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83970A1 - 건축 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83970A1
WO2015083970A1 PCT/KR2014/011322 KR2014011322W WO2015083970A1 WO 2015083970 A1 WO2015083970 A1 WO 2015083970A1 KR 2014011322 W KR2014011322 W KR 2014011322W WO 2015083970 A1 WO2015083970 A1 WO 201508397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st
post member
coupling
coupling hole
build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13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재춘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웹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웹스
Publication of WO201508397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8397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65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supported within blind or through holes of the post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은 빔 형상으로 마련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이 형성된 포스트부재; 상기 결합홀에 내입결합되는 빔 형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포스트부재에 형성된 결합홀에 연결부재가 내입결합됨으로써 포스트부재와 연결부재 자체의 강성으로 전체 구조물의 강성이 유지될 수 있고, 아울러 포스트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연결부재의 단부에 체결부재를 체결시켜 상호 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포스트부재와 연결부재의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에 주름부재를 개재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건축구조물에 외력 인가시 상기 주름부재를 통해 탄성력이 확보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주름부재를 통해 외력에 의한 부분적 파손을 유도하여 부분적으로 교체가능한 건축구조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 구조물
본 발명은 바닥에 이격설치되는 포스트부재와 상기 포스트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펜스 등의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포스트부재에 형성된 결합홀에 내입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포스트부재와 연결부재에 의해서 자체적으로 강성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울타리는 일정한 간격으로 기초를 설치하고, 상기 기초 위에 몰타르를 이용하여 블록을 쌓아 기둥을 이루거나,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1907호로 등록된 바 있는 상자형 블록을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쌓은 후 내부에 모르타르를 채워 기둥을 형성한다.
그리고, 기둥의 상하 양 측면에 울타리판의 양측에 울타리 판을 연결하며, 울타리 기둥의 상부에는 미려한 외관을 위해 캡을 씌워 마무리한다.
캡은 하부에 철근을 착설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울타리 기둥을 축조한 후 그 내부에 몰타르를 충진시킨 다음 철근이 몰타르에 매입되도록 캡을 씌워 몰타르가 양생되면 캡이 울타리기둥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는 현장에서 직접 시공해야 하는 부분이 많아 현장에서 발생하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주 역할을 하는 포스트부재와 상기 포스트부재를 상호 간에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미리 준비하여 현장에서 결합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지주 역할을 하는 포스트부재를 일정 간격으로 지반 위에 설치하고, 상기 포스트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이웃하는 두 포스트부재를 상호 연결하도록 연결부재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포스트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결합은 통상적으로 용접작업에 의해서 고정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용접작업은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을 뿐만 아니라, 용접기와 전기를 사용하므로 행인들의 통행에 지장을 초래함과 함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각종 설비를 설치현장까지 운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울타리는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스트부재에 용접한 후, 용접부위를 후처리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용접 이외의 방법으로 다수의 체결부재를 개재시켜 포스트부재와 연결부재를 체결하고 있으나, 이 방법으로는 체결부재의 강성에 의한 구조가 유지가능하므로 외부충격에 쉽게 구조물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스트부재에 연결부재를 체결시 포스트부재에 형성된 결합홀에 연결부재가 직접 내입되어 포스트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건축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포스트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연결부재의 말단에 핀 형상의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연결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포스트부재와 연결부재의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에 주름부재를 개재하여 외부로터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건축 구조물에 외력 인가시 상기 주름부재를 통해 탄성력이 확보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건축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주름부재를 통해 외력에 의한 부분적 파손을 유도하여 부분적으로 교체가능한 건축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빔 형상으로 마련되는 포스트부재; 상기 포스트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결합홀; 상기 결합홀에 내입결합되는 빔 형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는 그 단부가 상기 포스트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스트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포스트부재로부터 이탈방지되도록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핀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홀에서 상기 포스트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사이에 개재되는 주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스트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는, 중공(中空) 형상으로 마련되는 금속재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된 표층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재 베이스는 양단이 개방되고, 단면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ㄱ자, ㄷ자 또는 다수 개의 꼭지점이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재는 알루미늄, 철, 구리, 크롬, 니켈, 규소, 망간, 텅스텐, 아연 또는 마그네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층부는 올레핀 수지, 필러 및 커플링제를 포함한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스트부재에 연결부재를 체결시 핀 형상의 체결부재의 체결만으로도 고정될 수 있는 건축구조물이 제공된다.
또한, 포스트부재와 연결부재의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에 주름부재를 개재하여 외부로터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구조물이 제공된다.
