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667Y1 -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667Y1
KR200495667Y1 KR2020220000059U KR20220000059U KR200495667Y1 KR 200495667 Y1 KR200495667 Y1 KR 200495667Y1 KR 2020220000059 U KR2020220000059 U KR 2020220000059U KR 20220000059 U KR20220000059 U KR 20220000059U KR 200495667 Y1 KR200495667 Y1 KR 200495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mera
lift
elevating
lif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충
Original Assignee
김연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충 filed Critical 김연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6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는, 제1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구비되고 양측이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리프트 프레임(lift frame);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긴 시트(sheet) 형상의 승하강 프레임; 화재 방지용 카메라가 장착되고 상기 승하강 프레임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카메라 장착부; 상기 카메라 장착부의 승강 또는 하강을 제어하는 승하강 제어부; 및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사다리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 {Camera Lift Apparatus for Substation}
본 고안은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변전소에서의 화재는 변전소 자체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뿐 아니라 전력공급의 문제도 상당하다. 이에, 변전소에서는 화재 예방에 대한 만전의 조치가 취해지고 있다.
관련 조치의 하나로, 변전소, 특히 주변압기(MTR, Main Transformer)에 대한 화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주변압기가 위치하는 MTR실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경우, 주변압기의 크기 또는 MTR실의 높은 내부 온도로 인하여, 상당히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로 인한 유지 또는 보수가 곤란할 수 있다. 카메라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리프트 장치가 고려될 수 있으나, 변전소, 특히 MTR실에 설치되는 경우, 고온으로 인해 자동 조절 장치의 회로가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유지 또는 보수가 안정적이고 안전하며 편리한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는, 제1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구비되고 양측이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리프트 프레임(lift frame);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긴 시트(sheet) 형상의 승하강 프레임; 화재 방지용 카메라가 장착되고 상기 승하강 프레임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카메라 장착부; 상기 카메라 장착부의 승강 또는 하강을 제어하는 승하강 제어부; 및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사다리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일면에 카메라가 위치하는 장착 시트; 상기 장착 시트의 타면에 위치하고 몸체에 형성된 홈이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측면과 접하여 슬라이딩(slidig) 되는 적어도 한 쌍의 승하강 롤러(roller); 및 상기 승하강 롤러와 상기 장착 시트의 일측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장착 시트의 타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승하강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1 케이블(cable)이 연결되는 연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시트의 타단 및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 중 상기 연결 시트와의 거리가 더 먼 타측의 리프트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케이블 고정 부재에 연결되는 제2 케이블;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시트는 타단이 일단보다 상기 장착 시트의 일측에 더 근접하게 절곡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상기 장착 시트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승하강 롤러의 연결 돌기와 결합되는 연결 부재; 상기 장착 시트를 관통하는 제1 관통홀; 및 상기 장착 시트의 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관통홀을 통해 전달되는 카메라의 전선의 일부가 수납되는 수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 중 일측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카메라 장착부와 연결되는 제1 케이블이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수동의 윈치(winc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사다리 프레임 중 하나는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의 일면에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사다리 프레임 중 나머지는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의 타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의 타면에 연결되는 사다리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돌출된 부분에는 제3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프레임에 삽입되고 상기 리프트 프레임으로부터 노출 가능한 보조 사다리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사다리부는, 상기 리프트 프레임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보조 프레임 및 제2 보조 프레임; 일단이 상기 제1 보조 프레임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 보조 프레임이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때에 타단이 상기 제1 보조 프레임에 수직한 방향으로 분리되는 발판; 및 상기 제2 보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발판의 타단이 위치되는 발판 장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는, 사다리 기능이 결합되어, 변전소용 카메라의 유지 또는 보수가 안정적이고 안전하며 용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는, 사다리 기능이 결합되었음에도, 카메라의 승하강이 안정적이고 용이한 구조로 구현되어, 변전소용 카메라의 유지 또는 보수가 안정적이고 안전하며 용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는, 그 설치 위치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보조 사다리가 내장되어, 변전소용 카메라의 유지 또는 보수가 안정적이고 안전하며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부의 승하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사다립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100)는 리프트 프레임(lift frame, 110), 승하강 프레임(120), 카메라 장착부(130), 승하강 제어부(140) 및 다수의 사다리 프레임(150)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100)는 변전소의 MTR실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리프트 프레임(110)은 제1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구비되고 양측이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 방향이라 함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100)가 변전소의 MTR실 등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높이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 동일하다.
