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645B1 - 계측장비용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계측장비용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645B1
KR102197645B1 KR1020200044484A KR20200044484A KR102197645B1 KR 102197645 B1 KR102197645 B1 KR 102197645B1 KR 1020200044484 A KR1020200044484 A KR 1020200044484A KR 20200044484 A KR20200044484 A KR 20200044484A KR 102197645 B1 KR102197645 B1 KR 102197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ed
fixing
pip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7645B9 (ko
Inventor
윤명한
Original Assignee
윤명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명한 filed Critical 윤명한
Priority to KR1020200044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645B1/ko
Publication of KR10219764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64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측장비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량계 및 전도도계와 같은 계측장비를 동시에 승강가능하게 구성하여 작업자가 작업환경이 매우 열악한 맨홀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지상에서 용이하게 설치 및 유지보수 가능하도록 하고, 더불어 계측장비의 위치를 지상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크기가 다르거나 유량의 차이가 있는 맨홀에 상관없이 설치할 수 있는 계측장비용 승강장치를 제공하도록, 바닥면 양측에 각각 전방으로 돌출된 레일벽면이 형성되어 후면이 맨홀 내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 양측에 구비된 레일벽면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구름바퀴가 후면에 설치되어 승강하는 슬라이더판과, 상기 슬라이더판의 상부측 전면에 와이어의 당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더판을 가이드판과 고정 및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승강제어수단과, 상기 슬라이더판 중앙 전면에 유량계의 위치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맨홀 내부의 유량 및 유속을 측정하도록 하는 유량계위치조절수단과, 상기 슬라이더판 하부측 전면에 전도도계의 위치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맨홀 내부의 수질을 측정하도록 하는 전도도계위치조절수단과, 상기 맨홀이 설비된 지면에서 가이드판 상부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는 승강제어수단과 연결된 와이어를 감거나 또는 풀어서 슬라이더판을 승강시키는 탈착식동력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계측장비용 승강장치{Elevating apparatus for the measuring instrument}
본 발명은 계측장비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수나 우수가 흐르는 맨홀 내부에 설치되어 유속과 유량 및 수질 등을 계측하는 유량계와 전도도계가 설치된 슬라이더를 지상으로 상승시켜 작업자가 유량계 및 전도도계를 용이하게 유지·보수한 후, 다시 맨홀 내부 정위치로 하강시켜 계측하도록 하는 계측장비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물이나 눈이 녹아 발생하는 우수가 또는 여러지역의 주택이나 공업단지에서 사용한 오수가 모여 흐르는 하수관은 간격을 두고 설비되는 맨홀을 이용하여 지상에서 작업자가 맨홀 하부에 형성된 챔버로 내려가 작업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하수관을 따라 흐르는 물(하수)은 차집관로를 통해 하수종말처지랑으로 이동시켜 처리한 후, 하천이나 공공수역으로 방류하고 있다.
이렇게 하수관에 흐르는 물은 그 상태 예컨대, 유량과 유속 및 수질을 체크하여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하천 등으로 바로 방류하게 되는데 상기 유량과 유속은 유량계가 레이저 빔으로 감지하고, 수질은 흐르는 물에 담겨진 전도도계가 감지하여 그 데이터를 송신하여 관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유량계와 전도도계는 맨홀 내부 벽면에 각각 고정시켜 물의 상태를 감지하고 있고, 이렇게 설비된 유량계와 전도도계를 설치 및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맨홀뚜껑을 열고 챔버 내부로 사다리를 이용해 내려가 확인 및 검사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유량계가 맨홀 내부에 설치된 선행기술의 일례로 특허등록 제1345691호(명칭: 하수관 유량 측정장치)가 개시되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지면에 형성되는 맨홀뚜껑에 의하여 내부 공간이 개방되는 맨홀과, 상기 맨홀로 하수가 유입되며 하부는 수직관통되어 하부로 침적물을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 밸브가 장착되는 유입하수관과, 상기 유입하수관 보다 낮은 위치에서 맨홀의 하수를 배출하는 유출하수관과, 유입하수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를 가지고 유량계가 장착되는 유량측정관과, 상기 유입하수관과 유량측정관을 연결하며 상부에는 수압을 측정할 수 있는 수압계가 장착되고, 상기 유입하수관과 상기 연결관의 사이에는 상기 연결관이 하강하면 유입하수관과 연결된 부분은 상승하면 분리되어 유입하수관의 하수는 맨홀로 직접 흘러들어가도록 하는 스루스게이트밸브가 장착되는 제1 연결관과, 상기 유량측정관의 상기 제1 연결관이 연결된 타측에 장착되는 제2 연결관과, 상기 제2 연결관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향으로 절곡되며, 타측의 개방된 하단은 상기 유량측정관의 상단 높이보다 같거나 높게 형성되는 엘보관과, 하단은 상기 연결관에 고정되고 상부는 지상으로 관통 연장되는 리프트바를 승하강 시키는 권양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종래 하수관 유량 측장장치는 유량계가 맨홀 내부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어둡고 오물냄새가 심한 챔버로 내려가거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에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본 출원인은 하수관에 흐르는 하수관의 수질상태를 지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물을 끌어올리도록 하는 선행기술로 특허등록 제2044018호(명칭: 차집시설 수질검사장치)를 개시하였다.
상기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은 하수관의 물을 끌어올려 검사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이 있었지만 흡입노즐은 물에 잠겨 있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마찬가지로 맨홀 내부로 내려가 작업해야하는 문제점은 완벽히 해결하지 못했다.
