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644B1 - 방진방음벽 - Google Patents

방진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644B1
KR100210644B1 KR1019970035013A KR19970035013A KR100210644B1 KR 100210644 B1 KR100210644 B1 KR 100210644B1 KR 1019970035013 A KR1019970035013 A KR 1019970035013A KR 19970035013 A KR19970035013 A KR 19970035013A KR 100210644 B1 KR100210644 B1 KR 100210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ead
front case
bos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777A (ko
Inventor
서정돈
Original Assignee
서정돈
주식회사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돈, 주식회사대한 filed Critical 서정돈
Priority to KR1019970035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644B1/ko
Publication of KR19990011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52Grate-style, e.g. as wall fa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E01F8/007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with damp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건물 공사장등 건축공사장에 있어서 건축 공간을 인도(人道) 또는 공사장에 근접된 건축물과 격리시켜 통행하는 사람이나 인접 건물을 보호하고 특히 공사장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도로용 건축공사장용 방진방음벽(防塵防音壁)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진방음벽은 전면판넬과 후면판넬의 사각외형 테두리 및 전,후면판넬의 내측면에 형성시킨 각 연결대를 열용착 조립되므로서 내,외부판넬이 일체형으로 되어 열변형 및 내충격에 상당히 견딜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졌으며 작업 공정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인 제품이다.

