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031A -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031A
KR20150025031A KR20130102136A KR20130102136A KR20150025031A KR 20150025031 A KR20150025031 A KR 20150025031A KR 20130102136 A KR20130102136 A KR 20130102136A KR 20130102136 A KR20130102136 A KR 20130102136A KR 20150025031 A KR20150025031 A KR 20150025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fixed
fixing
fixing bracket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은숙
Original Assignee
서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은숙 filed Critical 서은숙
Priority to KR20130102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5031A/ko
Publication of KR20150025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06Foundations for 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시간 경과에 따른 고정브라켓이 교량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장선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데크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교량의 상면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 형성된 연석의 외측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다수 구비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연석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을 교량 방향으로 당김시켜 항상 긴장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장력 유지수단과, 상기 고정브라켓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각 일단과 타단이 고정브라켓의 상면에 안착되어 자전거 또는 보행자의 왕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데크부가 상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되, 교량의 요동 또는 온도 변화에 대응되게 가변되는 것에 의해 데크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장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Deck unit installation device for footbridge bridge extension}
본 발명은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외측면에 보행자나 자전거 등이 왕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브라켓과 이의 고정브라켓 상면에 종방형으로 고정 설치되는 장선의 설치구조를 변경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고정브라켓이 교량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데크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라 함은 철도 및 도로 위에 시공되는 고가도로 또는 하천을 가로질러 시공되는 다리 등과 같은 토목구조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교량은 교대와 교각 그리고 이들 상부에 걸쳐져서 설치되는 거더와 상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구조물로 구성된다.
또한, 교량은 그 상부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단순교, 연속교, 게르버교, 트러스교, 슬래브교, 아치교, 라멘교, 현수교 및 사장교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 중에서, 슬래브 교량은 짧은 지간을 갖는 교각 사이에 슬래브(예를 들면, 콘크리트 바닥판)를 올려놓는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슬래브 교량에는 차량 통행뿐만 아니라, 일반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인도가 함께 설치되기도 하며, 이러한 교량에 설치되는 인도는 별도의 방법에 의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차량통행을 위한 차도, 즉 슬래브 상판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난간 등으로 구획시켜 이를 인도로 사용하고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종래의 슬래브 교량에 인도를 가설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 일예로 한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26037호에 교량용 가설 인도가 개시되어 있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교량용 가설 인도는, 난간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교량상판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 일정간격으로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용접되고 교량상판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하부 플랜지와 웨브가 구비된 I 빔 브라켓과, 상기 I 빔 브라켓의 상부 플랜지에 고정되는 데크부과, 상기 I 빔 브라켓의 외측 상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보행자 보호난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교량용 가설 인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I 빔 브라켓이 체결수단을 매개로 교량상판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 고정되므로 기간 경과에 따른 체결수단의 앵커볼트가 풀림될 수 밖에 없어 자칫 가설 인도가 교량으로부터 붕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교량용 가설 인도는 I 빔 브라켓의 상면에 데크부가 직접 고정 설치되므로, 차량의 이동 또는 바람에 의해 요동하거나 또는 열에 의해 I 빔 브라켓이 인장 및 수축하는 것에 의해 상기 I 빔 브라켓 상면에 직접 고정 설치된 나무재질의 데크부가 파손 즉,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26037호, 출원일: 2006년9월27일 고안의 명칭: 교량용 가설 인도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교량의 외측면에 보행자나 자전거 등이 왕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브라켓을 교량측으로 긴장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브라켓 상면에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장선을 교량의 요동 및 온도변화에 대응되게 가변가능하게 구성하여 설치함으로써, 시간 경과에 따른 고정브라켓이 교량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장선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데크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에 있어서, 교량의 상면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 형성된 연석의 외측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다수 구비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연석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을 교량 방향으로 당김시켜 항상 긴장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장력 유지수단과, 상기 고정브라켓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각 일단과 타단이 고정브라켓의 상면에 안착되어 자전거 또는 보행자의 왕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데크부가 상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되, 교량의 요동 또는 온도 변화에 대응되게 가변되는 것에 의해 데크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장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장력 유지수단은, 고정브라켓의 고정연장부 양측면에 각각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상 중앙부에는 장력유지용 홀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장력유지용 수직고정판과, 상기 장력유지용 수직고정판에 형성된 장력유지용 홀에 일단이 관통하도록 바 형상으로 형성되되, 타단 외주면에는 너트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각각 구비되는 장력유지용바와,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관통홀과 연석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연석 내측면에 돌출된 장력유지용바의 타단을 고정용너트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장력유지용고정홀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장력유지용 