30)에 의하여 서로 나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본 고안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철재, 아연도(鍍) 철재 등 금속재가 바람직하다.
통상의 체결 고정부재(80)는,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수평지지대(21)와 상기 수직지지대(22)가 서로 교차하여 체결된 부분(25)이 끼워지도록, 상기 수평지지대(21)가 끼워지는 끼움공간부(80-c)와, 상기 수직지지대(22)가 끼워지는 끼움공간부(80-d)와, 본체부(80-2)와 나사 체결되는 나사 체결용 캡부(80-1)와, 본체부(80-2)와, 본체부(80-2)와 나사 체결되는 나사 체결용 지지부(80-5)가 구비되고, 통상의 고착부재(81)에 의하여 나사 체결용 지지부(80-5)의 고착부재 설치용 관통구멍(그 도시는 생략함)을 통하여 벽면(9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앞쪽으로 추가적으로,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동일한 구성의 프레임부가,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에 상기 체결 부재(30)에 의하여 나사 체결되어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고안은, 제2 실시예로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 중, 상기 체결 부재(30)가 없는 구성이며, 상기 앞쪽 프레임부(10) 내지 뒤쪽 프레임부(20)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 1층의 프레임부(100)에 의한 구성도 가능하다. 즉,
본 고안은, 제2 실시예로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90) 또는 담장(90)에 설치되어 그 녹화(綠化)를 위하여 덩굴 식물(70)의 식생(植生)이 가능하도록, 수평지지대(101)와 수직지지대(102)로 이루어진 메쉬(meshes) 형태의 프레임(frame)부(100)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부(100)는 벽면(90)에 체결 고정부재(80)에 의하여 체결 가능하도록 된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meshes)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도록,
앞쪽(S1-a)으로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앞쪽개방 공간부(S1)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상기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대(101)가 구비되고,
아울러 뒤쪽(S2-b)으로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뒤쪽개방 공간부(S2)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대(101)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S1)와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S2)가 서로 교대로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지도록,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가 서로 교대로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된 상기 수평지지대(101)가 상하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구비된다.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는 서로 중복되는 부분[즉, 상기 수평지지대(101)에서,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S1)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S2)의 사이의 부분]이 서로 공유된 구성이다.
상기 수평지지대(101)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101)의 절곡된 부분(F)에 수직지지대(102)가 체결 고정되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지지대(101)의 절곡된 부분(F)과 상기 수직지지대(102)는 통상의 용접 방법으로 체결된다.
상기 수직지지대(102)는, 상기 수평지지대(101)의 절곡된 부분(F)에 체결 고정되는 수직지지대(102)와 이에 인접하여 상기 수평지지대(101)의 절곡된 부분(F)에 체결 고정되는 수직지지대(102)의 사이에서, 통상의 적절한 갯수로 추가되어 상기 수평지지대(101)에 통상의 용접으로 체결되며, 상기 수평지지대(101)의 좌측끝단부와 우측끝단부에도 통상의 용접으로 체결되어 설치된다.
통상의 체결 고정부재(8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기 수평지지대(101)와 상기 수직지지대(102)가 서로 교차하여 체결된 부분(105)이 끼워지도록, 상기 수평지지대(101)가 끼워지는 끼움공간부(80-c)와, 상기 수직지지대(102)가 끼워지는 끼움공간부(80-d)와, 본체부(80-2)와 나사 체결되는 나사 체결용 캡부(80-1)와, 본체부(80-2)와, 본체부(80-2)와 나사 체결되는 나사 체결용 지지부(80-5)가 구비되고, 통상의 고착부재(81)에 의하여 나사 체결용 지지부(80-5)의 고착부재 설치용 관통구멍(그 도시는 생략함)을 통하여 벽면(9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구성의 본 고안의 작용은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은,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의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S1)와, 이 앞쪽개방 공간부(S1)의 형상을 유지하여 지지하는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를 형성하는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된 수평지지대(11)와,
제1 실시예에서의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S2)와, 이 뒤쪽개방 공간부(S2)의 형상을 유지하여 지지하는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를 형성하는 절곡된 형상으로 된 수평지지대(11)와,
제1 실시예에서의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S1')와, 이 앞쪽개방 공간부(S1')의 형상을 유지하여 지지하는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를 형성하는 절곡된 형상으로 된 수평지지대(21)와,
제1 실시예에서의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S2')와, 이 뒤쪽개방 공간부(S2')의 형상을 유지하여 지지하는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를 형성하는 절곡된 형상으로 된 수평지지대(21)와,
제2 실시예에서의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S1)와, 이 앞쪽개방 공간부(S1)의 형상을 유지하여 지지하는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를 형성하는 절곡된 형상으로 된 수평지지대(101)와,
제2 실시예에서의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S2)와, 이 뒤쪽개방 공간부(S2)의 형상을 유지하여 지지하는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를 형성하는 절곡된 형상으로 된 수평지지대(101)는, 모두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되게 설치되는 구성이며, 아울러
상기 수평지지대(11) 및 상기 수평지지대(21) 및 상기 수평지지대(101)를 각각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11)(21)(101)의 각각의 절곡된 부분(F)에는 이에 각각 상응하는 수직지지대(12)(22)(102)가 체결되어 고정되므로,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되게 설치된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P')와,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Q')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수직의 공간부(즉, S1, S1', S2, S2')를 내포하는 '입체로서의 형태'를 가지게 되어, 종래의 기술에서의 설치된 수평지지대의 '평면으로서의 형태'에 비하여 현저히 강한 형태유지의 지지력을 가지게 되므로, 상기 앞쪽 프레임부(10) 및 상기 뒤쪽 프레임부(20) 및 상기 프레임부(100)의 각각의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다.