또한, 상기 종래 선행기술에 개시된 유량계를 포함하는 계측장비는 맨홀에 설치한 후, 위치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설치지역과 주변환경에 따라 맨홀 및 하수관 내경의 크기 차이와 유량 및 유속에 따른 수위가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설비된 맨홀 및 하수관에 맞춰 작업자가 설치시 직접 위치를 조절해야 하고, 설치 이후에도 잦은 위치조절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유량계 및 전도도계와 같은 계측장비를 동시에 승강가능하게 구성하여 작업자가 작업환경이 매우 열악한 맨홀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지상에서 용이하게 설치 및 유지보수 가능하도록 하고, 더불어 계측장비의 위치를 지상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크기가 다르거나 유량의 차이가 있는 맨홀에 상관없이 설치할 수 있는 계측장비용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바닥면 양측에 각각 전방으로 돌출된 레일벽면이 형성되어 후면이 맨홀 내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 양측에 구비된 레일벽면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구름바퀴가 후면에 설치되어 승강하는 슬라이더판과, 상기 슬라이더판의 상부측 전면에 와이어의 당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더판을 가이드판과 고정 및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승강제어수단과, 상기 슬라이더판 중앙 전면에 유량계의 위치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맨홀 내부의 유량 및 유속을 측정하도록 하는 유량계위치조절수단과, 상기 슬라이더판 하부측 전면에 전도도계의 위치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맨홀 내부의 수질을 측정하도록 하는 전도도계위치조절수단과, 상기 맨홀이 설비된 지면에서 가이드판 상부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는 승강제어수단과 연결된 와이어를 감거나 또는 풀어서 슬라이더판을 승강시키는 탈착식동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벽면의 양측은 "<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벽면에 삽입되는 구름바퀴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름바퀴가 삽입된 레일벽면에 걸려 전방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슬라이더판의 하단 양측에는 각각 돌출된 하부고정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고정핀이 하강하여 끼움 고정되도록 대응하는 가이드판의 바닥면 위치에 중공의 하부삽입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제어수단은 슬라이더판 상부측에 형성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의 전면 양측에 돌출된 브래킷에 설비되는 걸림구회전축과, 상기 걸림구회전축과 중앙부분이 걸림구복귀스프링으로 연결되어 회전 및 복귀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측에는 와이어가 고정되는 와이어구멍이 형성되고, 하부측 후면에 오목한 걸림홈이 형성된 회전걸림구와, 가이드판의 바닥면에서 상기 걸림홈이 회전하여 관통구멍을 통과한 후, 걸려 슬라이더판을 고저시키거나 또는 해제되어 슬라이더판을 승강되도록 하는 걸림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유량계위치조절수단은 슬라이더판 전면에서 간격을 두고 양측에 각각 고정된 수평고정봉과, 상기 수평고정봉이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양측에 각각 구멍이 형성되고, 삽입된 수평고정봉의 외주연을 밀착 고정되도록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수평이동체와, 상기 수평이동체 후면에서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수직고정봉과, 상기 수직고정봉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고, 삽입된 수직고정봉의 외주연을 밀착 고정되도록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수직이동체와, 상기 수직이동체 전방에 고정되어 유량계가 고정되는 이동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량계위치조절수단은 슬라이더판 전면 양측에 돌출고정되고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제1나선기둥과, 상기 나선기둥이 양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제1안내장공에 통과된 후 너트로 고정되고, 상부측에 돌출고정되고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제2나선기둥이 마련되며, 하부 전면 양측에 각각 관통된 제1회전브래킷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제2나선기둥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제2안내장공에 통과된 후, 전면과 후면에 각각 너트로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1회전브래킷의 구멍과 대응하는 구멍이 관통된 제2회전브래킷이 형성되어 전면에 유량계가 고정되는 회전판과, 상기 제1,2회전브래킷을 통과하여 회전판을 회전가능도록 설치되는 틸팅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전도도계위치조절수단은 상기 슬라이더판 하부전면에서 곡선으로 돌출되어 일단이 고정되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부가 관통된 제1위치구멍이 형성된 제1곡면판과, 상기 제1곡면판과 동일한 곡선으로 형성되고, 제1위치구멍과 동일한 간격으로 관통된 제2위치구멍이 형성되어 제1위치구멍과 고정볼트로 체결되는 제2곡면판과, 상기 제2곡면판의 타단에 고정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양단부에서 각각 돌출된 플랜지에 고정볼트가 체결되어 조여지는 수직브라켓과,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수직브라켓에 삽입 고정되고, 하부 양측에서 돌출된 제1링크회전축이 구비된 고정파이프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고정파이프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 양측에서 돌출된 제2링크회전축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내부에 설치된 전도도계로 물이 유입되도록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회전파이프와, 상기 제1링크회전축과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링크회전축과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파이프를 회전시키는 회전연결링크와, 상기 제1링크회전축에 나선으로 권취되어 자체탄성력을 갖고, 일단은 회전파이프와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연결링크와 고정되어 유속 및 유량에 따라 회전된 회전파이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링크복귀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착식동력수단은 가이드판 상부측에 고정되고, 하면에 고정된 삽입가이드관과 연통하도록 중앙이 관통되며, 일측에는 키홈이 형성된 삽입고정구와, 상기 삽입고정구와 삽입가이드관으로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형성되고, 상부에 설치판체가 형성된 삽입고정관과, 상기 삽입고정관이 삽입고정구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삽입고정관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볼트를 조여 고정되고, 일측에는 상기 키홈에 끼워져 임의로 회전됨을 방지하는 고정키가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설치판체에 고정되고, 내부에 설비된 감속기어를 수동 또는 전동으로 회전하도록 일측에 동력회전축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와이어와 연결되는 휠이 구비된 윈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기이드판에 설비되어 슬라이더판 상승시 가이드판의 상부를 벗어나 인출되도록 하는 연장인출수단이 더 포함하되, 상기 연장인출수단은 상기 가이드판 상부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연장지지관과, 한 쌍의 상기 연장지지관에 각각 삽입되고, 하단은 연결되어 "└┘"형상을 이루는 연장가이드봉과, 상기 연장가이드봉 상단에 고정되고, 중앙은 후면이 개방되도록 절개되어 탈착식동력수단을 구성하는 스토퍼가 통과되는 스토퍼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는 하면까지 연통하도록 내부가 중공인 상부삽입관이 돌출형성된 인출판과, 상기 상부삽입관과 대응하는 위치의 슬라이더판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더판의 상승 시 상부삽입관과 삽입 구속된 후, 슬라이더판과 상면과 인출판의 하면이 접촉된 상태로 동시에 인출판이 연장가이드봉에 지지되면서 연장 상승시키는 상부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맨홀 내벽면에 고정된 가이드판을 따라 승강하도록 슬라이더판을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더판을 지상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탈착식동력수단을 