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940B1 - 합성목재를 이용한 방음패널 - Google Patents

합성목재를 이용한 방음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940B1
KR101333940B1 KR1020090024716A KR20090024716A KR101333940B1 KR 101333940 B1 KR101333940 B1 KR 101333940B1 KR 1020090024716 A KR1020090024716 A KR 1020090024716A KR 20090024716 A KR20090024716 A KR 20090024716A KR 101333940 B1 KR101333940 B1 KR 101333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ded
groove
panel
soundproof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650A (ko
Inventor
채경명
김강우
신상호
이성규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024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940B1/ko
Publication of KR20100106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1Plank-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목재(목분+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한 방음패널에 관한 것으로, 도로변의 아파트(APT), 주택가, 학교 등의 소음저감을 위한 방음벽을 구성함에 있어서, 현장 시공 조건에 따른 지주간격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목분과 합성수지 원료를 이용한 중공구조의 압출 성형품으로 본체를 구성하고, 압출 성형품의 길이변화를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품을 상호 연결 지지하며, 일정 크기로 연결된 압출 성형품을 패널 틀을 이용하여 하나의 모듈(Module)로 구성한 차음형 방음패널을 제공한다.
합성목재, 연결부재, 차음, 방음패널

Description

합성목재를 이용한 방음패널{Soundproof panel using synthetic wood}
본 발명은 방음벽에 적용되는 방음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목재를 이용한 차음형 방음패널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차음형 방음벽을 살펴보면, 주로 폴리카보네이트(PC)나 아크릴(PMMA)로 이루어져 조망권 확보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방음벽은 콘크리트 압출 패널이나 블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존의 차음 방음벽은 성능상의 문제는 없으나, 투명 방음벽은 시간이 지날수록 투명성이 사라져 본래의 목적인 조망권 확보가 무의미해지며, 불투명해짐으로써 도시미관을 오히려 해치고 있다.
또한,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PC나 PMMA의 틀을 만들기 때문에 횡방향의 알루미늄 프레임이 들어나 보여 전체적인 디자인을 해친다.
목재 방음벽의 경우, 목재의 특성상 계절의 변화에 따라 뒤틀리고 쪼개지는 현상 및 썩는 문제가 있다.
한편, 기존의 방음벽은 일정한 규격으로 규격화되어 현장 시공시 시공이 간편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토목공사의 특성상 방음벽을 세우는 H 빔(Beam)의 간격 이 일정하지 않으며, 현장 사정에 따라 특정 간격(예를 들면, 방음벽 규격이 500㎜W×1960㎜L일 때, H 빔의 간격은 2 m임)으로 지주를 세울 수 없을 때(예를 들면, 토목공사 현장 사정으로 지주 간격이 2 m를 넘거나 혹은 2 m가 안될 때), 일정한 규격의 방음벽은 대응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경우에 특수 규격의 방음벽을 새롭게 제작하거나, 임시 방편의 시공방법을 사용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861265호에는 기초구조물의 상부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지주와, 지주의 전면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방음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음벽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373495호에는 H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에 조립되는 방음패널에 있어서, 방음패널은 흡음부재와, 흡음부재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 패널부와, 전면 패널부의 양측을 폐쇄시키는 제1측면 패널부와, 전면 패널부의 후면에 조립되는 후면 패널부와, 후면 패널부와 흡음부재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과, 후면 패널부의 양측에 형성된 제2측면 패널부와, 후면 패널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방음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1997-291512호에는 측면에 흡음구멍을 형성하고 양 단부에 연결 면을 형성한 흡음 목재를 금속 지주 사이에 설치한 소음 방지 벽체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81826호에는 도로에 배열 고정되는 지주에 양단이 끼움 결합되고 그 내부에 흡음재가 내장되며 전후 노출 면에 소음통과 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방음벽용 방음판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의 방음판은 합성목재가 아닌 합성수지, 유리판, 천연목재로 이루어지고, 특히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상하로 단순 적층되며,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날개구조를 갖는 연결부재 구성, 합성목재 압출 성형품의 길이변화에 대한 흡수구조 등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741737호에는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ㄷ자 