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200B1 - 벽면 녹화시스템 - Google Patents

벽면 녹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200B1
KR101884200B1 KR1020160075297A KR20160075297A KR101884200B1 KR 101884200 B1 KR101884200 B1 KR 101884200B1 KR 1020160075297 A KR1020160075297 A KR 1020160075297A KR 20160075297 A KR20160075297 A KR 20160075297A KR 101884200 B1 KR101884200 B1 KR 101884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mat
wetting
wall surface
ma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060A (ko
Inventor
김태한
김철민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5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200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4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또는 구조물의 벽면에 시공되는 벽면 녹화시스템으로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식생매트를 지지하는 식생매트 긴결부 및 식생매트 긴결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식생매트 긴결부는 고정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식생매트가 거치될 수 있도록 삽입홈을 구비하는 거치부재 및 식생매트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벽면 녹화시스템{WALL GREENING SYSTEM}
본 발명은 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건물 또는 구조물에 대한 벽면의 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로 인한 인구의 도시 집중화와 생활환경의 악화는 도시공간에서 자연이라는 중요한 환경요소를 배제시켰을 뿐만 아니라 녹지공간의 부족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시인들은 생활공간에 자연의 푸름을 도입하고자 하는 욕구를 갖게 되었고 녹지의 확보를 통해 생활환경의 질적 향상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특히, 도시화 현상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건물이나 구조물과 같은 건축물을 이용한 벽면 녹화, 옥상 녹화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벽면 녹화는 지상에서도 바라볼 수 있고 옥상의 좁은 면적에 비해서 넓은 면적 측면에서도 옥상 녹화에 비해서 유리하고, 외부에서 바라봤을 때 녹시율(Index of Greenness)이 뛰어나기 때문에 건축물에 대한 장식효과를 강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벽면 녹화는 생태건축의 일환으로 콘크리트 벽면에 생태적 요소인 식물을 도입함으로써 시각적으로도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는 동시에 생물 서식 공간 창출과 에너지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즉, 콘크리트 표면은 하절기 일조 집중시간대에 50 이상으로 표면 온도가 상승하지만 녹화표면은 25 내외를 유지하고, 동절기 콘크리트 표면은 일일 평균 17시간 이상 영하로 기록되는 반면에 녹화표면은 영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벽면 녹화를 통하여 콘크리트 벽체의 열적 물성치를 개선하여 하절기 냉방 부하 및 동절기 난방 부하를 저감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벽면 녹화에 대한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건물 또는 구조물과 같이 이미 건축되어 있는 건축물을 대상으로 복잡한 시공 과정 없이 간단하게 벽면 녹화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보 2015-0123484호(2015. 11. 04 공개, 발명의 명칭: 벽면녹화용 수경재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벽면 녹화를 위한 식생매트를 최적화된 구성을 통해 벽면 주변에 고정시킴으로써, 기존의 건축물에 대해 간단하게 적용 가능한 벽면 녹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이 성장할 있는 최적의 조건으로 식생매트를 유지함으로써 건축물의 벽면 녹화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은, 내측으로 삽입되는 식생매트를 지지하는 식생매트 긴결부; 및 상기 식생매트 긴결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매트 긴결부는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식생매트가 거치될 수 있도록 삽입홈을 구비하는 거치부재; 및 상기 식생매트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물을 공급하는 관수부; 및 상기 식생매트의 후면에서 상기 식생매트와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관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고 상기 흡수된 물을 상기 식생매트로 전달하는 습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습윤부와 상기 벽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습윤부에 흡수된 물이 상기 벽면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수부는 상기 습윤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습윤부로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습윤부는 상기 벽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제1습윤부재; 상기 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식생매트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제2습윤부재; 및 상기 제2습윤부재가 상기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굴곡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습윤부재와 상기 제2습윤부재를 연결하는 제3습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는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수직 고정부재; 및 상기 수직 고정부재의 전면에서 상기 수직 고정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수평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매트 긴결부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수평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습윤부는 상기 벽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제1습윤부재; 상기 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식생매트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제2습윤부재; 및 상기 제2습윤부재가 상기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굴곡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습윤부재와 상기 제2습윤부재를 연결하는 제3습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습윤부재는 