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841B1 - 배수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기능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배수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기능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841B1
KR101679841B1 KR1020160067007A KR20160067007A KR101679841B1 KR 101679841 B1 KR101679841 B1 KR 101679841B1 KR 1020160067007 A KR1020160067007 A KR 1020160067007A KR 20160067007 A KR20160067007 A KR 20160067007A KR 101679841 B1 KR101679841 B1 KR 101679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frame
insertion space
plat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배
우영태
Original Assignee
유상배
우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배, 우영태 filed Critical 유상배
Priority to KR1020160067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볼트삽입부 및 삽입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에 매립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공간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며, 유입된 자갈 또는 빗물을 배수시키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배수판; 및 일단이 상기 슬래브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에 용접되고, 타단이 상기 볼트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를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축성이 우수하여 교량의 변위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모래, 자갈, 빗물 등을 내부 구조물로 유입시키지 않고 외부로 쉽게 배수하여 내부 구조물의 부식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판은 경도, 내구성, 내오존성, 내부식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배수판을 프레임 측면에서 슬라이드 삽입함으로써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프레임과 배수판의 체결이 확고하여 외부환경의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기능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A expansion joint for easy maintenance and improved performance of drain board}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축성이 우수하여 교량의 변위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모래, 자갈, 빗물 등을 내부 구조물로 유입시키지 않고 외부로 쉽게 배수할 수 있고, 경도, 내구성, 내오존성, 내부식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다수의 교각과 교각의 상부에 양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다수의 상판들로 구성되며, 온도변화에 따라 상판이 변형되는 변위를 흡수하고, 차량의 이동에 따라 상판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는 변화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판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 이격된 틈새에는 상판의 변위를 수용하면서 상판과 상판을 연결해 주는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신축이음장치는 교량 상판의 수축 및 팽창에 따른 변위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지만, 빗물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에는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구조물에서 누수가 발생하여 이를 교체하거나 유지 보수하는데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고 있다.
신축이음장치의 누수 방지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632961호는 상판(30)의 상부 모서리에 고착되고 상판(30)의 폭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도록 "ㄱ"형으로 성형된 앵글(10)의 상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볼트체결구멍(13)이 형성되고 돌기(12)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쐐기(11)가 구성되고, 측면에는 물받이끼움홈(14)이 형성된 앵글(10)이 구성되며, 앵글(10)의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고, 물을 받을 수 있도록 "V"형으로 성형된 물받이(25)는 신축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구성되고, 앵글(10)의 물받이끼움홈(14)에 억지끼워져 고정 되도록 형성된 물받이끼움구(26)가 양끝단에 형성된 물받이(25)가 구성되며, 한쌍의 상판(30)을 덮는 덮개(20)는 그 하부에 앵글(10)의 돌기(12)가 끼워지는 돌기끼움홈(22)과, 돌기(12)가 삽입된 후 유동 가능한 돌기유동홈(22)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볼트(17)가 끼워져 관통되는 볼트관통구멍(18)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덮개(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량의 신축이음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707484호는 교량의 상부 슬래브(8)와 슬래브(8) 사이(유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슬래브(8) 측면에 고정홈(11)을 구비한 한 쌍의 고정받침대(10)가 매립되고, 상기 각각의 고정홈(11)에는 고정대(20)가 끼워지면서 고정되며, 상기 각각의 고정대(20)에는 신축부재(22)의 양단이 결합되므로서 상기 신축부재(22)가 슬래브(8)와 슬래브(8) 사이의 유간에서 U자형으로 설치되어 누수가 방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용 신축이음 누수방지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0938114호는 본선 궤도부 또는 보도부의 슬래브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대부재(50); 상기 고정대부재(50)의 일측 상하단에는 물받이부재의 상단 양 날개인 절곡부(63)가 끼워져 조립되게 형성된 상단날개부(51)와 하단날개부(52); 상기 고정대부재(50)의 타측에는 슬래브에 매몰 설치되어 고정대부재를 긴밀히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용볼트(55);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대부재(50)의 사이에 조립 설치되며, 상판의 변위를 수용하면서도 자갈 또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물받이부재(60);가 구비되는 교량용 물받이 겸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부재(50)의 일측 상하단에는 체결공에 체결구를 체결하여 고정대부재가 슬래브에서 긴밀히 고정 설치되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트(56)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물받이 겸용 신축이음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기술은 신축이음장치의 설치, 교체, 유지보수 등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신축부재의 재질이 고무나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어 햇빛이나 강수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쉽게 노후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며 보수, 교체작업이 자주 발생하게 되어 유지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632961B1 한국등록특허공보 10-0707484B1 한국등록특허공보 10-0938114B1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축성이 우수하여 교량의 변위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모래, 자갈, 빗물 등을 내부 구조물로 유입시키지 않고 외부로 쉽게 배수할 수 있는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도, 내구성, 내오존성, 내부식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배수판을 프레임 측면에서 슬라이드 삽입함으로써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의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볼트삽입부 및 삽입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에 매립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공간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며, 유입된 자갈 또는 빗물을 배수시키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배수판; 및 일단이 상기 슬래브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에 용접되고, 타단이 상기 볼트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를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신축이음장치는 내부에 볼트삽입부(28)가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21), 상기 프레임 본체(21)의 상부로 돌출되어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상판(23), 상기 프레임 본체(21)의 하부로 돌출되어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하판(24), 