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179B1 -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 - Google Patents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179B1
KR102528179B1 KR1020220070335A KR20220070335A KR102528179B1 KR 102528179 B1 KR102528179 B1 KR 102528179B1 KR 1020220070335 A KR1020220070335 A KR 1020220070335A KR 20220070335 A KR20220070335 A KR 20220070335A KR 102528179 B1 KR102528179 B1 KR 102528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block
manhole block
odor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환
황재혁
Original Assignee
이일환
박병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환, 박병권 filed Critical 이일환
Priority to KR1020220070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3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sediment tr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2005/028Sealing joints between manhole seg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에 관련되며, 이는 맨홀을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현장 상황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조 변경할 수 있고, 악취트랩을 이용하여 악취 역류현상을 차단하면서 맨홀 바닥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침전물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 맨홀블록(10), 중간 맨홀블록(20), 상부 맨홀블록(30), 조인트부(40), 기밀패킹(50), 악취트랩(60)을 포함하여 주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Odor blocking rainwater gutter manhole}
본 발명은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을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현장 상황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조 변경할 수 있고, 악취트랩을 이용하여 악취 역류현상을 차단하면서 맨홀 바닥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침전물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에 관한 것이다.
통상 우수(雨水)나 오수(汚水) 등을 모아 배수관으로 방류시키도록 도로변에는 우수맨홀이 설치된다. 우수맨홀은 지중에 매설되고, 상부에 원형의 개방된 상부입구가 형성되며, 상부입구는 격자형 뚜껑으로 마감된다. 그리고 상기 우수맨홀의 하부 일측에는 배수관이 연통되어, 도로 등의 바닥면을 따라 흐르는 우수(雨水)나 오수(汚水) 등이 격자형 뚜껑을 통해 우수맨홀 내부로 유입된 후 배수관을 통해 방류된다.
그러나, 우수맨홀은 우수(雨水)나 오수(汚水) 등과 함께 각종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므로, 우수맨홀의 내측 바닥면에는 각종 이물질과 침전물 등이 쌓여 있고, 배수관 내부에 고여 있는 각종 이물질과 침전물 및 오수가 썩는 현상이 발생되면, 심한 악취가 역류하면서 격자형 뚜껑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람들에게 심한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1393094호에서, 하수도 맨홀 또는 우수받이에서의 악취를 제어하기 위한 악취 제어 장치로서, 맨홀 또는 우수받이가 하수관과 연결되는 연결부 입구에 설치되며, 하수 흐름 방향으로만 회동가능한 악취 차단부재; 상기 하수관의 연결부 입구 내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자성 부재; 일단은 상기 하수관의 연결부 입구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을 하수관 내로 연장되는 일방향 회동부재; 및 상기 일방향 회동부재의 타단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자성 부재에 의해 흡인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흡인 부재를 포함하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맨홀 또는 우수받이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배출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악취에 의한 불쾌감을 없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려는 것이나, 맨홀에 연결된 하수관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 막힘 현상의 조기점검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따랐다.
KR 10-1393094 B1 (2014.04.30.)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맨홀을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현장 상황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조 변경할 수 있고, 악취트랩을 이용하여 악취 역류현상을 차단하면서 맨홀 바닥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침전물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바닥면이 폐쇄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측면에 배수관(1)이 연결되도록 배수구(11)가 형성되는 하부 맨홀블록(10); 상기 하부 맨홀블록(10) 상에 적어도 1단 이상 적층 조립되고, 상 하부가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중간 맨홀블록(20); 상기 중간 맨홀블록(20) 상에 적층 조립되고, 상하부가 개방되며, 상부에 트랜치(31)가 설치되는 상부 맨홀블록(30); 상기 하부 맨홀블록(10), 중간 맨홀블록(20), 상부 맨홀블록(30)이 서로 대응하는 조립면을 음, 양각 구조로 결속하는 조인트부(40); 상기 조인트부(40) 사이에 설치되어, 누수 차단, 진동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기밀패킹(50); 및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악취트랩(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악취트랩(60)은, 하부 맨홀블록(10)의 배수구(11)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하부 