상기 복수의 수직 고정부재가 서로 이격된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2습윤부재는 상기 복수의 수평 고정부재가 서로 이격된 공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생매트 긴결부의 상기 지지부재는 절곡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생매트 긴결부의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생매트 긴결부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거치부재의 양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부재에 거치되는 식생매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거치부재의 중앙에 구비되어 타 식생매트 긴결부에 의해 지지되는 타 식생매트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로 절곡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적화된 구성으로 식생매트를 벽면 주변에 고정시킴으로써, 기존의 건축물에 대한 별도의 시공 없이 벽면 녹화시스템을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을 이용하여 식생매트에 필요한 물을 공급함으로써, 건축물의 벽면 녹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의 고정부 및 습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의 습윤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의 식생매트 긴결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의 식생매트 긴결부에 식생매트를 거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은 고정부(10) 및 식생매트 긴결부(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고정부(10)는 식생매트 긴결부(20)를 건물 또는 구조물의 벽면(1)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식생매트 긴결부(20)는 내측으로 삽입되는 식생매트(10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은 건물 또는 구조물의 외부 벽면(1)에 식생매트(100)를 고정시키고, 해당 식생매트(100)에서 식물이 성장하도록 함으로써 건물 또는 구조물을 녹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부(10)는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구비되는 수직 고정부재(11) 및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구비되는 수평 고정부재(12)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된 수직 고정부재(11) 및 수평 고정부재(12)를 통해 벽면(1) 상의 소정의 위치에 식생매트(10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특히 수직 고정부재(11) 및 수평 고정부재(12)가 교차하여 형성되는 격자무늬 사이의 영역에 식생매트(1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수직 고정부재(11)는 지면 또는 벽면(1)과 결합하여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수평 고정부재(12)는 수직 고정부재(11)의 전면에서 수직 고정부재(11)에 결합하여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전면은 벽면(1)을 기준으로 외부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그로 인해서 수평 고정부재(12)는 수직 고정부재(11)에 비해서 벽면(1)으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구비되게 된다.
식생매트 긴결부(20)는 식생매트(100)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고정부(10)에 결합됨으로써 삽입되는 식생매트(100)를 벽면(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건물 또는 구조물의 벽면(1) 상의 고정된 위치에 식생매트(100)를 구비하여 건물 또는 구조물을 녹화시킴으로써, 대기오염 예방과 도시 열섬현상의 완화, 습도조절, 단열, 도시경관 향상 등의 효과를 갖는다.
둘째, 벽면 녹화를 통해 콘크리트 벽면(1)의 열적 물성치를 개선하여 하절기 냉방 부하 및 동절기 난방 부하를 저감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간단한 구조를 통해 벽면(1) 상의 고정된 위치에 식생매트(100)가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구축된 건물 또는 구조물에 대해서 복잡한 시공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이 간단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은 관수부(30) 및 습윤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수부(30)는 식생매트(100)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고, 습윤부(40)는 관수부(3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식생매트(10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관수부(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윤부(40)의 상부에 구비되어 습윤부(40)로 물을 공급한다. 즉,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홀(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는 관수부(30)로 물을 흘려 보냄으로써 상기 홀을 통해 물이 하부의 습윤부(4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관수부(30)가 습윤부(40)에 비해서 상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관수부(30)를 따라 흐르는 물이 습윤부(40)로 자연스럽게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습윤부(40)로 강제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 또는 모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필요가 없으므로 관수부(30)는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습윤부(40)는 관수부(30)의 하부에 구비되어 관수부(3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고 흡수된 물을 식생매트(1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구체적으로 식생매트(100)의 후면에서 식생매트(100)와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식생매트(100)로 물을 전달한다.
이 때, 후면은 전술한 상면의 반대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벽면(1)을 기준으로 내부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습윤부(40)는 식생매트(100)와 벽면(1) 사이에 구비되게 된다.
습윤부(40)는 소정의 양의 물을 흡수하여 일정 시간 동안 함유하고 있을 수 있는 물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례로 부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은 방수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수부(50)는 습윤부(40)에 흡수된 물이 벽면(1)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습윤부(40)와 벽면(1) 사이에 구비된다.