또한, 건축구조물에 외력 인가시 상기 주름부재를 통해 탄성력이 확보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건축구조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주름부재를 통해 외력에 의한 부분적 파손을 유도하여 부분적으로 교체가능한 건축구조물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부분상세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에 외력 인가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포스트부재 10a : 결합홀
11 : 금속재 베이스 12 : 표층부
20 : 연결부재 30 : 주름부재
40 : 체결부재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상세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1)은 포스트부재(10)와 연결부재(20) 및 주름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스트부재(10)는 베이스(11)와 표층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는 빔 형상으로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는 중공(中空)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단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1)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ㄱ자, ㄷ자 또는 다수 개의 꼭지점이 있는 형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는 금속재로서, 알루미늄, 철, 구리, 크롬, 니켈, 규소, 망간, 텅스텐, 아연 또는 마그네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표층부(12)는 상기 베이스(11)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올레핀 수지, 필러 및 커플링제를 포함한 합성수지이다. 여기서, 상기 필러는 유기필러 또는 무기필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유기필러는 목분, 목펠렛, 목섬유 및 지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무기필러는 탈크, 탄산칼슘, 월라스토나이트 및 카오리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유기필러인 목펠렛, 목섬유 또는 지분을 개량하여 압출 제품을 생산할 수도 있으나, 내구성 면에서 현저히 떨어지고 다양한 형태로 제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 본 발명과 같이 금속재인 베이스(11) 상에 결합하는 형태를 구현하여 견고하면서도 용도에 적합한 표면을 가지는 건축구조물용 자재가 가능하다.
또한, 탈크, 탄산칼슘, 월라스토나이트 또는 카오리나이트와 같은 무기필러를 포함함으로써 수지의 물성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무기필러는 수분을 먹지 않고, 표면 활성효과를 높여서 수축 변화방지 효율이 우수하며 합성수지 제조시 성형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스트부재(10)의 용도에 따라 금속의 종류에 따라 유기필러와 무기필러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층부(12)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의 조성은 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필러는 1 내지 100중량부, 커플링제는 0.1 내지 10중량부일 수 있다.
필러는 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가 낮아지고 접착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금속재에 결합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고 100중량부를 넘는 경우에는 강도는 높아지나 금속재 상에 수지를 얇게 도포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커플링제는 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력이 떨어져 수지 내의 물질 간의 결속력이 감소하고 탄성이 떨어지며,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출 정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커플링제는 실란 수지 또는 무수 말레인산 변성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실란 수지 또는 무수 말레인산 변성 수지는 다량 사용되는 유기필러 및 올레핀 수지로 인한 제품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고 천연 목재 수준의 탄성과 강도를 갖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실란 수지는 아미노 실란, 에폭시 실란, 메르캅토 실란, 우레이도 실란, 메타크릴록시 실란, 비닐 실란, 글리시독시 실란 및 설파이도 실란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자세하게는 광안정제는 비스 2,2,6,6-테트라메틸-4 파이퍼리딜이 바람직하며, 광안정제를 첨가함으로써 올레핀 수지나 합성수지가 자외선에 노출될 때 내후성이 떨어지거나 색이 탈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포스페이트 계통의 산화방지제, 페놀계 산화방지제, 칼슘 스테아린산염을 사용하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 계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수지금속 복합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윤활제는 에스테르계 윤활제 또는 아마이드계 윤활제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폴리에틸렌 왁스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가 효과적이다. 윤활제는 합성수지의 각 성분 사이의 윤활성을 제공하고, 각 성분들의 혼합과정에서 마찰력을 감소시켜 필러의 분산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포스트부재(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포스트부재(10)와 같이 금속재 베이스(11)와 표층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내부는 포스트부재(10)와 같이 중공 형태이거나 중실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스트부재(10)와 동일한 형태인 중공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주름부재(30)는 PVC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서 벨로우즈관과 같은 형태로 마련되어 포스트부재(10)의 결합홀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도 2에서와 같이, 그 내부로 상기 연결부재(20)가 소정의 체결수단 또는 접착수단 등을 통해 결합설치된다.
즉, 주름부재(30)가 포스트부재(10)와 연결부재(20)의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포스트부재(10)와 연결부재(2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 오물, 오수 등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금속재 베이스(11)의 부식에 의한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20)는 포스트부재(1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20)의 말단에는 결합홀의 직경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핀 형상의 체결부재(40)가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40)를 통해 연결부재(20)는 포스트부재(1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40)가 핀 형상인 것이 설명되었으나, 이외 연결부재(20)의 단부를 포스트부재(10)의 내측에 결합시키는 소정의 결합수단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면, 도 4에서와 같이, 연결부재(20)가 주름부재(30)에 의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힘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포스트부재(10)에 대하여 유동성을 가질 수 있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주름부재(30)의 탄성력을 통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는 파손되는 정도의 강도를 넘어서는 일정 충격 이상에서도 견딜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파손이 예상되는 강한 충격 이상에서도 상기 주름부재(30)를 통해 탄성력이 확보되어, 전체 구조는 완전 파손되지 않고 부분 파손이 유도됨으로써 파손된 해당 부분만 부분적으로 교체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구조물은 포스트부재의 결합홀에 연결부재가 내입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구조물의 강성이 포스트부재 및 연결부재의 자체강성을 통해서 유지될 수 있어 구조물 자체의 강성이 종래보다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주름부재의 탄성력을 통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는 파손되는 정도의 강도를 넘어서는 일정 충격 이상에서도 견딜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파손이 예상되는 강한 충격 이상에서도 주름부재를 통해 탄성력이 확보되어, 전체 구조는 완전 파손되지 않고 부분 파손이 유도됨으로써 파손된 해당 부분만 부분적으로 교체 가능할 수도 있다.

