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502B1 - 데크로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크로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502B1
KR102072502B1 KR1020190086785A KR20190086785A KR102072502B1 KR 102072502 B1 KR102072502 B1 KR 102072502B1 KR 1020190086785 A KR1020190086785 A KR 1020190086785A KR 20190086785 A KR20190086785 A KR 20190086785A KR 102072502 B1 KR102072502 B1 KR 102072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deck rod
groove
couple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성
Priority to KR1020190086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94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 E04H2017/1452

Abstract

데크로드와 상기 데크로드의 일측 이상에 결합되는 난간을 포함하는 데크로드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 단면에 형성된 선형의 결합홈과 상부면에 형성된 트렌치를 포함하는 데크와, 상기 결합홈과 끼움 결합되어 복수 개의 데크를 연결하여 데크모듈을 형성하는 데크로드 결합구와, 상기 트렌치가 선형의 연결홈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데크모듈을 배열하고, 상기 연결홈과 결합되는 데크로드 연결 바를 포함하는 데크로드; 상기 데크로드의 일측부 이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상기 데크로드와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로대와, 상기 지주의 측면과 상기 가로대의 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난간; 및 상기 데크로드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데크로드 시스템{The deck road system}
본 발명은 데크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데크로드 결합구와 데크로드 연결 바를 이용하여 데크로드의 시공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데크로드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로드 시스템(Deck road system)은 산책로 혹은 통행로를 형성하도록 강가나 등산로 등에 설치되며, 주변의 자연환경과 잘 어울릴수 있도록 친환경적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재와 같은 소재로 데크로드가 이루어진 경우, 진동을 흡수하여 보행자의 거동 시 피로감을 덜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도 부드럽고 편안한 심미감을 주어 주변의 자연경관과 어울림으로써 여유로움을 주기도 한다. 또한, 공원이나 숲에서의 보행도로, 생태공원의 자연관찰을 위한 길, 관광지의 전망대, 하천이나 근해상 위를 건널 수 있도록 마련된 길 등을 데크로드로 조성하며 다양한 시설에 적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데크로드 시스템은, 보행자가 통행할 수 있는 복수의 데크플레이트와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과 지지대 등을 여러 종류의 브래킷과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조립 및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목재 데크로드의 경우, 설치할 공간에 목재 데크의 지지판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설치된 지지판의 상부에 목재 데크를 결합 및 고정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목재 데크는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마련하고, 관통홀을 통해 못이나 피스와 같은 체결 부재를 삽입하여, 목재 데크를 지지판에 고정시킴으로써 데크로드가 완성된다. 따라서 데크로드의 시공은 각종 브래킷과 체결 부재로 조합된 조립 결합의 구성으로 인한 것이므로, 전용 장비를 갖춘 전문 기술성이 요구된다. 또한, 데크로드의 설치 후 목재 데크에 형성된 관통홀로 인해 데크의 균열이 발생하여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으며, 체결 부재의 노출로 인해 보행자가 위험해질 수 있으므로, 시공과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견고함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크로드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855368호(등록일: 2018. 04. 30.) 한국등록특허 제 10-1734343호(등록일: 2017. 05. 0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용 장비를 갖추거나 전문 기술성이 없어도 데크로드를 용이하게 시공 및 유지보수 할 수 있는 데크로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설치가 용이하여 미관 및 보행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크로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중압출 합성목재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균일한 품질로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열안정성 및 기계강도가 우수한 데크 또는 난간을 포함하는 데크로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크로드와 상기 데크로드의 일측 이상에 결합되는 난간을 포함하는 데크로드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 단면에 형성된 선형의 결합홈과 상부면에 형성된 트렌치를 포함하는 데크와, 상기 결합홈과 끼움 결합되어 데크를 연결하여 데크모듈을 형성하는 데크로드 결합구와, 상기 트렌치가 선형의 연결홈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데크모듈을 배열하고 상기 연결홈과 결합되는 데크로드 연결 바를 포함하는 데크로드; 상기 데크로드의 일측부 이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상기 데크로드와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로대와, 상기 지주의 일측면과 상기 가로대의 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난간; 및 상기 데크로드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크, 상기 난간의 가로대 또는 지주는, 이중압출 합성목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데크로드 결합구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판형의 블록 삽입부와, 상기 데크의 일측부 단면과 맞닿으며 상기 블록 삽입부의 중심선과 수직인 판형의 블록 접촉부와, 상기 블록 접촉부의 양측 하단부와 직교하는 판형으로 연결되되 서로 평행하여 이격되며 내향으로 형성된 걸림돌기를 일단부에 각각 구비하는 지지대 결착부 및 상기 블록 접촉부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 결착부 외측면과 수직으로 연결된 강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크로드 결합구는 상기 블록 삽입부의 중심선을 따라 상측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크로드 연결 바는 