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537U -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537U
KR20080006537U KR2020070010227U KR20070010227U KR20080006537U KR 20080006537 U KR20080006537 U KR 20080006537U KR 2020070010227 U KR2020070010227 U KR 2020070010227U KR 20070010227 U KR20070010227 U KR 20070010227U KR 20080006537 U KR20080006537 U KR 200800065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late
blocking plate
collecting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일
Original Assignee
원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용일 filed Critical 원용일
Priority to KR2020070010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537U/ko
Publication of KR200800065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53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로(1)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오수유입구(2) 상부 단턱(3)에 설치된 그레이팅(4)의 하부에 형성되어 오수의 중량에 의해 개방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에 있어서; 오수, 오물, 쓰레기 등의 집수대상물이 집수 되는 집수공간(113)을 형성하도록 경사호퍼(112)를 구비한 집수플레이트(110)와; 상기 집수플레이트(110)의 일측 경사호퍼(112)에 만곡형태로 형성되어 집수공간(113)을 폐쇄하는 차단플레이트(120)와; 상기 집수플레이트(110)의 타측 경사호퍼(112)에 회동 되도록 결합되어 그 하단부가 차단플레이트(120)의 끝단부에 밀착되어 집수공간(113)을 폐쇄하는 폐쇄플레이트(130)로 구성한다.
오수, 집수플레이트, 집수공간, 경사호퍼, 차단플레이트, 폐쇄플레이트

Description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odour and back flow of drain pipe}
도 1 은 하수관로의 오수유입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공개특허 제 10-2006-0033766 호의 악취 역류 방지판을 가지는 그레이팅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등록실용신안 제 20-0372205 호의 악취 역류방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등록실용신안 제 20-0423840 호의 2중 개폐장치가 구비된 하수 악취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의 차단플레이트가 오수의 중량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로 차단플레이트가 결합된 힌지에 복원부재가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하수관로 2: 오수유입구
3: 단턱 4: 그레이팅
100: 방지장치 110: 집수플레이트
111: 안착부 112: 경사호퍼
113: 집수공간 120: 차단플레이트
121: 차단힌지 122: 무게추
123: 끝단부 124: 복원부재
130: 폐쇄플레이트 131: 폐쇄힌지
132: 하단부
본 고안은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일측 또는 양측에 보도와 차도가 연접된 위치에 하수관로가 시공되어 보도와 차도에서 발생되는 우수와 같은 오수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오수유입구를 통하여 수거하여 도로에서 발생한 오수를 배수처리하게 된다.
도 1은 하수관로의 오수유입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로변에 매설된 하수관로(1)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도로변으로 연통 된 오수유입구(2)가 형성되며, 오수유입구(2) 상부에는 단턱(3)이 형성되어 단턱(3)에는 오수유입구(2)의 덮개가 되는 그레이팅(4)이 안착 되어 오수가 그레이팅(4)을 통하여 오수유입구(2)로 유입되면서 하수관로(1)로 집수 되어 오수분류시설로 이송된 다음 분류되어 하천 등으로 배출 처리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오수가 하수관로로 집수 될 때 각종 쓰레기 등이 함께 집수 되면서, 쓰레기에 의해 막혀 오수가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여 오수와 함께 부패 되면서 악취가 발생 되어 그 악취가 오수유입구를 통해 도로변으로 배출되면서 심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 평소에는 오수를 원활히 집수하게 되지만 집중호우가 발생 되는 장마철에는 오수가 하수관로에 집중적으로 유입되면서 유입된 오수가 지대가 낮은 도로변에 형성된 오수유입구를 통하여 역류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역류, 악취 등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방지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도 2 는 제 1 선출원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판을 가지는 그레이팅을 나타낸 단면도로써, 빗물, 쓰레기 등이 그레이팅(4)을 통하여 타측에 형성한 지지판(21)과 상기 지지판(21)의 저면에 끝단부가 밀착되면서 오수유입구(2) 벽면에 그 끝단부가 근접된 역류 방지판(22)에 의해 형성된 공간(23)으로 모이게 되고, 그 공간(23)에 고인 빗물이 웨이트(24)의 중량보다 클 때, 역류 방지판(22)은 힌지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역류 방지판(22)이 개방하는 방향으로 선회되어 역류 방지판(22)이 개방됨으로써 빗물이 하수관로(1)로 배출된다.