형태의 본체와, 본체 내부에 전면으로 요돌조를 형성하는 만곡 형상의 유도판을 갖는 격벽을 중앙으로 일체 형성하여 좌우 격실을 형성하되, 좌우 격실에는 각각 흡음재를 삽입 구성하고, 유도판과 흡음재 사이로 유도판 내측에서 돌출된 간섭 돌기에 의해 1,2차 공명부를 각각 대향 형성하여 이루어진 방음벽용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의 방음 패널은 구조가 복잡하고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특히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본체의 상하부에 형성된 암수 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하여 적층되며,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날개구조를 갖는 연결부재 구성, 합성목재 압출 성형품의 길이변화에 대한 흡수구조 등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출 성형되는 합성목재를 이용하여 차음 방음패널을 구성함으로써 현장에서 쉽고 자유롭게 절단 및 조립 시공하여 지주 간격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방음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음성능(투과손실)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각 압출 성형품과 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사이의 실링 구조를 확실하게 구성한 방음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합성목재의 목재 질감을 이용하여 도시미관을 살리고 친환경적인 소재를 접목하여 친환경적인 방음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출 성형되는 합성목재 여러 장을 결합하여 하나의 일정한 크기의 모듈(Module)로 구성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장기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일정 면적을 한번에 시공 가능한 방음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합성목재 압출 성형품의 길이변화(수축 또는 팽창)에 대한 흡수구조를 갖도록 구성한 차음형 방음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듈을 구성하는 틀을 양단에만 위치하도록 하여 방음패널 시공시에 H 빔 지주에 틀이 매입되어 겉으로 들어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시미관에 어울리는 차음형 방음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목재를 압출 성형한 판재로서 내부에 중공을 갖고 양단에 홈을 갖는 압출 성형품, 압출 성형품의 홈에 삽입되어 압출 성형품을 상호 체결하는 연결부재, 및 복수의 압출 성형품과 연결부재로 구성된 조립체를 구조적으로 일체화하는 패널 틀을 구비하고,
상부 삽입부재와 하부 삽입부재의 양 측면에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된 다수의 삽입 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삽입부재와 상기 하부 삽입부재 각각의 끝단부는 둥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삽입부재와 상기 하부 삽입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 삽입부재와 상기 하부 삽입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보강 부재가 삽입 설치되되,
상기 보강부재는 다수의 몸체, 몸체를 서로 연결하는 이음부, 그리고 몸체와 이음부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로 구성되는 사다리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 부재의 양측면부는 요철형상으로 형성되는 방음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음패널은 목분과 플라스틱 수지를 혼합한 원료를 압출 성형하여 방음벽 본체를 구성하고, 압출 성형 제품으로 일정 크기(가로×세로)의 차음 패널을 구성하기 위해 압출 성형품을 상호 연결(체결)하는 연결부재와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하는 패널 틀(프레임)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는 합성목재 압출 성형품의 주변 환경(예를 들면, 온도, 강수량 등)에 따른 길이변화를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고, 패널 틀의 조립에 있어서도 본체인 압출 성형품이 내부에서 길이변화를 흡수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압출 성형품의 길이변화에 대한 흡수능력은 크면 클수록 좋다. 또한, 연결부재의 체결구조는 소음이 통과하기 힘들도록 완전한 실링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여 차음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패널 틀을 방음패널의 양단에만 두어 시공시에 H 빔 지주 사이에 패널 틀이 매입되어 겉으로 들어나지 않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와 패널 틀은 각각 3가지 종류가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태양에 따른 연결부재는 연결부재는 압출 성형품의 홈에 삽입되는 상부 삽입부재와 하부 삽입부재 및 이 상하부 삽입부재와 수직으로 교차하는 전면 흡수부재와 후면 흡수부재로 구성되는 십자형 구조를 갖되, 상부 삽입부재와 하부 삽입부재의 양 측면에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된 다수의 삽입 날개가 형성된다. 이 삽입 날개에 의해 연결부재가 압출 성형품의 체결 홈과 체결 시 용이하게 삽입되고 쉽게 분리(탈착)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삽입날개를 제외한 상하부 삽입부재의 두께는 압출 성형품의 홈 두께보다 20 내지 50% 얇고, 삽입날개를 포함한 상하부 삽입부재의 두께는 압출 성형품의 홈 두께보다 10 내지 50%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태양에 따른 연결부재는 십자형 구조를 갖되, 상부 삽입부재와 하부 삽입부재의 양 측면에 돌출된 형태의 체결 턱이 형성된다. 