고정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장선부는, 고정브라켓의 고정연장부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안착되어 바닥면에 스크류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되, 양단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가변용 장홀이 각각 천공되어 구비되는 장선바가변용 연결부재와, 상기 장선바가변용 연결부재에 각 일단이 삽입되되, 각 일단과 타단에는 장선바가변용 홀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장선용바와, 상기 장선바가변용 연결부재와 장선용바를 연결하도록 가변용 장홀과 장선바가변용 홀을 관통하되, 양단은 상기 홀들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너트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장선용 연결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에 따르면, 교량의 외측면에 보행자나 자전거 등이 왕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브라켓을 교량측으로 긴장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브라켓 상면에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장선을 교량의 요동 및 온도변화에 대응되게 가변가능하게 구성하여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시간 경과에 따른 고정브라켓이 교량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장선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데크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가 교량의 연석 외측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가 교량의 연석 외측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의 장선부가 고정브라켓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는 교량 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을 교량측으로 항상 긴장시키도록 고정켜 시간 경과에 따른 고정브라켓이 교량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상기 고정브라텟의 상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장선을 교량의 요동 및 온도 변화에 따른 인장 및 수축에 대응되게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장선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나무재질의 데크부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100)는 교량(10)의 상면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 형성된 연석(11)의 외측면에 다수의 앵커볼트(도면부호 생략)를 매개로 일단이 고정되어 교량(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다수 구비되는 고정브라켓(110)과, 상기 고정브라켓(1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연석(11)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브라켓(110)을 교량(10) 방향으로 당김시켜 항상 긴장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장력 유지수단(130)과, 상기 고정브라켓(110)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각 일단과 타단이 고정브라켓(110)의 상면에 안착되어 자전거 또는 보행자의 왕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데크부(13)가 상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되, 교량(10)의 요동 또는 온도 변화에 대응되게 가변되는 것에 의해 데크부(1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교량(1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장선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100)의 고정브라켓(110)은 교량(10)의 연석(11)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일단이 다수 고정 설치되어 상면에 보행자나 자전거가 왕래할 수 있는 데크부(13)를 설치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고정브라켓(110)은, 교량(10)의 연석(11) 외측면에 다수의 앵커볼트(도면부호 생략)에 의해 일면이 고정가능하도록 다수의 고정홀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고정판(111)과, 상기 고정판(111)의 외측면에 일단이 용접되고 타단은 교량(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수평판과 하부수평판 그리고 상부수평판과 하부수평판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직연장판이 일체로 형성된 "I"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고정연장부(113)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고정브라켓(110)의 고정연장부(11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10)의 측면에 지지되는 면적을 크게 하고 하중을 감소시키도록 일단으로부터 타단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축소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장력 유지수단(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연석(11)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브라켓(110)을 교량방향으로 당김시켜 항상 긴장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장력 유지수단(130)은 고정브라켓(110)의 고정연장부(113) 중간 양측면에 각각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상 중앙부에는 장력유지용 홀(미도시함)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장력유지용 수직고정판(131)과, 상기 장력유지용 수직고정판(131)에 형성된 장력유지용 홀에 일단이 관통하도록 바 형상으로 형성되되, 타단 외주면에는 너트(도면부호 생략)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각각 구비되는 장력유지용바(133)와, 상기 고정판(111)에 형성된 관통홀(도면부호 생략)과 연석(11)에 형성된 홀(미도시함)을 통하여 연석(11) 내측면에 돌출된 장력유지용바(133)의 타단을 고정용너트(도면부호 생략)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장력유지용고정홀(도면부호 생략)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장력유지용 고정판(135)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장선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10)간을 연결시키도록 상면에 각 일단과 타단이 안착되어 자전거 또는 보행자의 왕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데크부(13)가 상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되, 교량(10)의 요동 또는 온도 변화에 대응되게 가변되는 것에 의해 데크부(1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교량(1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한 장선부(150)는 고정브라켓(110)의 고정연장부(113)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안착되어 바닥면에 스크류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되, 양단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가변용 장홀(151a)이 각각 천공되어 "U"자 형상의 단면으로 구비되는 장선바가변용 연결부재(151)와, 상기 장선바가변용 연결부재(151)에 각 일단이 삽입되되, 각 일단과 타단에는 장선바가변용 홀(미도시함)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장선용바(153)와, 상기 장선바가변용 연결부재(151)와 장선용바(153)를 연결하도록 가변용 장홀(151a)과 장선바가변용 홀을 관통하되, 양단은 상기 홀들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너트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나사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장선용 연결바(15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를 교량(10)의 연석(11) 외측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교량(10)의 연석(11) 외측면에 고정브라켓(110)의 고정판(111)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홀을 통하여 앵커볼트를 매개로 고정브라켓(110)을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고정브라켓(110)이 연석(11)의 외측면에 고정되면, 상기 고정브라켓(110)과 연석(11)에 일단과 타단을 각각 고정 연결시켜 상기 고정브라켓(110)이 교량(10)측으로 항상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장력 유지수단(130)을 설치한다.
