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107A -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 - Google Patents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107A
KR20190121107A KR1020180044648A KR20180044648A KR20190121107A KR 20190121107 A KR20190121107 A KR 20190121107A KR 1020180044648 A KR1020180044648 A KR 1020180044648A KR 20180044648 A KR20180044648 A KR 20180044648A KR 20190121107 A KR20190121107 A KR 20190121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gabion
eco
drainag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수
이현석
사공집
Original Assignee
김갑수
주식회사 우리들조경
주식회사 에코앤휴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수, 주식회사 우리들조경, 주식회사 에코앤휴먼 filed Critical 김갑수
Priority to KR1020180044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1107A/ko
Publication of KR20190121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1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7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or impeding fall or injuries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에 관한 것으로서, 환풍구 측면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접근을 차단하여 안전을 확보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The environment friendly multi-function vegetation gabion}
본 발명은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변에 조성된 환풍구 측면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접근을 차단하고, 경관적으로 아름다운 가로 정원의 조성이 가능한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에 관한 것이다.
가로변에 조성된 환풍구는 성인이라면 간단하게 올라설 수 있는 높이로, 사고를 유발할 수 있음에도 별도의 안전장치나 경고문구를 찾아볼 수 없다.
이에 환풍구를 일정높이 이상으로 하거나, 환풍구 측면에 가로수를 심는 등의 안전조치가 필요하다.
한편, 가로수를 식재할 수 있는 곳은 도로 폭이 넓으며 토양이 풍부한 지역에 한정되므로 교량이나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콘크리트 층 상부의 지역에서는 가로수를 식재할 수가 없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흙과 식생이 수용된 개비온을 환풍구 측면에 설치하여 보행자의 접근을 차단하여 안전을 확보하고, 경관적으로 아름다운 가로 정원의 조성이 가능하다.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12788호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통상적인 개비온은 육면체 철망 구조체에 잡석 등의 채움재를 넣어 제작되며, 이는 별도의 배수관이 없어 유입된 물이 채움재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배수되므로, 환풍구 측면에 설치되면 배출된 물이 환풍구를 통해 흘러 지하로 유입되는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식생이 수용되는 경우, 정기적으로 식생에 물을 공급해 주어야 하므로, 관리가 쉽지 않고 비용이 많이 들뿐 아니라 인력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야간에는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으므로 보행자와의 충돌로 인한 파손의 위험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012788 (2011.02.0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환풍구 측면에 설치되어, 강우시 유입된 빗물을 저장하여 식생에 자동 공급함은 물론, 잉여수는 도로쪽으로 배출하여 환풍구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야간에 가시성을 확보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메쉬망 구조체와; 상기 메쉬망 구조체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어 다수의 석재를 수용하는 석재충전부와; 상기 석재충전부의 상부면 중앙에 함몰되어 형성되며, 흙과 식생이 수납되는 식생수납부와; 상기 석재충전부의 하방에 구비되어, 강우시 상기 석재충전부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빗물을 기설정된 방향을 따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은, 지하철 환풍구의 테두리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쉬망 구조체는, 하부 바닥면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다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은, 상기 석재충전부와 상기 배출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강우시 낙하하는 빗물을 저장하는 우수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우수저장부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우수저장부에 저장되고 남은 잉여수를 기설정된 방향을 따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수저장부는, 둘레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을 가진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면에 형성된 월류벽과, 상기 월류벽의 내부에 형성되어 빗물을 수용하는 우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수조는, 상기 우수조의 내부에 구비되어, 우수조 내에 수용된 빗물을 식생으로 공급하는 다수의 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은, 상기 석재충전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석재충전부를 통해 낙하하는 빗물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하측에 형성된 우수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기 위한 스크린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은, 상기 메쉬망 구조체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구비되며 재귀반사성 또는 야광 특성을 갖는 경계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계식별부는, 외측면에 문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표현되어 형성되는 정보전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부는, 잉여수를 저장하는 배수조와, 상기 배수조 바닥면 중심에 형성된 배수공과, 상기 배수공과 연결되어 착탈 가능하며, 상기 잉여수를 원하는 위치에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배수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조는, 바닥면이 가장자리에서 상기 배수공의 방향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유도관은, 상기 배수공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관의 하부에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유도관의 선단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이웃하는 다른 배수유도관의 후단에 억지끼워맞춤 결합 또는 형상끼워맞춤 결합되는 제2 결합을 구비하며, 상기 배수유도관의 후단은 개방된 상기 후단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시키도록 상기 후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에서 배출부의 배수공과 