양단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트렌치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의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중심보강부를 포함하며 단면이 T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 또는 중심보강부는 중심에 중공을 구비하는 관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데크로드 연결 바는 중심보강부의 상부면에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야간 식별용 막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데크로드는,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위치하여 진동 전달을 경감하는 면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간의 가로대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체결구와 결합되는 체결영역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간의 체결구는 일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체결영역에 끼움 결합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내부와 연결되되 타측면에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가로대 몸체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완충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간의 가로대는 일면에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야간 식별용 막대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은 전용 장비를 갖추거나 전문 기술성이 없어도 데크로드를 용이하게 시공 및 유지보수 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하여 미관 및 보행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중압출 합성목재로 이루어진 데크와 난간으로 인해 균일한 품질로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열안정성 및 기계강도가 우수한 데크로드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의 일단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결합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단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결합구와 그와 결합된 데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연결 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도 1의 B 영역에 대한 단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연결 바와 데크의 결합을 나타낸 단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의 가로대와 체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의 일단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결합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단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결합구와 그와 결합된 데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연결 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도 1의 B 영역에 대한 단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연결 바와 데크의 결합을 나타낸 단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의 가로대와 체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을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10, 10')은 데크로드와 상기 데크로드의 일측 이상에 결합되는 난간을 포함하는 데크로드 시스템으로써, 데크로드와 난간(500)과 상기 데크로드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400)으로 구성된다.
데크로드는 일측 단면에 형성된 선형의 결합홈(150)과 상부면에 형성된 트렌치(170)를 포함하는 데크(100)와, 상기 결합홈(150)과 끼움 결합되어 데크를 연결하여 데크모듈(100M)을 형성하는 데크로드 결합구(200)와, 상기 트렌치(170)가 선형의 연결홈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데크모듈(100M)을 배열하고 상기 연결홈과 결합되는 데크로드 연결 바(300)를 포함할 수 있다.
난간(500)은 상기 데크로드의 일측부 이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530)와, 상기 지주(530) 사이에 상기 데크로드와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로대(510)와, 상기 지주의 일측면과 상기 가로대의 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체결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데크(100), 난간의 지주(530) 또는 가로대(510)는 이중압출 합성목재일 수 있다. 이중압출 합성목재는 주 압출기를 통해 제 1 올레핀 수지 및 실록산계 화합물로 표면처리된 제 1 표면개질 목분을 포함하여 형성된 주압출층과, 보조 압출기를 통해 제 2 표면개질 목분 및 제 2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된 보조 압출층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균일한 품질의 이중압출 합성목재로 데크(100), 난간의 지주(530) 또는 가로대(51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열안정성이 우수하고, 기계강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데크(100), 난간의 지주(530) 또는 가로대(510)를 형성할 수 있는 이중압출 합성목재는 실록산계 화합물로 표면처리된 제 1 표면개질 목분을 포함함으로써, 주압출층 내에서 상기 제 1 올레핀 수지와의 높은 혼화성으로 기계 강도 저하를 예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중압출 공정 후 상기 보조 압출층과 높은 결착력을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표면개질 목분이 표면개질에 이용되는 실록산계 화합물은 가수분해된 아미노 실란계 화합물과 폴리실록산계 화합물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실록산계 표면 개질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아미노 실란계 화합물을 물로 가수분해시켜 알콕시기를 하이드록시기로 치환하고, 가수분해된 아미노 실란계 화합물과 폴리실록산계 화합물을 반응시켜 표면 개질제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아미노실란계 화합물은 말단에 아민기를 포함하는 실란 화합물인 경우 제한없이 이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및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실록산계 화합물은 좋게는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일 수 있으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이용함으로써 소수성인 올레핀 수지와의 혼합을 더욱 촉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중압출 