도 2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빗물, 쓰레기 등이 공간(23)으로 모이게 되면 서 공간(23)에 모인 무게가 웨이트(24)의 중량보다 클 때 역류 방지판(22)이 회전되어 빗물과 쓰레기의 배수가 이루어지는데, 역류 방지판(22)이 회전될 때 그 끝단이 오수유입구(2)의 벽면과 근접되게 형성되어 빗물과 쓰레기 등이 배출되는 통로(h)가 협소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배출되는 통로(h)가 협소하게 형성되면서 빗물은 원활히 배출되나 쓰레기는 배출되지 못하고 통로(h)에 끼면서 하수관로(1)로 배출되지 못하고 통로(h)에 끼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쓰레기가 통로(h)에 끼면서 빗물이 완전 배수 후에도 역류 방지판(22)의 끝단이 지지판(21)에 밀착되지 못하여 그 사이 틈새로 하수관로(1)에서 발생한 악취가 올라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역류 방지판(22)이 회전될 때 수직상태가 되도록 완전히 개방되지 못하고, 최초 힌지에 설치되는 경사 각도에서 하방으로 조금더 큰 경사각도로만 회전되기 때문에 역류 방지판(22)의 상면에 안착 된 쓰레기가 자연스럽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도 3 는 제 2 선출원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오수유입구(2)의 단턱(3)에 체결볼트로 체결되는 배수함체(30) 하부로 개구부(31)가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측으로 힌지(32)로 결합되는 개폐판(33)이 구비되며, 개폐판(33)의 상측 일단부에 개폐판(33)을 닫히도록 소정무게의 중량부(34)가 구비되어 배수함체(30)로 유입된 빗물 또는 생활하수의 수압에 의해 그 중량이 중량부(34) 보다 크면 상기 힌지(32)를 기준으로 개폐판(33)이 회동 되어 열리면서 빗 물, 생활하수를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개폐판(33)과 대향 되어 그 끝단이 밀착되는 배수함체(30)의 하부가 내측으로 경사지면서 개폐판(33)과 밀착되도록 형성하되, 개폐판(33) 개폐시 빗물, 생활하수가 배출되는 통로(h)가 협소하여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내측으로 경사진 배수함체(30)에 쓰레기 등이 쌓일 때는 개폐판(33)이 개폐되지 않아 쓰레기가 배수함체(30)에 쌓이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쓰레기가 배출되더라도 미처 배출되지 못한 쓰레기가 개폐판(33) 닫힘 시 개폐판(33)의 끝단과 내측으로 경사진 배수함체(30)의 사이에 끼면서 개폐판(33)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배수구에서 악취 벌래 등이 올라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배수함체(30)를 단턱(3)에 체결보트로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설치시간 증가와 번거로워 작업자의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도 4 는 제 3 선출원에 따른 2중 개폐장치가 구비된 하수 악취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측면부(41) 하단과 밀착하여 닫히게 하는 게이트(42)와; 상기 경사부(45a) 끝단과 상기 게이트(42)를 연결하는 탄성체(43)가 구비된 제1힌지부와(44); 상기 측면부(45b) 하단과 밀착하여 닫히게 하는 보조 게이트(46)와; 상기 측면부(45b)와 상기 보조 게이트(46)를 연결하는 제2힌지부(47)로 구성되어 그레이트(4)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상기 제1힌지부(44)에서 먼 곳으로 흘러 물의 무게로 인하여 작용되는 토크로 쉽게 열리고 배수 후 잔여물이 없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며, 측면부(41)의 끝단에 닿는 부분보다 넓게 형성하여 하방으로만 개폐되도록 하여 빗 물 쓰레기 등을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게이트(42)가 물의 하중에 의해 열리면서 제1힌지부(44)에 형성된 탄성체(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수직상태가 되도록 완전히 열리지 못하고 최초 힌지에 설치된 경사 각도에서 하방으로 조금더 큰 경사각도로만 회전되기 때문에 그대로 경사각을 유지하게 되어 게이트(42)이 상면에 안착 된 쓰레기가 자연스럽게 배출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게이트(42)가 탄성체(43)의 탄성력에 의해 물이 배출된 다음에 닫히게 되는데 이때 게이트(42)가 