연결되는 배수유도관은 상기 배수공을 통해 흐른 잉여수를 안내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잉여수를 환풍구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우수저장부의 우수조와 심지를 활용하여, 우천시에 낙하하는 빗물을 저장하여, 이를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급수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력으로 식물에 정기적으로 물을 공급해 줄 필요가 없어 관리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원활한 물 공급으로 인해 식물의 생육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귀반사성 또는 야광특성을 갖는 경계식별부를 구비함으로써,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는 야간에도 보행자는 보행 경로와 설치된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야간 보행 안전성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보행자와의 충돌로 인한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개비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을 환풍구 측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라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식생개비온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메쉬망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배수공 및 배수유도관 간의 결합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배수유도관 간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배수유도관 간의 결합에 의한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3의 A-A`선에 따라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식생개비온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A-A`선에 따라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식생개비온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을 환풍구 측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 표현들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기 않는 이상 복수형도 포함한다 할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개비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개비온은 철망으로 하나의 상자를 만들고 그 안에 채움재를 채워넣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이는 옹벽쌓기, 사면보호시설, 하천보호시설, 세굴방지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이유는 개비온이 시공이 간편하고 투수성이 좋으며 굴요성을 갖는 환경 친화적인 구조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별도의 배수관이 없어 유입된 물이 채움재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배수되므로 배수 위치를 지정할 수 없고, 배수된 물에 의해 노면이 더럽혀진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설치 구역이 제한적이다.
즉, 가로변에 조성된 환풍구 측면에 설치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개비온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환풍구(2000)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보행자의 접근을 차단하여 안전을 확보하는 안전장치로써 이용되기 위해 고안되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가로변에 설치된 변압기 및 개폐기를 포함한 전력기기의 테두리부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력기기는 보도상에 설치되어 있어, 시민보행에 불편을 주며, 동시에 도시 미관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을 상기 전력기기의 테두리부에 설치함으로써, 쾌적한 도심가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상기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은 구성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의 사시도인 도 3의 A-A`선에 의해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은 개략적으로 메쉬망 구조체(100), 석재충전부(300), 식생수납부(400), 배출부(600)로 구성되며, 상기 메쉬망 구조체(10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부착되는 경계식별부(700)를 더 포함한다.
이하 상기 각 구성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메쉬망 구조체(100)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메쉬망 구조체(100)는 석재충전부(300), 식생수납부(400), 배출부(6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메쉬망 구조체(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과 바닥면 형성을 위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곽프레임(130)과, 망체(110), 하부 바닥면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다리(150)를 구비한다.
상기 망체(110)는 외곽프레임(13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복수의 와이어를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격자형상으로 교차시켜 외곽프레임(130)의 내부영역을 채움으로써 식생 개비온의 견고성을 유지하여 형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망체(110)는 격자형상 외에도, 육각, 다이아몬드 또는 벌집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망체(110)의 재료는 설치 장소 및 목적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국내에 유통되는 제품으로는 흑철선 패널, 아연알루미늄합금도금 패널, 용융아연도금 패널, 스테인리스 패널, 흑철선 컬러도장 패널 등이 일반적이다.
흑철선은 별도의 코팅이나 가공을 전혀 거치지 않은 철선으로, 세월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녹이 발생하여 빈티지한 느낌을 주고 싶을 때나 조경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흑철선에 용융아연도금 과정과 컬러 도장을 하여 녹을 방지하거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외부환경에 설치되는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의 경우, 흑철선의 녹에 의한 녹물이 흘러 노면을 더럽히고, 하수도로 흘러들어가 수질 오염원이 되기도 하므로 특수 아연도금, PVC 코팅, 알루미늄합금 처리가 된 망체(11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지지다리(1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이는 도 4를 참조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다리(150)를 통해 상기 메쉬망 구조체(10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어 지지되며, 이로 인해 상기 메쉬망 구조체(100)와 지면사이의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메쉬망 구조체(100)는 후술할 배출부(600)의 배수유도관(650)을 수용할 수 있는 높이로 이격되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석재충전부(3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석재충전부(300)는 상기 메쉬망 구조체(10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어 다수의 석재(310)를 수용한다.