합성목재는 상기 제 1 표면개질 목분은 가수분해된 아미노 실란계 화합물과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 실록산의 반응으로 제조되는 표면개질제로 표면개질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표면개질제로 목분을 표면개질함으로써 제조되는 주압출층의 열안정성 향상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 : 폴리실록산계 화합물의 중량비는 1 : 5 내지 20, 좋게는 1: 7 내지 15일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에서 표면개질 효율을 향상하고 올레핀수지와 혼화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표면개질 목분은 상기 표면개질제 수용액에 목분을 침지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이용되는 표면개질제의 양은 목분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표면개질 목분의 제조는 상기 표면개질제와 목분이 잠길 정도의 물을 혼합하여 표면개질제 수용액을 제조하고, 목분을 표면개질제 수용액에 침지하여 30분 내지 4시간 동안 교반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교반 후 목분을 분리하여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상기 기재층과 표면층의 결착력을 향상시키고, 표면층의 기계강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관점에서 상기 제 2 표면개질 목분은 목분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처리를 통하여 표면층 내에서 상기 제 2 올레핀수지와 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균일하게 혼합됨으로써 높은 기계강도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이중압출 합성목재는 상기 주압출층에 실록산계 화합물로 표면처리된 제 1 표면개질 목분을 첨가하고, 보조 압출층에 플라즈마로 표면처리된 제 2 표면개질 목분을 첨가함으로써, 주 압출층 및 보조 압출층 각각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며, 주 압출층과 보조 압출층의 결착력이 향상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올레핀 수지 및 제 2 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계강도 향상 및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측면에서 좋게는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압출층 또는 보조 압출층은 탄산칼슘, 실리카, 탈크, 질석, 마이카,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및 황산바륨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좋게는 탄산칼슘, 탈크 및 질석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주압출층 및 보조 압출층은 실외에서 장기간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열 안정제 또는 자외선 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열안정제 또는 자외선 안정제의 첨가량은 열안정제 또는 자외선 안정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안정제는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비스(1,1-디메틸에틸)-6-메틸페닐]에틸에스테르 아인산, 테트라키스(2,4-디-tert-부틸페닐)[1,1-비페닐]-4,4'-디일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비스(2,4-디-tert-부틸페닐)펜타에리쓰리톨디포스파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구체적으로 자외선을 흡수하는 자외선 흡수제일 수 있으며, 이때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아크릴니트릴계, 금속 착염계, 힌더드 아민계, 초미립자 산화 티탄 또는 초미립자 산화 아연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조 압출층은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안료에 의해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을 재현하고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이중압출 합성목재는 상기 주 압출층은 상기 제 1 표면개질 목분 100 중량부 대비 50 내지 70 중량부의 제 1 올레핀 수지 및 5 내지 15 중량부의 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좋게는 상기 기재층은 상기 제 1 표면개질 목분 100 중량부 대비 55 내지 70 중량부의 제 1 올레핀 수지 및 5 내지 12 중량부의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안정제 및 자외선 안정제는 각 안정제의 종류에 따라 함량을 달리하여 첨가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제 1 표면개질 목분 100 중량부 대비 각각 0.5 내지 3 중량부 첨가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조 압출층은 제 2 표면개질 목분 100 중량부 대비 50 내지 70 중량부의 제 2올레핀 수지 및 5 내지 15 중량부의 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좋게는 상기 보조 압출층은 상기 제 2 표면개질 목분 100 중량부 대비 55 내지 70 중량부의 제 2 올레핀 수지 및 5 내지 12 중량부의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안정제 및 자외선 안정제는 각 안정제의 종류에 따라 함량을 달리하여 첨가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제 2 표면개질 목분 100 중량부 대비 각각 0.5 내지 3 중량부 첨가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중압출 합성목재는 이중압출 장비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되는 합성목재는 주 압출층과 보조 압출층의 2층이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주압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올레핀 수지, 제 1 표면개질 목분, 자외선 안정제, 열 안정제 및 충진제를 혼합하여 주 압출용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고, 보조 압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올레핀 수지, 제 2 표면개질 목분, 자외선 안정제, 열 안정제, 충진제 및 안료를 혼합하여 보조 압출용 마스터배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주 압출용 마스터 배치를 주 압출기에 투입하고, 보조 압출용 마스터 배치를 보조 압출기에 투입하는 방법으로 합성목재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데크(100)의 상면(110)은 상면홈(110a)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면홈(110a)은 눈이 녹거나 비가 내릴 경우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데크로드 상에서 외부로 물이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크로드에 물이 고여있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습기에 대한 데크로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행자의 보행 시 미끄러움을 최소화하여 보행의 안전을 도울 수 있다.