이용하여 승강시킴으로써, 유량계 및 전도도계를 작업자가 지상에서 설치하거나 유지보수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즉, 작업자가 비좁고 어두우면서도 악취진동으로 작업환경이 매우 열악한 맨홀 내부로 들어가 작업하지 않고 승강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지상으로 끌어올린 유량계와 전도도계를 쉽고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유량계는 흐르는 물 전방에서 데이터를 얻고, 전도도계는 유량계가 데이터를 얻은 후에 수질데이터를 얻도록 설치되어, 물속에 잠기는 전도도계에의해 일어나는 물살이 유량계가 얻는 유속 및 유량의 데이터오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탈착식동력수단은 가이드판과 탈착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탈착식동력수단을 휴대하여 여러 지역에 설비된 맨홀로 운반한 후, 해당 가이드판에 끼워 사용할 수 있어서 작업의 편의성과 휴대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장인출수단을 이용하여 맨홀 상방향으로 높게 슬라이더판을 상승시킬 수 있음으로써, 작업자의 신장 차이에 맞춰 적합한 높이에서 쉽게 작업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유량계위치조절수단 및 전도도계위치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유량계와 전도도계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맨홀 내부 크기와 해당지역의 유량 및 유속을 고려하여 작업자가 지상에서 적합하게 조절하여 수질상태를 파악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위치조절수단의 제1실시례가 적용된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유량계위치조절수단의 제2실시례가 적용된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에 승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제어수단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제어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위치조절수단의 제1실시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유량계위치조절수단의 제2실시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도계위치조절수단이 유속에 의해 회전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동력수단을 레버 또는 전동기로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장인출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장인출수단을 발췌 도시한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장이출수단을 이용하여 슬라이더판이 상승하여 맨홀을 벗어난 상태를 도시한 전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장이출수단을 이용하여 슬라이더판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계측장비용 승강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크게, 맨홀(10) 내벽면에 고정되는 가이드판(100)과, 그 가이드판(100) 전면에 배치되는 슬라이더판(200)과, 그 슬라이더판(200)을 가이드판(100)에 안내되면서 승강시키는 승강제어수단(300)과, 상기 슬라이더판(200) 전면에 설치되어 유량계(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유량계위치조절수단(400)과, 상기 슬라이더판(200) 전면에 설치되어 전도도계(30)의 위치를 조절하는 전도도계위치조절수단(500)과, 상기 가이드판(100)에 탈착가능하게 구성되어 슬라이더판(200)을 승강시키는 탈착식동력수단(600)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판(100)에 설비되어 슬라이더판(200)을 지상 작업자의 신장에 맞춰 상승하도록 연장하는 연장인출수단(700)이 더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판(10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맨홀(10) 내벽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바닥면(101) 양측에 각각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레일벽면(10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벽면(102) 양측은 각각 외방향으로 돌출된 "<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술할 구름바퀴(201)도 대응하는 동일형상으로 형성되어 레일벽면(102) 내면에 삽입 접촉되면 전,후방이 걸려 임의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판(100)의 하부 양측에는 각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하부삽입관(110)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판(200)은 유량계(20) 및 전도도계(30)로 이루어진 계측장비를 맨홀(10)에 일체로 승강시켜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후면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름바퀴(201)가 구성되되, 상기 구름바퀴(2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일벽면(102)과 대응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된 후,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판(200)의 양측에서 하부삽입관(110)과 대응하는 위치에 하방향으로 돌출된 하부고정핀(210)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판(200)의 하강 시, 상기 하부고정핀(210)이 하부삽입관(110)에 삽입되면 슬라이더판(200)의 하단과 하부삽입관(110)의 상면이 접촉 고정되어 슬라이더판(200)이 유속에 밀리는 외력이 가해져도 임의로 이탈되지 않고, 더불어 작업자가 승강제어수단(300)에 구성된 와이어(340)가 느슨해짐을 감지하여 슬라이드판(200)이 정위치에 배치됨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고정핀(210)은 슬라이더판(200) 하부 양측에 1열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슬라이더판(200) 하부와 상부 양측에 2열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고정핀(210)이 삽입되는 하부삽입관(110)도 대응하는 위치에 2열로 형성되어 비교적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2열로 배치되는 하부고정핀(210)인 경우에는 하강시 상부에 형성된 하부삽입관(110)에 하부고정핀(210)이 걸려 간섭됨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판(100)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삽입관(110)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삽입관(110)은 바닥면(101) 전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제어수단(300)은 첨부된 도면 도 5 및 도 6과 같이, 후술할 탈착시동력수단(600)과 더불어 와이어(340)를 당기거나 풀어서 슬라이더판(200)을 맨홀(10)에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슬라이더판(200) 상부측 중앙부분에 장공으로 형성되는 관통구멍(30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301)의 전면 양측에서 돌출된 브래킷(302)을 통과하는 걸림구회전축(303)이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걸림구회전축(303)에 회전가능하게 회전걸림구(310)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걸림구(310)는 걸림구복귀스프링(320)과 일단이 고정되며, 걸림구복귀스프링(320)의 타단은 걸림구회전축(303)에 고정되어, 상기 걸림구복귀스프링(320)에 의해 회전걸림구(310)가 회전 및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걸림구(310)의 상부측에는 와이어(340)의 하단이 고정되는 와이어구멍(311)이 형성되고, 하부측의 후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홈(312)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판(100)의 바닥면에서 회전하는 걸림홈(330)이 걸려지는 대응위치에 전방으로 이격된 걸림봉(330)이 설치되어 걸림홈(312)이 걸림봉(330)에 걸리거나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340)를 상부에서 잡아당기면 회전걸림구(310)과 걸림구회전축(303)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들려져 걸림홈(312)이 관통구멍(301)을 벗어나 걸림봉(330)에서 이탈되어 구속이 해제된 슬라이더판(200)은 상승이 가능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슬라이더판(200)이 하강한 상태에서 와이어(340)를 당기던 힘이 제거되면 걸림구복귀스프링(320)의 복원력으로 회전걸림구(310)가 역으로 회전하여 걸림홈(312)이 관통구멍(301)을 통과한 후, 걸림봉(330)에 걸려지면 슬라이더판(200)은 가이드판(100) 하부 정위치에서 고정된다.