상기 프레임 하판(24)의 내부에 형성되어 배수판(30)이 슬라이드 삽입되는 삽입공간(22), 상기 삽입공간(22)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22)으로 삽입되는 배수판(30)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26), 상기 삽입공간(2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22)으로 삽입되는 배수판(30)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27) 및 상기 하부 지지부(27)의 끝단에 형성되어 배수판(30)을 지지하는 받침부(25)를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에 매립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20); 배수판 본체(31)의 양측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32) 및 상기 연결부(32)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22)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지지부(33)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된 자갈 또는 빗물을 배수시키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배수판(30); 및 일단이 상기 슬래브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에 용접되고, 타단이 상기 볼트삽입부(28)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20)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신축이음장치는 내부에 볼트삽입부(58)가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51), 상기 프레임 본체(51)의 상부로 돌출되어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상판(53), 상기 프레임 본체(51)의 하부로 돌출되어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하판(54), 상기 프레임 하판(54)의 내부에 형성되어 배수판(60)이 슬라이드 삽입되는 삽입공간(52), 상기 삽입공간(52)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52)으로 삽입되는 배수판(60)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56) 및 상기 측면 지지부(56)의 끝단에 형성되어 배수판(60)을 지지하는 받침부(55)를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에 매립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50); 배수판 본체(61)의 양측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62) 및 상기 연결부(62)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52)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지지부(63)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50)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된 자갈 또는 빗물을 배수시키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배수판(60); 및 일단이 상기 슬래브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에 용접되고, 타단이 상기 볼트삽입부(58)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50)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신축이음장치는 내부에 볼트삽입부(88)가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81), 상기 프레임 본체(81)의 상부로 돌출되어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상판(83), 상기 프레임 본체(81)의 하부로 돌출되어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하판(84), 상기 프레임 하판(84)의 내부에 형성되어 끼움부(100) 및 배수판(90)이 슬라이드 삽입되는 삽입공간(82), 상기 삽입공간(82)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82)으로 삽입되는 끼움부(100)를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86) 및 상기 측면 지지부(86)의 끝단에 형성되어 배수판(90)을 지지하는 받침부(85)를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에 매립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80); 상기 삽입공간(82)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끼움부(100); 배수판 본체(91)의 양측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92) 및 상기 연결부(92)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100) 내부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지지부(93)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80)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된 자갈 또는 빗물을 배수시키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배수판(90); 및 일단이 상기 슬래브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에 용접되고, 타단이 상기 볼트삽입부(88)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80)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재질은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고무, 유리섬유, 윤활제, 몰리브덴 디설파이드, 자외선 흡수제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고무 50~300중량부, 유리섬유 1~10중량부, 윤활제 1~10중량부, 몰리브덴 디설파이드 1~10중량부, 자외선 흡수제 1~10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내부에 진공상태의 중공을 포함하는 구 형상의 세라믹 분말 1~1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구 형상의 세라믹 분말은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축성이 우수하여 교량의 변위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모래, 자갈, 빗물 등을 내부 구조물로 유입시키지 않고 외부로 쉽게 배수하여 내부 구조물의 부식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판은 경도, 내구성, 내오존성, 내부식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배수판을 프레임 측면에서 슬라이드 삽입함으로써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프레임과 배수판의 체결이 확고하여 외부환경의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의 프레임 및 배수판
도 3은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의 배수판
도 5는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의 프레임, 끼움부 및 배수판
이하 도면 및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도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 볼트삽입부 및 삽입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에 매립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공간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며, 유입된 자갈 또는 빗물을 배수시키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배수판; 및 일단이 상기 슬래브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에 용접되고, 타단이 상기 볼트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장치는 내부에 볼트삽입부(28)가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21), 상기 프레임 본체(21)의 상부로 돌출되어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상판(23), 상기 프레임 본체(21)의 하부로 돌출되어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하판(24), 상기 프레임 하판(24)의 내부에 형성되어 배수판(30)이 슬라이드 삽입되는 삽입공간(22), 상기 삽입공간(22)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22)으로 삽입되는 배수판(30)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26), 상기 삽입공간(2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22)으로 삽입되는 배수판(30)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27) 및 상기 하부 지지부(27)의 끝단에 형성되어 배수판(30)을 지지하는 받침부(25)를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에 매립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20); 배수판 본체(31)의 양측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32) 및 상기 연결부(32)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22)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지지부(33)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된 자갈 또는 빗물을 배수시키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배수판(30); 및 일단이 상기 슬래브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에 용접되고, 타단이 상기 볼트삽입부(28)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20)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1 및 2).
