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352B1 - 벽면 녹화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면 녹화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352B1
KR101142352B1 KR1020110032516A KR20110032516A KR101142352B1 KR 101142352 B1 KR101142352 B1 KR 101142352B1 KR 1020110032516 A KR1020110032516 A KR 1020110032516A KR 20110032516 A KR20110032516 A KR 20110032516A KR 101142352 B1 KR101142352 B1 KR 101142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pport
building
coupled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예석
이순호
오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10032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녹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벽면 또는 담장에 수직지지대, 전면판, 연결대 및 경사지지대를 설치하여 건축물 전면에 일정량의 토양을 채움으로써 안정적인 식재공간을 조성하고, 충분한 생육토심을 확보가능한 벽면녹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 전면에 일정량의 토양을 부착함으로써 건축물의 침식 및 온도변화저감에 따른 수명 연장효과, 보온 및 단열에 의한 에너지 절감효과, 도심열섬저감 및 건조방지 등의 미기후 조절효과, 식재된 식물의 광합성에 의한 CO2 흡수 및 저장효과, Biotop 및 Stepping Eco-corridor 등의 도심생태복원 효과, 도심 미관 및 경관 개선 그리고 녹시율 증가에 의한 심미적 효과를 제공하며, 생태면적률 확보를 위한 자연순환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벽면 녹화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APPARATUS FOR GREEB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건축물 녹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벽면 또는 담장에 수직지지대, 전면판, 연결대 및 경사지지대를 설치하여 건축물 전면에 일정량의 토양을 채움으로써 안정적인 식재공간을 조성하고, 충분한 생육토심을 확보가능한 벽면녹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혁명 이후 화석연료 사용 증가로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증가하여 지난 100년간 전세계 평균기온이 0.74 상승하였으며 이로 인해 열파, 가뭄, 홍수 등 극한 기상현상의 발생이 증가하고 북극 빙하면적의 감소 등으로 해수면상승 등 지구 물리/생태적 전반에 걸쳐 변화가 심각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100년간 평균 1.5 상승하여 세계평균을 상회하며 강우패턴 변화로 최근 10년간 기상재해 총 피해액이 17.7조원이며, 제주도 근해 해수면이 최근 40년간 22Cm 상승하였고, 최근 10년간 평균 연강수량은 약 10%증가, 여름은 18%증가하였고, 2100년경 약 1m의 해수면 상승으로 여의도 면적 300배 가량이 침수, 125만 5천명이 생계 지장 우려를 전망하였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IPCC 4차 보고서에 의하면 현재와 같이 화석연료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금세기말 지구평균 기온은 최대 6.4, 해수면은 59Cm 상승될 것으로 전망하였고, 폭염, 열파, 폭설빈도의 증가, 열대성 저기압(태풍)의 강도증가, 강수량의 변동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러한 기후변화의 원인은 도시의 피복율 증가, 도시 구조물의 열용량 증가, 도시에서의 화석에너지 과다 사용 등 대부분 도시에서 기인하고 있으며, 홍수 등 도시재해증가, 열섬현상, 도시생태계 변화 등 피해 또한 도시에 집중하여 발생하고 있다.
도시기후변화의 대책으로는 친환경에너지의 이용, 바람길 확보, 녹지공간의 확충 등이 있으나 기존 도시에 적용이 가능하고 효과가 높은 방안은 녹지공간의 확충방안이다.