상기 유량계위치조절수단(400)은 유량계(20)를 슬라이더판(200)에 설치하되 계측이 용이한 위치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2가지 실시례를 제공한다.
먼저 제1실시례의 유량계위치조절수단(400)은 첨부된 도면 도 7과 같이, 한 쌍이 상기 슬라이더판(200) 전면에서 간격을 두고 양측에 수평고정봉(411)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수평고정봉(411)이 각각 삽입되도록 양측에 각각 구멍이 형성되는 수평이동체(412)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고정봉(411)을 따라 수평이동체(412)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수평이동체(412)에는 고정볼트(B)가 체결되어, 상기 고정볼트(B)의 기둥 단부가 수평고정봉(411)의 외주연과 밀착하여 수평이동체(412)가 정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이동체(412)의 후면에서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수직고정봉(413)이 고정된다.
더불어, 상기 수직고정봉(413)이 삽입되도록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수직이동체(414)가 설치되어, 상기 수직고정봉(413)을 따라 수직이동체(414)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직이동체(414)에도 고정볼트(B)가 체결되어 수직고정봉(413)의 외주연과 밀착시켜 수직이동체(414)가 정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수직이동체(414) 전방에 판상의 이동판(415)이 고정되어, 상기 이동판(415) 전면에 유량계(2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유량계(20)를 이동판(415)에 고정한 상태에서 수평이동체(412)와 수직이동체(414)를 이용하여 이동판(415)을 직각방향으로 이동시켜 정위치에 배치한 후, 고정볼트(B)로 고정시켜 맨홀(10)의 규격에 맞춰 작업자가 지상에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제2실시례의 유량계위치조절수단(400)은 첨부된 도면 도 8과 같이, 슬라이더판(200) 전면 양측에 제1나선기둥(421)이 고정되고, 상기 제1나선기둥(421)의 외주연에는 나선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판(200)의 전면에 배치되는 고정판(422)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판(422)의 양측에는 제1나선기둥(421)이 통과 후 너트(N)로 고정되되, 상기 고정판(422)이 슬라이더판(20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되도록 장공으로 형성된 제1안내장공(423)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고정판(422)의 상부측 전면에서 돌출 고정되는 제2나선기둥(424)이 형성되되, 상기 제2나선기둥(424)의 외주연에는 나선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422)의 하부 전면 양측에 각각 관통된 제1회전브래킷(425)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고정판(422) 전방에서 이격 배치되어 전면에 유량계(20)가 고정되는 회전판(426)이 구성되고, 상기 회전판(426)의 상부측에서 제2나선기둥(424)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관통된 제2안내장공(427)이 형성되어, 상기 제2안내장공(427)을 통과한 제2나선기둥(424)에 한 쌍의 너트(N)가 회전판(426)의 전,후면을 지지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426)의 하부에서 제1회전브래킷(425)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회전브래킷(428)이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제1,2회전브래킷(425)(428)을 관통하여 회전판(426)을 회전시키는 틸팅축(429)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426) 전면에 유량계(20)를 고정한 상태에서 우선 제1안내장공(423)을 이용하여 회전판(426)을 상,하로 이동시킨 후, 너트(N)로 고정하고, 다음 틸팅축(429)을 중심으로 회전판(426)을 회전시켜 유량계(20)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한 쌍의 너트(N)를 제2나선기둥(424)에 체결하여 결과적으로 회전판(426)의 전,후면을 한 쌍의 너트(N)가 지지하여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2실시례의 유량계위치조절수단(400)은 유량계(20)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하여 맨홀(10)의 규격과 유량에 따라 작업자가 지상에서 적합한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량계위치조절수단(400)은 맨홀(10)의 규격 또는 설비된 위치의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작업자가 제1실시례 또는 제2실시례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도도계위치조절수단(500)은 첨부된 도면 도 2 및 도 9와 같이, 물에 잠겨 수질상태를 데이터로 변환하는 전도도계(30)가 설치된 상태에서 맨홀(10) 규격의 크기에 따라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더판(200) 하부 전면에 고정되는 제1곡면판(5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곡면판(510)은 곡선으로 구부려진 상태로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을두고 상,하로 관통되는 제1위치구멍(5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곡면판(510)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상기 제1곡면판(5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는 제2곡면판(520)이 구성되고, 상기 제2곡면판(520)에는 제1위치구멍(511)과 연통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된 제2위치구멍(52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곡면판(510)(520)을 곡선으로 형성시킨 이유는 맨홀(10) 내부의 형상이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2위치구멍(511)(521)을 이용하여 거리를 조절할 때 직선으로 이동하면 맨홀(10) 내벽면에 걸려 이동이 불가하여 맨홀(10) 내부의 곡률과 같이 곡선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며, 특히 유량 및 유속을 측정하는 유량계(20)에서 발산되는 레이저가 간섭없이 제1,2곡면판(510)(520)의 곡률 내부의 빈 공간을 통과한 후, 물에 반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상기 제2곡면판(520)의 타단에 고정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된 수직브라켓(530)이 고정되고, 상기 수직브라켓(530)은 일측이 개방된 양단에 돌출된 플랜지(53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플랜지(531)는 고정볼트(B)로 체결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브라켓(530)으로 삽입되고, 내부가 중공인 고정파이프(540)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파이프(540)를 수직브라켓(530) 내부로 삽입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플랜지(531)를 고정볼트(B)로 조여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파이프(540) 하부 양측 외주연에는 돌출된 제1링크회전축(541)이 각각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고정파이프(540) 하부에 배치되는 회전파이프(550)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파이프(550)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전도도계(30)가 설치되며, 상부 양측 외주연에서 돌출형성되는 제2링크회전축(551)이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는 전도도계(30)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다수의 유입공(55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공(552)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은 전도도계(30)에 의해 수질을 체크한 후 중공으로 개방된 회전파이프(550) 하단을 통해 외부로 자연히 방출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파이프(550) 내부에 설치된 전도도계(30)를 작동하거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설비된 전선은 중공으로 형성된 고정파이프(540)와 회전파이프(550)의 내부에 삽입 보호된다.