즉, 습윤부(40)가 직접 벽면(1)에 접촉할 경우 습윤부(40)에 흡수된 물이 벽면(1)으로도 전달됨에 따라 벽면(1)의 내구성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습기에 취약한 목조 건축물의 경우 물이 침투함에 따라 형상까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습윤부(40)와 벽면(1) 사이에 방수부(50)를 추가로 구비하여 벽면(1)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방수부(50)는 합성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섬유로 이루어져 통기성이 있는 투습방수지에 해당하는 타이벡(Tyvek)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타이벡은 외부의 찬 공기가 건물 또는 구조물로 침투하는 것을 막고 내부의 따뜻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온재 또는 단열재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벽면(1)으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료는 무엇이든 방수부(50)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복수의 수직 고정부재(11) 사이에 3개의 식생매트(100)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식생매트(1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수직 고정부재(11) 및 수평 고정부재(12)의 강도에 따라 배치되는 식생매트(100)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의 고정부 및 습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의 습윤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는 수직 고정부재(11) 및 수직 고정부재(11)의 전면에서 수직 고정부재(11)에 결합되는 수평 고정부재(12)를 포함하고, 수직 고정부재(11)와 수평 고정부재(12) 사이의 격자무늬 영역에 습윤부(40)가 구비되어 식생매트(100)로 물을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윤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1) 또는 방수부(50)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제1습윤부재(41), 벽면(1) 또는 방수부(50)로부터 이격되어 식생매트(100)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제2습윤부재(42), 및 제2습윤부재(42)가 벽면(1) 또는 방수부(50)로부터 이격되도록 굴곡을 형성하면서 제1습윤부재(41)와 제2습윤부재(42)를 연결하는 제3습윤부재(43)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간단한 구조의 고정부(10)를 통해서 식생매트 긴결부(20)를 고정시킴으로써, 벽면(1) 상의 소정의 영역에 식생매트(100)를 구비한다.
이 때, 식생매트(100)를 통해 식물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식생매트(100)가 습윤부(40)에 접촉하여 물을 공급받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 고정부재(12)가 수직 고정부재(11)의 전면에서 수직 고정부재(11)에 결합되기 때문에, 수직 고정부재(11)에 결합되는 식생매트 긴결부(20)는, 벽면(1) 또는 방수부(50)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습윤부(40)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윤부(40)에 벽면(1) 또는 방수부(50)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비된 제2습윤부재(42)를 포함함으로써 식생매트(100)가 습윤부(40)에 접촉하여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제2습윤부재(42)가 벽면(1) 또는 방수부(50)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수직 고정부재(11)의 두께 및 수평 고정부재(12)의 두께를 합한 값 이상으로 구비됨이 타당하다.
즉, 제2습윤부재(42)가 수평 고정부재(12) 보다 벽면(1) 또는 방수부(50)로부터 더 이격되도록 형성될 경우 식생매트 긴결부(20)에 지지된 식생매트(100)에 의해서 제2습윤부재(42)가 수축하면서 식생매트(100)와 안정적으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습윤부(40)가 부직포와 같은 재질로 구비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습윤부재(43)가 접힌 형태로 구비되어 제2습윤부재(42)를 벽면(1) 또는 방수부(50)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습윤부(40)의 재질에 따라서 제3습윤부재(43)는 벽면(1) 또는 방수부(50)로부터 수직하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제2습윤부재(42)를 벽면(1) 또는 방수부(5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은 벽면(1)의 전면으로 방수부(50), 수평 고정부재(12)와 습윤부(40), 및 식생매트 긴결부(20)와 식생매트(100)가 배치된다.
즉, 벽면(1)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부(50)가 벽면(1)과 가장 가까운 곳에 배치되고, 수직 고정부재(11, 도 3에 도시됨)의 전면에 결합되는 수평 고정부재(12)와 습윤부(40)가 배치되고, 습윤부(40)와 접촉하도록 식생매트(100)와 식생매트(100)를 고정시키는 식생매트 긴결부(20)가 배치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 긴결부(20)는 수평 고정부재(12)에 결합됨에 따라 벽면(1) 또는 방수부(50)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고, 그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식생매트(100)는 벽면(1) 또는 방수부(50)와 접촉하여 구비된 습윤부(40)와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습윤부(40)가 식생매트(10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제1습윤부재(41) 및 제2습윤부재(42)를 포함하여 구비되는데, 제2습윤부재(42)가 벽면(1) 또는 방수부(50)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식생매트(100)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습윤부재(41)는 벽면(1) 또는 방수부(50)에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제2습윤부재(42)는 식생매트(100)와 접촉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제1습윤부재(41)는 복수의 수직 고정부재(11)가 서로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고, 제2습윤부재(42)는 복수의 수평 고정부재(12)가 서로 이격된 공간에 배치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 긴결부(20)는 해당 식생매트 긴결부(20)에 의해 지지되는 식생매트(100)뿐만 아니라, 하부에 구비되는 타 식생매트 긴결부에 의해 지지되는 식생매트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식생매트 긴결부(2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의 식생매트 긴결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매트 긴결부(20)는 고정부(1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1), 식생매트(1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삽입홈(24)을 포함하는 거치부재(23), 및 식생매트(1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재(25, 26)를 포함한다.