리프트 프레임(110)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리프트 프레임(110)의 타단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100)가 변전소의 MTR실 등에 설치된 상태에서 지면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일단은 타단과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리프트 프레임(110)은 양단이 모두 개방된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리프트 프레임(110)에 걸림 홈(미도시) 등이 구비되어 카메라 장착부(130)의 승강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리프트 프레임(110)는 제1 방향의 길이가 약 2m~6m 정도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승하강 프레임(120)은 리프트 프레임(110)의 양측의 일면으로부터 리프트 프레임(110)의 양측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어 제1 방향으로 긴 시트(sheet)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리프트 프레임(110)의 일면 또는 리프트 프레임(110)의 양측의 일면이라 함은 설치 상태에서 리프트 프레임(110)의 벽면에 인접한 타면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시트 형상이라 함은 승하강 프레임(120)이 하나의 시트로 구비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리프트 프레임(110)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구비됨을 의미할 수 있다.
리프트 프레임(110) 및 승하강 프레임(120)은 모두 강판으로 구비되는 경우, 승하강 프레임(120)은 리프트 프레임(110)의 일면 또는 일면의 모서리에서 용접을 통해 리프트 프레임(110)과 연결될 수 있다.
승하강 프레임(120)의 일단은 리프트 프레임(110)의 일단과 접하고, 그 길이가 리프트 프레임(110)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트 프레임(110)이 6m로 구비되는 경우, 승하강 프레임(120)은 5m로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장착부(130)에는 화재 방지용 카메라(미도시)가 장착되고, 승하강 프레임(120)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100)가 변전소의 MTR실 등에 설치되어 카메라 장착부(130)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주변압기(미도시)를 촬영하는 때에, 카메라 장착부(130)는 승하강 프레임(120)의 일단 또는 승하강 프레임(120)의 일단에 근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높은 위치에서 주변압기가 촬용됨으로써 주변압기 전체의 상황이 촬영될 수 있다.
카메라 장착부(130)에 장착된 카메라가 오작동하는 경우, 카메라 장착부(130)는 하강되어 카메라가 수리 또는 교체된 후, 다시 승하강 프레임(120)의 일단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100)는 유지 또는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메라 장착부(130)의 구조 및 그 승하강 동작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부(130)는 장착 시트(131), 연결 부재(132), 승하강 롤러(roller, 133) 및 연결 시트(134)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시트(131)는 리프트 프레임(110) 및 승하강 프레임(120)와 마찬가지로 강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되는 장착 시트(131)의 일면에는 연결 부재(132)가, 도 2의 (b)에 도시되는 장착 시트(131)의 타면에는 승하강 롤러(133)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장착 시트(131)의 일면은 카메라가 위치하는 면을, 장착 시트(131)의 타면은 그 일면에 대향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연결 부재(132) 및 승하강 롤러(133)가 각각 4쌍으로 구비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착 시트(131)의 크기, 장착되는 카메라의 무게 등에 따라 구비되는 연결 부재(132) 및 승하강 롤러(133)의 개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롤러(133)는 측면의 가운데에 움푹 패인 홈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몸체(133-1)와, 몸체의 일단과 연결되고 몸체(133-1)를 장착 시트(131)의 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 부재(133-2) 및 이격 부재(133-2)의 일단과 연결되고 연결 부재(132)와 결합되는 연결 돌기(133-3)를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 롤러(133)의 몸체(133-1)에 형성된 홈은 도 1의 승하강 프레임(120)의 측면에 접하여 슬라이딩(sliding) 됨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부(130)의 승강 또는 하강 동작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승하강 롤러(133)의 몸체(133-1)에 형성된 홈의 크기는 승하강 프레임(120)의 측면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시트(134)는, 장착 시트의 타면에서 장착 시트(131)의 일측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승하강 롤러(133)와 장착 시트(131)의 일측 사이에 위치하고 연결 시트(134)의 타면에 수직하는 시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결 시트(134)는 장착 시트(131)의 일측을 절곡하여 형성되거나 장착 시트(131)와 별도로 구비되어 장착 시트(131)의 타면에 용접 등을 통해 장착 시트(131)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 시트(134)는 장착 시트(131)의 제1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시트(134)의 일단에는 제1 케이블(cable, 142)이 연결되고, 연결 시트(134)의 타단에는 제2 케이블(160)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케이블(160)이 연결되는 연결 시트(134)의 타단이 제1 케이블(142)이 연결되는 연결 시트(134)의 일단보다 장착 시트(131)의 일측에 더 근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시트(134)의 임의의 지점에서 일정 각도로 장착 시트(131)의 일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연결 시트(134)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1 케이블(142) 및 제2 케이블(160)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부(130)의 타면에는, 제1 방향으로의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카메라의 전원선 또는 데이터선 등의 전선 일부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수납 부재(1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수납 부재(135)에 전선 등을 수납함으로써, 카메라 장착부(130)의 승하강 동작에 의하여도 전선 등이 보호될 수 있다. 