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577Y1 - 조경용 화분 - Google Patents

조경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577Y1
KR200367577Y1 KR20-2004-0024260U KR20040024260U KR200367577Y1 KR 200367577 Y1 KR200367577 Y1 KR 200367577Y1 KR 20040024260 U KR20040024260 U KR 20040024260U KR 200367577 Y1 KR200367577 Y1 KR 200367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ace
water supply
supply space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복
Original Assignee
(주) 녹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녹지원 filed Critical (주) 녹지원
Priority to KR20-2004-0024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5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5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Abstract

본 고안은 화초를 심는 식재공간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고 있는 급수공간 내에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정화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식재공간으로 유입되기 전에 급수공간에서 소정시간 고여있는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이와 같이 오염된 물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조경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즉, 상기 급수공간의 후면벽 양측에는 상/하로 개구되어 상부가 급수공간의 내측과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연결되어 급수공간에 유입된 물이 소정 수위(水位)에 이를때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버플로우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 사이에는 상기 몸체를 적층할때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유출된 물이 급수공간 내부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유도홈이 형성되며, 상기 급수공간의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연결봉이 돌출 형성되며,상기 각 연결봉의 외주연에는 급수공간에 유입된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화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정화부재의 외주연에는 상부가 상기 식재공간의 바닥면에 위치되어 상기 급수공간의 물을 흡수하여 식재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부직포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조경용 화분{Flowerpot for landscape architecture}
본 고안은 화분, 더욱 상세하게는 식재공간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고 있는 급수공간 내에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정화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식재공간으로 유입되기 전에 급수공간에서 소정시간 급수공간에 고여있는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오염된 물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조경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이트등의 건축물들로 상막해진 도심지의 미관을 쾌적하게 하기 위해 차도나 보도 또는 시가 교통이 번잡한 교차로 중앙에는 여러종류의 조형물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조형물은 그 시공방법에 따라 화초를 담아 인도와 차도의 경계부에 설치하는 화분, 도로시설물 즉, 가로등, 신호등의 기둥 및 교차로등에 설치하는 꽃탑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화분은 차도나 보도에 설치함에 있어 좁은 도로공간에 넓은 면적을 차지함으로써, 보행자 및 차들의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근래에는 꽃탑과 같은 조형물의 시공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데, 이러한 꽃탑은 살아있는 초화를 이용하여 시공한 것으로 상기 초화에는 주기적으로 급수를 해야 그 싱싱함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살수차를 동원하여 물을 살포하여 급수함으로써, 이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234669호는 꽃탑에 용이하게 급수할 수있는 점적식 조경용 화분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꽃탑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꽃탑을 이루는 조경용 화분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꽃탑(10)은 꽃탑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20)과 화초가 심어지는 적재통(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적재통(30)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배수구멍(32)이 형성되며, 상기 적재통(3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물통(20)의 내부에는 상기 물통(20)으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21)과, 상기 공급관(21)을 통해 공급된 물이 물통(20)에 가득차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버플로우관(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20)의 전면벽에는 물통(20)의 물을 적재통(30)으로 유입시켜 화초에 물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개의 통과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적재통(30)에 화초을 심은 후, 공급관(21)을 통해 호스를 관통시켜 적층된 최상부의 물통(20)에 물을 공급하면, 물통(20)에 유입된 물은 상기 물통(20)의 전면벽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과구멍(25)을 통해 적재통(30)으로 이동함으로써, 별도의 살수차에 도움없이 용이하게 화초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며, 최상부의 적재통(30)으로 공급된 물은 그 저면에 형성된 배수구멍(32)에 의해 적층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꽃탑을 이루는 조경용 화분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공급관을 통해 물통으로 유입된 물이 통과구멍을 통해 적재통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적재통에 쌓여 있는 토사에 막혀 장시간에 걸쳐 서서히 유입되기 때문에 물통에 유입된 물은 물통내에서 장시간 고여 있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물통내에서 정체된 상태로 고여 있는 물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미생물이 번식하여 오염되며, 이에 따라 심한 악취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초를 심기 위한 적재통의 부피가 한정되어 다양한 크기의 화초를 심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즉, 미관을 고려한 상태에서 크기가 작은 화초를 적재통에 심을 경우 많은 수량의 화초가 소요되어 설치비용이 증가하며, 적재통의 크기보다 큰 화초를 심을 경우 전체적인 형상이 불균형한 상태가되어 시공 취지와는 반대로 도시미관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 꽃탑의 사용상 제약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식재공간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급수공간 