상기 석재충전부(300)에 수용되는 석재(310)는 깬 돌이나 조약돌과 같은 자연석을 이용하므로 친환경적이고, 내구성과 배수성이 뛰어나다.
또한, 상기 석재(310)의 크기는 개비온 디자인이나, 규모,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망체(110) 구멍 크기에 비해 석재(310)의 크기가 너무 작을 경우 쏟아져 나올 수 있으므로, 망체(110) 구멍 크기에 맞는 석재(310)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석재충전부(300)의 상부면 중앙에는 함몰홈이 형성되며, 상기 함몰홈에는 흙과 식생이 수납되는 식생수납부(400)가 형성된다.
상기 식생수납부(400)는 흙이 채워지고 식생이 식재됨으로써 녹지 환경 조성을 가능하게 만들어 준다.
또한, 상기 식생수납부(400)를 구비한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을 가로변에 설치함으로써 경관적으로 아름다운 가로 정원의 조성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배출부(6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배출부(600)는 상기 석재충전부(300)의 하방에 설치되어, 강우시 상기 석재충전부(300)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되, 원하는 위치에서 배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출부(600)는 배수조(610), 배수공(630), 배수유도관(6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조(610)는 낙하된 빗물을 저장하여, 상기 배수조(610) 바닥면 중심에 형성된 배수공(630)으로 흘려보낸다.
상기 배수조(610)의 바닥면은 가장자리에서 상기 배수공(630)의 방향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배수조(610)에 모인 빗물이 경사면을 따라 흘러 배수공(630)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유도관(650)은 상기 배수공(630)과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배수공(630)과 연결되어 상기 배수조(610)에 모인 빗물을 원하는 위치에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수유도관(650)의 형상 및 상기 배수공(630)과 상기 배수유도관(650) 간의 결합은 분해 사시도인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유도관(650)은 제1 결합관(651), 제2 결합관(653), 마개(6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결합관(651)은 상기 배수공(630)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 결합관(651) 하부는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선단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다른 배수유도관(650)의 후단에 끼움 결합되는 제2 결합관(653)이 형성되며, 후단은 필요에 따라 밀폐시켜 줄 수 있는 마개(655)를 포함한다.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수의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을 설치할 경우, 각각의 배수유도관(650) 간의 결합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하며, 배수유도관(650) 간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인 도 7을 참고하고자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유도관(650)의 선단에 형성된 제2 결합관(653)은 다른 배수유도관(650)의 후단과 끼움 결합된다.
즉, 다수의 배수유도관(650)이 결합되는 경우, 각각의 배수유도관(650)의 선단과 후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최 후단에 위치하는 배수유도관(650)의 후단에는 마개(655)를 사용하여 밀폐시킨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을 설치하는 경우, 석재충전부(300)를 통해 낙하한 빗물은 하방에 위치한 배수조(610) 및 배수공(630)을 통과하여 배수유도관(650)으로 흘러 모이며, 연결된 배수유도관(650) 방향으로 빗물이 흘러 원하는 위치에서 배수되도록 안내된다.
다음은 상술한 배수유도관(650) 간의 결합에 따른 배수 경로를 살펴보고자 하며, 이는 배수유도관(650) 간의 결합에 의한 사용상태 평면도인 도 8을 참조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1000)이 환풍구(2000)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경우, 배수유도관(650)의 선단에 위치한 제2 결합관(653)과 다른 배수유도관(650)의 후단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배수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배수 경로를 따라 빗물이 흘러 원하는 위치에서 빗물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유도관(650)은 필요에 따라, 1자 형태, L자 형태 등 여러 형태로 제작 가능하므로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필요한 배수유도관(650)의 형상을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을 통해 배수되는 빗물은 주변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연결된 배수유도관(650)을 통해 안내되는 배수구에서 배수가 이루어지므로, 주변이 더럽혀지지 않아 노면을 더욱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경계식별부(700)는 상기 메쉬망 구조체(10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부착되며, 재귀반사성 또는 야광특성을 갖는 유연성 원단 재질로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발광 효과가 있는 야광부재 또는 재귀반사 부재가 코팅 및 부착되어 있는 유연성 원단 재질의 밴드 형식으로 제작되어, 상기 메쉬망 구조체(100)에 탈부착 가능하다.