도 2는 수납 부재(135)가 연결 시트(134)와 접하여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의 전선의 나머지 부분은 리프트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을 거쳐 리프트 프레임(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장착 시트(131)의 일면에 위치하는 카메라를 장착 시트(131)의 타면에 위치하는 카메라 고정 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시키거나, 카메라의 전원선 또는 데이터선 등을 장착 시트(131)의 타면의 수납 부재(135)에 수납하기 위해, 장착 시트(131)를 관통하는 제1 관통홀(13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부의 승하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또는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부의 승하강 동작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구성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1 등의 다른 구성들이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도 4의 (a)는 설치 상태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에서 승하강 제어부가 위치하는 부분의 정면도이고, 도 4의 (b)는 해당 부분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100)에서, 연결 시트(134)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케이블(142)은 승하강 제어부(140)와 연결된다. 도 4는 승하강 제어부(140)가 수동의 윈치(winch, 144)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제어부(140)는 다양한 유형의 수동 도르래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시트(134)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케이블(142)은 리프트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서 수동의 윈치(144)에 의해 감기거나 풀려 연결 시트(134)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착부(130)에 승하강 동력 또는 장력을 전달할 수 있다. 윈치(144)는 연결 시트(134)의 위치에 대응하여 리프트 프레임(110)의 일측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케이블(142)은 리프트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리프트 프레임(110)에 형성된 제2 관통홀(미도시)을 통해 리프트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수동의 윈치(144)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케이블(142)에 가해지는 장력 등의 조절을 위해, 승하강 제어부(140)는 윈치(144)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조절 부재(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100)에서, 연결 시트(134)의 타단에 그 일단이 연결된 제2 케이블(160)은 리프트 프레임(110)의 타측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케이블 고정 부재(미도시)에 그 타단이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 고정 부재는 제1 방향 기준으로 리프트 프레임(110)의 일단에 더 인접한 높이로 장착될 수 있다. 이에, 연결 시트(134)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착부(130)의 승하강 동작에 대응되어 리프트 프레임(110)의 양측 공간 상에 위치하는 제2 케이블(160)의 최저점이 이동될 수 있다.
도 4의 윈치(144)에 연결되는 제1 케이블(142)과 리프트 프레임(110)의 타측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이블 고정 부재에 연결되는 제2 케이블(160)이 각각 연결 시트(134)의 양단과 연결됨으로써, 카메라 장착부(130)가 제한된 범위에서 승하강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1 케이블(142)은 강선으로, 제2 케이블(160)은 체인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프트 프레임(110)의 양측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일면이 개방되어 단면이 "ㄷ"자 모양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리프트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연결 시트(134)가 임의의 지점에서 일정 각도로 장착 시트(131)의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연결 시트(134)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케이블(160)이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100)의 다수의 사다리 프레임(150)은 리프트 프레임(110)의 양측을 연결하여 작업자가 밟고 올라 설 수 있게 구비된다. 따라서, 카메라 장착부(130)의 승하강 동작이 원활하지 않는 등의 상황에서, 작업자가 카메라 등의 유지, 보수, 교체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사다리 프레임(150)은 리프트 프레임(110)과 동일하게 강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사다리 프레임(150)은 카메라 장착부(130)의 승하강 동작을 제한시키지 않도록 리프트 프레임(110)의 벽면에 인접한 타면에 위치된다. 다만, 적어도 하나의 사다리 프레임(154)은 카메라 장착부(130)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리프트 프레임(110)의 일면에 위치될 수 있다. 카메라 장착부(130)의 하강 위치는 일반 성인의 키 이상으로 제한되어 작업자의 머리에 충돌하는 등의 사고를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 등에서는 리프트 프레임(110)의 일면에 위치하여 카메라 장착부(130)의 하강 위치를 제어하는 사다리 프레임을 다른 사다리 프레임(150)과 구분하기 위해 도면 부호를 달리하였으나, 사다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점은 동일하다.