탄성체(43)의 탄성력에 의해 급속히 닫히면서 배출중인 쓰레기가 게이트(42) 보조 게이트(46) 사이게 끼여 게이트(42)가 완전히 닫히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불어, 탄성체(43)의 탄성력에 의하여 물, 쓰레기 등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하여 급속히 닫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오수, 빗물, 쓰레기 등을 배출하기 위하여 개폐되는 역류 방지판, 개폐판, 게이트 등이 완전 수직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소정의 경사 상태에 유지하기 때문에 쓰레기와 같은 덩어리 오물이 상면에 안착 되어 배출시 떨어 지지않아 배출할 수 없었으며, 닫히는 도중에 쓰레기가 끼면서 발생한 공간으로 악취 벌레 등이 올라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쓰레기가 상면에 안착 되면서 배출되지 못하여 부패 되거나 담배꽁초 등의 유입시 유입된 쓰레기에 불이 붙어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집수대상물이 모이는 집수공간의 하단에 집수대상물의 중량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되어 집수공간이 개방되면서 집수대상물을 배출하는 차단플레이트를 형성하는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단플레이트를 만곡형태로 형성하여 차단플레이트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될 때 그 상면이 수직상태에 가깝도록 회동 되어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이 차단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 되지 않고 배수구로 자연스럽게 떨어져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는; 도로변의 가장자리에 매설된 하수관로로 연통 된 오수유입구의 단턱에 설치된 그레이팅 하부에 형성되어 우수의 중량에 의해 개방되는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수유입구의 단턱에 안착 되도록 외측으로 안착부를 형성하고, 안착부의 하부 내측에 그레이팅을 통과한 집수대상물이 모이는 집수공간을 형성하면서 역류를 방지하도록 상면 중앙에서 하부 일측으로 경사지게 경사호퍼를 형성한 집수플레이트와; 상기 집수플레이트의 경사호퍼 일측 끝단에 회동 되게 결합되어 무게추의 밸런스에 의해서 균형을 유지하여 집수공간을 폐쇄하는 차단플레이트를 형성하되, 상기 차단플레이트를 전체적으로 만곡형태로 형성하여 집수대 상물의 중량에 의해 그 끝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회동 되어 개방시 그 상면이 수직상태에 가깝도록 형성하며, 상기 경사호퍼의 타측 끝단에 회동 되게 결합하여 그 하단면이 차단플레이트의 끝단부에 밀착되면서 경사호퍼의 경사방향과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집수공간을 폐쇄하는 폐쇄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는 상기 일측 경사호퍼에 차단힌지로 차단플레이트를 결합할 때 복원부재를 차단힌지에 더 형성하여 집수대상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개방된 차단플레이트가 집수대상물 배출 한 후 닫힐 때 복원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닫히면서 개방된 집수공간을 폐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 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의 차단플레이트가 오수의 중량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로 차단플레이트가 결합된 힌지에 복원부재가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100)는; 오수유입구(2)에 설치된 그레이팅(4)의 하부에 형성되어 오수의 중량에 의해 개방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에 있어서; 집수공간(113)을 형성하도록 경사호퍼(112)를 구비한 집수플레이트(110)와; 상기 집수플레이트(110)의 일측 경사호퍼(112)에 만곡형태로 형성되어 집수공간(113)을 폐쇄하는 차단플레이트(120)와; 상기 집수플레이트(110)의 타측 경사호퍼(112)에 회동 되도록 결합되어 그 하단부가 차단플레이트(120)의 끝단부(123)에 밀착되어 집수공간(113)을 폐쇄하는 폐쇄플레이트(130)로 구성한다.
상기 방지장치(100)의 집수플레이트(110)는; 그레이팅(4)이 설치된 오수유입구(2)의 단턱(3)에 안착 되어 고정되도록 외측으로 안착부(111)를 형성한다.