기존 도시는 무분별한 개발로 인하여 녹지공간이 부족하며, 건축물들로 빽빽하게 구성되어 있어 녹지공간의 확충이 곤란하나, 건축물을 녹화할 경우 도시내 녹지면적을 상당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의 수직면인 벽면을 녹화할 경우 도시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녹지공간을 확충할 수 있어 그 효과는 더욱 크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건물녹화는 서울시 옥상녹화 사업 등 옥상녹화가 주를 이루고 있어 도시공간내 녹지공간 면적 확충의 한계가 있으며, 벽면녹화의 경우 덩굴식물에 의한 등반형, 하수형 또는 모듈형(블록, 패널) 등이 있으나, 덩굴식물의 경우 식재후 벽면 전체를 녹화하는데 장기간(최소 4~5년)이 소요되며, 동절기시 보조구조물과 가지만 남아 미관상 좋지 않고 건물의 단열효과 및 열섬저감 억제효과도 미미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형식의 벽면 녹화방법(특허공개공보 2010-48683호)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은, 화분형식의 벽면녹화 구조는, 화분(식생용기)의 크기에 따라 생육심도의 제한이 있고, 이에 따라 식생종의 제한이 발생하여, 녹화 효과의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개별적인 식생용기의 연속적인 배열 구조를 가지므로, 식생용기의 접면부에는 토양이 건물외벽을 감싸지 못하므로, 단열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재의 운반이 용이하지 않으며, 콘크리트재는 깨질 우려가 있고, 플라스틱재는 변형 또는 변색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 전면에 일정두께 이상의 토양이 피복되고 지면에서부터 최상단까지 막힘이 없이 연결되어 충분한 생육토심을 확보할 수 있는 벽면 녹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지지대, 전면판, 연결대 및 경사지지대를 이용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고, 시공이 용이한 벽면 녹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후단부가 고정되고, 전방으로 연장된 저면받침대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다수 열로 구비되는 수직지지대와; 후단부가 상기 저면받침대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대와; 하부가 하층의 저면받침대에 결합되고, 상부가 상층의 연결대 전단에 결합되는 경사지지대; 그리고 상기 경사지지대 내측에 구비되는 판재로, 상부가 상기 연결대 전단 및 상기 경사지지대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대 및 경사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전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면판 내측과 상기 건물 외벽 사이에는 식생을 위한 식생토가 충진되되, 벽면측에는 상단관수가 하층까지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배수가 용이하고 흡습성이 있는 경량골재가 채워지고; 상기 전면판 측에는 소목식재용 개량토가 채워지는 벽면 녹화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대는, 'ㄱ'형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면받침대는 상방으로 소정의 각으로 경사지고, 하단 및 일측면이 상기 수직지지대 내측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지지대는, 'ㄷ'형 채널로 형성되고, 채널 내부에 상기 전면판 및 연결대와 볼트 체결을 위한 결합너트가 구비되며, 하단에는 상기 저면받침대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수직지지대 중 건물 외벽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수직지지대에는 'ㄷ'형 채널인 측면지지채널이 결합되고; 각 층의 측면부는 상기 수직지지대 및 경사지지대에 결합되는 측면마감판에 의해 차폐되어 식생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면판 내측으로부터 건물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식생공간에는, 상기 건물 벽면측 부분에 경량골재가 충진되고, 상기 전면판측 부분에는 개량토가 충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A) 건물 외벽에 수직지지대를 다열로 고정하는 단계와; (B) 제1열의 경사지지대들의 하단을 상기 수직지지대에 구비된 제1열의 저면 받침대와 결합하는 단계와; (C) 상방 열의 경사지지대 하단 및 연결대 후단을 상방 열의 저면 받침대와 결합하는 단계와; (D) 제1열 전면판을 제1열 경사지지대 배면에 구비시키고, 제1열의 경사지지대 및 제2열의 연결대 전단과 결합하는 단계와; (E) 상기 제1열 전면판과 상기 건물외벽 사이의 이격 공간에 식생토를 충진하는 단계; 그리고 (F) 상기 (C) 단계 내지 제 (E) 단계를 설계 높이까지 반복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벽면 녹화 장치의 시공 방법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A)단계의 시공 전에, (Ⅰ) 건물외벽 하단부에 공급수를 저장하기 위한 집수조를 형성하는 단계와; (Ⅱ) 건물 외벽에 상기 집수조로부터 공급수를 흡수하여 채움토에 공급하는 흡습포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시공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A)단계의 시공 전에, (ⅰ) 건물외벽 하단부에 공급수를 저장하기 위한 집수조를 형성하는 단계와; (ⅱ) 상기 집수조의 공급수를 상기 식생토에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관 및 급수펌프를 포함하는 급수시설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시공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면 채움 벽면 