이때 재귀반사성이란, 광원으로부터 빛이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광원으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의미한다.
상술한 특징에 기인하여 발광을 위한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아, 이를 통해 전체 구성을 간소화하는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는 야간에 상술한 야광특성과 재귀반사성에 의하여 보행자는 보행 경로와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야간 보행 안전성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보행자와의 충돌로 인한 상기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상기 경계식별부(700)의 재질은 유연성 및 절곡, 굽힘 등의 기계강도가 우수하므로, 쉽고 빠른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과정에서 변형 또는 파손될 우려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식별부의 내주면은 스티로폼, 스펀지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단열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냉기를 차단하여, 화분 안의 뿌리를 보호하고, 동파를 방지하며, 여름철에는 더운 외부로부터 어느 정도 열을 차단하여 수용된 빗물의 부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계식별부(700)는 외측면에 문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표현되어 형성되는 정보전달면(7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정보전달면(710)은 외관을 장식하거나, 광고, 홍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행자에게 특정 정보를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또한, 주변 상업, 공공건물의 다양한 디자인과 테마에 맞추어 자유로운 변경이 가능하다.
덧붙여,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상기 경계식별부(700)의 효과를 설명하고자 하며, 이는 도 3의 부분절개 사시도인 도 9를 참조한다.
상기 경계식별부(700)는 메쉬망 구조체(1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메쉬망 구조체(100)의 내부 구조를 가려줌으로써 보다 외면을 깔끔해 보이도록 연출하고, 발수성이 있는 원단을 사용하여 석재충전부(300)를 통해 낙하한 빗물이 석재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배수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으로 제1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마치며, 도 10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0는 도 3의 A-A`선에 따라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식생개비온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은 메쉬망 구조체(100), 석재충전부(300), 식생수납부(400), 배출부(600), 경계식별부(700)를 포함하며, 이는 도 4 등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러나, 제1 실시예와 달리 제2 실시예는 상기 석재충전부(300) 하측에 스크린 필터(200)와 우수저장부(500)를 더 구비하며, 먼저 상기 우수저장부(5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우수저장부(500)는 석재충전부(300)와 배출부(600) 사이에 설치되어, 강우시 낙하하는 빗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우수저장부(500)는 둘레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511)을 가진 지지대(510)와, 상기 지지대(510)의 상부면 중심에 형성된 월류벽(530)과, 상기 월류벽(530) 내부 빗물을 수용하는 우수조(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우수저장부(500)는 상기 월류벽(530)에 의해 형성되는 우수조(550) 내부 공간만큼 일부 빗물을 수용하며, 수심이 상기 월류벽(530)의 높이보다 높아지게 되면 잉여수는 월류하여, 상기 관통공(511)을 통해 후방에 배치된 배출부(600)로 유입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일부 빗물만 수용되며 상기 잉여수는 상기 배출부(600)의 배수유도관(650)을 따라 흘러 외부로 배수되게 된다.
즉, 상술한 월류시스템에 의해 우천시에 상기 우수조(550)에 저장되는 빗물의 양이 일정 수위를 넘지 않도록 하여, 식생이 물에 잠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여수는 이물질 등 고형물이 제거된 상태로 외부로 배수되므로 노면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우수조(550)에 모인 빗물은 침강분리에 의해 빗물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의 고형물은 우수조(550) 바닥에 침전되고, 상등수가 상기 월류벽(530)을 넘쳐 흐르므로, 보다 깨끗한 상태의 정화된 빗물이 배출부(600)로 흘러 배출부(600)의 배수공(630) 및 배수유도관(650)의 막힘 현상을 방지 및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수조(550) 내부에는 다수의 심지(570)가 설치되어, 상기 우수조(550) 내에 수용된 빗물을 식생으로 공급한다.