Description

방진방음벽
제1도는 공지의 방진방음벽의 사시도.
제2도는 공지의 방진방음벽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방음벽의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방음벽의 배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방음벽의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방음벽에 있어서 전면케이스의 배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방음벽에 있어서 후면케이스의 배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방음벽의 조립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면케이스 200 : 후면케이스
300 : 방음재 110 : 전면패널부
120 : 측면패널부 111 : 그릴창
131 : 보스형연결대 132 : 비드형연결대
112 : 물빼기구멍 131g, 132g : 가이더
210 : 후면패널부 220 : 측면패널부
211 : 통풍구 212 : 물빼기구멍
231 : 보스형연결대 232 : 비드형연결대
본 발명은 신축건물 공사장등 건축공사장에 있어서 건축 공간을 인도(人道) 또는 공사장에 근접된 건축물과 격리시켜 통행하는 사람이나 인접 건물을 보호하고 특히 공사장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도로용 건축공사장용 방진방음벽(防塵防音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건물을 건축하고자 할 때 터파기공사나 건축용자재를 실어나를 때 공사장에서 흙먼지등이 많이 발생되고, 건축공사장에서는 작업시 많은 소음이 발생된다. 또한 신축건물을 세우고자 하는 장소가 많은 사람들이 통행하는 또는 사람이 살고있는 건물에 인접되어 있을 경우 상기의 소음이나 분진으로부터 사람은 보호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고, 차량(자동차 또는 전동차, 기차등)의 통행에 따른 소음 및 분진으로부터 주위 건물이나 통행자를 보호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와같이 건축공사장 또는 도로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분진의 공해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방음, 방진벽이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제1도는 공지의 방음방진벽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공지의 방진방음벽의 단면도이다.
공지의 방진방음벽(W)은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바처럼 전면케이스(1)와 후면케이스(2) 그리고 상기 전면케이스(1)와 후면케이스(2) 사이에 삽입되어 충진되는 흡음재(3)로 구성되는데, 상기 전면케이스(1)에는 다수의 패널(111)로 구성된 그릴창(11)이 외측쪽으로 형성되며, 이와 동시에 전면케이스(1)에는 다수의 비계결속구멍(12)과 다수의 패널체결구멍(13)이 형성된다.
상기 후면케이스(2)에는 다수의 통풍구(21)와 상기 전면케이스(1)와 대칭되는 위치에 다수의 비계결속구멍(22) 및 다수의 패널체결구멍(23)이 형성된다.
상기 흡음재(3)는 폴리우레탄포움(poly-urethan foam)으로 되어 그 내부에 다수의 공극이 산재되어 소음이나 분진이 통과될 때 소음이 저감되고 분진이 걸러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공지의 방진방음벽(W)은 제2도에 도시된바처럼 중앙에 흡음재(3)를 끼우고 전면케이스(1)와 후면케이스(2)가 양 케이스 및 흡음재의 체결구멍(13, 23, 33)을 통하여 볼트(B)와 너트(N) 체결로서 결합되는 것이며, 이와같이 조립된 공지의 방진방음벽(W)은 제3도에 도시된바처럼 다수의 비계결속구멍(12, 22)에 끼운 결속로우프(R)로서 세워진 비계(F)에 붙들어 매어 세우는 것이다.
그런데 싱기와 같은 공지의 방진방음벽(W)을 형성하는 전면케이스(1)와 후면케이스(2)는 폴리프로필렌(poly prophylene)을 재질로 하여 사출 성형하였는데 폴리프로필렌(PP)은 플라스틱류 중 비교적 인장강도 내연성이 우수하여 스트레스 크랙(stress crack)에 비교적 잘 견디는 성질을 갖고 있어 방진, 방음벽의 케이스 재질로 사용되고 있으나, 야외에 설치되는 방진 방음벽의 특성상 폴리프로필렌(PP)만으로 만들어진 전후면케이스(1,2)의 기계적 성질이 충분하다 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방진방음벽의 전후면케이스(1, 2)에는 기계적성질을 보완하기 위하여 많은 수의 비계결속구멍(12,22)을 형성하여 방진방음벽(W)을 비계(F)에 로우프(R)로서 붙들어 매어야 했었다.
또한 공지의 방진방음벽 전후면케이스(1, 2)의 결합은 수많은 볼트(B)와 너트(N)로서 하였기에 공지의 방진방음벽(W) 제조 및 설치작업에 그만큼 많은 작업자가 필요하였고, 기존의 방음벽은 태양열 및 복사열에 변형이 되어 내, 외부 패널이 벌어지고 전체 외형이 비틀려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제품이 창안되었는데,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판넬과 후면판넬의 사각외형 테두리 및 전,후면판넬의 내측면에 형성시킨 각 연결대를 열용착 조립되므로서 내, 외부판넬이 일체형으로 되어 열변형 및 내충격에 상당히 견딜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졌으며 작업 공정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인 제품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진방음벽에 대하여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방음벽의 정면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방음벽의 배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방음벽의 측면도이며,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방음벽에 있어서 전면케이스의 배면도이고,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방음벽에 있어서 후면케이스의 배면도이며,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방음벽의 조립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진방음벽은 제3도 및 제8도에 도시된바처럼 전면케이스(100)와 후면케이스(200) 그리고 방음재(300)로 구성되는데, 상기 전면케이스(100)와 후면케이스(200)를 형성하는 재질은 복합폴리프로필렌인데, 폴리프로필렌에 본 발명의 활석(滑石 Talc) Mg3(Si4O10)(OH)2과 글라스울(glass wool)을 혼련 응고시킨 것이다.
