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091B1 -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 - Google Patents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091B1
KR100600091B1 KR1020030082638A KR20030082638A KR100600091B1 KR 100600091 B1 KR100600091 B1 KR 100600091B1 KR 1020030082638 A KR1020030082638 A KR 1020030082638A KR 20030082638 A KR20030082638 A KR 20030082638A KR 100600091 B1 KR100600091 B1 KR 100600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tank
sprocket
moon
nu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8896A (ko
Inventor
조용식
이종인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한양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한양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한양학원
Priority to KR1020030082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091B1/ko
Publication of KR20050048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2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of apparatus for measuring liquid lev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gauge glasses or other apparatus involving a window or transparent tube for directly observing the level to be measured or the level of a liquid column in free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형 월파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형 월파량 측정장치는 물이 수용되며, 파도가 진행될 수 있도록 수로형태로 일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조파수조와, 상기 조파수조에 수용된 물에 상기 파도를 일으키는 조파장치와, 상기 조파장치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방파제 등의 해안구조물을 모형화한 모형구조물과, 상기 조파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행되는 파도가 상기 모형구조물을 월파하는 경우 그 월파된 물을 수용하는 월파수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방파제 등의 해안구조물을 넘어 월파하는 물의 양을 미리 예측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모형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월파수조의 설치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그 월파수조를 승강시키기 위한 월파수조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Model apparatus for measuring overtopped wave quant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의 주요 부위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의 승강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의 주요부위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의 주요부위의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의 주요부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은 상기 장치의 위치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월파수조의 승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 10 ... 조파수조
11 ... 가이드레일 20 ... 조파장치
30 ... 모형구조물 40 ... 월파수조
41 ... 가이드부 50 ... 프레임
60 ... 모터 61 ... 회전축
71 ... 제1이송나사 72 ... 제2이송나사
81 ... 제1너트부재 82 ... 제2너트부재
85 ... 암나사부 91 ... 제1스프로켓
92 ... 제2스프로켓 93 ... 제3스프로켓
94 ... 제4스프로켓 101 ... 제1체인
102 ... 제2체인 110 ... 배출펌프
120 ... 계측수조 121 ... 스케일
W ... 물
본 발명은 파도가 방파제나 방파호안 등 해안에 설치되는 해양구조물을 넘어서 월파하는 경우 그 월파된 물의 양을 예측하기 위한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그 계측이 용이하며 다양하게 월파조건을 변화시키면서도 편리하게 월파량을 계측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파제나 방파호안과 같은 해안구조물에 허용높이 이상의 파고를 가진 파도가 밀려올 때 그 파도가 해안구조물을 넘어오게 되는 것을 이른바 월파라고 하며, 이러한 월파가 발생되게 되면 해안구조물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뿐만 아니라 하역시설 등에도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해안구조물을 새롭게 설치하는 경우 또는 기존의 해안구조물을 개축하는 경우에는 모형실험을 통하여 월파량을 예측할 뿐만 아니라, 해안구조물에 의한 파랑의반사율 측정, 원하는 지점의 파고분석 등을 함으로써 해안구조물을 설계시 이를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월파량을 예측하기 위한 모형실험에 사용되는 장치가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이다.