상기 심지(570)는 부직포 직물 또는 섬유사, 스펀지 등 물이 스며드는 재질로 형성되며, 심지(570)의 하부면은 우수조(550)의 저면에 위치하고, 상부면은 식생수납부(400)에 수용된 흙속에 파묻힐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심지(570)를 통해 우수조(550)에 모인 빗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흙에 스며들도록 하여 항상 식생에 적당한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스크린 필터(200)는 상기 석재충전부(300)와 상기 우수저장부(50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필터(200)는 상기 석재충전부(300)를 통해 낙하하는 빗물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써, 빗물 속에 포함된 이물질 및 벌레가 상기 우수저장부(500)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악취 및 해충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배출부(600)의 배수공(630) 및 배수유도관(650)의 막힘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상 제2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마치며, 상술한 제2 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상기 우수저장부(500)는 우천시에 낙하하는 빗물을 저장하여 비가 오지 않을 때,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식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장기간 비가 내리지 않아도 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주지 않아 생육기간을 연장할 수 있으며, 이를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급수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관리자가 인위적으로 물을 주는 번거로움과 물 부족을 해결하는 한편, 빗물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면관수 시스템을 활용하므로 식생수납부(400)의 흙 전체에 골고루 수분이 퍼져 식생의 잔뿌리 전부가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다.
둘째, 상기 석재충전부(300)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빗물은 스크린 필터(200)를 통과하면서 일차로 여과되어 이물질이 제거된다.
또한, 여과된 빗물은 하측에 형성된 우수저장부(500)에 저장되며, 상기 우수저장부(500)의 월류시스템을 통해 잔류 이물질이 침강 분리되는 이차 여과과정을 거쳐 빗물은 보다 깨끗한 상태로 정수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보다 깨끗한 상태의 빗물이 배출부(600)로 흐르므로 상기 배출부(600)의 배수공(630) 및 배수유도관(650)의 막힘을 방지하여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며, 외부로 배출 시 노면을 더럽히지 않아, 더욱 청결한 노면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제2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마치며,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은 메쉬망 구조체(100), 석재충전부(300), 식생수납부(400), 배출부(600), 경계식별부(700)를 포함하며, 이는 도 4 등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러나, 제1 실시예와 달리 제3 실시예는 외곽프레임(13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격벽 고정 프레임(810)과, 상기 격벽 고정 프레임(810)의 내주면과 상기 경계식별부(700)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격벽(8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격벽 고정 프레임(810)은, 상기 외곽프레임(130)의 외측에서 수평으로 외향 돌출되되, 끝단에서 일정 높이 수직으로 상향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경계식별부(700)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격벽(800)이 삽입될 수 있는 일정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격벽 고정 프레임(810)의 수직 높이는 상기 격벽(800)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이 환풍구(2000)의 테두리부에 설치되는 경우, 환풍구(2000) 측에 위치하는 외곽프레임(130)의 하부에 상기 격벽 고정 프레임(8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820)를 이용하여 상기 외곽프레임(130)의 외측에 고정되되, 불필요한 경우, 해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격벽(800)은 상기 경계식별부(700)와 상기 격벽 고정 프레임(810)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판상 형태로 제작되며, 별도의 체결 부재 필요없이, 상기 내부 공간에 안착되어 상기 격벽 고정 프레임(810)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격벽(800) 삽입 시, 상기 격벽(800)은 식생수납부(400)에 식재된 식생보다 높은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식생으로부터 떨어지는 잎을 포함한 이물질들이 환풍구(2000)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가림막 역할을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보행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을 환풍구 측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풍구 측면에 다수의 상기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을 설치하는 경우, 환풍구 측에 위치하는 상기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의 일측에 격벽을 구비하여 식생으로부터 발생하는 잎, 또는 벌레와 같은 이물질이 환풍구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 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00 : 다기능 식생개비온
2000 : 환풍구
100 : 메쉬망 구조체
110 : 망체
130 : 외곽프레임
150 : 지지다리
200 : 스크린 필터
300 : 석재충전부
301 : 석재
400 : 식생수납부