데크(100)의 하면(190)은 하면홈(190a)을 구비하여 이후 결합될 지지 프레임(400)과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도 4b와 같이, 상기 데크(100)는 데크결합구(200)를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이 되도록 한쌍의 데크가 위치하고, 데크 각각의 단면(130)에 위치한 결합홈(150)과 데크 사이에 위치하는 데크결합구(200)의 결합으로 데크모듈(100M)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데크(100) 상부면 일측에 위치하는 트렌치(170)가 선형의 연결홈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데크모듈(100M)을 배열하고, 데크로드 연결 바(300)는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상기 연결홈에 연결되어 데크로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50)과 트렌치(170)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필요에 따라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관통홀 없이 데크로드 결합구(200)와 데크로도 연결 바(300)를 이용하여 데크를 연결하고 데크로드를 설치함으로써 관통홀로 인한 강성저하 및 크랙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력을 유지하여 데크로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데크로드 설치 후 손상된 데크, 데크로드 결합구 또는 데크로드 연결 바만 제거 및 설치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데크로드 결합구(200)는 데크(100)의 결합홈(150)에 삽입되는 판형의 블록 삽입부(210)와 상기 데크의 일측면(130)과 맞닿으며 상기 블록 삽입부(210)의 중심선과 수직인 판형의 블록 접촉부(220)와 상기 블록 접촉부(220)의 양측 하단부와 직교하는 판형으로 연결되되 서로 평행하여 이격되며 내향으로 형성된 걸림돌기(232)를 일단부에 각각 구비하는 지지대 결착부(230) 및 상기 블록 접촉부(220)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 결착부(230) 외측면과 수직으로 연결된 강화부(2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블록 삽입부(210)의 상측면은 상기 블록 삽입부(210) 중심선과 수직으로 상부돌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데크의 결합홈(150)과 블록 삽입부(210) 상측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눈비로 인한 물이나 수분이 데크(100)와 데크로드 결합구(200) 사이에 고이지 않고 외부로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공기가 통하는 공간을 마련해 줌으로써 눈비가 그친 후 데크로드의 건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데크로드 결합구(200)는 상기 블록 삽입부(210)의 중심선을 따라 상측면에 형성된 돌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양측 데크의 단부를 가압(F)하여 상기 판형의 블록 삽입부(210) 중심선을 향해 블록 삽입부(210)의 하향으로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돌출부(250)로 인해 블록 삽입부(210) 중심선이 보강됨으로써 외력에 대한 블록삽입부(210)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블록 접촉부(220)는 상기 데크(100)의 일측 단면(130)과 대응하는 제 1 접촉부(222)와 상기 제 1 접촉부(222)의 양단부에 대칭으로 형성된 제 2 접촉부(2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접촉부(224)의 가장자리는 곡선의 형태로 가공됨으로써 데크로드 설치 작업 시 시공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설치 후 노출이 되더라도 보행자의 안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삽입부(210)는 상기 제 1 접촉부(222)와 제 2 접촉부(224)가 만나는 경계와 대응하는 영역에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 삽입부(210) 상측면을 흘러 내려온 빗물과 같은 수분을 홈으로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용이할 수 있다. 나아가서, 수분이나 습기가 고이기 쉬운 모서리 부분에 홈을 구비함으로써 통기성을 부여하고, 평상시에도 데크(100) 가장자리에 습기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여 데크(100)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접촉부(222)의 두께는 제 2 접촉부(224)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데크 블록(100) 사이로 빗물이나 외부로부터 흘러오는 물의 양이 증가하는 경우 외부로의 배출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나아가서 제 1 접촉부(222)와 제 2 접촉부(224)의 길이차를 둠으로써 지지대 결착부(230)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400)과의 공간을 두어 수분의 배출과 공기의 흐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데크(100)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대 결착부(230)는 상기 블록 접촉부(220)의 양측 하단부와 직교하는 판형으로 연결되되 서로 평행하여 이격되며, 내향으로 형성된 걸림돌기(232)를 일단부에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 결착부(2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지지프레임(400)이 삽입되되 걸림돌기(232)에 의해 지지프레임(400)이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서 데크로드 결합구(200)는 상기 블록 접촉부(220)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 결착부(230) 외측면과 수직으로 연결된 강화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접촉부(220)와 지지대 결착부(230)가 서로 직교한 형태로 