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412B1 - 조립이 용이한 친환경 전시용 부스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이 용이한 친환경 전시용 부스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412B1
KR102630412B1 KR1020230003887A KR20230003887A KR102630412B1 KR 102630412 B1 KR102630412 B1 KR 102630412B1 KR 1020230003887 A KR1020230003887 A KR 1020230003887A KR 20230003887 A KR20230003887 A KR 20230003887A KR 102630412 B1 KR102630412 B1 KR 102630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stalling
frames
wall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윤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스커뮤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스커뮤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스커뮤니티
Priority to KR1020230003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4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2Exhibition st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한 친환경 전시용 부스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지지되며,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제1프레임을 연결하여 지반골조를 조립하고, 상기 지반골조의 상부에 바닥판을 설치하는 베이스부 설치단계; 상기 바닥판에 삽입홈을 천공하여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에 제2프레임의 하단을 결합시켜 직립되게 다수의 제2프레임을 병렬 배치하고, 다수의 제2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제3프레임을 결합하여 기둥골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둥골조의 외면에 다수의 연결구를 장착하고,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연결핀을 구비한 판넬을 기둥골조의 외면에 부착하여 벽체를 설치하는 단계; 다수의 제4프레임을 상하에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하의 제4프레임을 연결하여 다수의 제5프레임을 장착하여 보 골조를 조립하고, 외면에 판넬을 부착하여 상부 횡벽체를 제작하고, 상기 상부 횡벽체를 다수의 기둥부 및 벽체의 상단에 수평으로 장착하여 상부 횡벽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벽체 또는 상부 횡벽체의 외면에 페인트 도색 또는 필름을 부착하여 표면도장재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이 용이한 친환경 전시용 부스 및 이의 시공방법{Eco-friendly exhibition booth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전시용 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시 및 홍보용으로 사용되도록 벽체, 테이블, 전시대를 가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이 용이한 친환경 전시용 부스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문화, 교육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상품이나 기술 또는 문화 등을 전시하여 소개하는 전시회장이나 박람회장에는 다양한 형태의 전시용 부스가 설치된다.
예컨대, 전시회장을 이루는 공간을 구획하여 다수의 참가업체에 배정하고, 각 참가업체는 상품의 진열이나 상담 등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주로 금속 재질로 된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조립하여 전시용 부스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 전시용 부스는 벽이나 진열장 등을 플라스틱 판넬을 제작하여 사용하고, 이들 플라스틱 판넬을 프레임에 부착하여 조립하게 되는데, 이러한 설치하는 과정에서 프레임이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을 해칠 우려가 있었고, 사용을 마친 후 대개 폐기되어야 하므로 환경오염과 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공개 제2018-134006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시 및 홍보용으로 사용되도록 벽체, 테이블, 전시대를 가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프레임과, 프레임에 부착되는 목재판넬로 구조물을 조립하고, 목재판넬에 마감자재를 형성함으로서 다양한 디자인의 표출이 가능하고, 사용을 마친 다음에는 프레임과 목재판넬을 해체한 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이 용이한 친환경 전시용 부스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지지되며,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제1프레임을 연결하여 지반골조를 조립하고, 상기 지반골조의 상부에 바닥판을 설치하는 베이스부 설치단계; 상기 바닥판에 삽입홈을 천공하여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에 제2프레임의 하단을 결합시켜 직립되게 다수의 제2프레임을 병렬 배치하고, 다수의 제2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제3프레임을 결합하여 기둥골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둥골조의 외면에 다수의 연결구를 장착하고,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연결핀을 구비한 판넬을 기둥골조의 외면에 부착하여 벽체를 설치하는 단계; 다수의 제4프레임을 상하에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하의 제4프레임을 연결하여 다수의 제5프레임을 장착하여 보 골조를 조립하고, 외면에 판넬을 부착하여 상부 횡벽체를 제작하고, 상기 상부 횡벽체를 다수의 기둥부 및 벽체의 상단에 수평으로 장착하여 상부 횡벽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벽체 또는 상부 횡벽체의 외면에 페인트 도색 또는 필름을 부착하여 표면도장재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립이 용이한 친환경 전시용 부스의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 설치단계는 지반골조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유지부를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유지부를 설치하는 공정은, 지반골조에 종방향으로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에 소켓을 매립하는 공정과, 상기 소켓에 볼트축을 나사결합시키고 볼트축의 하단에 지지대가 결합되어 지면에 접촉되도록 