또한, 상기 제1,2링크회전축(541)(551)과 연결되는 회전링크(560)가 설치된다. 즉, 회전링크(560)의 상단은 제1링크회전축(541)과 연결되고, 하단은 제2링크회전축(551)과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회전파이프(550)는 회전링크(560)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파이프(550)는 자중에 의해 최초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유속에 따라서 자연히 회전하여 물의 저항을 줄일 수 있고, 이렇게 회전파이프(550)가 회전하면 흐르는 물에 떠다니는 부유물이 사선으로 회전한 회전파이프(550)에 걸리더라도 유속에 의해 자연히 흘러내려 벗어나게 됨으로써, 전도도계(30)가 부유물에 간섭받지 않고 정확한 수질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링크회전축(541)에 권취되어 자체탄성력을 갖는 링크복귀스프링(570)이 설치되어 회전한 회전파이프(55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링크복귀스프링(570)의 일단은 회전파이프(550)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링크(560)와 고정된다.
따라서, 유속 및 수위가 높아지면 자연히 회전파이프(550)가 회전하여 상승하게 되고, 유속 및 수위가 낮아지면 자중에 의해 회전파이프(550)가 역회전으로 하강할 때, 링크복귀스프링(570)의 복원력으로 하강에 도움을 주어 물의 저항에 상관없이 신속히 하강하여 잠긴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유량계(20)는 흐르는 물이 유입되는 전방에서 유속과 유량 데이터를 레이저로 반사시켜 데이터를 얻고 전도도계(30)는 유량계(20) 후방 즉, 물이 유량계(20)를 지나친 후방에서 물에 잠겨 수질 데이터를 얻도록 구성됨으로써, 물에 잠긴 전도도계(30)에 의해 일어나는 물살로 인하여 유량계(20)의 데이터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탈착식동력수단(600)은 첨부된 도면 도 2 및 도 10과 같이, 가이드판(100)과 탈착가능하게 구성되어 작업자가 휴대 및 운반을 용이하는 동시에 와이어와 연결되어 슬라이더판(200)을 승강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판(100) 상부측에 고정되는 삽입고정구(610)가 구성되고, 상기 삽입고정구(610)는 중앙에 하면에 설치되는 중공인 삽입가이드관(611)과 연통하도록 구멍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키홈(6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고정구(610) 상부에서 진입하여 삽입가이드관(611)으로 삽입되는 삽입고정관(620)이 구성되고, 상기 삽입고정관(62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판상으로 형성된 설치판체(621)가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삽입고정관(620) 외주연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스토퍼(630)가 설치되어 상기 삽입가이드관(611)으로 진입하는 삽입고정관(6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630)의 일측에는 고정볼트(B)가 체결되어 삽입고정관(620)의 정위치에 스토퍼(630)를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볼트(B)를 조여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630)에서 키홈(612)과 대응하는 일측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키(631)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키(631)가 키홈(612)에 끼워지면 임의뢰 회전됨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설치판체(621)에 안착되는 윈치(640)가 고정되고, 상기 윈치(640)는 내부에 설비된 감속기어를 회전시키도록 일측에 동력회전축(641)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와이어(340)의 상단을 걸어 권취시키는 휠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회전축(641)은 수동과 전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수동방식은 작업자가 손으로 회전하도록 레버(642)를 꽂아 사용하고, 전동은 전원으로 고속회전하는 전동기(643)를 꽂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판(100)의 상부측에는 탈착식동력수단(600)과 연결된 와이어(340)의 상단을 걸어 작업자가 쉽게 꺼내어 윈치(64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고정구(644)가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탈착식동력수단(600)은 작업자가 휴대한 상태로 해당 맨홀(10)로 운반한 후, 슬라이더판(200)의 상승 높이를 계산하여 삽입고정관(620)에서 스토퍼(630)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하여 삽입고정관(620)을 삽입고정구(610)로 삽입시켜 스토퍼(630)가 삽입고정구(610)와 맞닿는 동시에 키홈(612)에 고정키(631)가 삽입되어 정위치에서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후, 상기 승강제어수단(300)과 연결된 와이어(340)의 상단을 와이어고정구(644)에서 탈거하여 윈치에 걸은 후, 동력회전축(641)에 레버(642) 또는 전동기(643)를 꽂아 회전시키면 맨홀 내부에 배치된 슬라이더(200)가 상승하게 되고,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340)가 당겨지면 회전걸림구(310)가 회전하여 걸림봉(330)으로부터 걸림홈(312)이 해제되어 상승이 가능하고, 이렇게 맨홀(10) 상부로 상승한 슬라이더판(200)에 설비된 유량계(20)와 전도도계(30)는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가 손쉽게 유지보수가 가능하고, 하강은 동력회전축(641)을 역으로 회전시켜 슬라이더판(200)을 맨홀(10) 내부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판은 맨홀(10) 내벽면에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더판(200)이 지상에서 높게 상승되는데 한계가 있고, 그러함으로써, 작업자의 신장 차이에 따라서는 작업자가 업드려서 작업을 수행하는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판(200)을 지상에서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높게 인출시키는 연장인출수단(70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연장인출수단(700)은 첨부된 도면 도 10 내지 도 14와 같이, 가이드판(100) 상부 양측에 각각 중공으로 형성된 연장지지관(710)이 고정되고, 상기 연장지지관(710)은 소정의 길이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지지관(710)에 각각 삽입되어 승강되는 연장가이드봉(720)이 설치되고, 상기 연장가이드봉(720)은 하부가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체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승한 후에는 연결된 하부가 연장지지관(710) 하단에 걸려서 상승을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연장가이드봉(720) 상단에 인출판(730)이 고정되고, 상기 인출판(730)의 중앙은 후면이 개방되도록 절개된 