여기서, 안착부(111)는 그레이팅(4)의 중량에 의해 단턱(3)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리고 안착부(111)의 하부 내측인 오수유입구(2) 중앙에 그레이팅(4)을 통과한 집수대상물(오수, 오물, 담배꽁초, 쓰레기 등)이 모이는 집수공간(113)을 형성하면서, 오수, 오물 등과 같은 집수대상물이 역류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면 중앙에 하부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호퍼(112)를 구성한다.
상기 방지장치(100)의 차단플레이트(120)는; 일측 부분이 상기 집수플레이트(110)의 경사호퍼(112) 일측 끝단부에 차단힌지(121)로 결합되어 일측 끝단부에 형성한 무게추(122)의 밸런스에 의해서 차단힌지(121)를 중심으로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면서 집수공간(113)으로 집수 된 집수대상물의 중량이 무게추(122)보다 더 크면 차단힌지(121)를 중심으로 끝단부(123)가 하측 방향으로 회동 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차단플레이트(120)가 회동 되면서 집수공간(113)이 개방될 때 차단플레이트(120)의 상면 전체가 수직상태에 가깝도록 회동 되어 상면에 안착 된 담배꽁초, 덩어리 형태의 쓰레기 등의 집수대상물이 자연스럽게 하수관로(1)로 떨어지도록 차단플레이트(120)를 만곡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일측 경사호퍼(112)에 차단플레이트(120)를 차단힌지(121)에 결합할 때 복원부재(124)를 차단힌지(121)에 더 형성하여 차단플레이트(120) 개방 후 닫힐 때 복원부재(124)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개방된 집수공간(113)을 폐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방지장치(100)의 폐쇄플레이트(130)는; 상기 차단플레이트(120)가 설치되지 않은 타측 끝단 경사호퍼(112)에 자유상태가 되도록 폐쇄힌지(131)로 회동 되게 결합하되, 그 하단부(132)이 차단플레이트(120)의 끝단부(123)에 밀착되면서 경사호퍼(112)의 경사방향과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집수공간(113)을 폐쇄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오수유입구(2)의 단턱(3)에 차단플레이트(120)와, 폐쇄플레이트(130)가 회동가능한 상태로 결합한 집수플레이트(110)를 안치시킨 뒤 그레이팅(4)을 그 상부에 안치시켜 방지장치(100)를 하수관로(1)의 오수유입구(2)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방지장치(100)가 설치된 상태가 되며 차단플레이트(120)의 무게추(122)에 의해 그 끝단부(123)가 차단힌지(121)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 되면서 폐쇄플레이트(130)의 하단부(132)에 밀착되어 집수공간(113)이 폐쇄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집수공간(113)이 폐쇄된 상태가 되면 오수유입구(2)가 차단되어 하수관로(1)에서 발생한 악취, 벌레, 해충 등의 유입을 차단하게 되며, 하수관로(1)에 흐르고 있는 오수 등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오수, 오물, 쓰레기 등의 집수대상물이 그레이팅(4)을 통과하여 집수공간(113)으로 유입되면 집수대상물은 집수공간(113)에 일정량 모이게 된다.
아울러, 집수공간(113)에 모인 오수, 오물 등의 집수대상물은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호퍼(112)의 경사면에 의하여 와류 되면서 집수대상물이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렇게, 집수공간(113)에 모인 집수대상물의 중량이 차단플레이트(120)의 일측에 형성한 무게추(122) 보다 크면 그 집수대상물의 중량에 의하여 차단플레이트(120)의 끝단부(123)가 차단힌지(121)를 중심으로 하수관로(1) 측인 하측방향으로 회동 되면서 집수공간(113)이 개방되어 집수대상물이 하수관로(1)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경사호퍼(112)의 경사방향과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던 폐쇄플레이트(130)는 차단플레이트(120)가 개방되면서 자유상태에 의해 수직상태가 된 다.
그리고 차단플레이트(120)가 전체적으로 만곡형태로 형성되어 차단플레이트(120)가 개방되면서 그 상면이 전체적으로 수직상태에 가깝도록 회동 되어 차단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안착 된 집수대상물이 중력에 의하여 하수관로(1)로 자연스럽게 떨어져 완전히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단플레이트(121)가 만곡형태로 형성되면서 하측방향으로 조금만 회동되어도 차단플레이트(121)의 끝단부(123)와 폐쇄플레이트(130)의 하단부(132)이 간격이 상당히 벌어지면 배수대상물이 배출되는 공간이 증대된다.
