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636Y1 - 탄성분할식의 전선보호몰드 - Google Patents

탄성분할식의 전선보호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636Y1
KR200188636Y1 KR2020000004542U KR20000004542U KR200188636Y1 KR 200188636 Y1 KR200188636 Y1 KR 200188636Y1 KR 2020000004542 U KR2020000004542 U KR 2020000004542U KR 20000004542 U KR20000004542 U KR 20000004542U KR 200188636 Y1 KR200188636 Y1 KR 200188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old
adhesive layer
present
rep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영신화학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신화학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신화학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4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6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6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Landscapes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할식의 탄성캡을 이용한 전선보호몰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선, 통신선등을 보호하는 몰드는 경질의 합성수지 혹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를 이용하여 캡과 보디를 구성하여 내부의 공간부에 전선이나 통신선을 내장하는 구조이다. 이상의 구조를 갖는 보호몰드는 캡이 경질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내부의 선일부를 교체 혹은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캡전부를 개방후 작업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상면의 캡을 중앙에서 분할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탄성의 재질을 사용하여 일단 고정이 된 몰드라 하여도 캡의 일부만을 분할하여 내부의 선로를 교체, 수정가능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탄성분할식의 전선보호몰드{Mold cabie elastic}
본 고안은 탄성을 갖는 동시에 2분할 가능한 구조의 전선보호몰드에 관한 것이다. 전선이나 통신선을 내장하는 몰드는 캡과 보디부로 구성되어져 내부의 공간부에 이들 선로가 배치토록하여 충격, 습기, 온도등의 여러 가지 환경요인으로부터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관을 깨끗하게 정리하여주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일반적인 보호몰드는 상부에 덮개역활을 하는 캡부가 알루미늄이나 경질 합성수지로 구성되어져 외부로부터의 여러 가지 충격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야간의 탄성을 주기위하여 합성수지재의 경우 가소제를 소량가하여 약간의 탄성을 주므로서 충격완충기능을 발휘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일단 보디부가 벽체 혹은 저면에 고정흡착된 다음 캡을 씌우게 되면 사용중 교체가 필요하거나 수리보완하고자 하면 캡 전체를 개방하여야 모든 작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새로이 설치하는 경우에도 그다지 큰 충격이나 보호기능이 요하지 않는 환경에도 반드시 경질의 캡을 사용하면 캡과 보디가 분리되어있어 작업성이 좋지않은 것이다. 특히 부분적인 선로의 보충이나 교체와 같은 작업시에 캡을 전부개방하게되면 작업시간의 지연은 물론 선로가 자체 탄성으로 외부로 벗어나는 경향이 있어 약간의 숙련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일반인이 쉽게 작업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탄성의 재질로 캡을 제조하고 보디부와 캡을 일체로 성형한 다음 캡의 상부중앙을 분할하여 개방성을 부여하므로서 목적한 부위에 몰드를 부착한 다음 상부의 분할선을 개방하여 주면 각종 선로를 내장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캡과 보디의 분리로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동시에 초기작업성의 개선을 물론 설치후에 교체수리등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측단면도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디부 2 : 접착층 3 : 하면 4,5 : 좌우캡부 6 : 중공부
본 고안은 하면에 접착층을 구성한 보디부와 이 보디부의 양측단에 상향형성된 탄성재질의 좌.우캡부로 구성되어지면서 내부에 공간부를 구성한 구조이다. 특히 좌.우캡부는 길이를 서로 달리하면서 서로 겹치도록 하였다.
이하 본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1에 도시하듯이 접착층(2)을 하면(3)에 구성한 보디부(1)와, 이 보디부의 양측단에서 상측으로 형성되는 탄성의 좌.우캡부(4)(5)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캡부는 수직부(4b)(5b)에서 선단부(4a)(5a)로 가기전에 좌우에 굴곡부(4c)(5c)를 90도이하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여 주고 양측의 선단부(4a)(5b)중 어느 하나가 다른 캡부의 하측으로 겹치어지도록 양자간의 길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주므로서 내부에 공간부(6)를 형성하여 주었다.
본고안의 좌.우캡부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원료로 사용하여 압출성형하는 경우 가소제의 함량을 50내지 70%로 하여 압출하므로서 탄성을 갖도록 하였다. 폴리비닐계가 아닌 경우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자체적인 탄성을 갖는 것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와 천연고무 혹은 합성고무를 배합하여 압출성형하는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좌.우캡부는 보디부의 압출시 동시에 압출하여 성형한다. 특히 보디부(1)의 좌우측단부에 좌.우측캡부(4)(5)의 하측단이 압출시 직접 접하도록 하여 양자간에 융착이 발생토록 한 다음 다이스를 배출하는 동시에 즉시 냉각시켜주어 형을 고정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으로는 보디부(1)의 저면부(1a)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고정공(1c)를 설치하여 주는 것이다. 일반적인 양면접착제로서 대개의 경우 몰드가 고정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으나 요철이 심하거나 표면이 심하게 오염된 장소 혹은 수성페인트등이 도색된 곳등은 기계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앵커볼트, 일반적인 탭볼트등에 의하여 강한 고정이 되도록 하였다.
이상의 구조적인 특징에 따른 본 고안의 몰드는 접착층(2)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보디부를 고정한 다음 캡부(4)(5)의 선단부(4a)(5a)를 개방하여 중공부(6)에 필요로 하는 전선이나 각종 신호선을 내장하여 준 다음 캡부를 그대로 방치하면 캡의 자체적인 원상복구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회복된다. 설치가 완료된 다음에도 전선이나 신호선을 교체 혹은 재설치하고자 하면 캡부의 선단부만을 수동으로 도시하듯이 개방하여 작업할 수 있어 여러 가지 재설치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하였다.
본 고안은 종래에 캡과 보디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 간단한 전선교체나 신호선교체의 경우 선단부만을 수동으로 벌려준 다음 여러 가지 작업을 진행한 다음 그대로 방치하면 자체적인 캡부의 원상복귀 탄력에 의하여 제자리로 복구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캡전체를 완전 개방하여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특히 전문적인 작업자가 필요없이 주부 노약자도 간단히 작업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기존의 신호선등에 문제가 있는 지여부를 캡부의 선단부만 개방하면 부분부분 육안관찰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신속하고 원활한 보수작업이 가능하게 되었다.