스토퍼관통구멍(731)이 형성되어 상기 탈착식동력수단(600)을 구성하는 삽입고정관(620)이 삽입고정구(610)로 삽입시 스토퍼(630)가 간섭없이 통과되도록 구성되고, 상면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부삽입관(732)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삽입관(732)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되, 그 중공부는 인출판(730)을 관통하도록 연통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판(200)에서 상부삽입관(732)과 대응하는 상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상부고정핀(733)이 구성되어, 슬라이더판(200)이 상승시 상부고정핀(733)이 상부삽입관(732)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연장인출수단(700)은 탈착식동력수단(600)을 작동시켜 와이어(340)가 당겨지면서 슬라이더판(200)을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더판(200)의 상면과 인출판(730)의 하면이 접촉된 상태로 인출판(730)과 함께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는 인출판(730)과 고정된 연장가이드봉(720)도 동시에 상승하면서 가이드판(100)에서 벗어난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고정핀(733)은 상부삽입관(732)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더판(200)과 인출판(730)이 고정된 상태를 이루고, 아울러 연장가이드봉(720)은 연장지지관(710)에서 지지되어 비교적 안정된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슬라이더판(200)에 구성된 구름바퀴(201)가 레일벽면(102)에서 상방향으로 벗어나면 불안전한 상태가 되는데 이때, 상기 상부고정핀(220)과 연장지지관(710)이 슬라이더판(2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임의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상승한 상기 슬라이더판(200)이 맨홀(10)에서 벗어난 적정한 위치에 도달하면 윈치(640)를 정지시켜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로 유량계(20) 및 전도도계(30)를 설치하거나 유지보수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맨홀(10) 내부에 설치되는 유량계(20) 및 전도도계(30)를 일체로 상승시켜 유지보수 작업에 편의성을 제공하고, 더불어 각지역의 환경에 따라서 규격이 상이한 맨홀(10)의 크기에 맞춰 유량계(20) 및 전도도계(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정확한 계측 가능하며, 또한 탈착식동력수단(600)은 작업자가 휴대가능하게 구성하여 운반 및 승강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나아가 슬라이더판(200)을 지상에서 소정의 높은 높이로 인출가능하여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작업에 적합한 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계측장비용 승강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맨홀: 10 유량계: 20
전도도계: 30 가이드판: 100
바닥면: 101 레일벽면: 102
하부삽입관: 110 슬라이더판: 200
구름바퀴: 201 하부고정핀: 210
승강제어수단: 300 관통구멍: 301
브래킷: 302 걸림구회전축: 303
회전걸림구: 310 와이어구멍: 311
걸림홈: 312 걸림구복귀스프링: 320
걸림봉: 330 와이어: 340
유량계위치조절수단: 400 수평고정봉: 411
수평이동체: 412 수직고정봉: 413
수직이동체: 414 이동판: 415
제1나선기둥: 421 고정판: 422
제1안내장공: 423 제2나선기둥: 424
제1회전브래킷: 425 회전판: 426
제2안내장공: 427 제2회전브래킷: 428
틸팅축: 429 전도도계위치조절수단: 500
제1곡면판: 510 제1위치구멍: 511
제2곡면판: 520 제2위치구멍: 521
수직브라켓: 530 플랜지: 531
고정파이프: 540 제1링크회전축: 541
회전파이프: 550 제2링크회전축: 551
유입공: 552 회전링크: 560
링크복귀스프링: 570 탈착식동력수단: 600
삽입고정구: 610 삽입가이드관: 611
키홈: 612 삽입고정관: 620
설치판체: 621 스토퍼: 630
고정키: 631 윈치: 640
동력회전축: 641 레버: 642
전동기: 643 와이어고정구: 644
연장인출수단: 700 연장지지관: 710
연장가이드봉: 720 인출판: 730
스토퍼관통구멍: 731 상부삽입관: 732
상부고정핀: 733 고정볼트: B
너트: N

Claims (9)

  1. 바닥면(101) 양측에 각각 전방으로 돌출된 레일벽면(102)이 형성되어 후면이 맨홀(10) 내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판(100);
    상기 가이드판(100) 양측에 구비된 레일벽면(102)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구름바퀴(201)가 후면에 설치되어 승강하는 슬라이더판(200);
    상기 슬라이더판(200)의 상부측 전면에 와이어(340)의 당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더판(200)을 가이드판(100)과 고정 및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승강제어수단(300);
    상기 슬라이더판(200) 중앙 전면에 유량계(20)의 위치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맨홀(10) 내부의 유량 및 유속을 측정하도록 하는 유량계위치조절수단(400);
    상기 슬라이더판(200) 하부측 전면에 전도도계(30)의 위치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맨홀(10) 내부의 수질을 측정하도록 하는 전도도계위치조절수단(500);
    상기 맨홀(10)이 설비된 지상에서 가이드판(100) 상부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는 승강제어수단(300)과 연결된 와이어(340)를 감거나 또는 풀어서 슬라이더판(200)을 승강시키는 탈착식동력수단(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장비용 승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벽면(102)의 양측은 "<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벽면(102)에 삽입되는 구름바퀴(201)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름바퀴(201)가 삽입된 레일벽면(102)에 걸려 전방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장비용 승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판(200)의 하단 양측에는 각각 돌출된 하부고정핀(21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고정핀(210)이 하강하여 끼움 고정되도록 대응하는 가이드판(100)의 바닥면(101) 위치에 중공의 하부삽입관(1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장비용 승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제어수단(300)은 슬라이더판(200) 상부측에 형성되는 관통구멍(301)과,
    상기 관통구멍(301)의 전면 양측에 돌출된 브래킷(302)에 설비되는 걸림구회전축(303)과,