즉, 종이에서 평면 그대로의 종이는 '평면으로서의 형태'로 인하여 형태유지의 지지력이 없어 그 종이를 상하 방향으로 세우면 그 종이는 상하 및 좌우로 뒤틀리거나 휘어지지만, 종이를 '입체로서의 형태'로 접으면, 종이는 형태유지의 지지력이 생겨 '입체로서의 형태'로서의 종이는 상하 및 좌우로 종이의 뒤틀림이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원리와 동일한 원리로, 본 고안에서도, 상기 앞쪽 프레임부(10) 및 상기 뒤쪽 프레임부(20) 및 상기 프레임부(100)의 각각의 상하 및 좌우로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다.
상기 '입체로서의 형태'인 상기 제1 실시예에서의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P')와,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Q') 및, 상기 '입체로서의 형태'인 상기 제2 실시예에서의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는 각각 상기 '입체로서의 형태'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된, 덩굴 식물의, 등반 보조재의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입체로서의 형태'인 상기 제1 실시예에서의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P')와,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Q') 및, 상기 '입체로서의 형태'인 상기 제2 실시예에서의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는 '입체로서의 형태'임에 따라, 덩굴 식물의 생장이 다양한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덩굴 식물이 다양한 방향으로 생장함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가, 서로 나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 부재(30)에 의하여 나사 체결되므로,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체결 부재(30)에 의하여 시공현장에서 용이하게 나사 체결이 가능하고, 필요시 용이하게 서로 분리함이 가능하다.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에서 상기 수평지지대(11)와 상기 수직지지대(12)가 서로 교차하여 체결된 부분(13) 중 상응하는 상기 수평지지대(11)가 홈부(31-c)에 끼워지고,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에서 상기 수평지지대(11)와 상기 수직지지대(12)가 서로 교차하여 체결된 부분(13) 중 상응하는 상기 수직지지대(12)가 홈부(31-d)에 끼워지고,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에서 상기 수평지지대(21)와 상기 수직지지대(22)가 서로 교차하여 체결된 부분(23) 중 상응하는 상기 수평지지대(21)가 홈부(32-c)에 끼워지고,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에서 상기 수평지지대(21)와 상기 수직지지대(22)가 서로 교차하여 체결된 부분(23) 중 상응하는 상기 수직지지대(22)가 홈부(32-d)에 끼워지고,
상기 체결용 안쪽 부재(31-2)의 나사 체결용 너트(31-n)와, 상기 체결용 안쪽 부재(32-2)의 나사 체결용 너트(32-n)에는 각각 상기 체결용 바깥쪽 부재(31-1)(32-1)의 각각 나사 체결용 관통 구멍(31-h)(32-h)을 통하여 상기 볼트(34)가 나사 체결되어,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서로 용접으로 고정 체결된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시공현장에서 상기 체결 부재(30)에 의하여 용이하게 나사 체결이 가능하고, 필요시 용이하게 서로 분리함이 가능하다.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S1')가 서로 마주 대하며, 아울러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S2)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가 서로 마주 대하도록,
상기 체결 부재(30)에 의하여 서로 나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므로,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가 동일하게 규격화되어 그 제조가 용이하고, 그 시공 과정이 용이하며, 아울러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 사이의 공간부(50)의 전후 간격이 일정하여, 덩굴 식물의 식생이 원활하게 됨이 가능하다.