맨홀블록(10) 내측으로 연장되어 입구가 형성되는 사각 이너관체(61)와, 사각 이너관체(61)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배수관(1)에 결합되도록 하부 맨홀블록(10) 외측으로 연장되어 출구가 개방되는 원형 아우터관체(62)와, 사각 이너관체(61) 내부에 상단부가 연결되고, 하단부는 원형 아우터관체(62) 측으로 경사각으로 연장되면서 자중에 의해 하향 선회력이 작용하여 사각 이너관체(61) 입구를 개폐하는 차단판(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각 이너관체(61) 입구에 여과망(6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각 이너관체(61) 상면에 점검구(64)가 개방되고, 상기 점검구(64)는 커버(65)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맨홀블록(30)은 상면에 받침홈(32)이 형성되어 트랜치(31)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받침홈(32)에 완충패드(33)가 설치되어, 트랜치(31) 상으로 가해지는 진동, 하중을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맨홀블록(10) 내부 바닥면에 배수구(11)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각을 이루는 경사면(12)이 형성되어, 퇴적물이 경사면(12)을 타고 경사운동에 의해 배수구(11) 측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 아우터관체(62)에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는 앵글관(70)이 설치되어 배수관(1) 설치 각도를 변경하거나, 상기 원형 아우터관체(62)에 지름이 확장 또는 축소되는 가변관(71)을 체결하여 배수관(1) 사이즈 변경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맨홀블록(10)과 중간 맨홀블록(20) 사이에 가변악취트랩(80)이 구비되고, 상기 가변악취트랩(80)은, 하부 맨홀블록(10)과 중간 맨홀블록(20)을 음, 양각 구조로 결속하는 조인트부(40)에 가장자리부가 맞물린 상태로 하부 맨홀블록(10)과 중간 맨홀블록(20) 공간을 분할하는 탄성막(81)과, 탄성막(81) 중앙에 설치되고, 우수가 배출되는 배수홀(82)이 관통되는 링플레이트(83)와, 탄성막(81)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배수홀(82)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원추형 웨이트(84)와, 링플레이트(83)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트랜치(31)에 설치되는 롤러(85)를 경유하여 원추형 웨이트(84)에 연결되는 링크와이어(86)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막(81)은 원추형 웨이트(84) 자중에 의해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당겨진 상태로 배수홀(82)이 원추형 웨이트(84)와 맞물려 폐쇄되고, 상기 탄성막(81)은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시,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우수를 임시 저장하는 집수공간부(81a)를 형성하며, 상기 집수공간부(81a)에 수용되는 우수 중량이 원추형 웨이트(84) 대비 증가되면, 무게 차이로 인해 탄성막(81)이 하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원추형 웨이트(84)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배수홀(82)이 개방되어 집수공간부(81a)에 수용된 우수가 배수홀(82)을 통하여 한꺼번에 배출되어 하부 맨홀블록(10) 바닥면에 퇴적물과 함께 배수구(11)를 통하여 배출되고, 배수홀(82)이 원추형 웨이트(84)와 맞물려 폐쇄되면서 악취 역류를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맨홀을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현장 상황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조 변경할 수 있고, 악취트랩을 이용하여 악취 역류현상을 차단하면서 맨홀 바닥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침전물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의 악취트랩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의 점검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의 완충패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의 배수관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의 가변악취트랩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의 악취트랩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의 점검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의 완충패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의 배수관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의 가변악취트랩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에 관련되며, 이는 맨홀을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현장 상황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조 변경할 수 있고, 악취트랩을 이용하여 악취 역류현상을 차단하면서 맨홀 바닥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침전물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 맨홀블록(10), 중간 맨홀블록(20), 상부 맨홀블록(30), 조인트부(40), 기밀패킹(50), 악취트랩(60)을 포함하여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맨홀블록(10)은 바닥면이 폐쇄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측면에 배수관(1)이 연결되도록 배수구(11)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맨홀블록(10)은 맨홀의 최하단부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후술하는 중간 맨홀블록(20), 상부 맨홀블록(30)과 조립된 상태로 지중에 매립되어 맨홀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맨홀블록(10) 내부로 유입된 우수는 배수구(11)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 맨홀블록(10) 내부 바닥면에 배수구(11)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각을 이루는 경사면(12)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하부 