단부가 접하여 연결되므로, 연결 영역의 내구성 강화를 위해 강화부(240)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170)가 선형의 연결홈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데크모듈(100M)을 배열하고, 상기 연결홈과 결합되는 데크로드 연결 바(300)는 양단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트렌치(170)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부(310)와 상기 결합부(310) 사이의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중심보강부(330)를 포함하며 단면이 T자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로드 연결 바(300)는 상기 결합부(310)와 상기 중심보강부(330) 사이에 데크 결합 홈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중심보강부(330)의 양측에 각각의 데크 결합 홈부가 위치하고, 데크결합 홈부의 양단부에 각각의 결합부(310a, 310b)가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홈부에 데크(100)의 일단부가 끼움결합되고, 데크의 트렌치(170)에는 데크로드 연결바(300)의 결합부(310)가 각각 끼움결합됨으로써, 데크(100) 또는 데크모듈(100M)이 연결될 수 있다.
즉, 데크로드 결합구(200)로 결합된 데크(100)가 데크모듈(100M)을 구성하면, 데크모듈(100M)의 트렌치들은 선형으로 배열되어 한 쌍의 긴 홈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렌치(170)의 선형배열로 형성된 연결홈에 도 5b와 같이 데크로드 연결 바(300)의 결합부(310)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데크로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데크결합구(200)의 지지대 결착부(230)로 인해 고정된 지지프레임(400)에 대해 데크로드 연결 바(300)는 데크(100)의 상부 및 하부에서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직교하는 복수개의 프레임들 사이에 데크가 개재되어 결합되는 형태로 데크로드가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데크로드에 별도의 관통홀 없이 데크를 연결하여 데크로드를 설치함으로써 관통홀로 인한 강성저하 및 크랙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력을 유지하여 데크로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용 장비를 갖추거나 전문 기술성이 없어도 데크로드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지지판 없이도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로드 연결 바(300)는 상부면에 상기 트렌치(170)와 나란한 방향으로 요철(350)이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요철의 방향은 데크(100)의 상면홈(110a)의 방향과 서로 평행하여 눈이 녹거나 비가 내릴 경우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데크로드 상에서 외부로 물이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습기에 대한 데크로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행자의 보행 시 미끄러움을 최소화하여 보행의 안전을 도울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데크로드 연결 바(300)는 상기 데크(100)와 결합 후 노출되는 일측면 이상에 코팅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로 인한 마찰력이나, 자연환경 변화로 인한 외력에 의해 손상받는 것을 최소화하여 공기와 수분으로 인한 산화를 방지하고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주변의 환경과 어울리도록 미관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데크로드 연결 바(300)는 데크로드의 견고함과 내구성을 위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소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데크로드 연결바(300)의 결합부(310) 또는 중심보강부(330)는 중심에 중공(315, 335)을 구비하는 각관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데크로드의 결합 공정 시 결합부의 중공(315)이나 중심보강부의 중공(335)에 강성을 위한 파이프 또는 강선을 삽입시킴으로써, 데크로드 연결 바(300)의 견고함과 데크로드의 안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데크로드 연결 바(300)는 중심보강부(330)의 상부면에 홈(320)을 구비하고, 상기 홈(320)에 야간 식별용 막대(340)가 위치할 수 있다. 야간 식별용 막대(340)는 투명한 재질의 외부재(342)가 형광 또는 인광 소재의 띠(344)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흐리거나 안개가 심한 날이나 주변이 어두워진 때에도 데크로드를 감지하게 해줌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로드는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위치하여 진동 전달을 경감하는 면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지진의 발생 시 데크로드의 진동을 감소시켜 보행자의 불안감 해소를 도와주며 안전한 피신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데크로드의 일측 이상에 결합되는 난간(500)은 상기 데크로드의 일측부 이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530)와 상기 지주(530) 사이에 상기 데크로드와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로대(510)와 상기 지주의 일측면과 상기 가로대의 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체결구(5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크로드와 지주(530)가 접하는 영역에는 지주 보강판(540)이 설치되어 지주(530)와 데크로드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난간(500)의 