종래의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는, 파도가 진행될 수 있도록 수로형태로 일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 조파수조와, 이 조파수조의 일측에 설치되어 조파수조에 수용되어 있는 물에 파도를 일으키게 하는 조파장치와, 상기 조파장치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방파제 등의 해안구조물을 모형화한 구조물과, 이 구조물을 월파한 물을 담을 수 있는 월파수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의 조파장치에서 파도를 일으키게 되면 파도는 조파수조를 따라 해안구조물쪽으로 진행되게 된다. 이 때 조파장치를 조절하여 허용파고 이상의 파도를 형성시키면 이 파도는 해안구조물을 넘어 월파하게 되고 이 월파된 물은 월파수조에 담기게 되며 그 양을 측정하여 실제 해안구조조물을 설치시 월파하는 물의 양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고의 높이 등 조파조건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상기한 예측실험을 반복함으로써 실제 해안구조물을 설계시에 이를 고려하여 해안구조물과 하역시설 등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는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정확한 월파량을 계측하는데도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에서는 사람이 조파수조에 들어가서 모형 해안구조물의 뒤에서 월파수조를 들고 월파된 물을 담았으며 실험이 끝나면 월파수조를 조파수조 외부로 꺼내어 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렇게 수동으로 월파량을 측정하는 경우, 조파수조에 들어가는 사람과 조파장치를 조정하는 두 명의 사람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며 조파수조에 들어가서 월파수조를 받치고 있는 사람은 한 자세를 계속 유지하고 있어야 되므로 노동력이 많이 투여되게 되어 실험이 용이하지 않으며 그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장시간에 걸쳐 실험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이 증대되었다. 한편, 사람이 월파수조를 받치고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 월파된 물을 정확하게 수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며 더욱이, 월파수조를 조파수조의 외부로 꺼내는 도중에 월파수조에 담긴 물이 월파수조 외부로 넘치게 되어 정확한 월파량을 측정할 수 없어 실험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람이 조파수조에 들어가서 월파수조를 받치고 있지 않아도 되도록 월파수조를 조파수조에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높이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실험효율과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는,물이 수용되며, 파도가 진행될 수 있도록 수로형태로 일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조파수조와, 상기 조파수조에 수용된 물에 상기 파도를 일으키는 조파장치와, 상기 조파장치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방파제 등의 해안구조물을 모형화한 모형구조물과, 상기 조파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행되는 파도가 상기 모형구조물을 월파하는 경우 그 월파된 물을 수용하는 월파수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방파제 등의 해안구조물을 넘어 월파하는 물의 양을 미리 예측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모형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월파수조의 설치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그 월파수조를 승강시키기 위한 월파수조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월파수조 승강수단은, 상기 조파수조의 상단에 놓여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은 가능하게 지지되는 너트부재와,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기 너트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단부는 상기 월파수조에 결합되어 있는 이송나사와, 상기 너트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나사는 제1이송나사 및 제2이송나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제1이송나사가 체결되는 제1너트부재와, 상기 제2이송나사가 체결되는 제2너트부재로 이루어지며,상기 제1너트부재에 결합되는 제1스프로켓 및 제2스프로켓과, 상기 제2너트부재에 결합되는 제3스프로켓과,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4스프로켓과, 상기 제1스프로켓과 상기 제4스프로켓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1체인 및 상기 제2스프로켓과 상기 제3스프로켓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2체인을 구비하여, 상기 모터가 회전시에 그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제1체인 및 제2체인을 통해 상기 제1스프로켓, 제2스프로켓 및 제3스프로켓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제1너트부재 및 제2너트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월파수조에 수용된 물을 그 월파수조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펌프와, 그 배출된 물을 다시 수용하여 월파된 물의 양을 계측할 수 있도록 스케일이 구비되어 있는 계측수조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조파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파수조의 상단에는 가이드레일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는 바퀴가 부착되어 있어, 상기 프레임이 상기 가이드레일상에서 상기 조파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월파수조의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그 하단은 상기 월파수조에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봉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의 개략적 구조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의 주요 부위에 대한 개략적 사 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의 승강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위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1)는 조파수조(10), 조파장치(20), 모형구조물(30), 월파수조(40) 및 월파수조 승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파수조(10)에는 물(w)이 수용되며 일방향을 따라 수로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파수조(10)는 대략 35m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아크릴소재로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조파장치(20)에 의해 파도가 발생될 때 그 파도가 진행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조파수조(10)의 상단에는 가이드레일(11)이 그 조파수조(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파장치(20)는 상기 조파수조(10)의 일측에 설치되게 되며, 상기 조파수조(10) 내부에 물(w)에 파동을 주어 파도를 일으키게 한다. 상기 조파장치(20)는 공지의 장치로서 예컨대, 특허등록번호 제1991-0006189호에 기재된 조파장치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파장치(20)는 다양한 파고의 파도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형구조물(30)은 방파제, 방파호안 등과 같은 해안구조물을 모형화한 것이다. 상기 모형구조물(30)은 상기 조파수조(10)에 설치되게 되며, 보다 구체적 으로는 상기 조파장치(20)가 위치한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모형구조물(30)은, 실제 해안에 설치되게 될 해안구조물의 높이와 형상에 따라, 그 높이와 형상 등을 자유롭게 변형시켜 상기 조파수조(10)에 설치되게 된다.