    상기 걸림구회전축(303)과 중앙부분이 걸림구복귀스프링(320)으로 연결되어 회전 및 복귀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측에는 와이어(340)가 고정되는 와이어구멍(311)이 형성되고, 하부측 후면에 오목한 걸림홈(312)이 형성된 회전걸림구(310)와,
    가이드판(100)의 바닥면(101)에서 상기 걸림홈(312)이 회전하여 관통구멍(301)을 통과한 후, 걸려 슬라이더판(200)을 고정시키거나 또는 해제되어 슬라이더판(200)을 승강되도록 하는 걸림봉(3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장비용 승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계위치조절수단(400)은 슬라이더판(200) 전면에서 간격을 두고 양측에 각각 고정된 수평고정봉(411)과,
    상기 수평고정봉(411)이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양측에 각각 구멍이 형성되고, 삽입된 수평고정봉(411)의 외주연을 밀착 고정되도록 고정볼트(B)가 체결되는 수평이동체(412)와,
    상기 수평이동체(412) 후면에서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수직고정봉(413)과,
    상기 수직고정봉(413)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고,내부로 삽입된 수직고정봉(413)의 외주연을 밀착 고정되도록 고정볼트(B)가 체결되는 수직이동체(414)와,
    상기 수직이동체(414) 전방에 고정되어 유량계(20)가 고정되는 이동판(41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장비용 승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계위치조절수단(400)은 슬라이더판(200) 전면 양측에 돌출고정되고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제1나선기둥(421)과,
    상기 제1나선기둥(421)이 양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제1안내장공(423)에 통과된 후 너트(N)로 고정되고, 상부측에 돌출고정되고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제2나선기둥(424)이 마련되며, 하부 전면 양측에 각각 관통된 제1회전브래킷(425)이 형성된 고정판(422)과,
    상기 제2나선기둥(424)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제2안내장공(427)에 통과된 후, 전면과 후면에 각각 너트(N)로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1회전브래킷(425)의 구멍과 대응하는 구멍이 관통된 제2회전브래킷(428)이 형성되어 전면에 유량계(20)가 고정되는 회전판(426)과,
    상기 제1,2회전브래킷(425)(428)을 통과하여 회전판(426)을 회전가능도록 설치되는 틸팅축(429)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장비용 승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도계위치조절수단(500)은 상기 슬라이더판(200) 하부전면에서 곡선으로 돌출되어 일단이 고정되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부가 관통된 제1위치구멍(511)이 형성된 제1곡면판(510)과,
    상기 제1곡면판(510)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제1위치구멍(511)과 동일한 간격으로 관통된 제2위치구멍(521)이 형성되어 제1위치구멍(511)과 고정볼트(B)로 체결되는 제2곡면판(520)과,
    상기 제2곡면판(520)의 타단에 고정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양단부에서 각각 돌출된 플랜지(531)에 고정볼트(B)가 체결되어 조여지는 수직브라켓(530)과,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수직브라켓(530)에 삽입 고정되고, 하부 양측에서 돌출된 제1링크회전축(541)이 구비된 고정파이프(540)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고정파이프(540)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 양측에서 돌출된 제2링크회전축(551)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내부에 설치된 전도도계(30)로 물이 유입되도록 다수의 유입공(552)이 형성된 회전파이프(550)와,
    상기 제1링크회전축(541)과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링크회전축(551)과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파이프(550)를 회전시키는 회전링크(560)와,
    상기 제1링크회전축(541)에 나선으로 권취되어 자체탄성력을 갖고, 일단은 회전파이프(550)와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링크(560)와 고정되어 유속 및 유량에 따라 회전된 회전파이프(5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링크복귀스프링(5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장비용 승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식동력수단(600)은 가이드판(100) 상부측에 고정되고, 하면에 고정된 삽입가이드관(611)과 연통하도록 중앙이 관통되며, 일측에는 키홈(612)이 형성된 삽입고정구(610)와,
    상기 삽입고정구(610)와 삽입가이드관(611)으로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형성되고, 상부에 설치판체(621)가 형성된 삽입고정관(620)과,
    상기 삽입고정관(620)이 삽입고정구(610)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삽입고정관(620)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된 고정볼트(B)를 조여 고정되고, 일측에는 상기 키홈(612)에 끼워져 임의로 회전됨을 방지하는 고정키(631)가 형성된 스토퍼(630)와,
    상기 설치판체(621)에 고정되고, 내부에 설비된 감속기어를 수동 또는 전동으로 회전하도록 일측에 동력회전축(641)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와이어(340)와 연결되는 휠이 구비된 윈치(6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장비용 승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100)에 설비되어 슬라이더판(200) 상승시 가이드판(100)의 상부를 벗어나 인출되도록 하는 연장인출수단(700)이 더 포함하되, 상기 연장인출수단(700)은
    상기 가이드판(100) 상부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연장지지관(710)과,
    한 쌍의 상기 연장지지관(710)에 각각 삽입되고, 하단은 연결되어 "└┘"형상을 이루는 연장가이드봉(720)과,
    상기 연장가이드봉(720) 상단에 고정되고, 중앙은 후면이 개방되도록 절개되어 탈착식동력수단(600)을 구성하는 스토퍼(630)가 통과되는 스토퍼관통구멍(731)이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는 하면까지 연통하도록 내부가 중공인 상부삽입관(732)이 돌출형성된 인출판(730)과,
    상기 상부삽입관(732)과 대응하는 위치의 슬라이더판(200)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슬라이더판(200)의 상승 시 상부삽입관(732)과 삽입 구속된 후, 슬라이더판(200)과 상면과 인출판(730)의 하면이 접촉된 상태로 동시에 인출판(730)이 연장가이드봉(720)에 지지되면서 연장 상승시키는 상부고정핀(73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장비용 승강장치.