가로대(510)는 원통형의 몸체(512)와 상기 몸체(512) 내부에 위치하되 체결구(520)와 결합되는 체결영역(516)을 구획하는 격벽(5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간(500)의 체결구(520)는 일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체결영역(516)에 끼움 결합되는 돌출부(526)와 상기 돌출부(526) 내부와 연결되되 타측면(522)에 형성된 체결홈(526h)과 상기 가로대 몸체(512)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완충결합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주(530)의 일측면에 고정구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홈(526h)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체결구의 타측면(522)은 지주(530)의 일측면에 맞닿아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체결구(520)의 돌출부(526)는 상기 가로대 몸체(512) 내부의 체결영역(516)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체결구(520)를 통하여 지주(530)와 가로대(510)는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서 체결구의 완충결합부(524)를 통하여 가로대 몸체(512)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며 지주(530)와 가로대(510)는 밀착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지주(530)와 가로대(510)의 밀착력 있는 결합을 위해 상기 체결구(520)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고무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난간의 가로대 또는 지주가 손상을 입어 교체가 필요할 때에도 결합구조가 간단하므로 시공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난간의 가로대(510)는 일면에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야간 식별용 막대(514)가 위치할 수 있다. 야간 식별용 막대(514)는 투명한 재질의 외부재(514a)가 형광 또는 인광 소재의 띠(514b)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데크로드 연결 바(300)의 야간 식별용 막대(340)와 함께 흐리거나 안개가 심한 날이나 주변이 어두워진 때에도 데크로드를 감지하게 해줌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10, 10')은 시공을 위한 각종 브래킷과 체결부재와 같은 전용 장비를 갖추거나 전문 기술성이 없어도 데크로드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데크로드 결합구(200)와 데크로드 연결 바(300) 및 그와 결합되는 데크(100)로 인해, 데크로드의 완성 후 강우 강설과 같은 환경적 요인과 보행 시 압력과 마찰 같은 외부적 요인에도 내구성을 유지하며 보행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서, 시공된 데크로드는 하부면에 면진부가 더욱 구비됨으로써 보행자의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지진의 발생 시 데크로드의 진동을 감소시켜 보행자의 불안감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이중압출 합성목재로 이루어진 데크, 난간의 지주 및 가로대로 인해 균일한 품질로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열안정성 및 기계강도가 우수한 데크로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10'; 데크로드 시스템
100; 데크
150; 결합홈
170; 트렌치
200; 데크로드 결합구
210; 블록 삽입부
220; 블록 접촉부
230; 지지대 결착부
240; 강화부
300; 데크로드 연결 바
310; 결합부
330; 중심보강부
340; 야간 식별용 막대
400; 지지프레임
500; 난간
510; 가로대
520; 체결구
530; 지주

Claims (11)

  1. 데크로드와 상기 데크로드의 일측 이상에 결합되는 난간을 포함하는 데크로드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 단면에 형성된 선형의 결합홈과 상부면에 형성된 트렌치를 포함하는 데크와, 상기 결합홈과 끼움 결합되어 데크를 연결하여 데크모듈을 형성하는 데크로드 결합구와, 상기 트렌치가 선형의 연결홈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데크모듈을 배열하고 상기 연결홈과 결합되는 데크로드 연결 바를 포함하는 데크로드;
    상기 데크로드의 일측부 이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상기 데크로드와 수평으로 설치되되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하되 체결구와 결합되는 체결영역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가로대와, 상기 지주의 일측면과 상기 가로대의 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난간; 및
    상기 데크로드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난간의 체결구는 일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체결영역에 끼움 결합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내부와 연결되되 타측면에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가로대 몸체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완충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상기 난간의 가로대 또는 지주는, 이중압출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로드 결합구는 상기 데크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판형의 블록 삽입부와, 상기 데크의 일측부 단면과 맞닿으며 상기 블록 삽입부의 중심선과 수직인 판형의 블록 접촉부와, 상기 블록 접촉부의 양측 하단부와 직교하는 판형으로 연결되되 서로 평행하여 이격되며 내향으로 형성된 걸림돌기를 일단부에 각각 구비하는 지지대 결착부 및 상기 블록 접촉부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 