맨홀블록(10) 바닥에 침전되는 흙, 모래를 포함하는 퇴적물이 경사면(12)을 타고 경사운동에 의해 배수구(11) 측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퇴적물 누적으로 인한 배수구(11) 막힘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간 맨홀블록(20)은 상기 하부 맨홀블록(10) 상에 적어도 1단 이상 적층 조립되고, 상 하부가 개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중간 맨홀블록(20)은 하부 맨홀블록(10)과 상부 맨홀블록(30) 사이에 설치되어, 맨홀 높이방향 사이즈를 신축조절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중간 맨홀블록(20)의 하단부는 하부 맨홀블록(10)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부 맨홀블록(30) 하단부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중간 맨홀블록(20)의 적층 수량을 증가할수록 맨홀 높이방향 사이즈가 확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맨홀블록(30)은 상기 중간 맨홀블록(20) 상에 적층 조립되고, 상하부가 개방되며, 상부에 트랜치(31)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맨홀블록(30)은 맨홀의 최상층부 영역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지중에 매립된 상태로 상부 개방구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맨홀블록(30)의 상부 개방구는 트랜치(31)에 의해 마감되고, 여기서 트랜치(31)는 격자형 살대로 구성되어, 맨홀 내부로 우수 유입은 허용하고, 차량 통행, 보행자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도 6에서, 상기 상부 맨홀블록(30)은 상면에 받침홈(32)이 형성되어 트랜치(31)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받침홈(32)에 완충패드(33)가 설치되어, 트랜치(31) 상으로 가해지는 진동, 하중을 흡수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트랜치(31) 상면으로 이동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하중이 완충패드(33)에 의해 흡수되어, 반복 하중으로 인한 상부 맨홀블록(30) 파손, 소음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부(40)는 상기 하부 맨홀블록(10), 중간 맨홀블록(20), 상부 맨홀블록(30)이 서로 대응하는 조립면을 음, 양각 구조로 결속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조인트부(40)는 도 2의 확대도와 같이 사각 홈과 돌기 결합 또는 사다리꼴 홈과 돌기 결합에 의해 서로 맞물려 결속된 상태로 하부 맨홀블록(10), 중간 맨홀블록(20), 상부 맨홀블록(30) 자중에 의해 종방향으로 맞물려 무볼팅 결속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밀패킹(50)은 상기 조인트부(40) 사이에 설치되어, 누수 차단, 진동 흡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기밀패킹(50)은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고, 조인트부(40)의 음각부에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밀패킹(50)은 조인트부(40)의 음각부에 삽입된 상태로 조인트부(40)의 양각부에 의해 가압되어 음, 양각부 사이 공간을 긴밀하게 밀폐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트랩(60)은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악취트랩(60)은, 하부 맨홀블록(10)의 배수구(11)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하부 맨홀블록(10) 내측으로 연장되어 입구가 형성되는 사각 이너관체(61)와, 사각 이너관체(61)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배수관(1)에 결합되도록 하부 맨홀블록(10) 외측으로 연장되어 출구가 개방되는 원형 아우터관체(62)와, 사각 이너관체(61) 내부에 상단부가 연결되고, 하단부는 원형 아우터관체(62) 측으로 경사각으로 연장되면서 자중에 의해 하향 선회력이 작용하여 사각 이너관체(61) 입구를 개폐하는 차단판(6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각 이너관체(61)는 사각 구조로 인해 저면이 하부 맨홀블록(10) 바닥면에 면접촉되어 맨홀 내부로 유입된 우수를 남김없이 깨끗하게 배수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63)은 사각 이너관체(61)에 연결되는 상부영역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선회작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하부 영역은 아치형으로 상향 절곡되어 사각 이너관체(61) 내부 바닥면에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도 4에서, 상기 사각 이너관체(61) 입구에 여과망(64)이 구비된다. 상기 사각 이너관체(61) 입구에 슬롯홈이 형성되어 여과망(64)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망(64)은 배수구(11)를 통하여 배출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배수관(1)의 막힘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도 5에서, 상기 사각 이너관체(61) 상면에 점검구(64)가 개방되고, 상기 점검구(64)는 커버(65)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커버(65)는 자석을 포함하는 결속수단에 의해 점검구(64) 상에서 간단하게 개폐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점검구(64)를 통하여 사각 이너관체(61) 내부 공간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사각 이너관체(61) 막힘 여부를 사전에 점검할 수 있고, 사각 이너관체(61) 막힘 발생시, 점검구(64)를 통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유지보수의 편의성이 제공된다.
또한, 도 7 (a)와 같이 상기 원형 아우터관체(62)에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는 앵글관(70)이 설치되어 배수관(1) 설치 각도를 변경하거나, 도 7 (b)처럼 상기 원형 아우터관체(62)에 지름이 확장 또는 축소되는 가변관(71)을 체결하여 배수관(1) 사이즈 변경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원형 아우터관체(62)에 적용되는 앵글관(70), 가변관(71)을 이용하여 배수관(1) 설치 각도 및 다양한 사이즈의 배수관(1)을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에서, 상기 하부 맨홀블록(10)과 중간 맨홀블록(20) 사이에 가변악취트랩(80)이 구비된다.