녹화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건축물 벽면 전체에 토양을 피복함으로써 충분한 생육심도를 확보하면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통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토양이 지면에서부터 최상부까지 막힘이 없이 연결되어 자체하중을 지면에 전달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매우 안전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심지 내 부족한 녹지공간을 건축물 수직면에 조성함으로써 도시내 평면적인 토지이용의 축소 및 변경 없이 녹지공간을 확충하여 도시생태계를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초기우수를 저류조에 저장함으로써 첨두유출량을 감소시켜 도시홍수를 예방할 수 있으며,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원이 토양에 의하여 여과 및 흡착된 후 식물 및 토양내 미생물에 의하여 추출 및 분해되어 비점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건축물 전면을 토양 및 식생으로 피복함으로써 단열에 의한 에너지 절감효과와 건축물 보호에 따른 수명이 연장되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토양 및 식물에 의하여 열을 흡수함으로써 도시열섬현상을 억제하고, 관목류 등의 다양한 식재가 가능하여 증발산량을 증대시켜 건조한 도시기후를 개선하며, CO2를 흡수 및 저장하고, 소음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충분한 유효토심에 의하여 다양한 종의 식재가 가능하여 도시경관 개선 및 계절별 미관창출효과가 있으며, 도시생태계를 복원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벽면 녹화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녹화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벽면 녹화 장치를 구성하는 주요구성물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경사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녹화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시공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시공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 의한 벽면 녹화 장치에 채워지는 식생토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건축물 벽면에 수직지지대, 전면판, 연결대 및 경사지지대를 설치하여 건축물 전면에 토양을 채움으로서 충분한 생육토심을 확보하여 초화류 및 관목류를 식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공순서는 설치할 건축물 벽면에 앵커를 이용하여 수직지지대를 고정하고(필요시 방수 및 방근층 설치(옹벽의 경우 불필요)), 제1 전면판 및 경사지지대를 고정한다.
이후 2단 전면판, 경사지지대 및 연결대를 결합하고, 결합된 연결대에 1단 전면판을 고정하는 방법으로 설계높이까지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수행한다.
이때, 각 단의 시공시에 각단 내부에 개량토를 부설하고, 필요에 따라 식재 후 멀칭재를 부설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면판은 아연도강판, 칼라강판,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 모든 내부식성 금속판 또는 비금속 재질이 적용가능하며, 수직 지지대의 벽고정 방법은 기존 콘크리트 벽체를 천공하여 세트앵커나 케미컬앵커를 설치하거나 신축건물의 경우 매입앵커를 미리 설치하여 시공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벽면 녹화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수직지지대(100)와, 경사지지대(200), 연결대(300) 및 전면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구성요소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수직지지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형강의 기본 형태를 가지며, 상방으로 소정의 각으로 경사지고 하단과 일 측면이 상기 수직지지대(100)의 내측면에 접하는 저면받침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면받침대는 경사지지대(200) 및 연결대(30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수직지지대(10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벽면녹화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의 식재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저면받침대(110)는 상기 식재공간의 층수에 대응하는 개수 및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대(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앵커(120)에 의해 건물 벽면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앵커(120) 개수와 간격은 상기 벽면녹화장치의 설계하중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상기 저면받침대(110)에는 경사지지대(200)의 하단부와 연결대(300)의 후단부가 결합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면받침대(110)에 형성된 지지공(112), 상기 경사지지대(200) 하단에 형성된 체결공(210) 및 상기 연결대(300) 후단부에 형성된 결합공(310)이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경사지지대(200)는 하단은 상기 저면받침대(110)에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연결대(300)에 