결착부 외측면과 수직으로 연결된 강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로드 결합구는 상기 블록 삽입부의 중심선을 따라 상측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로드 연결 바는 양단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트렌치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의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중심보강부를 포함하며 단면이 T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데크로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또는 중심보강부는 중심에 중공을 구비하는 관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로드 연결 바는 중심보강부의 상부면에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야간 식별용 막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로드는, 하측면에 위치하여 진동 전달을 경감하는 면진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의 가로대는 일면에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야간 식별용 막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190086785A 2019-07-18 2019-07-18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72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785A KR102072502B1 (ko) 2019-07-18 2019-07-18 데크로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785A KR102072502B1 (ko) 2019-07-18 2019-07-18 데크로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502B1 true KR102072502B1 (ko) 2020-03-02

Family

ID=69805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785A KR102072502B1 (ko) 2019-07-18 2019-07-18 데크로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50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1523A (ja) * 2006-02-27 2007-09-13 Taisei Corp 免震床構造
KR100987143B1 (ko) * 2010-04-26 2010-10-11 (주) 태평양지질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
KR20120100227A (ko) * 2011-03-03 2012-09-12 김운봉 조인트 클립
KR101559518B1 (ko) * 2015-01-12 2015-10-14 주식회사 강산우드 친환경 울타리
KR101734343B1 (ko) 2016-10-25 2017-05-15 아이앤지산업(주) 데크 지지판, 이를 포함하는 데크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855368B1 (ko) 2018-02-07 2018-05-08 아이앤지산업(주) 무장애 데크 지지판, 이를 포함하는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1523A (ja) * 2006-02-27 2007-09-13 Taisei Corp 免震床構造
KR100987143B1 (ko) * 2010-04-26 2010-10-11 (주) 태평양지질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
KR20120100227A (ko) * 2011-03-03 2012-09-12 김운봉 조인트 클립
KR101559518B1 (ko) * 2015-01-12 2015-10-14 주식회사 강산우드 친환경 울타리
KR101734343B1 (ko) 2016-10-25 2017-05-15 아이앤지산업(주) 데크 지지판, 이를 포함하는 데크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855368B1 (ko) 2018-02-07 2018-05-08 아이앤지산업(주) 무장애 데크 지지판, 이를 포함하는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7697B1 (en) Modular decking planks
USRE41140E1 (en) Modular decking planks
KR101689543B1 (ko) 데크보드 조립체
KR102072500B1 (ko) 데크로드 결합구 및 그와 결합되는 데크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102086303B1 (ko) 체결력이 향상된 연결브라켓을 갖는 데크로드
CN102834624B (zh) 木板铺装或地板铺装系统、及其组件
KR102072502B1 (ko)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76451B1 (ko) 데크로드 연결 바 및 그와 결합되는 데크
KR200465927Y1 (ko) 투명 방음벽
KR100987143B1 (ko)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
KR20090007752U (ko) 난간파이프의 조명등 장착구조
KR102055042B1 (ko) 내진 성능을 갖춘 열교 차단형 단열 벽 패널 구조체
KR20170024075A (ko) 태양광 패널용 플라스틱 설치 지지대
KR102420341B1 (ko) 데크 체결용 클립
KR101250508B1 (ko)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101897472B1 (ko) 스페이서와 데크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체
KR101679841B1 (ko) 배수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기능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WO2015083970A1 (ko) 건축 구조물
KR20200141926A (ko) 데크 체결용 클립
KR20170057531A (ko) 데크보드의 보드유지틀
KR102097160B1 (ko) 의자를 구비한 파라솔
KR102188959B1 (ko) 광고용 라이트패널 박스
KR100374000B1 (ko) 도로에 설치된 지주바의 지지용 기초 보호판
KR20180087603A (ko) 내구성이 강화된 친환경 고강도 합성데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