지지대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지지대의 하면에 방진패드를 부착하여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둥골조를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부착되며 삽입홈에 연통되는 끼움공이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는 지면에 밀착되며 중량을 갖는 중량구조물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벽체를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연결구는 결합홈이 형성된 관체이며, 결합홈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은 연결구의 결합홈에 억지끼움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의 주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주입홈으로 접착제를 주입하여 접착제가 연결구의 결합홈 및 요홈에 충진되어 연결핀과 접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횡벽체의 외측에 장착되는 차광 구조물을 시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시 및 홍보용으로 사용되도록 벽체, 테이블, 전시대를 가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프레임과, 프레임에 부착되는 목재판넬로 구조물을 조립하고, 목재판넬에 마감자재를 형성함으로서 다양한 디자인의 표출이 가능하고, 사용을 마친 다음에는 프레임과 목재판넬을 해체한 후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전시용 부스의 시공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전시용 부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전시용 부스 시공방법에서 '베이스부 설치단계'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전시용 부스 시공방법에서 '기둥골조를 설치하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전시용 부스 시공방법에서 '벽체를 설치하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광 구조물의 사시도,
도 7은 차광 구조물의 제2 측벽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제2 측벽모듈의 곡률의 크기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전시용 부스의 시공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전시용 부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전시용 부스 시공방법에서 '베이스부 설치단계'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전시용 부스 시공방법에서 '기둥골조를 설치하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전시용 부스 시공방법에서 '벽체를 설치하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광 구조물의 사시도, 도 7은 차광 구조물의 제2 측벽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제2 측벽모듈의 곡률의 크기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체 및 조립이 용이한 친환경 전시용 부스의 시공방법은,
베이스부 설치단계(S10), 기둥골조를 설치하는 단계(S20), 벽체를 설치하는 단계(S30), 상부 횡벽체를 설치하는 단계(S40), 표면도장재를 시공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부 설치단계(S10)]
지면에 지지되며,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제1프레임(110)을 연결하여 지반골조(100)를 조립하고, 상기 지반골조(100)의 상부에 바닥판(130)을 설치하여 베이스부(B)를 시공한다.
제1프레임(110)은 목재가 바람직하고, 천연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제1프레임(110)을 연결하는 방식은 주로 끼움결합에 의하고, 사용 후에 분리하여 재사용될 수 있다.
바닥판(130)은 목판이 바람직하고, 사용 후 분리하여 다시 재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 설치단계(S10)는 지반골조(100)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유지부(200)를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유지부(200)를 설치하는 공정은,
지반골조(100)의 제1프레임(110)에 종방향으로 통로(112)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112)에 소켓(210)을 매립하는 공정과,
상기 소켓(210)에 볼트축(221)을 나사결합시키고 볼트축(221)의 하단에 지지대(220)가 결합되어 지면에 접촉되도록 지지대(220)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지지대(220)의 하면에 방진패드(230)를 부착하여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대(220)는 원형 판상 또는 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볼트축(221)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볼트축(221)의 회전에 의해 지지대(220)의 상하 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수평유지부(200)는 지반골조(100)의 하부에 다수로 설치되며, 각 수평유지부(2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지반골조(100)의 수평을 맞출 수 있다.
[기둥골조를 설치하는 단계(S20)]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바닥판(130)에 삽입홈(132)을 천공하여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132)에 제2프레임(320)의 하단을 결합시켜 직립되게 다수의 제2프레임(320)을 병렬 배치하고, 다수의 제2프레임(320)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제3프레임(330)을 결합하여 기둥골조(300)를 조립한다.
제2프레임(320) 및 제3프레임(330)은 목재가 바람직하고, 천연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제2프레임(320)과 제3프레임(330)을 연결하는 방식은 주로 끼움결합에 의하고, 사용 후에 분리하여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바닥판(130)의 하부에 부착되며 삽입홈(132)에 연통되는 끼움공(362)이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는 지면에 밀착되며 중량을 갖는 중량구조물(360)을 장착한다.
중량구조물(360)은 기둥골조(300)의 안정적인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일정한 중량을 갖는 것이며, 상부에 형성된 끼움공(362)에 기둥골조(300)의 제2프레임(320)의 하단이 결합된다.
다수의 제2프레임(320)을 수직으로 병렬 설치하고, 이들 다수의 제2프레임(320)을 횡으로 연결하도록 다수의 제3프레임(330)이 결합되어 기둥골조(300)가 조립된다.