여기서 활석분말을 첨가하는 이유는 전후면케이스(100, 200)의 내마모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고 내화학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첨가한다. 그리고 글라스울은 길이가 짧은 섬유상 유리로서 기지(基地)인 폴리프로필렌의 강인성(强靭性)을 향상하도록 하는 특성을 갖고 있기에 전면케이스(100)와 후면케이스(200)가 강인하다.
또한 활석 분말에 의해 내열성이 강화되었기에 본 발명에 따른 방진방음벽은 야지(野地)에서 장기간 지속적인 태양열에 노출되어도 열변형에 견딜수 있는 구조로 만들었다.
그리고 상기, 전면케이스(100)는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자형으로 넓은면인 전면패널부(110)와 전면패널부(110)의 넷 가장자리에 세워진 형태로 형성된 측면패널부(120)로 구성되는데, 전면패널부(110)의 가장자리 부근에 일렬로 배열되어진 복수개의 물빼기구멍(112)이 형성되며 다수개의 그릴창(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면케이스(100)의 배면 즉 내측면에는 제6도 및 제8도에 도시된바처럼 둥근 원통상으로 융기된 보스형연결대(131)와 2줄로 융기된 판상체로 이루어진 비드형연결대(132)로 구성된 케이스연결대(130)가 형성되는데, 상기 보스형연결대(131)는 제6도에 도시된바처럼 그릴창(111)과 그릴창(111)사이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인데, 이 보스형연결대(131)는 제6도에 부분확대하여 사시도로 도시한바처럼 원통형 몸체의 외측에 일체로서 등거리 간격을 갖고 형성된 대략 3각 판상체로된 3개의 가이더(131g)가 형성되는데, 이 가이더(131g)의 자유단부는 보스형연결대(131)의 자유단부보다 약간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드형 연결대(132)는 전면케이스(100)의 안쪽면에 다수개에 의하여 +자 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음을 제4도를 통해 알 수 있다.
제6도에 부분확대하여 사시도로 도시한바처럼 각 비드형 연결대(132)에는 2개의 가이더(132g)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가이더(132g)는 대략 3각 판상체로 되어 그 자유단부는 비드형연결대(132)의 자유단부보다 약간 더길게 형성된다.
상기 후면케이스(200)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바처럼 상자형태로 형성되는데, 넓은면인 후면패널부(210)와 후면패널부(210)의 4 가장자리에 세워진 형태로 형성된 측면패널부(220)로 구성되고, 후면패널부(210)에는 공지의 것과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진 관통구멍인 다수의 통풍구(211)가 형성되고, 전면케이스(100)에 형성된 물빼기구멍(112)에 대칭되는 위치에 같은수 및 같은 크기로 비계결속구(2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후면케이스(200)의 배면 즉 내측면에는 제7도, 제8도에 도시된바처럼 케이스연결대(230)가 형성되는데 상기 케이스연결대(230)는 보스형연결대(231)와 비드형연결대(232)로 구성되는데. 이 보스형연결대(231)는 전면케이스(100)에 형성된 보스형연결대(131)와 같은 직경의 원통형 몸체로 맞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비드형연결대(232) 또한 전면케이스(100)에 형성된 비드형연결대(132)와 같은 평행하게 세워진 2개의 패널로서 맞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다만, 후면케이스(200)에 있는 보스형연결대(231)와 비드형연결대(232)에 있는 가이더(131g, 132g)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다르고 보스형연결대(231)와 비드형연결대(232)의 높이가 약간 더 길다는 점에서 다를뿐이다.
상기 방음재(300)는 공지의 것같은 다수의 미세한 공극이 형성된 폴리우레탄포움(poly-urethan foom)재로 만들어진 판상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130, 230)가 상호 접촉하도록 적당한 다수의 관통구(31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방음벽은 방음재(300)를 중앙에 놓고 전면케이스(100)와 후면케이스(200)를 맞대어 조립하는데, 조립후의 상태가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방음벽을 조립함에 있어 전면케이스(100)와 후면케이스(200)을 열융착법으로 조립 고정하는 것인데, 전면케이스(100)의 측면패널(110) 자유단부, 보스형연결대(131) 자유단부, 비드형연결대(132)가 자유단부를 가열 판등으로 가열하여 그 부분을 용융시키고 후면케이스(200)의 측면패널(210)자유단부, 보스형연결대(231) 자유단부, 비드형연결대(232) 자유단부를 가열판등으로 가열 그 부분은 반 용융시킨후 각자 자유단부를 맞접하여 누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진방음벽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에 따로 방진방음벽은 상기한바처럼 전면케이스(100)와 후면케이스(200)를 조립함에 있어 각기 연결대(130, 230)를 형성시키어 열융착시키도록 하고 있기에 본 발명의 방진방음벽 제조가 그만큼 용이하고 작업시간이 적게 소요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할 것이며, 상기한바처럼 복합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기에 케이스(100, 200) 자체의 강도 및 내열성이 향상되었기에 그만큼 제품 수명이 길어지고 본 발명에 따른 방진방음벽의 조립에 있어서는 공지의 방진방음벽과 달리 전후면 케이스를 열융착에 의하여 일체화시키므로 열변형 및 내충격성이 향상된 구조를 갖고 있다 할 것이다.