이 체결 턱도 삽입날개와 유사한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체결 턱을 제외한 상하부 삽입부재의 두께는 압출 성형품의 홈 두께보다 작고, 체결 턱을 포함한 상하부 삽입부재의 두께는 압출 성형품의 홈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태양 및 제2실시태양에 따른 연결부재의 전면 흡수부재와 후면 흡수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내부에 중공구조를 가지며, 이 중공구조의 완충작용으로 인해 압출 성형품의 수축 또는 팽창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태양에 따른 연결부재는 압출 성형품의 홈에 삽입되는 상부 삽입부재와 하부 삽입부재로 구성되는 일자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압출 성형품의 체결 홈과 상호 억지 끼워 맞춤 형식으로 체결되도록, 상부 삽입부재와 하부 삽입부재의 두께는 압출 성형품의 홈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태양 내지 제3실시태양에 따른 연결부재에서 상부 삽입부재와 하부 삽입부재의 길이는 압출 성형품의 홈 깊이보다 작아서, 상부 삽입부재와 하부 삽입부재가 압출 성형품의 홈에 삽입된 후에도 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로 압출 성형품을 상호 체결한 후에도, 틈이 남아 있어 길이변화에 대한 흡수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는 고무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결부재가 고무로 이루어질 경우 구조 보강을 위해 상부 삽입부재와 하부 삽입부재의 내부에 보강부재가 삽입된다.
본 발명에서 보강부재는 다수의 몸체, 몸체를 서로 연결하는 이음부, 그리고 몸체와 이음부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로 구성되는 사다리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실시태양에 따른 패널 틀은 C형강이나 ㄷ자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태양에 따른 패널 틀은 ㄷ자 형태로 구성된 본체와, 이 본체의 양단에 형성되어 압출 성형품의 홈에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3실시태양에 따른 패널 틀은 ㄷ자 형태로 구성된 본체와, 이 본체의 양단과 중간에 형성되어 압출 성형품의 홈에 체결되는 체결돌기와, 본체의 양단에 형성된 단차 보정돌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압출 성형품의 가장자리 중공부에 고정부재가 삽입되고, 패널 틀과 고정부재가 리벳이나 나사못으로 체결된다. 이때 패널 틀과 압출 성형품에는 리벳이나 나사못의 직경보다 넓은 구멍이 형성되고, 고정부재에는 리벳이나 나사못의 직경보다 좁은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패널 틀과 고정부재의 조여지는 힘에 의해서만 압출 성형품이 체결되며, 이에 따라 압출 성형품을 고정하면서도 압출 성형품의 수축 또는 팽창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패널 틀의 외면에는 흡수 폼이 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흡수 폼이 H 빔 지주에 매입되어 시공될 때 H 빔 지주와 방음패널 사이의 밀봉을 공고히 하여 차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패널 틀과 압출 성형품 사이에는 흡수 폼이 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압출 성형품의 길이가 늘어날 경우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패널 틀은 압출 성형품 조립체의 양단 부분에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방음패널 시공시에 H 빔 지주 사이에 패널 틀이 매입되어 겉으로 들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체결 돌기의 두께는 압출 성형품의 홈 두께보다 작아서 체결 돌기가 압출 성형품의 홈에 삽입된 후에도 틈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압출 성형품의 수축 또는 팽창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음패널은 도로에서 자동차 등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로변, APT나 학교 주변 혹은 울타리 등에 적용되어 시공될 경우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음패널은 압출 성형품의 장점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길이에 맞추어 절단하여 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 빔 지주가 잘못 설치되어 일정 간격(예, 2 m로 설치되어야 하는데, 1.8 m로 설치된 경우나, 2.2 m로 설치된 경우)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기존의 규격화된 제품은 시공하기 매우 어려우나, 본 발명의 압출 성형품은 쉽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구조적 안정성과 차음성능을 갖추기 위 하여 각 압출 성형품은 연결부재로 연결 시공됨으로써 어떠한 규격에도 대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모든 현장에서 쉽게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음패널은 압출 성형품과 연결부재간에 억지 끼워 맞춤으로 연결되어 체결간의 틈없이 실링 구조를 확보하여 소음/진동이 연결부재의 틈을 통하여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차음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음패널은 본체를 구성하는 압출 성형품의 길이변화를 흡수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시공 후 환경변화에 따른 성형품의 길이변화를 흡수하여 방음패널의 뒤틀림 또는 변형을 방지하면서, 미관상의 문제가 없이 장기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방음패널은 합성목재를 이용하여 내후성과 내수성이 강하고, 목재질감을 느낄 수 있어 도시미관에 어울리며, 친환경적인 소재를 접목하여 친환경적이다.