사다리 프레임(154) 중 일부는 벽면에 리프트 프레임(110)을 고정시키기 위해 리프트 프레임(110)의 양측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트 프레임(110)의 양측의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벽면에 리프트 프레임(110)을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 고정 부재(미도시)가 관통될 수 있는 제3 관통홀(152)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고정 부재는 리프트 프레임(110)이 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트 프레임(110)이 벽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면서도 작업자가 사다리 프레임(150)을 이용하는데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사다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100)는 도 1과 마찬가지로, 리프트 프레임(110), 승하강 프레임(120), 카메라 장착부(130), 승하강 제어부(140) 및 다수의 사다리 프레임(150)을 포함한다. 나아가, 도 6의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100)는 보조 사다리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100)가 설치되는 현장이나 작업 상황 등의 이유로, 설치 상태에서 지면에 근접한 리프트 프레임(110)의 타단의 위치가 일정 높이 이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트 프레임(110)의 타단이 지면으로부터 50cm 또는 1m 이상의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가 리프트 프레임(110)의 타단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는 사다리 프레임(150)까지 올라가기 어려울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100)는 리프트 프레임(1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고 필요에 따라 리프트 프레임(110)의 타단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보조 사다리부(170)를 더 포함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유지 또는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조 사다리부(170)는 리프트 프레임(110)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 프레임(172, 174)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보조 프레임(172)에는 일단이 제1 보조 프레임(172)과 힌지 연결되고, 제1 보조 프레임(172)이 리프트 프레임(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때에 타단이 제1 보조 프레임(172)의 일단으로부터 제1 보조 프레임(172)에 수직한 방향으로 분리되는 발판(172-2)이 포함될 수 있다. 발판(172-2)의 길이는 제1 보조 프레임(172)과 제2 보조 프레임(174)의 이격 거리에 대응된다.
제2 보조 프레임(174)에는 발판(172-2)과 마주하고 발판(172-2)의 일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발판 장착홈(174-2)이 형성될 수 있다. 발판 장착홈(174-2)은 발판(172-2)의 타단이 제1 보조 프레임(172)으로부터 분리되어 제1 보조 프레임(172)과 제2 보조 프레임(174) 사이의 공간에서 형성하는 궤적에 대응되는, 부채꼴의 단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보조 프레임(174)이 먼저 리프트 프레임(110)의 타단으로부터 노출되고, 그 다음으로 제1 보조 프레임(172)이 노출되는 경우, 발판(172-2)의 타단이 제1 보조 프레임(172)으로부터 분리된 후 발판 장착홈(174-2)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발판(172-2)을 딛고 올라 설 수 있다.