즉, 상기 장력 유지수단(130)의 장력유지용 고정판(135)에 형성된 한 쌍의 장력유지용고정홀에 일단이 관통하여 용접에 의해 고정된 장력유지용바(133)의 타단은 연석에 형성된 홀과 고정브라켓(110)의 고정판(111)에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중간부 양측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 장력유지용 수직고정판(131)의 장력유지용 홀을 각각 관통시킨다.
이후, 상기 장력유지용 수직고정판(131)의 장력유지용 홀을 각각 관통하여 돌출된 장력유지용바(133)의 타단 외주면에 너트를 매개로 장력유지용바(133)를 장력유지용 수직고정판(131)에 고정시키므로 인해 상기 고정브라켓(110)은 장력 유지수단(130)에 의해 항상 교량(10)측으로 긴장상태를 유지하므로 차량의 이동 또는 외력 즉 바람에 의해 교량의 요동이 반복적으로 장시간 진행되더라도 연석으로부터 고정브라켓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장력 유지수단(130)이 연석(11)과 고정브라켓(110)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고정 설치되면,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상면에 데크부(1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장선부(150)를 설치한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U"자 형상의 단면으로 구비되는 장선바가변용 연결부재(151)를 용접으로 각각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장선바가변용 연결부재(151)가 고정브라켓(110)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면, 일단과 타단에 장선바가변용 홀이 천공된 장선용바(153)의 각 일단을 장선바가변용 연결부재(151) 내측으로 삽입시킨 후 장선용 연결바(155)와 너트를 매개로 상기 장선바가변용 연결부재(151)에 장선용바(153)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에 의해 장선부(150)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장선부(150)의 상면에 데크부(13)를 스크류를 통하여 고정되더라도, 장선부의 장선용바(153)가 장선바가변용 연결부재(151)에 대하여 가변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장선부의 장선용바(153)가 열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데크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교량 11 ; 연석
13 ; 데크부 100 ;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
110 ; 고정브라켓 130 ; 장력 유지수단
150 ; 장선부

Claims (3)

  1.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에 있어서,
    교량(10)의 상면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 형성된 연석(11)의 외측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교량(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다수 구비되는 고정브라켓(110)과;
    상기 고정브라켓(1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연석(11)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브라켓(110)을 교량(10) 방향으로 당김시켜 항상 긴장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장력 유지수단(130)과;
    상기 고정브라켓(110)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각 일단과 타단이 고정브라켓(110)의 상면에 안착되어 자전거 또는 보행자의 왕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데크부(13)가 상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되, 교량(10)의 요동 또는 온도 변화에 대응되게 가변되는 것에 의해 데크부(1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교량(1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장선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유지수단(130)은, 고정브라켓(110)의 고정연장부(113) 양측면에 각각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상 중앙부에는 장력유지용 홀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장력유지용 수직고정판(131)과, 상기 장력유지용 수직고정판(131)에 형성된 장력유지용 홀에 일단이 관통하도록 바 형상으로 형성되되, 타단 외주면에는 너트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각각 구비되는 장력유지용바(133)와, 상기 고정판(111)에 형성된 관통홀과 연석(11)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연석(11) 내측면에 돌출된 장력유지용바(133)의 타단을 고정용너트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장력유지용고정홀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장력유지용 고정판(13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선부(150)는, 고정브라켓(110)의 고정연장부(113)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안착되어 바닥면에 스크류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되, 양단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가변용 장홀(151a)이 각각 천공되어 구비되는 장선바가변용 연결부재(151)와, 상기 장선바가변용 연결부재(151)에 각 일단이 삽입되되, 각 일단과 타단에는 장선바가변용 홀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장선용바(153)와, 상기 장선바가변용 연결부재(151)와 장선용바(153)를 연결하도록 가변용 장홀(151a)과 장선바가변용 홀을 관통하되, 양단은 상기 홀들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너트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장선용 연결바(15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