500 : 우수저장부
510 : 지지대
511 : 관통공
530 : 월류벽
550 : 우수조
570 : 심지
600 : 배출부
610 : 배수조
630 : 배수공
650 : 배수유도관
651 : 제1 결합관
653 : 제2 결합관
655 : 마개
700 : 경계식별부
710 : 정보전달면
800 : 격벽
810 : 격벽 고정 프레임
820 : 체결 부재

Claims (5)

  1. 메쉬망 구조체와;
    상기 메쉬망 구조체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어 다수의 석재를 수용하는 석재충전부와;
    상기 석재충전부의 상부면 중앙에 함몰되어 형성되며, 흙과 식생이 수납되는 식생수납부와;
    상기 석재충전부의 하방에 구비되어, 강우시 상기 석재충전부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빗물을 기설정된 방향을 따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은,
    상기 석재충전부와 상기 배출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강우시 낙하하는 빗물을 저장하는 우수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우수저장부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우수저장부에 저장되고 남은 잉여수를 기설정된 방향을 따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은,
    상기 메쉬망 구조체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구비되며 재귀반사성 또는 야광 특성을 갖는 경계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잉여수를 저장하는 배수조와, 상기 배수조 바닥면 중심에 형성된 배수공과, 상기 배수공과 연결되어 착탈 가능하며, 상기 잉여수를 원하는 위치에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배수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관은,
    상기 배수공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관의 하부에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유도관의 선단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이웃하는 다른 배수유도관의 후단에 억지끼워맞춤 결합 또는 형상끼워맞춤 결합되는 제2 결합을 구비하며,
    상기 배수유도관의 후단은 개방된 상기 후단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시키도록 상기 후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
KR1020180044648A 2018-04-17 2018-04-17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 KR20190121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648A KR20190121107A (ko) 2018-04-17 2018-04-17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648A KR20190121107A (ko) 2018-04-17 2018-04-17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107A true KR20190121107A (ko) 2019-10-25

Family

ID=68420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648A KR20190121107A (ko) 2018-04-17 2018-04-17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11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8006A (zh) * 2020-12-11 2021-03-30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一种具有观赏性的立体智能化城市绿化建筑
CN117738131A (zh) * 2024-02-21 2024-03-22 山东安澜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水利工程的河道护坡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788A (ko) 2009-07-31 2011-02-09 강석조 녹화 게비온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788A (ko) 2009-07-31 2011-02-09 강석조 녹화 게비온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8006A (zh) * 2020-12-11 2021-03-30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一种具有观赏性的立体智能化城市绿化建筑
CN117738131A (zh) * 2024-02-21 2024-03-22 山东安澜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水利工程的河道护坡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5449B2 (en) Environment protecting gutter duct structure for a concrete roadway
KR101454016B1 (ko) 저관리형 도시녹화 조경모듈
KR101781334B1 (ko) L형 측구를 활용한 다기능 배수관
KR101724155B1 (ko) 수목용 빗물정화 및 물공급시설
KR102233633B1 (ko)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KR100822057B1 (ko) 담수형 가로수 보호 덮개
KR20190121107A (ko)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
KR101458540B1 (ko)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KR101363436B1 (ko) 지중 침투형 빗물 공급장치
KR102141002B1 (ko) 친환경 빗물 관리 시스템
KR102194284B1 (ko) 저영향개발시설의 식물재배화분
KR100956607B1 (ko) 포장용 보도블럭 설치장치
KR200401368Y1 (ko) 가로수 보호판
KR101399110B1 (ko) 생태 기둥 조립체
KR20120006715A (ko) 배수가 용이한 비점오염원 처리 기능을 갖는 측구 및 초기우수 재활용 방법
KR20090110542A (ko) 빗물저류탱크를 구비한 친환경 화분
CN216701164U (zh) 植草铺面装置
US20110170952A1 (en) Irrigation Methods and Systems
JP3888857B2 (ja) 雨水流出抑制処理施設
KR102307689B1 (ko) 빗물 침투관 구조체 및 침투통 구조체
KR20190032784A (ko) 친환경 식생형 배수로 장치
KR20190057944A (ko) 집수 블록
KR20160100582A (ko) 매설형 조립식 가로수 보호대
KR101086096B1 (ko) 간이형 생태수로
KR101480078B1 (ko)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