이때, 자유상태의 폐쇄플레이트(130) 하단부(132)가 닫히는 차단플레이트(120)의 타측 상면에 밀착되면서 차단플레이트(120)가 회동 되는 힘에 의해 그 하단부(132)가 폐쇄힌지(131)를 중심으로 경사호퍼(112)의 경사방향의 역방향으로 회동 되면서 그 하단부(132)가 끝단부(123)에 밀착되어 집수공간(113)을 완전히 폐쇄하게 된다.
아울러, 폐쇄플레이트(130)가 차단플레이트(120)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회동되어 차단플레이트(120)의 끝단부(123)와 폐쇄플레이트(130)의 하단부(132)가 접촉되는 부분에 담배꽁초와 같은 배출대상물이 끼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차단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쓰레기가 안착 되면 만곡형태의 차단플레이트(120)를 따라 폐쇄플레이트(130)의 하단부(132)가 밀착된 끝단부(123)측으로 모이면서 폐쇄플레이트(130)가 개방되어 쓰레기를 하수관로(1)로 완전히 배출하게 된다.
본 고안의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는; 집수플레이트(110)의 안착부 하부 내측에 그레이팅을 통과한 집수대상물이 모이는 적정의 집수공간을 형성하는 경사호퍼가 상면 중앙에서 하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집수대상물이 경사호퍼의 경사면에 의해 집수공간에서 와류되면서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는; 차단플레이트가 집수공간을 폐쇄하면서 오수유입구를 차단하게 되어 하수관로에서 발생한 악취, 벌레, 해충 등의 유입을 차단하게 되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는; 차단플레이트가 집수공간을 폐쇄하면서 오수유입구를 차단하게 되어 하수관로에 흐르고 있는 오수 등의 역류를 방지하게 되어 수해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를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는; 차단플레이트가 전체적으로 만곡형태로 형성되어 차단플레이트가 개방되면서 그 상면이 전체적으로 수직상태에 가깝도록 회동 되어 차단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 된 집수대상물이 중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하수관로로 떨어지면서 완전히 배출할 수 있게되어 집수공간으로 유입된 쓰레기의 배출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는; 차단플레이트가 만곡형태로 형성되면서 집수대상물의 중량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조금만 회동되어도 차단 플레이트의 끝단부와 폐쇄플레이트의 하단부와의 간격이 상당히 벌어지면서 배수대상물이 배출되는 공간이 증대되어 배수대상물이 원활히 배출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는; 집수공간으로 유입된 집수대상물이 배출된 후 무게추의 무게에 의하여 차단플레이트가 차단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될 때 폐쇄플레이트가 차단플레이트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폐쇄힌지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밀어내어 차단플레이트의 끝단부와 폐쇄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부분에 담배꽁초와 같은 배출대상물이 끼지 않아 집수공간을 완전히 밀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2)

  1. 도로변의 가장자리에 매설된 하수관로(1)로 연통 된 오수유입구(2)의 단턱(3)에 설치된 그레이팅(4) 하부에 형성되어 우수의 중량에 의해 개방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수유입구(2)의 단턱(3)에 안착 되도록 외측으로 안착부(111)를 형성하고, 안착부(111)의 하부 내측에 그레이팅(4)을 통과한 집수대상물이 모이는 집수공간(113)을 형성하면서 역류를 방지하도록 상면 중앙에서 하부 일측으로 경사지게 경사호퍼(112)를 형성한 집수플레이트(110)와;
    상기 집수플레이트(110)의 경사호퍼(112) 일측 끝단에 회동 되게 결합되어 무게추(122)의 밸런스에 의해서 균형을 유지하여 집수공간(113)을 폐쇄하는 차단플레이트(120)를 형성하되, 상기 차단플레이트(120)를 전체적으로 만곡형태로 형성하여 집수대상물의 중량에 의해 그 끝단부(123)가 하측 방향으로 회동 되어 개방될 때 그 상단면이 수직 상태에 가깝도록 형성하며,
    상기 경사호퍼(112)의 타측 끝단에 회동 되게 결합되어 그 하단부(132)이 차단플레이트(120)의 끝단부(123)에 밀착되면서 경사호퍼(112)의 경사방향과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집수공간(113)을 폐쇄하는 폐쇄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경사호퍼(112)에 차단힌지(121)로 차단플레이트(120)를 결합할 때 복원부재(124)를 차단힌지(121)에 더 형성하여 집수대상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개방된 차단플레이트(120)가 집수대상물 배출 한 후 닫힐 때 복원부재(124)의 탄성력에 의하여 닫히면서 개방된 집수공간(113)을 폐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