상기 월파수조(40)는, 상기 조파장치(20)에 의하여 형성된 파도가 상기 조파수조(10)를 따라 진행되어 상기 모형구조물(30)을 넘어서 월파하는 경우 그 월파된 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상기 월파수조(40)는 상기 모형구조물(30)의 높이와 맞는 적절한 높이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조파수조(10)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모형구조물(30)을 넘어 월파된 물을 모두 수용하여 정확한 월파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월파수조(40)에는 월파된 물이 모두 이 월파수조(40)내로 유도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41)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부(41)는 상기 모형구조물(30)에 밀착되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월파수조(40)에는 배출펌프(1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배출펌프(110)는 상기 조파수조(10)외부의 계측수조(12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출펌프(110)는 상기 월파수조(40)에 수용된 물을 상기 조파수조(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서, 공지의 배출펌프 예컨대, 특허출원번호 제10-2001-0033183호에 개시된 수중펌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계측수조(120)는 상기 수중펌프(110)에 의하여 상기 월파수조(40)로부터 배출된 물을 다시 수용하여 그 양을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배출펌프(110)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계측수조(120)에는 월파된 물의 양을 정확히 계측할 수 있도록 일측에 스케일(12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월파수조 승강수단은 상기 모형구조물(30)의 높이에 따라 상기 월파수조(40)의 설치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50), 너트부재(81,82), 이송나사(71,72) 및 모터(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50)은 상기 조파수조(10)의 상단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 프레임(50)의 하단에는 바퀴(51)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바퀴(51)는 상기 조파수조(10)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레일(11)상에 놓여지게 되며 상기 프레임(50)은 상기 조파수조(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50)의 4곳의 모서리에는 각기 관통공(52)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52)들에는 복수의 가이드봉(130)이 각각 승강가능하게 끼워지게 된다. 상기 가이드봉(130)의 하단은 상기 월파수조(4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봉(130)은 상기 월파수조(40)의 승강시에 함께 승강하여 그 월파수조(40)의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상기 월파수조(40)의 승강시 상기 월파수조(40)의 뒤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너트부재(81,82)는 상기 프레임(50)의 일측에 위치하여 지지되는 제1너트부재(81)와 타측에 위치하여 지지되는 제2너트부재(8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너트부재(81,82)는 상기 프레임(50)의 상단에 위치고정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50)에 대하여 회전은 가능하되 승강은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너트부재(81,82)는 위치고정되어 공전은 불가능하며 자전은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너트부재(81,82)의 전체적 형상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의 원통형이며, 상기 너트부재(81,8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8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너트부재(81,82)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스프로켓이 결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너트부재(81)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스프로켓(91)과 제2스프로켓(92) 및 상기 제2너트부재(82)에 결합되는 제3스프로켓(93)의 3개의 스프로켓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스프로켓(91)은 상기 제1너트부재(81)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2스프로켓(92)도 상기 제1너트부재(81)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3스프로켓(93)은 상기 제2너트부재(82)가 회전시에 함께 회전되게 된다.
상기 이송나사(71,72)는 상기 제1너트부재(81)에 체결되는 제1이송나사(71)와 상기 제2너트부재(82)에 체결되는 제2이송나사(7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이송나사(71)와 제2이송나사(72)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50)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하단부는 각각 상기 월파수조(4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이송나사(71,72)는 전체적으로 봉형상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60)는 상기 제1너트부재(81)와 제2너트부재(82)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너트부재(81)와 제2너트부재(82)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50)에 설치된다. 상기 모터(60)의 회전축(61)에는 제4스프로켓(94)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61)이 회전시에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너트부재(81)와 제2너트부재(82)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모두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터(60)는 정역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제4스프로켓(94)의 회전시에 그 회전력이 상기 제1스프로켓(91)에 전달 되어 상기 제1스프로켓(91)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4스프로켓(94)과 상기 제1스프로켓(91)은 제1체인(101)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프로켓(92)의 회전력이 상기 제3스프로켓(93)에 전달되어 상기 제3스프로켓(93)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스프로켓(92)과 상기 제3스프로켓(93)은 제2체인(10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1)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해안에 실제 설치하게 될 해안구조물의 형상 및 높이에 부합하는 상기 모형구조물(30)을 마련하여 상기 조파수조(10)에 설치한다. 이렇게 상기 모형구조물(30)이 상기 조파수조(10)에 설치되면 상기 프레임(50)을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월파수조(40)가 상기 모형구조물(30)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 모형구조물(30)은 실험조건에 따라 상기 조파수조(10)에서 간단하게 위치변경 가능하므로 실험이 매우 용이해진다.