Claims (1)

  1. 건설공사현장, 도로(자동차도로 및 철도 포함)변에 설치되어 분진 및 소음을 차단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물빼기구멍(112), 그릴창(111)이 형성된 전면케이스(100)와 다수개의 물빼기구멍(212), 통풍구(211)가 형성된 후면케이스(200) 그리고 방음재(300)로 구성된 방진방음벽에 있어서, 전면케이스(100)의 배면 즉 내측면에 복수개의 둥근원통상으로 융기된 보스형연결대(131)가 형성되고, 융기된 2줄의 판상체로 된 비드형연결대(132)가 형성되며, 후면케이스(200)의 배면 즉, 내측면에 전면케이스(100)의 보스형연결대(131)와 비드형연결대(132)에 대칭되는 위치에 같은 형태 및 크기로 보스형연결대(231)와 비드형연결대(232)가 형성되어 전면케이스(100)와 후면케이스(200) 그리고 방음재(300)가 조립됨에 있어 전면케이스(100)와 후면케이스(200)의 측면패널 자유단부와 보스형연결대(131, 231)의 자유단부, 비드형연결대(132, 232)의 자유단부를 부분 용융시켜 접합 응고시켜 조립하도록 한 방진방음벽.
KR1019970035013A 1997-07-25 1997-07-25 방진방음벽 KR100210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013A KR100210644B1 (ko) 1997-07-25 1997-07-25 방진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013A KR100210644B1 (ko) 1997-07-25 1997-07-25 방진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777A KR19990011777A (ko) 1999-02-18
KR100210644B1 true KR100210644B1 (ko) 1999-07-15

Family

ID=1951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013A KR100210644B1 (ko) 1997-07-25 1997-07-25 방진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0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255A (ko) 2018-04-17 2018-05-14 최유창 방음하우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619B1 (ko) * 2001-09-04 2004-06-09 (주)미래기술단 방음벽의 구조공법
KR100436182B1 (ko) * 2001-09-04 2004-06-16 (주)석탑엔지니어링 방음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255A (ko) 2018-04-17 2018-05-14 최유창 방음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777A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3495A (en) Sound-absorbing panel
US20120247038A1 (en) Construction system using interlocking panels
EP0665335B1 (en) Sound insulating wall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GB1481218A (en) Soundabsorbing element
KR100210644B1 (ko) 방진방음벽
KR101333940B1 (ko) 합성목재를 이용한 방음패널
KR200423362Y1 (ko) 창틀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KR101163383B1 (ko) 조립식 방음벽
WO2007082356A1 (en) Thermal insulating composite panel, method of its production and building structures from such panels
KR102252141B1 (ko)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KR101602919B1 (ko) 가설 방음패널
KR20190001270U (ko) 건축용 벽체 블록 및 건축용 벽체 모듈 조립체
KR100436182B1 (ko) 방음벽
JPH07259243A (ja) パネル工法用軸組内蔵押出成形セメント板とその製造法
KR200227450Y1 (ko) 건설현장의 가설 울타리용 방진 방음 패널
KR200412606Y1 (ko) 방음 판넬 어셈블리
CN215978037U (zh) 一种填充墙
JP2531033B2 (ja) 壁の構造
JP5839346B2 (ja) 断熱パネル、及びその接続構造
WO1998010156A1 (en) Method for interconnecting boards for forming a unit assembly and a unit assembly produced according to the method
KR200440362Y1 (ko) 방음판넬
KR200437742Y1 (ko) 방음판넬
KR200401091Y1 (ko) 조립식 방음패널
KR200386864Y1 (ko) 공사현장의 가설펜스
KR101912600B1 (ko) 컨틸레버 방식을 이용한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설치 방법 및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