벽면 녹화용 화분(60)을 본 고안의 상방 또는 하방에 설치하여, 바닥에 덩굴 식물의 식재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덩굴 식물의 생장을 다양한 형태로 유도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앞쪽으로 추가적으로,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동일한 구성의 프레임부가,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에 상기 체결 부재(30)에 의하여 나사 체결되어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므로, 제1 실시예와 같은 2층 구조의 프레임부가 있는 구성과, 제2 실시예와 같이 1층 구조의 프레임부가 있는 구성 이외에도, 3층 이상으로 된 프레임부가 구성됨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실시예 및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상기 통상의 체결 고정부재(80)에 의하여, 본 고안은 상기 벽면(90) 또는 상기 담장(90)에 설치된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와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의 '입체로서의 형태'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부가 시공과정에서 상하 및 좌우로 뒤틀림 내지 휘어짐이 방지되어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 후 견고하게 형태 유지가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입체로서의 형태'로 상기 프레임부가 이루어져서 시공 후 덩굴 식물의 생육이 자유로우며, 더욱이 볼륨감 있는 메쉬 형태의 프레임부로 구성되므로, 종래의 단순한 평면 형태의 메쉬 보다, 입체감 있는 벽면 녹화가 가능하며, 상기 '입체로서의 형태'로 상기 프레임부가 이루어져서 덩굴 식물의 등반을 위한 등반보조재의 설치가 용이하고,
상기 제1 실시예에 의하면,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 부재에 의하여, 용이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시공함에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고, 시공 후 덩굴 식물의 관리 및 제품의 부분적 교환이 용이하게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벽면 녹화용 메쉬를 보인 사시도,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벽면 녹화용 메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의 B-B'선 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체결 부재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체결 부재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확대 분해 사시도,
도 6c는 도 6a에서의 C-C'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른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의 D-D'선 단면도,
도 10은 도 8에서의 E-E'선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른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앞쪽 프레임부, 11 : 수평지지대, 12 : 수직지지대, 13 : 교차 체결 부분,
20 : 뒤쪽 프레임부, 21 : 수평지지대, 22 : 수직지지대, 23 : 교차 체결 부분,
30 : 체결 부재, 31 : 앞쪽 체결부, 31-1 : 체결용 바깥쪽 부재, 31-d : 홈부, 31-h :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 31-2 : 체결용 안쪽 부재, 31-c : 홈부, 31-n : 나사 체결용 너트(nut),
32 : 뒤쪽 체결부, 32-1 : 체결용 바깥쪽 부재, 32-c : 홈부, 32-h :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 32-2 : 체결용 안쪽 부재, 32-d : 홈부, 32-n : 나사 체결용 너트(nut), 34 : 볼트(bolt),
50 : 공간부, 70 : 덩굴 식물, 80 : 체결 고정부재,
90 : 건물의 벽면 또는 담장, F : 절곡(折曲)된 부분,
P :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앞쪽 프레임부에서), P' :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뒤쪽 프레임부에서),
Q :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앞쪽 프레임부에서), Q' :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뒤쪽 프레임부에서),
S1 : 앞쪽개방 공간부(앞쪽 프레임부에서), S1' : 앞쪽개방 공간부(뒤쪽 프레임부에서), S2 : 뒤쪽개방 공간부(앞쪽 프레임부에서), S2' : 뒤쪽개방 공간부(뒤쪽 프레임부에서).

Claims (1)

  1. 건물의 벽면(90) 또는 담장(90)에 설치되어 그 녹화(綠化)를 위하여 덩굴 식물(70)의 식생(植生)이 가능하도록, 수평지지대(11)와 수직지지대(12)로 이루어진 메쉬(meshes) 형태의 앞쪽 프레임(frame)부(10)와, 수평지지대(21)와 수직지지대(22)로 이루어진 메쉬(meshes) 형태의 뒤쪽 프레임(frame)부(20)가, 서로 그 사이에 공간부(50)를 두며, 구비되고,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벽면(90)에 체결 고정부재(80)에 의하여 체결 가능하도록 된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meshes)에 있어서;
    상기 앞쪽 프레임부(1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도록,
    앞쪽(S1-a)으로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앞쪽개방 공간부(S1)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대(11)가 구비되고,
    아울러 뒤쪽(S2-b)으로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뒤쪽개방 공간부(S2)를 형성하며 내포하는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대(11)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S1)와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S2)가 서로 교대로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지도록,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가 서로 교대로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된 상기 수평지지대(11)가 상하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구비되고,
    상기 수평지지대(11)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11)의 절곡된 부분(F)에 수직지지대(12)가 체결 고정되어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뒤틀림과 휘어짐을 방지함이 가능하도록,
    앞쪽(S1'-a)으로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앞쪽개방 공간부(S1')를,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S1)와 같은 형상과 같은 크기로, 형성하며 내포하는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대(21)가 구비되고,