본 발명의 방음패널은 합성목재 압출 성형품 여러 장을 결합하여 하나의 일정한 크기의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일정 면적을 한번에 시공할 수 있고 시공도 용이하다.
본 발명의 방음패널은 패널 틀을 양단에만 구성함으로써 방음패널 시공시에 H 빔 지주에 패널 틀을 매입 은폐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을 적용한 방음벽의 정면도로서, 방음벽(1) 은 지면 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진 기초 구조물(2), 이 기초 구조물(2) 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H 빔 등으로 구성되는 지주(3), 및 방음패널(1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방음패널(10)은 본체인 합성목재 즉, 플라스틱 수지와 목분으로 이루어진 압출 성형품(20)과, 압출 성형품(2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0, 40, 50)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하나의 모듈로 만들기 위한 패널 틀(60, 70, 80)로 구성되는 일체형 방음패널(10)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압출 성형품의 단면도로서, 압출 성형품(20)은 방음패널의 본체로서 플라스틱 수지와 목분 등의 혼합물을 일 방향으로 길게 장방형 판상체로 압출 성형한 제품이다.
압출 성형품(20)의 소재는 합성수지, 목분 및 기타 첨가물로 이루어져 내구성, 내수성, 내후성이 우수하다. 합성수지로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등을 단독 또는 상호 컴파운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목분은 50%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물로서 내후성 안정제를 첨가하여 내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 성형품(20)은 차음 성능을 발휘하는 전면 벽(21)과 후면 벽(22), 이들 벽(21, 22)을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여 구조강도를 보강하는 리브(23), 전후면 벽(21, 22)과 리브(23)에 둘러싸인 속이 빈 중공부(24), 상하 양단에 형성되고 상호 연결시에 필요한 체결 홈(25)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브(23)의 두께는 전면 벽(21)과 후면 벽(22)을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하도 록 3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 홈(25)을 기준으로 단부에는 단차가 발생하며, 구체적으로 제2단부(27)가 제1단부(26)보다 낮다. 이는 연결부재(30)가 한 쪽에만 중공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기 위함이다.
전면 벽(21)과 후면 벽(22)은 소리의 차단역할을 수행하며, 벽의 두께는 다음과 같은 2중벽의 투과손실 식에 의거하여 만족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면밀도는 6.8 kg/㎡ 이상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L = 18log2mf-44
여기서, TL은 투과손실(dB), m은 면밀도(kg/㎡), f는 주파수(Hz)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품과 제1연결부재를 연결한 단면도로서, 인접하는 압출 성형품(20)의 각 체결 홈(25)에 제1연결부재(30)가 삽입됨으로써 압출 성형품(20)이 서로 체결된다.