KR1020200044484A 2020-04-13 2020-04-13 계측장비용 승강장치 KR102197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484A KR102197645B1 (ko) 2020-04-13 2020-04-13 계측장비용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484A KR102197645B1 (ko) 2020-04-13 2020-04-13 계측장비용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645B1 true KR102197645B1 (ko) 2021-01-15
KR102197645B9 KR102197645B9 (ko) 2023-01-13

Family

ID=7412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484A KR102197645B1 (ko) 2020-04-13 2020-04-13 계측장비용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6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0392A (zh) * 2021-07-28 2021-11-19 余姚市银环流量仪表有限公司 一种涡街流量计
CN113686400A (zh) * 2021-07-28 2021-11-23 余姚市银环流量仪表有限公司 一种电磁流量计
CN114235247A (zh) * 2021-11-19 2022-03-25 温州大学 一种水陆两用采集不同深度土体物理力学参数采集固定设备及其使用方法
KR200495667Y1 (ko) * 2021-10-29 2022-07-21 김연충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
KR20220170113A (ko) * 2021-06-22 2022-12-29 유원에프에이 주식회사 회전각을 이용한 스크러버의 습식 탱크용 수위 측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228B1 (ko) * 2004-11-30 2005-06-23 (주)오트로닉스 초음파 유속분포 측정기를 이용한 하천유량 자동측정 시스템
KR101294133B1 (ko) * 2012-06-29 2013-08-07 한국수자원공사 수문 유지보수용 스톱로그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한 하천 유량 측정장치
KR101345249B1 (ko) * 2013-04-02 2013-12-26 이영수 암반 설치용 유속계 지지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228B1 (ko) * 2004-11-30 2005-06-23 (주)오트로닉스 초음파 유속분포 측정기를 이용한 하천유량 자동측정 시스템
KR101294133B1 (ko) * 2012-06-29 2013-08-07 한국수자원공사 수문 유지보수용 스톱로그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한 하천 유량 측정장치
KR101345249B1 (ko) * 2013-04-02 2013-12-26 이영수 암반 설치용 유속계 지지 구조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113A (ko) * 2021-06-22 2022-12-29 유원에프에이 주식회사 회전각을 이용한 스크러버의 습식 탱크용 수위 측정장치
KR102550508B1 (ko) 2021-06-22 2023-07-11 유원에프에이 주식회사 회전각을 이용한 스크러버의 습식 탱크용 수위 측정장치
CN113670392A (zh) * 2021-07-28 2021-11-19 余姚市银环流量仪表有限公司 一种涡街流量计
CN113686400A (zh) * 2021-07-28 2021-11-23 余姚市银环流量仪表有限公司 一种电磁流量计
CN113686400B (zh) * 2021-07-28 2024-03-15 余姚市银环流量仪表有限公司 一种电磁流量计
CN113670392B (zh) * 2021-07-28 2024-05-14 余姚市银环流量仪表有限公司 一种涡街流量计
KR200495667Y1 (ko) * 2021-10-29 2022-07-21 김연충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
CN114235247A (zh) * 2021-11-19 2022-03-25 温州大学 一种水陆两用采集不同深度土体物理力学参数采集固定设备及其使用方法
CN114235247B (zh) * 2021-11-19 2024-04-09 温州大学 一种水陆两用采集不同深度土体物理力学参数采集固定设备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645B9 (ko)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645B1 (ko) 계측장비용 승강장치
AU2011200123A1 (en) Method of Providing a Foundation for an Elevated Mass, and Assembly of a Jacked-Up Platform and a Framed Templat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5660422A (en) Adjustable lifting device
US7703856B1 (en) Manhole cover frame removal saw
KR20130117697A (ko) 선재 권취 드럼의 해권작업용 지지장치
CN211080335U (zh) 一种高应变法桩基动测试验装置
US7557771B1 (en) Wall-mounted antenna rail mast system
KR102044881B1 (ko) 수질 측정 센서용 홀더
KR20110006018A (ko) 맨홀뚜껑 개폐장치
KR101325716B1 (ko)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 펌프
KR100588479B1 (ko) 맨홀 뚜껑 개폐장치
KR101312121B1 (ko) 수문구조물의 수문 유지보수를 위한 수문 탈거장치 및 그 방법
KR100876620B1 (ko) 맨홀뚜껑 개방장치
KR101542610B1 (ko) 변전용 변압기의 설치구조
KR100931878B1 (ko) 도로 보수공사용 원형 절단기
KR100820136B1 (ko) 수문구조물의 수문 탈거장치
CN106348201A (zh) 车架底盘、移动式台车及钢管斜井维护系统
KR100600091B1 (ko)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
CN217027230U (zh) 一种线路基坑检测设备
KR102280898B1 (ko) 해수유입구조물의 게이트안착부 수심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이트안착부 수심측정방법
US3989627A (en) Removable gas diffuser and apparatus therefor
KR100736811B1 (ko) 내시경을 이용한 말뚝의 안전점검장치
KR101733124B1 (ko) 전선의 탈부착 기능을 갖춘 송배전 연결구조
US5590978A (en) Elevator construction for the launching and recovery of personal watercraft
CN208120673U (zh) 一种线盘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