내에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정화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정화부재의 정화작용으로 인해 식재공간으로 유입되기 전에 소정시간 급수공간에 고여있는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이와 같이 오염된 물에 의해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조경용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식재공간과 급수공간을 구획하는 분리편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식재공간의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화초를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는 조경용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급수공간이 구비된 몸체의 일측벽에 투명표시창을 형성하여 급수공간에 유입되는 물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물의 공급시기 및 물을 공급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경용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상기 급수공간의 후면벽 양측에는 상/하로 개구되어 상부가 급수공간의 내측과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연결되어 급수공간에 유입된 물이 소정 수위(水位)에 이를때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버플로우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 사이에는 상기 몸체를 적층할때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유출된 물이 급수공간 내부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유도홈이 형성되며, 상기 급수공간의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연결봉이 돌출 형성되며,상기 각 연결봉의 외주연에는 급수공간에 유입된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화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정화부재의 외주연에는 상부가 상기 식재공간의 바닥면에 위치되어 상기 급수공간의 물을 흡수하여 식재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부직포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꽃탑을 이루는 조경용 화분의 요부 설치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경용 화분 110 : 몸체
120 : 식재공간 130 : 급수공간
131 : 오버플로우관 133 : 유도홈
137 : 정화부재 139 : 부직포
211 : 투명표시창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함에 앞서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고안의 중요한 구성요소중 하나인 숯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숯이란 "신선한 힘"이란 뜻을 지닌 우리말이다. 이러한 숯은 재료 물질을 섭씨 600~900도의 온도에서 일차적으로 탄화시킨 것(C12)을 말하며, 맛과 냄새가 없다. 이와 같이 탄화과정을 거친 숯은 그 자체에 작은 구멍들이 생기게 된다.
한편, 숯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 작은 구멍들이 많이 있어야 하게 때문에 다시 섭씨600~900의 온도에서 같은 공정을 한 번 더 거치게 하는데, 이 과정을 활성화라고 한다. 이와 같은 숯은 일반적으로 탄소가 85%, 수분이 10%, 미네랄이 3%, 및 휘발분이 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숯의 각종 효과를 살펴보면 숯은 음이온을 증가시켜 증가된 음이온에 의해 부교감신경에 영향을 주어 기분을 안정시키고 몸의 긴장을 이완하며,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혈액순환 촉진, 신진대사 촉진, 세포기능 활성화, 생육촉진 작용, 물분자의 활성화작용을 하며, 다량의 수분을 흡수하여 불순물을 분해하고, 이외에도 전자파 차단, 공기정화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숯의 다양한 효과중 본 고안은 숯의 정화기능을 이용하여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경용 화분(100)은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화초를 심기 위한 식재공간(120)과, 상기 식재공간(1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공간(1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는 그 내부 양측에 가이드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112)에는 급수공간(130)과 식재공간(120)을 가변적으로 구획하는 분리편(114)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분리편(114)은 그 하부에 절개홈(11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편(114)은 수직으로 가이드홈(112)에 삽입시 급수공간(130)과 식재공간(120)을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상기 분리편(114)을 가이드홈(112)에서 이탈시켜 상기 식재공간(120)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술할 오버플로우관(131)의 상부에 안착시킴으로써, 식재공간(120)의 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양측 외벽에는 한쌍의 연결고리(G)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G)에는 연결끈(W)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급수공간(130)은 그 후면벽 양측에 상/하로 개구된 오버플로우관(13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오버플로우관(131)의 일측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오버플로우관(131)의 사이에는 유도홈(13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오버플로우관(131)은 그 상부가 급수공간(130)의 내측과 연결되고, 그 하부는 상기 몸체(110)의 외측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오버플로우관(131)은 몸체(110)를 다단으로 적층시 오버플로우관(131)의 하부가 하단에 위치한 몸체(110)의 유도홈(133) 상부와 일치되도록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공간(130)은 그 바닥면에 복수개의 연결봉(135)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결봉(135)의 외주연에는 소정두께를 갖는 정화부재(137)가 삽입되고, 상기 정화부재(137)의 외주연에는 부직포(139)가 감싸여져 있다. 이때, 상기 부직포(139)는 그 상부가 상기 식재공간(120)의 바닥면에 위치되어, 상기 급수공간(130)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식재공간(120)으로 유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급수공간(130)은 식재공간(120)보다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110)를 적층할때 급수공간(130)의 소정길이가 그 하부에 위치한 몸체(110)의 급수공간(130)상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은 물을 저장하는 급수공간의 내측에 별도의 정화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급수공간에 저장된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일련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6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6a,6b를 참조하면, 먼저, 식재공간(120)에 소정의 흙을 담고 각종 화초를 심은 후 조경용 화분(100)을 난간(R)에 거치킨다. 이와 같이 난간(R)에 거치시킨 조경용 화분(100)은 상기 연결끈(W)의 일측을 연결고리(G)에 묶고, 그 타측은 난간(R)의 외주연을 감싼 후 상기 연결고리(G)와 소정간격 이격된 연결고리(G)에 묶음으로써, 난간(R)에 조경용 화분(100)을 견고히 연결한다.