제1연결부재(30) 및 다른 연결부재(40, 50)의 소재로는 탄성이 있는 고무계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특정 소재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고무의 경우 압출 성형품의 변형에 대한 흡수성능, 차음성능 측면에서 유리하고, 알루미늄의 경우 강도와 내구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연결부재의 단면도로서, 제1연결부재(30)는 압출 성형품(20)의 체결 홈(25)에 삽입되는 상부 삽입부재(31)와 하부 삽입부재(32) 및 이 상하부 삽입부재(31, 32)와 수직으로 교차하는 전면 흡수부재(33)와 후면 흡수부재(34)로 구성되는 십자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부 삽입부재(31)와 하부 삽입부재(32)와 압출 성형품(20)의 체결 홈(25)은 상호 억지 끼워 맞춤 형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체결 부위가 서로 기밀하게 밀봉되고 이에 따라 소음/진동이 그 틈을 통하여 투과하지 못하여 차음성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전면 흡수부재(33)는 소재의 탄성을 이용하여 압출 성형품(20)의 길이변화를 흡수하며, 후면 흡수부재(34)의 내부에는 중공 흡수부(36)가 형성됨으로써 이 중공 흡수부(36)의 완충 작용으로 인해 압출 성형품(20)의 수축 또는 팽창을 흡수할 수 있다.
상부 삽입부재(31)와 하부 삽입부재(32)의 양 측면에는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된 다수의 삽입 날개(35)가 형성됨으로써, 제1연결부재(30)가 압출 성형품(20)의 체결 홈(25)과 체결 시 용이하게 삽입되고 쉽게 분리(탈착)되지 않는다. 이때, 삽입날개(35)는 체결을 안정적으로 할 뿐만 아니라, 탄성력이 있어 압출 성형품의 길이 변화를 흡수할 수 있는 역할도 한다.
삽입날개(35)를 제외한 삽입부재(31, 32)의 두께는 용이한 체결을 위하여 체결 홈(25) 두께보다 20 내지 50% 얇은 것이 바람직하며, 삽입날개(35)를 포함한 삽입부재(31, 32)의 두께는 압출 성형품(20)의 체결 홈(25)과 체결 후 분리 및 탈착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체결되도록 체결 홈(25) 두께보다 10 내지 50% 더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압출 성형품(20)을 상호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30)는 방음벽 본체인 압출 성형품(20)의 길이 변화를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압출 성형품(20)의 길이변화에 대한 제1연결부재(30)의 흡수능력은 길이변화율로서 최대 1.0%까지 흡수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길이와 폭의 방향에 대한 각각의 변화량은 최대 1.0%까지 길이변화에 대한 흡수 능력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폭이 150 ㎜일 때는 최대 1.5 ㎜까지, 길이가 2,000 ㎜일 때는 최대 20 ㎜까지 흡수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연결부재에 삽입되는 보강부재의 평면도로서, 제1연결부재(30)가 고무로 이루어질 경우 상부 삽입부재(31)와 하부 삽입부재(32)의 내부에는 보강부재(37)가 삽입됨으로써, 상하부 삽입부재(31, 32)의 구조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0)의 구조강도를 위한 보강부재(37)는 유연성을 발휘하기 위하여 직사각형의 몸체(37a), 다수의 몸체(37a)를 서로 연결하는 이음부(37b), 그리고 몸체(37a)와 이음부(37b) 사이의 공간인 중공부(37c)로 구성되는 사다리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몸체(37a)는 철과 같은 금속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음부(37b)는 몸체(37a)를 열에 의하여 용융하여 붙이거나 고주파로 용융하여 용접함으로써 형성하며, 이음부(37b)는 몸체(37a)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질재의 용접봉을 이용하여 용접하여도 무관하다.