고정되어, 전면판(400)의 전면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경사지지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ㄷ'형태의 금속 채널로 형성되고, 상기 금속채널 내부에 제1결합너트(230)와 제2결합너트(220)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단부에는 체결공(21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대(3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아 형태로 후단은 소정의 각(바람직하게는 90°) 꺾여 상기 저면받침대(110)와 결합가능하도록 배면결합공(310)이 형성되고, 전단 역시 소정의 각(바람직하게는 90°) 꺾여 상기 전면판(400) 및 경사지지대(200)에 결합가능하도록 전면결합공(3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400)은 상부에 제1관통공(420) 및 제2관통공(410)이 형성되어 상기 제2관통공(410)을 통해 상기 연결대(300) 전단 및 경사지지대(200)의 제2결합너트(220)과 볼트/너트 결합되고, 상기 제1관통공(420)을 통해 상기 경사지지대(200)의 제1결합너트(230)과 볼트/너트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관통공(420)에는 'ㄱ'자 형태의 캡(430)이 결합되는데, 상기 캡(430)은 꺾여진 일면에 너트공(440)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공(440)과 제1관통공(420)이 볼트/너트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캡(430)의 타면은 상기 경사지지대(200)의 상단을 차폐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경사지지대(200), 연결대(300) 및 전면판(400)을 다층으로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층의 식생 공간을 건물 외벽에 형성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외벽 면에는 방수/방근층(422), 급수조(500) 및 급수관(510) 등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녹화 장치의 시공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지지대는 미관을 고려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사지지대(200')는, 내부구성은 동일하나 외측면이 커버(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240')는 목재 또는 심미감을 유발하는 무늬를 갖는 합성재로 형성되어 외부에 심미감을 주는 한편, 상기 경사지지대(200')의 금속 채널을 보호하고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방수/방근층(422) 전면에는 집수조(500)에 하단이 위치하여 건물 외벽을 따라 연장되는 흡습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흡습포는 상기 집수조(500)의 공급수를 흡수하여 상부로 끌어올려 상기 건물 외벽 전면의 식생토에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거나, 상부에서 수분공급시 수분저장시간을 지속시켜 토양이 쉽게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흡습포에 의한 수분공급은 그 한계가 있으므로, 상기 건물외벽의 높이 또는 식생 종자의 종류 등 시공 상황에 따라 급수관(510)을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건물 외벽의 하부에는 공급수를 저장하는 집수조(500)가 설치되고 상기 집수조(500) 상부는 덮개(530)로 마감된다. 상기 집수조(500)는 상기 건물 외벽 전면의 식생토에 공급될 공급수를 저장하는 부분으로, 상기 공급수는 기본적으로 우수를 저장하여 사용하되, 우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상수도 시설을 연결하여 공급수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수조(500)에는 상기 집수조(500)로 부터 상기 건물외벽의 상단으로 공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520)와 급수관(510)이 설치되어, 상기 급수펌프(520)에 의해 공급수를 상기 급수관(510)을 따라 상기 건물 외벽 전면의 식생토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펌프(520)의 구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수동으로 급수펌프(520)를 구동하거나, 타이머에 의해 시간 단위로 구동될 수도 있고, 상기 전면판(400) 내측에는 수분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수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급수펌프(520)를 구동하여, 상기 식생토에 공급수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녹화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시공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시공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벽면 녹화 장치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될 건물의 외벽 하단부에 집수조(500)를 설치한다.
이후,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물 외벽에 흡습포(424)를 부착한다. 이때, 상기 흡습포(424)는 하단이 상기 집수조(500) 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단은 필요 높이 까지 연장되도록 설치한다.
한편, 상기 건물 외벽에 방수, 방수처리가 필요한 경우, 상기 흡습포(424)를 설치하기 전에 상기 건물외벽에 방수/방근층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시공할 수도 있다.