이후, 상기 급수공간(130)에 물을 유입시키면, 유입된 물은 부직포(139)에 흡수된다. 이와 같이 부직포(139)에 흡수된 물은 부직포(139)의 상부가 절개홈(116)을 통해 식재공간(120)에 위치되어 상기 부직포(139)를 따라 식재공간(120)으로 유입됨으로써, 화초에 물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조경용 화분(100)을 난간(R)에 설치시에는 분리편(114)을 이탈시켜 오버플로우관(131)의 상부에 안착시킴으로써, 식재공간(120)의 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경용 화분(100)을 이용하여 꽃탑을 만들 경우, 상기 하방으로 돌출된 급수공간(130)의 소정길이를 그 하부에 위치하는 몸체(110)의 급수공간(130) 상부에 삽입하여 다단으로 적층시킨다. 이에 따라 다단으로 적층된 최상단의 급수공간(130)에 물을 주입하면, 상기 급수공간(130)의 소정수위 즉, 오버플로우관(131)의 높이와 일치하는 높이까지 공급되고, 배출되는 물은 오버플로우관(131)을 통해 그 하부에 위치한 몸체(110)의 유도홈(133)을 통해 급수공간(130)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의 반복을 통해 최상단에 위치한 몸체(110)의 급수공간(130)에 물을 주입하면 최하단에 위치한 몸체(110)의 급수공간(130)까지 물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급수공간(130)의 내측에 구비된 정화부재(137)가 소정시간동안 급수공간(130)에 머무는 물을 정화함으로써, 상기 급수공간(130)의 물이 장시간 고여 있어도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는 식재공간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급수공간의 물이 장시간 고여 있어도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식재공간, 급수공간 및 급수공간에 설치된 정화부재등의 구성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은동일한 참조번호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경용 화분(200)은 급수공간(130)이 구비된 몸체(110)의 일측에 투명표시창(211)을 설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조경용 화분(200)을 이용하여 꽃탑을 설치할 경우, 상기 투명표시창(211)을 통해 급수공간(130)에 유입된 물의 양을 확인함으로써, 물의 보충시기 및 물을 공급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조경용 화분은 식재공간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급수공간 내에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정화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식재공간으로 유입되기 전에 일정시간동안 급수공간에 고여있는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이와같이 오염된 물에 의해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재공간과 급수공간을 구획하는 분리편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식재공간의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화초를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급수공간이 구비된 몸체의 일측벽에 투명표시창을 형성하여 급수공간에 유입되는 물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물의 공급시기 및 물을 공급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화초를 심기 위한 식재공간(120)과 상기 식재공간(1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공간(130)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110)를 적층 또는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화분에 있어서,
    상기 급수공간(130)의 후면벽 양측에는 상/하로 개구되며, 상부가 급수공간(130)의 내측과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몸체(110)의 외측으로 연결되어 급수공간에 유입된 물이 소정 수위(水位)에 이를 때 상기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버플로우관(13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131) 사이에는 상기 몸체(110)를 적층할때 오버플로우관(131)을 통해 유출된 물이 급수공간(130) 내부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유도홈(133)이 형성되며,
    상기 급수공간(130)의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연결봉(135)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각 연결봉(135)의 외주연에는 급수공간(130)에 유입된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화부재(137)가 삽입되고, 상기 정화부재(137)의 외주연에는 상부가 상기 식재공간(120)의 바닥면에 위치되어 상기 급수공간(130)의 물을 흡수하여 식재공간(120)으로 공급하기 위한 부직포(139)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공간(130)과 식재공간(120)사이에는 가이드홈(112)을 따라 삽입/이탈되며 급수공간(130)과 식재공간(120)을 가변적으로 구획하기 위한 분리편(114)이 구비되며, 상기 분리편(114)의 하부에는 상기 식재공간(120)에 위치되는 부직포(139)의 상부를 관통시키기 위한 절개홈(116)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화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재(137)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화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공간(130)의 일측벽에는 급수공간(130)내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표시창(21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화분.