도 7은 한 쌍의 발판(172-2)과 발판 장착홈(174-2)이 구비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다수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보조 프레임(172) 및 제2 보조 프레임(174)이 리프트 프레임(110)에 삽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트 프레임(110)의 타단에 개폐 가능한 걸림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0)

  1. 제1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구비되고 양측이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리프트 프레임(lift frame);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긴 시트(sheet) 형상의 승하강 프레임;
    화재 방지용 카메라가 장착되고 상기 승하강 프레임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카메라 장착부;
    상기 카메라 장착부의 승강 또는 하강을 제어하는 승하강 제어부; 및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사다리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일면에 카메라가 위치하는 장착 시트;
    상기 장착 시트의 타면에 위치하고 몸체에 형성된 홈이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측면과 접하여 슬라이딩(slidig) 되는 적어도 한 쌍의 승하강 롤러(roller); 및
    상기 승하강 롤러와 상기 장착 시트의 일측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장착 시트의 타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승하강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1 케이블(cable)이 연결되는 연결 시트;를 포함하는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의 타단 및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 중 상기 연결 시트와의 거리가 더 먼 타측의 리프트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케이블 고정 부재에 연결되는 제2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는 타단이 일단보다 상기 장착 시트의 일측에 더 근접하게 절곡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상기 장착 시트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승하강 롤러의 연결 돌기와 결합되는 연결 부재;
    상기 장착 시트를 관통하는 제1 관통홀; 및
    상기 장착 시트의 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관통홀을 통해 전달되는 카메라의 전선의 일부가 수납되는 수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 중 일측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케이블이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수동의 윈치(winch);를 포함하는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사다리 프레임 중 하나는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의 일면에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사다리 프레임 중 나머지는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의 타면에 연결되는,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의 타면에 연결되는 사다리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돌출된 부분에는 제3 관통홀이 형성되는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프레임에 삽입되고 상기 리프트 프레임으로부터 노출 가능한 보조 사다리부;를 더 포함하는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조 사다리부는,
    상기 리프트 프레임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보조 프레임 및 제2 보조 프레임;
    일단이 상기 제1 보조 프레임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 보조 프레임이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때에 타단이 상기 제1 보조 프레임에 수직한 방향으로 분리되는 발판; 및
    상기 제2 보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발판의 타단이 위치되는 발판 장착홈;을 포함하는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
KR2020220000059U 2021-10-29 2022-01-10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 KR20049566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320 2021-10-29
KR20210003320 2021-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667Y1 true KR200495667Y1 (ko) 2022-07-21

Family

ID=82606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059U KR200495667Y1 (ko) 2021-10-29 2022-01-10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667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332Y1 (ko) * 2006-08-10 2006-10-20 정연덕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 승강 구조
KR200463926Y1 (ko) * 2012-06-15 2012-12-07 문석민 조립식 사다리
KR20130033628A (ko) * 2011-09-27 2013-04-04 안명자 승강형 지주대
KR102197645B1 (ko) * 2020-04-13 2021-01-15 윤명한 계측장비용 승강장치
KR102301003B1 (ko) * 2021-03-03 2021-09-10 (주)태화시스템 멀티 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332Y1 (ko) * 2006-08-10 2006-10-20 정연덕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 승강 구조
KR20130033628A (ko) * 2011-09-27 2013-04-04 안명자 승강형 지주대
KR200463926Y1 (ko) * 2012-06-15 2012-12-07 문석민 조립식 사다리
KR102197645B1 (ko) * 2020-04-13 2021-01-15 윤명한 계측장비용 승강장치
KR102301003B1 (ko) * 2021-03-03 2021-09-10 (주)태화시스템 멀티 리프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728B1 (ko) 카메라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cctv 폴 시스템
KR101676346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아파트 베란다 난간구조
KR101980157B1 (ko) 와이어로프 안내유도 및 이탈을 방지하는 무대시설용 안전 승하강장치
KR200495667Y1 (ko)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
JP2018035560A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KR101390150B1 (ko) 추락방지용 난간대
KR102145604B1 (ko) 케이블트레이
JP2012082590A (ja) 浸水防止装置
GB2493283A (en) Overhead access platform
KR20200050555A (ko)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US20020000069A1 (en) Swimming pool assembly
US20160130115A1 (en) Retractable overhead access platform for machine room less elevator systems
KR20200086897A (ko) Ict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 안전발판
JP3955235B2 (ja) 昇降式防水扉装置
KR102579659B1 (ko) 수직관 내 협소공간 작업용 곤돌라 장치
KR20080094497A (ko) 소방차용 고가 사다리
KR101230656B1 (ko) 고가 사다리차
EP1591402A2 (en) Material positioning lift
KR102270038B1 (ko) 안전난간의 피난계단 자동 원상 복원 장치
CN215291335U (zh) 一种带有平衡调节结构的建筑外墙粉刷施工用吊篮
KR20180012881A (ko) 실외기 설치가 용이한 베란다 구조
CN211058271U (zh) 一种工作平台
KR20200057303A (ko) 가변형 카메라 지주대 구조체
KR20190094271A (ko) 코드 제로 블라인드
KR200258475Y1 (ko) 보조레일이 구비된 사다리 소방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