이후,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물 외벽에 다열로 수직지지대(100)을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대(100)를 지지앵커(112)를 통해 상기 건물 외벽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건물 외벽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수직지지대(100)에는 도 5c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지지채널(700)이 부착된다. 상기 측면지지채널(700)은 상기 경사채널과 동일한 형태로, 상기 양 측단의 상기 수직지지대의 전 길에따라 결합된다.
상기 측면 지지채널(700)은 본 발명에 의한 벽면 녹화 장치의 측면을 마감하는 측면마감판(71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측면 마감판(710)의 후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수조(500)에 급수펌프(520)를 설치하고, 상기 급수펌프(520)와 연결하여 상기 집수조(500)로부터 상기 건물 외벽의 상부까지 급수관(510)을 배관한다.
그리고 상기 집수조(500) 상부에 덮개(530)를 설치하여, 급수를 위한 설치를 마감한다.
다음으로,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조 상부인 지면 상의 최하단부에는 화단블록(600)을 설치하여, 식생공간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수직지지대(100)의 최하단 저면 받침대에 경사지지대를 결합하고, 상기 최하단 저면 받침대의 상부 저면 받침대에 경사지지대 및 연결대를 결합한 이후, 상기 하부 경사지지대 및 연결대에 전면판 및 캡을 고정시켜, 최하단의 식생공간을 형성한다(도 5f 참조).
이때, 양 측면의 마감은 측면마감판(710)을 이용하는데, 상기 측면마감판(710)의 전면은 경사지지대(200)에 고정하고, 후단은 전술한 측면지지채널(700)에 고정한다.
도 5f에는 두 번째 열의 경사지지대가 도시되어야 하나, 이는 공종의 이해를 위해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이후, 소정의 높이까지 경사지지대, 연결대, 전면판 및 캡을 결합하는 시공을 반복하여, 설계 높이까지 식생공간을 형성한다(도 5g 참조).
한편, 상기 식생공간에는 식생토를 충진하게 되는데, 상기 식생토는 각열의 식생공간이 형성되면, 순차적으로 충진할 수도 있고, 전체 설계 높이까지 시공을 완료한 이후에 일괄적으로 충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식생토는 동일한 흙을 이용하여 충진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 벽면 방향의 내측은 배수가 용이하고 흡습성이 있는 경량골재(810)를 식생토로 이용하고, 전면부는 식물의 생육에 효과적인 개량토(830)를 식생토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량골재(810)와 개량토(830)가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경량골재(810)와 개량토(830) 사이에 부직포(82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건축물 녹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벽면 또는 담장에 수직지지대, 전면판, 연결대 및 경사지지대를 설치하여 건축물 전면에 일정량의 토양을 채움으로써 안정적인 식재공간을 조성하고, 충분한 생육토심을 확보가능한 벽면녹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 전면에 일정량의 토양을 부착함으로써 건축물의 침식 및 온도변화저감에 따른 수명 연장효과, 보온 및 단열에 의한 에너지 절감효과, 도심열섬저감 및 건조방지 등의 미기후 조절효과, 식재된 식물의 광합성에 의한 CO2 흡수 및 저장효과, Biotop 및 Stepping Eco-corridor 등의 도심생태복원 효과, 도심 미관 및 경관 개선효과 및 녹시율 증가에 따른 심미적 효과를 제공하며, 생태면적률 확보를 위한 자연순환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100 : 수직지지대 110 : 저면받침대
112 : 지지공 120 : 지지앵커
200 : 경사지지대 210 : 체결공
220 : 제2결합너트 230 : 제1결합너트
300 : 연결대 310 : 배면결합공
320 : 전면결합공 400 : 전면판
410 : 제2관통공 420 : 제1관통공
422 : 방수방근층 424 : 흡습포
430 : 캡 440 : 너트공
500 : 집수조 510 : 급수관
700 : 측면지지채널 710 : 측면마감판

Claims (7)

  1. 건물 외벽에 후단부가 고정되고, 전방으로 연장된 저면받침대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다수 열로 구비되는 수직지지대와;