KR20130102136A 2013-08-28 2013-08-28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 KR20150025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136A KR20150025031A (ko) 2013-08-28 2013-08-28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136A KR20150025031A (ko) 2013-08-28 2013-08-28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031A true KR20150025031A (ko) 2015-03-10

Family

ID=5302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2136A KR20150025031A (ko) 2013-08-28 2013-08-28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5031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510B1 (ko) 2019-05-10 2019-11-08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켄틸레버형 인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37496A (ko) * 2018-06-01 2019-12-11 주식회사 우리이엔씨 진동 저감 조립체를 구비하는 교량 확장형 인도 구조물
KR20190139422A (ko) * 2018-06-08 2019-12-18 신영기술개발(주) 방호벽을 이용한 점검계단
KR102219006B1 (ko) 2020-07-09 2021-02-23 김진희 교량용 자전거도로 구조물
KR20210080174A (ko) * 2019-12-20 2021-06-30 (주)신화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
KR20220105932A (ko) * 2021-01-21 2022-07-28 (주)리빌텍이엔씨 교량 확장 구조체,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2555737B1 (ko) * 2023-04-11 2023-07-14 주식회사 태하 인장로드가 구비된 프리스트레스 고내구성 확장형 인도교
KR102560129B1 (ko) * 2023-04-11 2023-07-26 주식회사 태하 다목적 난간받침커버에 의한 보행자안정성 및 광폭보행로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496A (ko) * 2018-06-01 2019-12-11 주식회사 우리이엔씨 진동 저감 조립체를 구비하는 교량 확장형 인도 구조물
KR20190139422A (ko) * 2018-06-08 2019-12-18 신영기술개발(주) 방호벽을 이용한 점검계단
KR102030510B1 (ko) 2019-05-10 2019-11-08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켄틸레버형 인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80174A (ko) * 2019-12-20 2021-06-30 (주)신화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
KR102219006B1 (ko) 2020-07-09 2021-02-23 김진희 교량용 자전거도로 구조물
KR20220105932A (ko) * 2021-01-21 2022-07-28 (주)리빌텍이엔씨 교량 확장 구조체,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2555737B1 (ko) * 2023-04-11 2023-07-14 주식회사 태하 인장로드가 구비된 프리스트레스 고내구성 확장형 인도교
KR102560129B1 (ko) * 2023-04-11 2023-07-26 주식회사 태하 다목적 난간받침커버에 의한 보행자안정성 및 광폭보행로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5031A (ko)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
KR101678849B1 (ko) 출렁거림 및 비틀림 억제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케이블 교량
KR101534833B1 (ko) 통행로 폭이 증가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JP5968846B2 (ja) コンクリート壁高欄の取付け構造
RU2413814C2 (ru) Дорожное направляющее сооружение
JP5020163B2 (ja) 張り出し床版用支保工
KR101353753B1 (ko) 교량 및 도로의 가설인도
KR20130082052A (ko) 교량용 확장 인도교
KR200432594Y1 (ko) 교량용 가설 인도
KR101550058B1 (ko) 확장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27124B1 (ko) 행어를 이용한 교량용 보도 및 그 시공 방법과, 경관용 인도교 및 그 시공 방법
KR101604640B1 (ko)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
JP2009256873A (ja) プレキャスト横桁とプレキャスト縦桁とを備えた橋梁およびその施工法
KR102029425B1 (ko) 확장 인도교
KR100516156B1 (ko)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시 기존 교량의 기능유지장치와 교량인상과 동시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접속가교를조합한 교통미통제 교량승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교통을 차단하지 않고 교량을 승상하는 방법
KR200417259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753240B1 (ko) 캔틸레버를 이용한 항타형 확장 인도교 및 시공방법
KR101295823B1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749169B1 (ko)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KR100373783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KR200479049Y1 (ko) 교량의 인도교 확장 구조
KR100648046B1 (ko) 외적 포스트텐션 방법을 이용한 보 및 거더 보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 및 거더의 보강방법
JP5773469B1 (ja) 吊足場
KR100918828B1 (ko) 신축되는 교량용 가설인도
KR101259169B1 (ko)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 및 고정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