KR20-2004-0024260U 2004-08-25 2004-08-25 조경용 화분 KR200367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260U KR200367577Y1 (ko) 2004-08-25 2004-08-25 조경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260U KR200367577Y1 (ko) 2004-08-25 2004-08-25 조경용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577Y1 true KR200367577Y1 (ko) 2004-11-15

Family

ID=4935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260U KR200367577Y1 (ko) 2004-08-25 2004-08-25 조경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57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468B1 (ko) 2005-12-09 2006-03-15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도로 조경용 화단
KR100904660B1 (ko) * 2008-06-11 2009-06-24 김웅식 수목재배용 물공급 장치
WO2014123259A1 (ko) * 2013-02-07 2014-08-14 주식회사 그리움 벽면 조경용 플랜터
KR101505181B1 (ko) 2013-04-02 2015-03-25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수조 일체형 화분
KR20160011289A (ko) * 2014-07-21 2016-02-01 한태환 식물 액자용 수분 케이스
KR20210009746A (ko) * 2019-07-17 2021-01-27 (주)인성테크 벽면 설치용 식물 포트의 적층 설치 구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468B1 (ko) 2005-12-09 2006-03-15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도로 조경용 화단
KR100904660B1 (ko) * 2008-06-11 2009-06-24 김웅식 수목재배용 물공급 장치
WO2009151293A2 (ko) * 2008-06-11 2009-12-17 Kim Woong Sik 수목재배용 물공급 장치
WO2009151293A3 (ko) * 2008-06-11 2010-03-25 Kim Woong Sik 수목재배용 물공급 장치
WO2014123259A1 (ko) * 2013-02-07 2014-08-14 주식회사 그리움 벽면 조경용 플랜터
KR101505181B1 (ko) 2013-04-02 2015-03-25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수조 일체형 화분
KR20160011289A (ko) * 2014-07-21 2016-02-01 한태환 식물 액자용 수분 케이스
KR101668598B1 (ko) * 2014-07-21 2016-10-26 한태환 식물 액자용 수분 케이스
KR20210009746A (ko) * 2019-07-17 2021-01-27 (주)인성테크 벽면 설치용 식물 포트의 적층 설치 구조
KR102281940B1 (ko) 2019-07-17 2021-07-26 (주)인성테크 벽면 설치용 식물 포트의 적층 설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8944B2 (ja) 浄化された路面排水を利用する緑化装置
KR101963203B1 (ko) 식물 트레이
US20110225883A1 (en) Vegetation wall
KR101577378B1 (ko)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KR200367577Y1 (ko) 조경용 화분
KR200207813Y1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CN212812966U (zh) 一种市政绿色植物种植装置
CN205284348U (zh) 墙体绿化系统
CN201690832U (zh) 一种高架花盆
KR20100055191A (ko) 화분장치
KR20080011252A (ko) 바이오 누드화분
CN204031929U (zh) 一种蓄水种植箱
CN208250858U (zh) 一种基于水源地保护的道路雨水处理及利用一体化系统
CN206728676U (zh) 防阻塞叠垒式花盆及其叠垒组合形成的立体绿化墙面
KR200295053Y1 (ko) 다용도 화분
CN205348272U (zh) 拼插式微型水分滞留调蓄模块
CN105613095B (zh) 室内组装式垂直绿化模块组件
CN212801059U (zh) 一种植草砖的铺装结构
CN104272995A (zh) 花盆托盘
TWM573565U (zh) Water-free planting equipment
CN108385469A (zh) 一种基于水源地保护的道路雨水处理及利用一体化系统
CN211241411U (zh) 一种城市种植树池
CN215174617U (zh) 一种可集水种植花卉的园林景观路灯
CN115506447B (zh) 一种雨水收集装置
CN207400010U (zh) 一种中草药类植物栽培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