    후단부가 상기 저면받침대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대와;
    하부가 하층의 저면받침대에 결합되고, 상부가 상층의 연결대 전단에 결합되는 경사지지대; 그리고
    상기 경사지지대 내측에 구비되는 판재로, 상부의 내측면은 상기 연결대 전단과 접하고, 외측면은 상기 경사지지대와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결대 및 상기 경사지지대와 결합되는 전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면판 내측과 상기 건물 외벽 사이에는 식생을 위한 식생토가 충진되되,
    벽면측에는 상단관수가 하층까지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배수가 용이하고 흡습성이 있는 경량골재가 채워지고;
    상기 전면판 측에는 수목식재용 개량토가 채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는,
    'ㄱ'자 형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면받침대는 상방으로 소정의 각으로 경사지고, 하단 및 일측면이 상기 수직지지대 내측에 결합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대는,
    장방형 중공각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면의 일부가 개구된 채널형태로 형성되고, 채널의 중공 내부에 상기 전면판 및 연결대와 볼트체결을 위한 결합너트가 구비되며, 하단에는 상기 저면받침대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직지지대 중 건물 외벽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수직지지대에는 'ㄷ'형 채널인 측면지지채널이 결합되고;
    각 층의 측면부는 상기 수직지지대 및 경사지지대에 결합되는 측면마감판에 의해 차폐되어 식생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 장치.
  5. 건축물의 외벽을 녹화하는 벽면 녹화 장치를 시공함에 있어,
    (A) 건물 외벽에 수직지지대를 다열로 고정하는 단계와;
    (B) 제1열의 경사지지대들의 하단을 상기 수직지지대에 구비된 제1열의 저면 받침대와 결합하는 단계와
    (C) 상방 열의 경사지지대 하단 및 연결대 후단을 상방 열의 저면 받침대와 결합하는 단계와;
    (D) 제1열 전면판을 제1열 경사지지대 배면에 구비시키고, 제1열의 경사지지대 및 제2열의 연결대 전단과 결합하는 단계와;
    (E) 상기 제1열 전면판과 상기 건물외벽 사이의 이격 공간에 식생토를 충진하는 단계와;
    (F) 상기 (C) 단계 내지 제 (E) 단계를 설계 높이까지 반복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고:
    상기 벽면 녹화 장치는,
    건물 외벽에 후단부가 고정되고, 전방으로 연장된 저면받침대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다수 열로 구비되는 수직지지대와;
    후단부가 상기 저면받침대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대와;
    하부가 하층의 저면받침대에 결합되고, 상부가 상층의 연결대 전단에 결합되는 경사지지대; 그리고
    상기 경사지지대 내측에 구비되는 판재로, 상부의 내측면은 상기 연결대 전단과 접하고, 외측면은 상기 경사지지대와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결대 및 상기 경사지지대와 결합되는 전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면판 내측과 상기 건물 외벽 사이에는 식생을 위한 식생토가 충진되되,
    벽면측에는 상단관수가 하층까지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배수가 용이하고 흡습성이 있는 경량골재가 채워지고;
    상기 전면판 측에는 수목식재용 개량토가 채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 장치의 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A)단계의 시공 전에,
    (Ⅰ) 건물외벽 하단부에 공급수를 저장하기 위한 집수조를 형성하는 단계와;
    (Ⅱ) 건물 외벽에 상기 집수조로부터 공급수를 흡수하여 채움토에 공급하는 흡습포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 장치의 시공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A)단계의 시공 전에,
    (ⅰ) 건물외벽 하단부에 공급수를 저장하기 위한 집수조를 형성하는 단계와;
    (ⅱ) 상기 집수조의 공급수를 상기 식생토에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관 및 급수펌프를 포함하는 급수시설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 장치의 시공 방법.