중공부(37c)는 공압출(Co-Extrusion) 성형 시에 몸체(37a)를 감싸는 제1연결부재(30)의 삽입부재(31, 32)가 상호 접합하도록 하여, 보강부재(37)와 삽입부 재(31, 32)가 서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품과 제1연결부재를 연결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연결부재의 단면도로서, 제2연결부재(40)는 제1연결부재(30)와 유사하게, 압출 성형품(20)의 체결 홈(25)에 삽입되는 상부 삽입부재(41)와 하부 삽입부재(42) 및 이 상하부 삽입부재(41, 42)와 수직으로 교차하는 전면 흡수부재(43)와 후면 흡수부재(44)로 구성되는 십자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하부 삽입부재(41, 42)의 양 측면에는 체결 시에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된 형태의 체결 턱(45)이 형성된다. 체결 턱(45)의 두께는 압출 성형품(20)의 체결 홈(25)의 간격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억지 끼워 맞춤으로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소음이 그 틈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 흡수부재(44)의 내부에는 제1연결부재(30)와 유사하게, 중공 흡수부(46)가 형성되어 압출 성형품(20)의 길이변화를 흡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품과 제2연결부재를 연결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연결부재의 단면도로서, 제3연결부재(50)는 압출 성형품(20)의 체결 홈(25)에 삽입되는 상부 삽입부재와 하부 삽입부재로 구성되는 일자형의 단순한 구조를 갖는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품과 제3연결부재를 연결한 단면도로서, 제3연결부재(50)의 길이는 압출 성형품(20)의 체결 홈(25)의 깊이에 2를 곱한 값보다 짧게 설계하여 압출 성형품(20)의 폭방향 길이 변화를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즉, 제3연결부재(50)로 압출 성형품(20)을 상호 체결한 후에도, 틈이 남아 있어 길이변화에 대한 흡수 능력을 갖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흡수구조는 제1연결부재(30) 및 제2연결부재(40)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제3연결부재(50)의 두께는 압출 성형품(20)의 체결 홈(25)의 간격보다 두껍게 하여 강제 끼워 맞춤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패널 틀의 단면도로서, 자체 흡수구조를 갖는 제2패널 틀(70)은 ㄷ자 형태로 구성된 본체(71)와 이의 양단부를 ㄷ자 형상으로 절곡하거나 Al 압출로 형성한 양단 체결 돌기(72)로 이루어진다. 양단 체결 돌기(72)는 본체(71)의 양단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압출 성형품(20)의 체결 홈(25)과 체결되며, 체결은 억지 끼워 맞춤으로 하여 구조는 유지하고, 단부에 어떠한 걸림도 없어 압출 성형품(20)이 자유롭게 길이변화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패널 틀로 압출 성형품을 조립한 사진으로, 3개의 압출 성형품(20)이 제2패널 틀(70)에 의해 모듈화되어 있고, 제2패널 틀(70)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 돌기(72)가 압출 성형품(20)의 체결 홈(25)과 체결되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패널 틀의 단면도로서, 자체 체결구조 및 흡수구조를 갖는 제3패널 틀(80)은 제2패널 틀(70) 구성과 비슷하게 ㄷ자 형태로 구성된 본체(81)와 본체(81)의 양단에 형성된 양단 체결 돌기(82)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체결되는 압출 성형품(20)과도 체결 가능하도록 본체(81)의 중간에도 T자 형상의 중간 체결 돌기(83)가 형성되어 있어서, 내부의 압출 성형품(20)을 구조적으로 더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 또한, 본체(81)의 양단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단차 보정 돌기(84)를 두어 압출 성형품(20)이 갖는 단차를 보정하여 동일한 높이가 되게 해줌으로써, 방음패널간 조립시에 단차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패널 틀로 압출 성형품을 조립한 단면도로서, 제3패널 틀(80)은 제2패널 틀(70)과 같이 압출 성형품(20)이 자유롭게 길이변화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중간 체결 돌기(83)의 두께는 압출 성형품(20)의 체결 홈(25) 두께보다 작아서 중간 체결 돌기(83)가 압출 성형품(20)의 체결 홈(25)에 삽입된 후에도 틈(A, B, C)이 형성됨으로써, 이 틈(A, B, C)에 의해 내부에서도 압출 성형품(20)의 폭방향 길이변화를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구조는 제3패널 틀(80)의 양단 체결 돌기(82) 및 제2패널 틀(70)의 체결 돌기(72)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의 패널 틀(60, 70, 80)은 모두 압출 성형품(20)의 길이 변화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압출 성형품(20)이 기후 조건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을 흡수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변형 없이 장기적으로 사용 가능한 방음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음패널에 대한 차음성능을 방재시험연구원에서 KS F 2808:2006 규격으로 측정한 결과, 환경부고시 제2002-184호(2002.12.03)에 따른 방음벽의 성능 및 설치기준의 차음성능 기준인 500 Hz에서 