Claims (2)

  1. 접착층을 하부에 구성한 평면구조의 보디부의 상부에 캡부를 조립하도록 하여 내부의 공간부에 각종 신호선이나 전선을 내장가능하도록 구성한 전선보호몰드에 있어서, 접착층(2)을 하면(3)에 구성한 보디부(1)의 양측단에서 상측으로 탄성의 좌.우캡부(4)(5)를 일체로 성형하여 주되, 수직부(4b)(5b)에서 선단부(4a)(5a)로 가기전에 좌우에 굴곡부(4c)(5c)를 90도이하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여 주고 양측의 선단부(4a)(5b)중 어느 하나가 다른 캡부의 하측으로 겹치어지도록 양자간의 길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주어 공간부(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몰드.
  2. 접착층을 하부에 구성한 평면구조의 보디부의 상부에 캡부를 조립하도록 하여 내부의 공간부에 각종 신호선이나 전선을 내장가능하도록 구성한 전선보호몰드에 있어서, 접착층(2)을 하면(3)에 구성한 보디부(1)의 양측단에서 상측으로 탄성의 좌.우캡부(4)(5)를 일체로 성형하여 주되, 수직부(4b)(5b)에서 선단부(4a)(5a)로 가기전에 좌우에 굴곡부(4c)(5c)를 90도이하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여 주고 양측의 선단부(4a)(5b)중 어느 하나가 다른 캡부의 하측으로 겹치어지도록 양자간의 길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주어 공간부(6)를 형성하고, 저면 보디부(1)의 저면부(1a)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고정공(1c)를 설치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몰드.
KR2020000004542U 2000-02-18 2000-02-18 탄성분할식의 전선보호몰드 KR200188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542U KR200188636Y1 (ko) 2000-02-18 2000-02-18 탄성분할식의 전선보호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542U KR200188636Y1 (ko) 2000-02-18 2000-02-18 탄성분할식의 전선보호몰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636Y1 true KR200188636Y1 (ko) 2000-07-15

Family

ID=1964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542U KR200188636Y1 (ko) 2000-02-18 2000-02-18 탄성분할식의 전선보호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6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73Y1 (ko) 2011-09-21 2012-05-21 (주)유피스 전선클립
KR102021581B1 (ko) 2019-01-09 2019-09-16 송영우 배선용 몰딩
KR20210075554A (ko) * 2019-12-13 2021-06-23 김성준 케이블 몰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73Y1 (ko) 2011-09-21 2012-05-21 (주)유피스 전선클립
KR102021581B1 (ko) 2019-01-09 2019-09-16 송영우 배선용 몰딩
KR20210075554A (ko) * 2019-12-13 2021-06-23 김성준 케이블 몰드
KR102365985B1 (ko) 2019-12-13 2022-02-23 김성준 케이블 몰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50112214D1 (de) Fahrzeug mit einem öffnenden Fahrzeugdach
DE69943250D1 (de) Fahrzeugherstellung
DE50200010D1 (de) Cabriolet-Fahrzeug mit einem Windschott
AU3523299A (en) Stabilizer combination for halogen-containing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SE535410C2 (sv) Böjbar vajerstolpe
KR200188636Y1 (ko) 탄성분할식의 전선보호몰드
DE69827302D1 (de) Stossfeste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
DE69927729D1 (de) Segmentiertes Reifenformwerkzeug
DE69933096D1 (de) Vulkanisierbare Gummizusammensetzung mit einem Epoxid-Weichmacher
DE59910232D1 (de) Kraftfahrzeug mit einem verfahrbaren Verdeck
JP5071731B2 (ja) 構造物の表面改良工法,構造物用表面改良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60009526D1 (de) Kraftfahrzeug mit mehreren aufprallschutzvorrichtungen
DE59909204D1 (de) Hochschlagzäh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FR2849084B1 (fr) Serrure electrique munie d'un embrayage
DE60004616D1 (de) Schlagzähmodifizierharz für vinylchloridharze mit verbesserten pulvercharakteristika
WO2000015077A3 (en) Toothbrush head with an elastomeric bumper
CN206585291U (zh) 可拉长的防尘接线暗盒
JP2007231651A (ja) 道路標識柱用の再生カバー
FR2817876B1 (fr) Installation de production d'une bande metallique avec revetement de protection
EP1233109A3 (de) Hohlkörper-Bauelement insbesondere für den Hochwasserschutz und Bauplatte zu seiner Herstellung
DE59704684D1 (de) Schlagzäh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DE69915480D1 (de) Lackierbare thermoplastische Elastomerzusammensetzungen, die in der Form gefärbt werden können und leitfähig modifiziert sind
DE50007354D1 (de) Fahrzeugvorderbau mit einem Wasserkasten
KR200169453Y1 (ko) 전선 배관용 덕트
JP2001003323A (ja) 保護カバー及び道路用標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