특히, 결합부재(21)는 수평 고정부재(1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평 고정부재(12)를 감싸도록 수평 고정부재(1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21)는 수평 고정부재(12)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결합부재(21)의 결합홈(22)에 대응되는 홈(미도시)이 수평 고정부재(12)에도 구비되고, 결합홈(22)과 수평 고정부재(12)의 홈을 결합시키는 볼트체결 방식으로 결합부재(21)는 수평 고정부재(1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21)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서 결합홈(22)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거치부재(23)는 결합부재(21)와 연결되면서 식생매트(100) 일측면의 소정의 영역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홈(24)을 구비하여 식생매트(100)가 거치될 수 있다. 이 때, 삽입홈(24)의 깊이는 식생매트(100)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식생매트(100)가 작을 경우 삽입홈(24)의 깊이는 얇게 구비될 수 있으나, 식생매트(100)가 클 경우 안정적인 거치를 위해 삽입홈(24)의 깊이도 두껍게 구비되는 것이 타당하다.
지지부재(25, 26)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거치부재(23)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식생매트(10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식생매트(100)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지지부재(25, 26)는 거치부재(23)의 양 끝단에서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거치부재(23)에 거치되는 식생매트(100)의 유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5, 26)는 거치부재(23)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식생매트 긴결부(20)의 하부에 위치한 타 식생매트 긴결부에 의해 지지되는 타 식생매트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로 절곡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지지부재(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복수의 제1지지부재(25)는 해당 식생매트 긴결부(20)의 거치부재(23)에 거치되는 식생매트(100)를 하부에서 지지함으로써 유동을 방지하고, 제2지지부재(26)는 하부의 타 식생매트 긴결부에 거치되는 식생매트를 상부에서 지지함으로써 유동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매트 긴결부(20)에 식생매트(1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2지지부재(26)는 하부로 절곡되어 하부의 타 식생매트 긴결부에 삽입된 식생매트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지지부재(26)는 하부로 절곡되었을 때 타 식생매트 긴결부에 삽입된 식생매트와 오버랩될 수 있는 길이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특정 식생매트(100)는 거치 공간을 제공하는 식생매트 긴결부(20)의 제1지지부재(25)에 의해서 하부가 지지되고, 타 식생매트 긴결부의 제2지지부재에 의해서 상부가 지지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 때, 제1지지부재(25)의 길이는 제2지지부재(26)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식생매트(100)의 하부에서 식생매트(1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힘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필요하고, 식생매트(100)의 상부에서 식생매트(1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힘이 상대적으로 더 적게 필요하므로, 제1지지부재(25)의 길이가 제2지지부재(26)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함으로써 불필요한 재료 낭비를 막으면서 식생매트(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지지부재(25)도 절곡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식생매트 긴결부(20)는 수평 고정부재(12)에 볼트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식생매트 긴결부(20)를 수평 고정부재(12)에 우선 결합시킨 다음에 식생매트(100)를 식생매트 긴결부(20)에 삽입해야 한다. 그리고 이 때, 제1지지부재(25)가 거치부재(23)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식생매트(100)의 삽입시 식생매트(100)가 제1지지부재(25)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의 식생매트 긴결부에 식생매트를 거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매트(100)를 식생매트 긴결부(20)에 삽입하기 전에 수평 고정부재(12)에 결합된 식생매트 긴결부(20)의 제1지지부재(25)를 삽입홈(24)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한다.