[벽체를 설치하는 단계(S30)]
도 5를 참조하면, 기둥골조(300)의 외면에 다수의 연결구(420)를 장착하고, 연결구(420)에 결합되는 연결핀(442)을 구비한 판넬(440)을 기둥골조(300)의 외면에 부착하여 벽체(400)를 설치한다.
판넬(440)은 목판이 바람직하고, 사용 후 분리하여 다시 재사용될 수 있다.
연결구(420)는 결합홈(422)이 형성된 관체이며, 결합홈(422)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의 요홈(424)이 형성된다.
연결핀(442)은 연결구(420)의 결합홈(422)에 억지끼움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의 주입홈(442-2)이 형성되며,
주입홈(442-2)으로 접착제를 주입하여 접착제가 연결구(420)의 결합홈(422) 및 요홈(424)에 충진되어 연결핀(442)과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부 횡벽체를 설치하는 단계(S40)]
도 2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다수의 제4프레임(540)을 상하에 평행하게 배치한다.
이렇게 상하에 배치된 제4프레임(540)을 연결하도록 다수의 제5프레임(550)을 장착하여 보 골조를 조립한다.
제4프레임(540) 및 제5프레임(550)은 목재가 바람직하고, 천연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제4프레임(540)과 제5프레임(550)을 연결하는 방식은 주로 끼움결합에 의하고, 사용 후에 분리하여 재사용될 수 있다.
이후 조립된 보 골조의 외면에 판넬(560)을 부착하여 상부 횡벽체(500)를 조립한다.
이렇게 제작된 상부 횡벽체(500)를 다수의 기둥골조(300) 및 벽체(400)의 상단에 수평으로 장착한다.
[표면도장재를 시공하는 단계(S50)]
벽체(400) 또는 상부 횡벽체(500)의 외면에 페인트 도색 또는 필름을 부착하여 표면도장재(V)를 시공한다.
따라서 사용을 마친 후에 벽체(400), 상부 횡벽체(500)를 분리하고, 표면도장재(V)를 제거하거나 다른 페인트로 도색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상부 횡벽체(500)의 외측에 장착되는 차광 구조물(1000)을 시공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 구조물(1000)을 시공하는 공정은,
상부 횡벽체(500)의 외측에 베이스모듈(1100)을 설치하는 공정;
상하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모듈(1100)에 복수의 제1 측벽모듈(1200)을 결합하는 공정,
상기 복수의 제1 측벽모듈(1200)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모듈에 이동 가능하게 제2 측벽모듈을 결합시키고, 상기 복수의 제1 측벽모듈(1200)과 연계되어 측벽체를 형성 가능하고 그 상부의 곡률의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제2 측벽모듈(1300)을 결합하는 공정,
복수의 상기 제2 측벽모듈(1300) 사이를 연결하도록 보강모듈을 설치하는 공정,
복수의 상기 제2 측벽모듈(1300)의 곡률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지붕모듈을 설치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차광 구조물(1000)은, 상부 횡벽체(30)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는 베이스모듈(1100)과, 상하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가능하게 베이스모듈(1100)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1 측벽모듈(1200);
복수의 제1 측벽모듈(1200) 사이에서 베이스모듈(1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의 제1 측벽모듈(1200)과 연계되어 차광 구조물(1000)의 측벽체를 형성 가능하고 그 상부의 곡률의 크기를 조절 가능하고 복수개로 마련된 제2 측벽모듈(1300);
복수의 제2 측벽모듈(130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보강모듈(1400);
복수의 제2 측벽모듈(1300)의 곡률의 크기에 대응하여 그 면적을 조절 가능한 지붕모듈(150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모듈(1100)은 상부 횡벽체(30)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함몰된 이동슬릿(1110)이 형성되고, 이동슬릿(1110)에는 제2 측벽모듈(130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1 측벽모듈(1200)은 베이스모듈(1100)에 결합되며, 복수의 제1 측벽모듈(1200)은 4개로 구성되고, 베이스모듈(1100)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측벽모듈(1200)은 상하방향으로 신장 수축 가능한 잭 서포터 혹은 실린더 구성된다.
제2 측벽모듈(1300)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지붕모듈(1500)의 전측 및 후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붕모듈(1500)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벽모듈(1300)은 받침부(1310) 및 받침부(1310)의 면적의 크기와 곡률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받침부(1310)와 연결되는 곡률부(1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310)는 복수개의 측벽플레이트(1311)와 하중분산바(1312)를 구비할 수 있다.