상기 가변악취트랩(80)은, 하부 맨홀블록(10)과 중간 맨홀블록(20)을 음, 양각 구조로 결속하는 조인트부(40)에 가장자리부가 맞물린 상태로 하부 맨홀블록(10)과 중간 맨홀블록(20) 공간을 분할하는 탄성막(81)과, 탄성막(81) 중앙에 설치되고, 우수가 배출되는 배수홀(82)이 관통되는 링플레이트(83)와, 탄성막(81)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배수홀(82)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원추형 웨이트(84)와, 링플레이트(83)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트랜치(31)에 설치되는 롤러(85)를 경유하여 원추형 웨이트(84)에 연결되는 링크와이어(8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막(81)은 원추형 웨이트(84) 자중에 의해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당겨진 상태로 배수홀(82)이 원추형 웨이트(84)와 맞물려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막(81)은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시,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우수를 임시 저장하는 집수공간부(81a)를 형성한다.
상기 집수공간부(81a)에 수용되는 우수 중량이 원추형 웨이트(84) 대비 증가되면, 무게 차이로 인해 탄성막(81)이 하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원추형 웨이트(84)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배수홀(82)이 개방되어 집수공간부(81a)에 수용된 우수가 배수홀(82)을 통하여 한꺼번에 배출됨에 따라 하부 맨홀블록(10) 바닥면에 퇴적물과 함께 배수구(11)를 통하여 배출되어 맨홀 내부가 항상 청결하게 유지되고, 이후 배수홀(82)이 원추형 웨이트(84)와 맞물려 폐쇄되면서 악취 역류를 긴밀하게 차단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맨홀블록 20: 중간 맨홀블록
30: 상부 맨홀블록 40: 조인트부
50: 기밀패킹 60: 악취트랩
70: 앵글관 80: 가변악취트랩

Claims (8)

  1. 바닥면이 폐쇄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측면에 배수관(1)이 연결되도록 배수구(11)가 형성되는 하부 맨홀블록(10); 상기 하부 맨홀블록(10) 상에 적어도 1단 이상 적층 조립되고, 상 하부가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중간 맨홀블록(20); 상기 중간 맨홀블록(20) 상에 적층 조립되고, 상하부가 개방되며, 상부에 트랜치(31)가 설치되는 상부 맨홀블록(30); 상기 하부 맨홀블록(10), 중간 맨홀블록(20), 상부 맨홀블록(30)이 서로 대응하는 조립면을 음, 양각 구조로 결속하는 조인트부(40); 상기 조인트부(40) 사이에 설치되어, 누수 차단, 진동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기밀패킹(50); 및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악취트랩(6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맨홀블록(10)과 중간 맨홀블록(20) 사이에 가변악취트랩(80)이 구비되고, 상기 가변악취트랩(80)은, 하부 맨홀블록(10)과 중간 맨홀블록(20)을 음, 양각 구조로 결속하는 조인트부(40)에 가장자리부가 맞물린 상태로 하부 맨홀블록(10)과 중간 맨홀블록(20) 공간을 분할하는 탄성막(81)과, 탄성막(81) 중앙에 설치되고, 우수가 배출되는 배수홀(82)이 관통되는 링플레이트(83)와, 탄성막(81)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배수홀(82)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원추형 웨이트(84)와, 링플레이트(83)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트랜치(31)에 설치되는 롤러(85)를 경유하여 원추형 웨이트(84)에 연결되는 링크와이어(86)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막(81)은 원추형 웨이트(84) 자중에 의해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당겨진 상태로 배수홀(82)이 원추형 웨이트(84)와 맞물려 폐쇄되고, 상기 탄성막(81)은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시,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우수를 임시 저장하는 집수공간부(81a)를 형성하며, 상기 집수공간부(81a)에 수용되는 우수 중량이 원추형 웨이트(84) 대비 증가되면, 무게 차이로 인해 탄성막(81)이 하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원추형 웨이트(84)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배수홀(82)이 개방되어 집수공간부(81a)에 수용된 우수가 배수홀(82)을 통하여 한꺼번에 배출되어 하부 맨홀블록(10) 바닥면에 퇴적물과 함께 배수구(11)를 통하여 배출되고, 배수홀(82)이 원추형 웨이트(84)와 맞물려 폐쇄되면서 악취 역류를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트랩(60)은,
    하부 맨홀블록(10)의 배수구(11)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하부 맨홀블록(10) 내측으로 연장되어 입구가 형성되는 사각 이너관체(61)와,
    사각 이너관체(61)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배수관(1)에 결합되도록 하부 맨홀블록(10) 외측으로 연장되어 출구가 개방되는 원형 아우터관체(62)와,