다음으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매트(100)를 지면 방향으로 이동시켜 식생매트 긴결부(20)에 거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시켰던 제1지지부재(25)를 원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거치된 식생매트(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도 7a 내지 도 7c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식생매트 긴결부(20)에 식생매트(100)를 삽입하기 전에 제2지지부재(26)는 하부의 식생매트 긴결부에 거치된 식생매트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하부의 식생매트 긴결부에 먼저 식생매트를 거치하고 상부의 식생매트 긴결부에 식생매트를 거치하는 경우, 상부의 식생매트 긴결부에 식생매트를 거치하기 전에 우선 제2지지부재를 절곡하여 하부의 식생매트 긴결부에 거치된 식생매트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부의 식생매트 긴결부에 식생매트를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식생매트가 삽입되기 전에 제2지지부재는 이미 하부로 절곡된 상태이므로 식생매트의 삽입시 식생매트가 제2지지부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지지부재(25)가 절곡이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식생매트(100)의 삽입시 식생매트(100)가 제1지지부재(25)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1지지부재(25)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식생매트(100) 삽입 전에 제1지지부재(25)를 삽입홈(24)의 반대 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식생매트(100)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력에 의해 제1지지부재(25)를 원위치로 이동시켜 식생매트(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제1지지부재(25)가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 제1지지부재(25)의 유연한 작업성으로 인해 식생매트(100)이 탈부착이 용이하고 유지관리가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에 따르면, 최적화된 구성을 통해 식생매트(100)를 벽면(1) 상의 고정된 위치에 위치시키고, 물을 공급하여 건물 또는 구조물의 벽면(1)을 녹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식생매트(100)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식생매트(100)는 하나 이상의 구성재를 포함하여 구비된 육성기반재 및 LMF(Low Melting Fiber)가 교반되어 구비되고, 식물의 뿌리가 위치하여 활착하기 위한 활착 영역(110)을 포함한다.
LMF는 280의 용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 섬유에 비해 낮은 110~200에서 용융되는 섬유로서, 인체에 유해한 화학 접착제를 대체할 수 있는 신소재 화학섬유이다.
특히, LMF는 일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110~200℃의 용융점을 갖는 저융점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가 복합방사되어 저융점 성분이 열처리에 의해 용융 접착되어 형성된 것으로, 우수한 접착성을 갖고 성형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구성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육성기반재를 기존의 접착제가 아닌 LMF를 통해 긴결한 식생매트(100)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LMF를 긴결재로 이용하여 형성된 본 발명의 식생매트(100)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인체에 유해한 화학 접착제 대신에 LMF가 저온에서 긴결재로 사용됨에 따라 다양한 온도에서 작업이 가능하고, 접착성이 뛰어나며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둘째, LMF를 통해 육성기반재가 안정적으로 긴결됨에 따라 식생 활착이나 오염원 제거를 위해 유입되는 유체로 인한 육성기반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PSF(단섬유) 중 LMF를 식생매트의 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합성섬유시장에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 산업용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시스템의 육성기반재는 농업용 폐암면, 바텀애쉬, 분변토로부터 추출된 진산염 및 하이드로겔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농업용 폐암면 및 바텀애쉬와 같은 폐자원을 재활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육성기반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재료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식생매트(100)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농업용 폐암면을 사용함으로써, 식생매트(100)의 긴결성을 강화시키고, 배수성 및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시설원예용 폐암면 배지를 육성기반재에 재활용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처리 및 재활용이 가능하여 경제적, 환경적으로 바람직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바텀애쉬를 사용함으로써, 배수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켜 식생매트(100)의 물리적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넷째, 분변토로부터 추출된 진산염을 사용함으로써, 육성 기반재(110)의 부족한 유기물질이 공급되고, 식물의 생육 촉진과 더불어, 항생균에 의한 병해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하이드로겔을 사용함으로써, 수분 미공급 시 체적을 최소화하여 가공성이 우수하고, 안정적인 수분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용 미생물에 의한 작물생산이 촉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식생매트(100)의 역할에 따라 다양한 구성재를 포함하는 육성기반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수질정화용 식생매트(100)를 구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육성기반재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기정화용 식생매트(100)를 구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팽창질석을 포함하는 육성기반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벽면 10: 고정부
11: 수직 고정부재 12: 수평 고정부재
20: 식생매트 긴결부 21: 결합부재
22: 결합공 23: 거치부재
24: 삽입홈 25: 제1지지부재
26: 제2지지부재 30: 관수부
40: 습윤부 41: 제1습윤부재
42: 제2습윤부재 43: 제3습윤부재
50: 방수부 100: 식생매트

Claims (11)

  1. 건물 또는 구조물의 벽면에 시공되는 벽면 녹화시스템으로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식생매트를 지지하는 식생매트 긴결부;
    상기 식생매트 긴결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물을 공급하는 관수부; 및
    상기 식생매트의 후면에서 상기 식생매트와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관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고 상기 흡수된 물을 상기 식생매트로 전달하는 습윤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매트 긴결부는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식생매트가 거치될 수 있도록 삽입홈을 구비하는 거치부재; 및
    상기 식생매트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습윤부는 상기 벽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제1습윤부재;
    상기 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식생매트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제2습윤부재; 및
    상기 제2습윤부재가 상기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굴곡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습윤부재와 상기 제2습윤부재를 연결하는 제3습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부와 상기 벽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습윤부에 흡수된 물이 상기 벽면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부는 상기 습윤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습윤부로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수직 고정부재; 및
    상기 수직 고정부재의 전면에서 상기 수직 고정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수평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매트 긴결부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수평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습윤부재는 상기 복수의 수직 고정부재가 서로 이격된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2습윤부재는 상기 복수의 수평 고정부재가 서로 이격된 공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 긴결부의 상기 지지부재는 절곡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 긴결부의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 긴결부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거치부재의 양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부재에 거치되는 식생매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거치부재의 중앙에 구비되어 타 식생매트 긴결부에 의해 지지되는 타 식생매트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로 절곡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시스템.