25 dB, 1,000 Hz에서 30 dB의 차음성능을 만족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을 적용한 방음벽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압출 성형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품과 제1연결부재를 연결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연결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연결부재에 삽입되는 보강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품과 제1연결부재를 연결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연결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품과 제2연결부재를 연결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연결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품과 제3연결부재를 연결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패널 틀의 단면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패널 틀로 압출 성형품을 조립한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패널 틀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패널 틀로 압출 성형품을 조립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방음벽
2: 기초 구조물
3: 지주
10: 방음패널
20: 압출 성형품
21: 전면 벽
22: 후면 벽
23: 리브
24: 중공부
25: 체결 홈
26: 제1단부
27: 제2단부
28: 체결구
30: 제1연결부재
31, 41: 상부 삽입부재
32, 42: 하부 삽입부재
33, 43: 전면 흡수부재
34, 44: 후면 흡수부재
35: 삽입 날개
36, 46: 중공 흡수부
37: 보강부재
37a: 몸체
37b: 이음부
37c: 중공부
40: 제2연결부재
45: 체결 턱
50: 제3연결부재
60: 제1패널 틀
61: 체결구
70: 제2패널 틀
71, 81: 본체
72, 82: 양단 체결 돌기
80: 제3패널 틀
83: 중간 체결 돌기
84: 단차 보정 돌기
90: 리벳 또는 나사못
100: 고정부재
101: 체결구
110: 제1흡수 폼
111: 제2흡수 폼

Claims (23)

  1. 합성목재를 압출 성형한 판재로서 내부에 중공을 갖고 양단에 홈을 갖는 압출 성형품,
    압출 성형품의 홈에 삽입되어 압출 성형품을 상호 체결하는 연결부재, 및
    복수의 압출 성형품과 연결부재로 구성된 조립체를 구조적으로 일체화하는 패널 틀을 구비하고,
    상부 삽입부재와 하부 삽입부재의 양 측면에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된 다수의 삽입 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삽입부재와 상기 하부 삽입부재 각각의 끝단부는 둥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삽입부재와 상기 하부 삽입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 삽입부재와 상기 하부 삽입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보강 부재가 삽입 설치되되,
    상기 보강부재는 다수의 몸체, 몸체를 서로 연결하는 이음부, 그리고 몸체와 이음부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로 구성되는 사다리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 부재의 양측면부는 요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가 압출 성형품의 홈에 삽입되는 상부 삽입부재와 하부 삽입부재 및 이 상하부 삽입부재와 수직으로 교차하는 전면 흡수부재와 후면 흡수부재로 구성되는 십자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삽입날개를 제외한 상하부 삽입부재의 두께가 압출 성형품의 홈 두께보다 20 내지 50% 작고, 삽입날개를 포함한 상하부 삽입부재의 두께가 압출 성형품의 홈 두께보다 10 내지 50%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5. 제2항에 있어서, 상부 삽입부재와 하부 삽입부재의 양 측면에 돌출된 형태의 체결 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체결 턱을 제외한 상하부 삽입부재의 두께가 압출 성형품의 홈 두께보다 얇고, 체결 턱을 포함한 상하부 삽입부재의 두께가 압출 성형품의 홈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7. 제2항에 있어서, 전면 흡수부재와 후면 흡수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내부에 중공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가 압출 성형품의 홈에 삽입되는 상부 삽입부재와 하부 삽입부재로 구성되는 일자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부 삽입부재와 하부 삽입부재의 두께가 압출 성형품의 홈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10. 제2항, 제 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부 삽입부재와 하부 삽입부재의 길이가 압출 성형품의 홈 깊이보다 작아서, 상부 삽입부재와 하부 삽입부재가 압출 성형품의 홈에 삽입된 후에도 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패널 틀이 C형강이나 ㄷ자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15. 제1항에 있어서, 패널 틀이 ㄷ자 형태로 구성된 본체와, 이 본체의 양단에 형성되어 압출 성형품의 홈에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16. 