한편, 상기 프레임(50)의 위치를 설정하고 나면, 상기 월파수조(40)의 높이를 조절한다. 즉, 상기 모터(60)를 작동시키면 상기 모터(60)의 회전축(61)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4스프로켓(94)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4스프로켓(94)이 회전되면 이 제4스프로켓(94)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체인(101)이 주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제1체인(101)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스프로켓(91)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스프로켓(91)은 상기 제1너트부재(81)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너트부재(81)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너트부재(81)의 회전에 따라 그 제1너트부재(81)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스프로켓(92)도 회전되며 이 회전력은 상기 제2체인(102)을 통해 상기 제3스프로켓(93)에 전달되어 결국 상기 제3스프로켓(93)도 회전된다. 상기 제3스프로켓(93)은 상기 제2너트부재(82)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제2너트부재(82)도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모터(60)가 회전되면 상기 제1너트부재(81)와 제2너트부재(82)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너트부재(81)와 제2너트부재(82)는 위치가 고정된 채 제자리에서 자전하게 되므로, 상기 제1너트부재(81)에 나사결합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는 상기 제1이송나사(71)는 상대적으로 일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이송나사(72)도 상기 제1이송나사(71)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2너트부재(82)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너트부재(82)가 자전하게 되면 이 제2이송나사(82)도 일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이송나사(71)와 제2이송나사(72)가 상승하게 되면, 이 이송나사들(71,72)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월파수조(40)도 함께 상승하게 되며 그 상승시에 상기 복수의 가이드봉(130)에 의하여 그 상승이 가이드되게 된다. 역으로, 상기 모터(60)를 역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1이송나사(71)와 제2이송나사(72)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한 방식으로 어떠한 실험조건에서도 상기 월파수조(40)의 설치높이를 상하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월파수조(40)가 안정적으로 장시간 지속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되어 실험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모형구조물(30)과 월파수조(40)의 설치가 완료되게 되면, 상기 조파장치(20)를 작동시켜 상기 조파수조(10)내의 물(w)에 파도를 일으킨다. 이 파 도는 상기 조파수조(10)를 따라 진행하게 되고 상기 모형구조물(30)에 부딪치게 된다. 상기 조파장치(20)를 조절하여 파고의 높이를 허용높이 이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파도는 상기 모형구조물(30)을 월파하게 되고 월파된 물은 상기 월파수조(40)의 가이드부(41)를 지나 이 월파수조(40)내에 수용되게 된다. 실험이 끝나게 되면 상기 배출펌프(110)를 작동시켜 상기 월파수조(40)에 수용된 물을 상기 계측수조(120)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상기 배출펌프(110)를 이용하게 되면 기존에 수동으로 월파수조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발생될 수 있는 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월파된 물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계측수조(120)에 담긴 물의 양은 이 계측수조(120)의 스케일(121)에 의하여 측정함으로써 일정 조건에서의 월파량 측정실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실험을 다양한 실험조건에서 수행하여 실제 해안구조물의 설계시 그 실험데이타를 반영하여 보다 안전한 해안구조물을 설계, 구축할 수 있게 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1)는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월파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바 편리한 실험을 행할 수 있으며 정확한 월파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는 기존의 수작업에 의하여 진행하던 월파량 측정의 불편함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월파수조를 원하는 높에 용이하게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월파량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삭제
  2. 물이 수용되며, 파도가 진행될 수 있도록 수로형태로 일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조파수조와, 상기 조파수조에 수용된 물에 상기 파도를 일으키는 조파장치와, 상기 조파장치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방파제 등의 해안구조물을 모형화한 모형구조물과, 상기 조파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행되는 파도가 상기 모형구조물을 월파하는 경우 그 월파된 물을 수용하는 월파수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방파제 등의 해안구조물을 넘어 월파하는 물의 양을 미리 예측하기 위한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형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월파수조의 설치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그 월파수조를 승강시키기 위한 월파수조 승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월파수조 승강수단은;