KR1020110032516A 2011-04-08 2011-04-08 벽면 녹화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42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516A KR101142352B1 (ko) 2011-04-08 2011-04-08 벽면 녹화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516A KR101142352B1 (ko) 2011-04-08 2011-04-08 벽면 녹화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352B1 true KR101142352B1 (ko) 2012-05-18

Family

ID=4627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516A KR101142352B1 (ko) 2011-04-08 2011-04-08 벽면 녹화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3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078B1 (ko) 2012-09-28 2014-07-01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생육모듈
KR20170142060A (ko) * 2016-06-16 2017-12-27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벽면 녹화시스템
KR20190037752A (ko) 2017-09-29 2019-04-08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하이브형 벽면녹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925B1 (ko) * 2004-01-19 2006-05-17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조립식 식생 방음벽
KR100647211B1 (ko) * 2006-03-28 2006-11-2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벽천 꽃조형물과, 이를 이용한 생태방음벽녹화시스템의 설계방법
KR100794671B1 (ko) * 2007-02-27 2008-01-14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구조물의 노출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설치구조
KR20090060850A (ko) * 2007-12-10 2009-06-15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식생 보강패널과 이를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925B1 (ko) * 2004-01-19 2006-05-17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조립식 식생 방음벽
KR100647211B1 (ko) * 2006-03-28 2006-11-2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벽천 꽃조형물과, 이를 이용한 생태방음벽녹화시스템의 설계방법
KR100794671B1 (ko) * 2007-02-27 2008-01-14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구조물의 노출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설치구조
KR20090060850A (ko) * 2007-12-10 2009-06-15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식생 보강패널과 이를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078B1 (ko) 2012-09-28 2014-07-01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생육모듈
KR20170142060A (ko) * 2016-06-16 2017-12-27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벽면 녹화시스템
KR101884200B1 (ko) * 2016-06-16 2018-08-02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벽면 녹화시스템
KR20190037752A (ko) 2017-09-29 2019-04-08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하이브형 벽면녹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0020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озеленяемой стены
US7788848B1 (en) Green wall planting module, support structure and irrigation control system
KR101033876B1 (ko) 벽체 전면 녹화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US20180000018A1 (en) Modular growing panel system and method for covering structures with vegetation
CN201957502U (zh) 屋顶种植箱
CN108360761B (zh) 一种雨水利用和减载节水控根的屋顶种植方法
KR100553005B1 (ko) 옥상녹화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JP2007267732A (ja) 屋上緑化システム
KR101030731B1 (ko) 건축 구조물의 벽면 녹화 유닛 및 이의 시공방법
JP4976785B2 (ja) 屋根の緑化システム
KR20140043073A (ko) 잔디 그리드
US20220174886A1 (en) Panel-modular layered wall system for shaping spatial structures
KR101142352B1 (ko) 벽면 녹화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JP4384944B2 (ja) 雨水利用システム
WO2021090665A1 (ja) 農業用ハウス及びその構築方法
DE102017114887B4 (de) Gebäudeflächen-Pflanzsystem und Kulturtopf für Pflanzen
CN205865199U (zh) 一种屋顶绿化植物结构
KR100876938B1 (ko) 지붕 녹화용 식생 유니트
KR101225187B1 (ko)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옥상 녹화장 구조체
KR20130048670A (ko) 경량 식재 모듈 구성으로 식물의 생육, 빗물 여과, 홍수조절 시스템
JP4927038B2 (ja) 緑化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植え込み構造、並びに緑化工法
KR101061465B1 (ko) 농업용 친환경 온실구조물
KR101238336B1 (ko) 녹화조성구조물
CN210247687U (zh) 一种绿化屋顶的结构
JP2012023992A (ja) 建築物に敷設する立体庭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