    아울러 뒤쪽(S2'-b)으로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뒤쪽개방 공간부(S2')를,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S2)와 같은 형상과 같은 크기로, 형성하며 내포하는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를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대(21)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S1')와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S2')가 서로 교대로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지도록,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와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가 서로 교대로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형성하도록 절곡(折曲)된 형상으로 된 상기 수평지지대(21)가 상하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구비되고,
    상기 수평지지대(21)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21)의 절곡된 부분(F)에 수직지지대(22)가 체결 고정되어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가 서로 나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 부재(3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 부재(3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수평지지대(11)와 상기 수직지지대(12)가 서로 교차하여 체결된 부분(13)이 끼워지도록, 상기 수평지지대(11)가 끼워지는 홈부(31-c)와 나사 체결용 너트(nut)(31-n)가 형성된 체결용 안쪽 부재(31-2)와, 상기 수직지지대(12)가 끼워지는 홈부(31-d)와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31-h)이 형성된 체결용 바깥쪽 부재(31-1)가 구비된 앞쪽 체결부(31)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체결 부재(30)는,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수평지지대(21)와 상기 수직지지대(22)가 서로 교차하여 체결된 부분(23)이 끼워지도록, 상기 수직지지대(22)가 끼워지는 홈부(32-d)와 나사 체결용 너트(nut)(32-n)가 형성된 체결용 안쪽 부재(32-2)와, 상기 수평지지대(21)가 끼워지는 홈부(32-c)와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32-h)이 형성된 체결용 바깥쪽 부재(32-1)가 구비된 뒤쪽 체결부(32)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체결 부재(30)는, 상기 앞쪽 체결부(31)의 상기 체결용 안쪽 부재(31-2)와 상기 뒤쪽 체결부(32)의 상기 체결용 안쪽 부재(32-2)가 각각 앞쪽 끝단부(33-a)와 뒤쪽 끝단부(33-b)에 일체로 연결된 본체부(33)가 구비되고, 상기 나사 체결용 너트(31-n)와 상기 나사 체결용 너트(32-n)에 각각 상기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31-h)(32-h)을 통하여 나사 체결되는 볼트(bolt)(34)가 구비되고;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와 상기 뒤쪽 프레임부(20)는,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 지지부(P)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앞쪽개방 공간부(S1')가 서로 마주 대하며, 아울러 상기 앞쪽 프레임부(10)의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S2)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뒤쪽 프레임부(20)의 상기 뒤쪽개방 공간부 지지부(Q')가 서로 마주 대하도록,
    상기 체결 부재(30)에 의하여 서로 나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meshes).
KR20-2005-0028394U 2005-10-05 2005-10-05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KR200403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394U KR200403725Y1 (ko) 2005-10-05 2005-10-05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394U KR200403725Y1 (ko) 2005-10-05 2005-10-05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542A Division KR100638556B1 (ko) 2005-09-29 2005-09-29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725Y1 true KR200403725Y1 (ko) 2005-12-12

Family

ID=4370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394U KR200403725Y1 (ko) 2005-10-05 2005-10-05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7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135B1 (ko) 2012-09-18 2012-11-21 이그린테크(주)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및 공법
KR101393713B1 (ko) 2013-08-06 2014-05-13 옥치섭 속성 녹화용 마삭줄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속성 녹화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135B1 (ko) 2012-09-18 2012-11-21 이그린테크(주)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및 공법
KR101393713B1 (ko) 2013-08-06 2014-05-13 옥치섭 속성 녹화용 마삭줄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속성 녹화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8493B2 (ja) 天井用補強金具とそれを用いた吊り天井
KR100638556B1 (ko)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KR200403725Y1 (ko)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KR100699912B1 (ko)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US20130074406A1 (en) Planter Box for Mounting to a Structure and Planter Box Assembly
KR20110001689U (ko)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
KR200446887Y1 (ko)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
KR200405447Y1 (ko) 지붕패널
KR200408699Y1 (ko) 벽면 녹화(綠化)용 메쉬
JP5259465B2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用埋込体
KR20130007219U (ko) 조립용 파티션
WO2008029962A1 (en) A spacer having an anchor bolt mounting portion thereon
KR100650638B1 (ko) 연성 스크린을 이용한 식생형 강재 보강 토 옹벽 시스템
JP6106315B1 (ja) 水耕栽培用ベッド
KR100437865B1 (ko)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
JP2015232264A (ja) フェンス
KR200248394Y1 (ko) 화분 겸용 방음벽
KR20100095085A (ko)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JP3820505B2 (ja) ツル科植物育成用装置
JP2010255383A (ja) パネル構造体
JP2009068282A (ja) 盛土の法面用壁面材と、その取付方法。
JP3152926U (ja) プランター
JP3143405U (ja) 給餌器・給水器の取付具
KR100463918B1 (ko)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
JPH04228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