    상기 조파수조의 상단에 놓여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너트부재와;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기 너트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며, 하단부는 상기 월파수조에 결합되어 있는 이송나사와;
    상기 너트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나사는 제1이송나사 및 제2이송나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제1이송나사가 체결되는 제1너트부재와, 상기 제2이송나사가 체결되는 제2너트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너트부재에 결합되는 제1스프로켓 및 제2스프로켓과, 상기 제2너트부재에 결합되는 제3스프로켓과,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4스프로켓과, 상기 제1스프로켓과 상기 제4스프로켓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1체인 및 상기 제2스프로켓과 상기 제3스프로켓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2체인을 구비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시에 그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제1체인 및 제2체인을 통해 상기 제1스프로켓, 제2스프로켓 및 제3스프로켓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제1너트부재 및 제2너트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월파수조에 수용된 물을 그 월파수조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펌프와, 그 배출된 물을 다시 수용하여 월파된 물의 양을 계측할 수 있도록 스케일이 구비되어 있는 계측수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조파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파수조의 상단에는 가이드레일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는 바퀴가 부착되어 있어, 상기 프레임이 상기 가이드레일상에서 상기 조파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월파수조의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그 하단은 상기 월파수조에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
KR1020030082638A 2003-11-20 2003-11-20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 KR100600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638A KR100600091B1 (ko) 2003-11-20 2003-11-20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638A KR100600091B1 (ko) 2003-11-20 2003-11-20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896A KR20050048896A (ko) 2005-05-25
KR100600091B1 true KR100600091B1 (ko) 2006-07-13

Family

ID=37247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638A KR100600091B1 (ko) 2003-11-20 2003-11-20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0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698B1 (ko) * 2008-11-03 2010-09-07 한국해양연구원 수중 세장체 viv하중계수 계측을 위한 가진장치
KR101238386B1 (ko) * 2011-03-31 2013-02-28 김석문 방파제 구조물
KR102045028B1 (ko) * 2013-08-12 2019-11-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모형 시험용 조류발생장치
CN106677117A (zh) * 2017-03-22 2017-05-17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试验室水槽试验海堤堤顶越浪量自动测量装置
CN107621352A (zh) * 2017-10-18 2018-01-23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越浪量及越浪过程自动测量仪
KR102067166B1 (ko) * 2019-04-02 2020-02-11 김성호 파고계 캘리브레이션 자동 제어시스템
CN110967089A (zh) * 2019-11-25 2020-04-07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一种模型试验用自容式无线浪高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896A (ko) 2005-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0305B2 (en) Method of providing a foundation for an elevated mass, and assembly of a jack-up platform and a framed templat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DE212020000015U1 (de) Ein von der Umweltschutztechnologie entwickeltes Wasserqualitäts-Probenahmegerät
CN110072386B (zh) 远海水产养殖系统
CN107447985A (zh) 建筑装置及房屋
KR100600091B1 (ko) 모형 월파량 계측장치
CN114216444B (zh) 一种海洋工程水域测绘装置
KR100664399B1 (ko) 수중지반용 심층교반장비의 승하강로드 서포트축의가이드장치
CN117782690A (zh) 一种水质取样装置及使用方法
CN103132554B (zh) 无线遥控步履式水下整平机操作方法
EP0760037B1 (en) Dredging installation
CN115343786A (zh) 一种集水流测速和水位监测于一体的雨量测量仪
KR101041836B1 (ko) 월류제를 이용한 해수유입장치
CN211143005U (zh) 精确控制流量的闸门
JPH09243435A (ja) 超音波センサーの昇降装置
CN109556668B (zh) 一种人工模拟径流发生装置
CN217765155U (zh) 一种水位变化监测装置
CN213985279U (zh) 一种水利工程管理用的水位尺
CN218523313U (zh) 一种水文缆道自动测沙装置
CN214089730U (zh) —种水利工程测控一体化闸门
CN107831793B (zh) 一种无人值守全自动水位流量监测平台
CN213684127U (zh) 一种水利工程用顶管机
KR200252103Y1 (ko) 해저면에 그라우팅 작업을 하기위한 폰투운식 바지선의구조
CN216896597U (zh) 一种水利工程用水位测量器械的安装结构
CN214947864U (zh) 一种用于电力电杆杆位分坑定位测量仪器
KR102292689B1 (ko) 취수탑의 내부 조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