측벽플레이트(1311)는 지붕모듈(1500)과 접촉할 수 있고, 지붕모듈(1500)과 접촉된 상태에서 지붕모듈(15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측벽플레이트(1311)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의 둘레 방향인 원주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측벽플레이트(1311)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휘어진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곡률부(1320)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지붕모듈(1500)의 크기에 맞추어 측벽플레이트(1311)를 지붕모듈(1500)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곡률변경기(1321) 및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곡률변경기(13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곡률부(1320)는 복수의 측벽플레이트(1311)의 곡률의 크기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제3 곡률변경기(1323) 및 제4 곡률변경기(1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곡률변경기(1321)는 내부에 공간을 갖으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메인프레임(1321a), 제1 메인프레임(1321a)에 삽입되는 제1 조절프레임(1321b) 및 제1 조절프레임(1321b)을 제1 메인프레임(1321a)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고정핀(132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곡률변경기(1322)는, 한 쌍의 제1 곡률변경기(1321)의 사이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2 곡률변경기(1322)는 적어도 일부가 폭방향으로 이동하며 한 쌍의 제1 곡률변경기(1321)를 폭방향으로 이격시키거나 혹은 근접시킬 수 있다.
제2 곡률변경기(1322)는 결합프레임(1322a), 제2 메인프레임(1322b), 제2 메인프레임(1322b)에 삽입되는 제2 조절프레임(1322c) 및 제2 조절프레임(1322c)을 제2 메인프레임(1322b)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제2 고정핀(1322d)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인프레임(1322b)은 한 쌍의 결합프레임(1322a) 사이에 배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2 메인프레임(1322b)에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에는 제2 고정핀(1322d)이 삽입될 수 있다.
제2 조절프레임(1322c)은 제1 조절프레임(1321b)에 설치되고, 제2 메인프레임(1322b)의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어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곡률변경기(1323)는 제2 곡률변경기(1322)와 측벽플레이트(1311)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3 곡률변경기(1323)는 복수의 측벽플레이트(1311)의 곡률의 크기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3 곡률변경기(1323)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길이변경체(1323a), 일측이 결합프레임(132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제1 길이변경체(1323a)의 하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제1 지지축(1323b) 및 일측이 힌지부재(1311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제1 길이변경체(1323a)의 상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제2 지지축(132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곡률변경기(1324)는, 제1 곡률변경기(1321)와 측벽플레이트(1311)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4 곡률변경기(1324)는 결합돌기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며 측벽플레이트(1311)들을 원주방향으로 이동시켜 펼칠 수 있다.
제4 곡률변경기(1324)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길이변경체(1324a), 일측이 한 쌍의 결합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제2 길이변경체(1324a)의 하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제3 지지축(1324b) 및 일측이 측벽플레이트(1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제2 길이변경체(1324a)의 상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제4 지지축(132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곡률변경기(1324)의 구조 및 작동 방식은 제3 곡률변경기(1323)와 동일할 수 있다.
복수개의 측벽플레이트(1311) 중 일부는 제4 곡률변경기(1324)에 의해 접혀져 서로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측 측벽플레이트(1311)의 안내핀(1311b)가 인접된 타측 측벽플레이트(1311)의 안내홈(1311a)에 삽입되고, 타측 측벽플레이트(1311)의 안내핀(1311b)가 또다른 측벽플레이트(1311)의 안내홈(1311a)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지반골조 110 : 제1프레임
130 : 바닥판 200 ; 수평유지부
210 : 소켓 220 : 지지대
230 : 방진패드 300 : 기둥골조
320 : 제2프레임 330 : 제3프레임
360 : 중량구조물 400 ; 벽체
420 : 연결구 440 : 판넬
500 : 상부 횡벽체 540 : 제4프레임
550 : 제5프레임 560 ; 판넬

Claims (3)

  1. 지면에 지지되며,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제1프레임을 연결하여 지반골조를 조립하고, 상기 지반골조의 상부에 바닥판을 설치하는 베이스부 설치단계;