제1항에 있어서, 패널 틀이 ㄷ자 형태로 구성된 본체와, 이 본체의 양단과 중간에 형성되어 압출 성형품의 홈에 체결되는 체결돌기와, 본체의 양단에 형성된 단차 보정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항에 있어서, 패널 틀의 외면에 흡수 폼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21. 제1항에 있어서, 패널 틀과 압출 성형품 사이에 흡수 폼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22. 제1항에 있어서, 패널 틀은 압출 성형품 조립체의 양단 부분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23.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체결 돌기의 두께가 압출 성형품의 홈 두께보다 작아서 체결 돌기가 압출 성형품의 홈에 삽입된 후에도 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KR1020090024716A 2009-03-24 2009-03-24 합성목재를 이용한 방음패널 KR101333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716A KR101333940B1 (ko) 2009-03-24 2009-03-24 합성목재를 이용한 방음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716A KR101333940B1 (ko) 2009-03-24 2009-03-24 합성목재를 이용한 방음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650A KR20100106650A (ko) 2010-10-04
KR101333940B1 true KR101333940B1 (ko) 2013-11-27

Family

ID=43128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716A KR101333940B1 (ko) 2009-03-24 2009-03-24 합성목재를 이용한 방음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9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680B1 (ko) * 2010-12-22 2013-04-0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건식욕실건조방법
KR101436802B1 (ko) * 2013-05-23 2014-09-02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기능성 및 친환경 목분 복합체를 이용한 벽체 차음벽과 그의 제조방법
KR102103117B1 (ko) * 2019-10-24 2020-06-04 피엠씨글로벌 주식회사 목재패널을 구비하는 방음패널 조립체
RU2729963C1 (ru) * 2020-02-07 2020-08-13 Денис Алексеевич Савкин Шумозащитная панель (варианты)
CN115217046B (zh) * 2022-06-21 2023-11-17 深圳市市政工程总公司 隔声板及隔声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803A (ko) * 2000-03-27 2001-10-27 최유창 인공목재 차량 방음벽
KR20030011736A (ko) * 2002-12-05 2003-02-11 주식회사 대일휀스 방음판넬의 설치구조
KR200332976Y1 (ko) 2003-08-08 2003-11-12 주식회사 대하가구산업 가구용 패널
KR100790010B1 (ko) 2006-12-26 2008-01-02 금호산업 주식회사 가설 방음벽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803A (ko) * 2000-03-27 2001-10-27 최유창 인공목재 차량 방음벽
KR20030011736A (ko) * 2002-12-05 2003-02-11 주식회사 대일휀스 방음판넬의 설치구조
KR200332976Y1 (ko) 2003-08-08 2003-11-12 주식회사 대하가구산업 가구용 패널
KR100790010B1 (ko) 2006-12-26 2008-01-02 금호산업 주식회사 가설 방음벽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650A (ko) 2010-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940B1 (ko) 합성목재를 이용한 방음패널
US5557899A (en) Modular anti-warping door structure
CN101487305B (zh) 自承重自保温装配式建筑外墙体系
US11230841B2 (en) Plastic panel and structures using the same
GB2580544A (en) Improved panel and post systems
KR200448768Y1 (ko) 방음벽용 프레임
KR101163383B1 (ko) 조립식 방음벽
CA2741229A1 (en) Sealant joint backer support
CN201794191U (zh) 装配式保温建筑外墙
WO2012087096A1 (es) Sistema modular de paneles y elementos estructurales termoplásticos para construcciones prefabricadas
KR101784471B1 (ko) 반사 소음 억제형 조립식 방음벽
US20040107652A1 (en) Reinforced foam building components and structures made therefrom
AU2022201591A1 (en) Improved panel and post systems
US20140013686A1 (en) Panel member
EP0618989A1 (en) PANEL STRUCTURE AND PANEL FOR THEIR DESIGN.
KR20170004414A (ko) 단열성이 향상된 복합형 마감판넬
KR200440362Y1 (ko) 방음판넬
KR100210644B1 (ko) 방진방음벽
CN220353279U (zh) 一种防水保温装饰一体板系统
KR102073602B1 (ko) 단열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킨 커튼월
KR101990548B1 (ko) 벽면보강 조립식 기둥
KR101466859B1 (ko) 대블럭 방음판
KR101861063B1 (ko) 황토 판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황토 판넬
KR20100026686A (ko) 방음벽 구조
KR100938811B1 (ko) 투명 방음벽용 투명 방음패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