    사각 이너관체(61) 내부에 상단부가 연결되고, 하단부는 원형 아우터관체(62) 측으로 경사각으로 연장되면서 자중에 의해 하향 선회력이 작용하여 사각 이너관체(61) 입구를 개폐하는 차단판(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이너관체(61) 입구에 여과망(6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이너관체(61) 상면에 점검구(64)가 개방되고, 상기 점검구(64)는 커버(65)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맨홀블록(30)은 상면에 받침홈(32)이 형성되어 트랜치(31)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받침홈(32)에 완충패드(33)가 설치되어, 트랜치(31) 상으로 가해지는 진동, 하중을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맨홀블록(10) 내부 바닥면에 배수구(11)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각을 이루는 경사면(12)이 형성되어, 퇴적물이 경사면(12)을 타고 경사운동에 의해 배수구(11) 측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아우터관체(62)에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는 앵글관(70)이 설치되어 배수관(1) 설치 각도를 변경하거나, 상기 원형 아우터관체(62)에 지름이 확장 또는 축소되는 가변관(71)을 체결하여 배수관(1) 사이즈 변경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
  8. 삭제
KR1020220070335A 2022-06-09 2022-06-09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 KR102528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335A KR102528179B1 (ko) 2022-06-09 2022-06-09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335A KR102528179B1 (ko) 2022-06-09 2022-06-09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179B1 true KR102528179B1 (ko) 2023-05-02

Family

ID=8638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335A KR102528179B1 (ko) 2022-06-09 2022-06-09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17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641Y1 (ko) * 2005-11-10 2006-02-02 김성범 오수받이
KR20060084316A (ko) * 2005-01-19 2006-07-24 주식회사 삼정파인스 방향 및 각도조절구가 구비된 맨홀
KR20090088610A (ko) * 2008-02-15 2009-08-20 문봉철 높이조절용 환경 친화형 빗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30071768A (ko) * 2011-12-21 2013-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화장실 유닛
KR101393094B1 (ko) 2011-12-19 2014-05-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수도 맨홀 및 우수받이에서의 물리적 포집에 의한 악취 제어 장치
KR102058209B1 (ko) * 2019-04-09 2019-12-20 주식회사 태원콘크리트 역류방지기능을 갖는 맨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316A (ko) * 2005-01-19 2006-07-24 주식회사 삼정파인스 방향 및 각도조절구가 구비된 맨홀
KR200407641Y1 (ko) * 2005-11-10 2006-02-02 김성범 오수받이
KR20090088610A (ko) * 2008-02-15 2009-08-20 문봉철 높이조절용 환경 친화형 빗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93094B1 (ko) 2011-12-19 2014-05-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수도 맨홀 및 우수받이에서의 물리적 포집에 의한 악취 제어 장치
KR20130071768A (ko) * 2011-12-21 2013-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화장실 유닛
KR102058209B1 (ko) * 2019-04-09 2019-12-20 주식회사 태원콘크리트 역류방지기능을 갖는 맨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336B1 (ko)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KR100961152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KR20150095472A (ko) 여재를 포함한 회전식 카트리지 빗물받이
CA3141832A1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KR101335863B1 (ko) 하수구 맨홀용 쓰레기 투입방지기능을 가지는 악취차단장치
JP7470819B2 (ja) 下水溝用悪臭遮断装置
KR102528179B1 (ko) 악취차단 우수받이 맨홀
CN205329832U (zh) 带过滤框的雨水口
KR20080006537U (ko)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
KR101004699B1 (ko) 높이조절용 환경 친화형 빗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98839B1 (ko) 초기 강우 유출 조절장치
KR20090008698A (ko) 빗물받이 커튼식 악취 방지 장치
KR101030108B1 (ko) 도로 빗물받이의 악취차단장치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102136488B1 (ko) 무게추 보호실이 구비된 악취차단 그레이팅
KR200378186Y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트랩받이
KR101704347B1 (ko) 빗물받이용 다단 악취 차단시스템
JP6001754B1 (ja) 側溝用雨水排水装置
KR20120072089A (ko) 도로 빗물받이의 악취차단장치
KR101393094B1 (ko) 하수도 맨홀 및 우수받이에서의 물리적 포집에 의한 악취 제어 장치
KR200361559Y1 (ko) 덮개식 하수도 빗물받이
KR102669508B1 (ko) 우수용 악취 제거형 이물질 수거 장치
NL2014554B1 (nl) Inrichting voor het ontlasten en ontspannen van een riool.
KR102093182B1 (ko) 악취차단형 빗물받이
KR102638787B1 (ko) 비점 오염 빗물 분리 정화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