    상기 바닥판에 삽입홈을 천공하여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에 제2프레임의 하단을 결합시켜 직립되게 다수의 제2프레임을 병렬 배치하고, 다수의 제2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제3프레임을 결합하여 기둥골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둥골조의 외면에 다수의 연결구를 장착하고,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연결핀을 구비한 판넬을 기둥골조의 외면에 부착하여 벽체를 설치하는 단계;
    다수의 제4프레임을 상하에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하의 제4프레임을 연결하여 다수의 제5프레임을 장착하여 보 골조를 조립하고, 외면에 판넬을 부착하여 상부 횡벽체를 제작하고, 상기 상부 횡벽체를 다수의 기둥부 및 벽체의 상단에 수평으로 장착하여 상부 횡벽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벽체 또는 상부 횡벽체의 외면에 표면도장재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 설치단계는
    지반골조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유지부를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유지부를 설치하는 공정은,
    지반골조에 종방향으로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에 소켓을 매립하는 공정과,
    상기 소켓에 볼트축을 나사결합시키고 볼트축의 하단에 지지대가 결합되어 지면에 접촉되도록 지지대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지지대의 하면에 방진패드를 부착하여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골조를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부착되며 삽입홈에 연통되는 끼움공이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는 지면에 밀착되며 중량을 갖는 중량구조물을 장착하는 것이고,
    상기 벽체를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연결구는 결합홈이 형성된 관체이며, 결합홈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은 연결구의 결합홈에 억지끼움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의 주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주입홈으로 접착제를 주입하여 접착제가 연결구의 결합홈 및 요홈에 충진되어 연결핀과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상부 횡벽체의 외측에 장착되는 차광 구조물을 시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전시용 부스의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30003887A 2023-01-11 2023-01-11 조립이 용이한 친환경 전시용 부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30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887A KR102630412B1 (ko) 2023-01-11 2023-01-11 조립이 용이한 친환경 전시용 부스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887A KR102630412B1 (ko) 2023-01-11 2023-01-11 조립이 용이한 친환경 전시용 부스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412B1 true KR102630412B1 (ko) 2024-01-29

Family

ID=89716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3887A KR102630412B1 (ko) 2023-01-11 2023-01-11 조립이 용이한 친환경 전시용 부스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4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4128A (ko) * 2011-05-03 2012-11-13 이유정 선반 설치형 조립식 부스
KR20180134006A (ko) 2017-06-08 2018-12-18 이용훈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전시용 부스
KR101961733B1 (ko) * 2018-10-08 2019-03-25 박성우 조립식 하우스
KR20190135665A (ko) * 2018-05-29 2019-12-09 주영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4128A (ko) * 2011-05-03 2012-11-13 이유정 선반 설치형 조립식 부스
KR20180134006A (ko) 2017-06-08 2018-12-18 이용훈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전시용 부스
KR20190135665A (ko) * 2018-05-29 2019-12-09 주영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961733B1 (ko) * 2018-10-08 2019-03-25 박성우 조립식 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0412B1 (ko) 조립이 용이한 친환경 전시용 부스 및 이의 시공방법
CN105544741A (zh) 一种集成房屋组合拼接结构的建筑节点
US20200002940A1 (en) Prefabricated booth
KR102169617B1 (ko)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
CN108018942B (zh) 一种薄壁型钢集成房屋框架及其搭建方法
CN209099826U (zh) 一种转角搭建模块及搭建系统
CN110173107B (zh) 一种装配式建筑支撑架体及装配方法
KR101849272B1 (ko) 전시부스용 프레임구조 및 그 프레임구조를 이용한 전시부스 시공 방법
CN203583662U (zh) 可快速装拆搭建的房屋
CN208203733U (zh) 一种型材转角连接组件
CN215594830U (zh) 一种钢梁搭建平台结构
CN112593634B (zh) 一种折叠式拆卸方便的建筑钢结构
CN210857493U (zh) 一种可替换式节能建筑结构
CN108590247B (zh) 搭建模块构件
CN208792493U (zh) 一种具有横梁搭建模块的搭建系统
CN208996523U (zh) 一种扇形搭建模块及搭建系统
CN215838168U (zh) 轻展通用折叠柱
CN104700747B (zh) 一种户外球节点网架式高炮广告牌
KR20080004895U (ko) 조립식 무대장치
KR102151266B1 (ko) 가설이 용이한 조립식 무대
CN220336636U (zh) 一种便于拼接组装的防护装置
CN214835342U (zh) 一种新型临时施工围栏
KR102564234B1 (ko) 하부프레임 모듈식 이중마루 패널 지지 구조 및 상기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이중마루 시스템
CN217175956U (zh) 一种基于园林设计的景观廊架结构
CN219671971U (zh) 一种集装箱建筑的户外地板连接节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