KR1020160075297A 2016-06-16 2016-06-16 벽면 녹화시스템 KR101884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297A KR101884200B1 (ko) 2016-06-16 2016-06-16 벽면 녹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297A KR101884200B1 (ko) 2016-06-16 2016-06-16 벽면 녹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060A KR20170142060A (ko) 2017-12-27
KR101884200B1 true KR101884200B1 (ko) 2018-08-02

Family

ID=6093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297A KR101884200B1 (ko) 2016-06-16 2016-06-16 벽면 녹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446B1 (ko) 2019-06-20 2020-12-21 주식회사 포이엔 응집성 상토를 이용한 입체 녹화용 식생기반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84351A1 (de) * 2020-10-16 2022-04-20 wertec GmbH Fassadenbegrün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005B1 (ko) 2009-04-22 2012-03-23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벽면녹화장치
KR101142352B1 (ko) * 2011-04-08 2012-05-1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벽면 녹화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068B1 (ko) * 2011-12-02 2014-01-22 서원종합건설(주) 벽면녹화시스템
KR20160043722A (ko) * 2014-10-14 2016-04-22 주식회사 씨엔케이 벽면 녹화 식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005B1 (ko) 2009-04-22 2012-03-23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벽면녹화장치
KR101142352B1 (ko) * 2011-04-08 2012-05-1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벽면 녹화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446B1 (ko) 2019-06-20 2020-12-21 주식회사 포이엔 응집성 상토를 이용한 입체 녹화용 식생기반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060A (ko)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016B1 (ko) 미세먼지 저감과 재활용이 가능한 에코백 벽면녹화 시스템
KR101884200B1 (ko) 벽면 녹화시스템
JP2013507975A (ja) 建築物の水平方向面、傾斜面および/または垂直方向面に用いられる緑化された構造エレメント
WO2016053781A1 (en) Greenwall cladding
JP4920868B2 (ja) コケ緑化用マットおよびパネル
JP5318504B2 (ja) 軌道の緑化構造、及び緑化工法
JP5401178B2 (ja) シイタケ栽培方法及びシイタケ栽培ハウス
KR101884995B1 (ko)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
JP3751214B2 (ja) 緑化容器
JP2002176850A (ja) 防根止蔦緑化水耕法
CN212453274U (zh) 一种市政园林建筑的装饰屋顶
KR200344762Y1 (ko) 비닐하우스의 제설 및 냉각용 분수호스
CN208347153U (zh) 建筑节能屋面隔热系统
KR101314887B1 (ko) 도심형 옥상 녹화 구조물
KR20110131870A (ko) 옥외 시설물
JP4907855B2 (ja) 人工土壌構成基材、それを用いた植物育成用人工土壌構造及び建築物屋上緑地化構造
KR101892025B1 (ko) 벽면 녹화시스템
CN110965691A (zh) 一种市政园林建筑的装饰屋顶
JP2006246816A (ja) 壁面緑化ユニット
CN211297814U (zh) 一种海绵城市环保建筑屋顶
JP5827768B1 (ja) 水蒸散シート及び水蒸散ユニット
KR101248133B1 (ko) 녹화 구조물
JP2006136214A (ja) 蘚苔類植物担持体
CN210659045U (zh) 一种无机仿古面环保生态石
JP2005068753A (ja) 壁面緑化システム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