Claims (9)

  1. 빔 형상으로 마련되는 포스트부재;
    상기 포스트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결합홀;
    상기 결합홀에 내입결합되는 빔 형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그 단부가 상기 포스트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포스트부재로부터 이탈방지되도록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핀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에서 상기 포스트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사이에 개재되는 주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는, 중공(中空) 형상으로 마련되는 금속재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된 표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 베이스는 양단이 개방되고, 단면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ㄱ자, ㄷ자 또는 다수 개의 꼭지점이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는 알루미늄, 철, 구리, 크롬, 니켈, 규소, 망간, 텅스텐, 아연 또는 마그네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부는 올레핀 수지, 필러 및 커플링제를 포함한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PCT/KR2014/011322 2013-12-04 2014-11-24 건축 구조물 WO201508397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983 2013-12-04
KR1020130149983A KR101570576B1 (ko) 2013-12-04 2013-12-04 건축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3970A1 true WO2015083970A1 (ko) 2015-06-11

Family

ID=53273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1322 WO2015083970A1 (ko) 2013-12-04 2014-11-24 건축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0576B1 (ko)
WO (1) WO20150839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56728A1 (en) * 2021-05-04 2022-11-10 Gary W. Ash Gate Uprigh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545A (ko) 2018-02-18 2019-08-28 조건희 국가별 화폐 단위를 가상적인 픽셀을 조합하여 만들어내는 블록 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와 해당 플랫폼 및 프로그램 및 서비스
KR20190120680A (ko) 2018-04-16 2019-10-24 안희태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거래 방법
KR102452969B1 (ko) * 2021-10-12 2022-10-07 이보베 조립식 가설 방호통로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381Y1 (ko) * 2006-03-08 2006-06-12 장기숙 조립식 안전펜스
KR100800595B1 (ko) * 2007-03-07 2008-02-04 (주)세종산업 보행자 보호용 조립식 휀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381Y1 (ko) * 2006-03-08 2006-06-12 장기숙 조립식 안전펜스
KR100800595B1 (ko) * 2007-03-07 2008-02-04 (주)세종산업 보행자 보호용 조립식 휀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56728A1 (en) * 2021-05-04 2022-11-10 Gary W. Ash Gate Upr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981A (ko) 2015-06-12
KR101570576B1 (ko)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83970A1 (ko) 건축 구조물
WO2013066116A2 (ko) 돔형 구조물
KR101508123B1 (ko) 건물옥상용 조립식 방수패널구조물
CN204820500U (zh) 一种阻燃型防水卷材
WO2012053770A2 (ko) 조립식 욕실방수판용 가변형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욕실방수판
CN216305162U (zh) 一种净化岩棉彩钢板
WO2018110877A1 (ko) 플라스틱 가드레일
CN206245457U (zh) 污水池顶盖单片构件
KR101058174B1 (ko) 월류방지형 그레이팅
CN109072619A (zh) 脚手板
WO2018159880A1 (ko) 플라스틱 가드레일
CN106320600A (zh) 一种建筑装配式双排孔自保温承重墙板
CN207003844U (zh) 一种活动板房防水结构
CN205804999U (zh) 预制装配式建筑塔吊的连接结构
JP2013257028A (ja) 引き上げ管
CN205421110U (zh) 一种组合式公路护栏
CN207828845U (zh) 一种轻质高强护栏
WO2016208853A2 (ko) 지주와 레일을 이용한 완충 방호울타리
KR200188636Y1 (ko) 탄성분할식의 전선보호몰드
KR102197344B1 (ko) 고하중 저항력을 갖는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
CN215662340U (zh) 一种复合型具有较强抗冲击力的瓦楞板
CN212478521U (zh) 一种防水式复合塑料模板
CN212935449U (zh) 一种拼接式电缆桥架
KR100210644B1 (ko) 방진방음벽
CN216044811U (zh) 一种组合式中空塑料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685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6/09/2016)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685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