KR2020070010227U 2007-06-21 2007-06-21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 KR200800065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227U KR20080006537U (ko) 2007-06-21 2007-06-21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227U KR20080006537U (ko) 2007-06-21 2007-06-21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537U true KR20080006537U (ko) 2008-12-26

Family

ID=4929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227U KR20080006537U (ko) 2007-06-21 2007-06-21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537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783B1 (ko) * 2009-06-23 2010-07-08 (주) 스튜더 건식 드레인 타일
KR101295474B1 (ko) * 2013-01-30 2013-08-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화분용 배수장치
KR101301697B1 (ko) * 2011-09-19 2013-08-30 박찬웅 우수 맨홀용 유로 개폐장치
KR101326602B1 (ko) * 2013-07-04 2013-11-08 태산인더스 주식회사 도로용 우수 배수장치
CN105863037A (zh) * 2016-06-08 2016-08-17 江先庆 一种下水道盖板组件
CN110593383A (zh) * 2019-09-25 2019-12-20 南昌大学 一种一体化杠杆式自动开合雨水口截污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783B1 (ko) * 2009-06-23 2010-07-08 (주) 스튜더 건식 드레인 타일
KR101301697B1 (ko) * 2011-09-19 2013-08-30 박찬웅 우수 맨홀용 유로 개폐장치
KR101295474B1 (ko) * 2013-01-30 2013-08-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화분용 배수장치
KR101326602B1 (ko) * 2013-07-04 2013-11-08 태산인더스 주식회사 도로용 우수 배수장치
CN105863037A (zh) * 2016-06-08 2016-08-17 江先庆 一种下水道盖板组件
CN105863037B (zh) * 2016-06-08 2017-10-24 江先庆 一种下水道盖板组件
CN110593383A (zh) * 2019-09-25 2019-12-20 南昌大学 一种一体化杠杆式自动开合雨水口截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464B1 (ko) 빗물받이 집수정용 덮개 장치
KR20080006537U (ko)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
KR101111091B1 (ko) 하수구 악취방지장치
KR101335863B1 (ko) 하수구 맨홀용 쓰레기 투입방지기능을 가지는 악취차단장치
KR20090007395U (ko) 그레이트용 거름망 설치구조
KR200448218Y1 (ko) 이단개폐식 맨홀악취차단장치
KR100994795B1 (ko) 하수도 맨홀용 역지변
CN205329832U (zh) 带过滤框的雨水口
KR20170082238A (ko) 도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20130024339A (ko) 우수 맨홀 커버
KR200443083Y1 (ko) 우수맨홀용 악취차단장치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100835751B1 (ko)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200448229Y1 (ko) 맨홀의 방취, 배수 및 역류 허용 장치
KR200388943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1301697B1 (ko) 우수 맨홀용 유로 개폐장치
KR200338772Y1 (ko) 하수구 맨홀용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
JP6001754B1 (ja) 側溝用雨水排水装置
KR101758362B1 (ko) 하수도관의 친환경 악취제거 장치
KR100923020B1 (ko) 하수 배출 장치
KR102582815B1 (ko) 홍수 역류 방지, 악취 유출 방지 및 쓰레기 차단 기능을갖는 배수구용 스틸 그레이팅
KR101032155B1 (ko) 하수용 맨홀
KR102528179B1 (ko)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
JP4759169B2 (ja) 人孔蓋受枠、マンホールの人孔蓋飛散防止構造
KR200435844Y1 (ko) 빗물받이가 있는 그레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