상기 프레임(20)은 중간 부분에 프레임 본체(21)를 포함하고, 프레임 본체(21)의 내부에 볼트삽입부(28)가 형성되며, 상기 볼트삽입부(28)에 삽입되는 볼트(10)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 본체(21)는 슬래브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 본체(21)의 상부에는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상판(23)이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프레임 본체(21)의 하부에는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하판(24)이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프레임 하판(24)의 끝단은 내부로 굴절되게 형성함으로써 삽입공간(22)으로 자갈 또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내부 구조물이 부식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하판(24)의 내부에는 삽입공간(2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22)에는 배수판(30)의 지지부(33)가 슬라이드 삽입되어 프레임(20)과 배수판(30)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공간(22)의 상하부에는 상기 삽입공간(22)으로 삽입되는 배수판(30)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26) 및 하부 지지부(27)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지지부(26) 및 하부 지지부(27)는 내면에 하나 이상의 오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 홈에는 배수판(30)의 지지부(33)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슬라이드 삽입되어 체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온도변화에 따라 슬래브가 변형되고, 차량의 이동에 따라 슬래브 사이의 간격이 변하더라도 상기 오목 홈과 돌출부의 안정적인 체결에 의하여 신축이음장치는 장기간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목 홈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부(27)의 끝단에는 받침부(25)가 형성되어 배수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장기간 사용 시에도 배수판의 손상이나 이탈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볼트(10)의 일단은 슬래브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에 용접되고, 타단은 상기 볼트삽입부(28)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20)을 슬래브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프레임(20)은 마주보는 슬래브의 양 측면에 대칭되게 매립 설치된다.
배수판(30)은 중간 부분에 배수판 본체(31)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판 본체(31)의 양측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2)의 끝단에는 삽입공간(22)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지지부(3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3)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부 지지부(26) 및 하부 지지부(27)의 오목 홈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프레임(20)과 배수판(30)의 체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는 오목 홈과의 안정적인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삽입공간(22)으로 자갈 또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내부 구조물이 부식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삼각형, 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판(30)은 한 쌍의 프레임(20)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부로부터 유입된 자갈 또는 빗물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장치는 내부에 볼트삽입부(58)가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51), 상기 프레임 본체(51)의 상부로 돌출되어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상판(53), 상기 프레임 본체(51)의 하부로 돌출되어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하판(54), 상기 프레임 하판(54)의 내부에 형성되어 배수판(60)이 슬라이드 삽입되는 삽입공간(52), 상기 삽입공간(52)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52)으로 삽입되는 배수판(60)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56) 및 상기 측면 지지부(56)의 끝단에 형성되어 배수판(60)을 지지하는 받침부(55)를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에 매립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50); 배수판 본체(61)의 양측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62) 및 상기 연결부(62)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52)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지지부(63)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50)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된 자갈 또는 빗물을 배수시키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배수판(60); 및 일단이 상기 슬래브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에 용접되고, 타단이 상기 볼트삽입부(58)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50)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3 및 4).
상기 프레임(50)은 중간 부분에 프레임 본체(51)를 포함하고, 프레임 본체(51)의 내부에 볼트삽입부(58)가 형성되며, 상기 볼트삽입부(58)에 삽입되는 볼트(40)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 본체(51)는 슬래브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 본체(51)의 상부에는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상판(53)이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프레임 본체(51)의 하부에는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하판(54)이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프레임 하판(54)의 끝단은 내부로 굴절되게 형성함으로써 삽입공간(52)으로 자갈 또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내부 구조물이 부식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하판(54)의 내부에는 삽입공간(5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52)에는 배수판(60)의 지지부(63)가 슬라이드 삽입되어 프레임(50)과 배수판(60)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공간(52)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공간(52)으로 삽입되는 배수판(60)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56)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 지지부(56)는 내면에 하나 이상의 오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 홈에는 배수판(60)의 지지부(63)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슬라이드 삽입되어 체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온도변화에 따라 슬래브가 변형되고, 차량의 이동에 따라 슬래브 사이의 간격이 변하더라도 상기 오목 홈과 돌출부의 안정적인 체결에 의하여 신축이음장치는 장기간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목 홈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지지부(56)의 끝단에는 받침부(55)가 형성되어 배수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장기간 사용 시에도 배수판의 손상이나 이탈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볼트(40)의 일단은 슬래브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에 용접되고, 타단은 상기 볼트삽입부(58)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50)을 슬래브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프레임(50)은 마주보는 슬래브의 양 측면에 대칭되게 매립 설치된다.
배수판(60)은 중간 부분에 배수판 본체(61)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판 본체(61)의 양측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62)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62)의 끝단에는 삽입공간(52)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지지부(6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63)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측면 지지부(56)의 오목 홈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프레임(50)과 배수판(60)의 체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는 오목 홈과의 안정적인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삽입공간(52)으로 자갈 또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내부 구조물이 부식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삼각형, 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판(60)은 한 쌍의 프레임(50)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부로부터 유입된 자갈 또는 빗물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장치는 내부에 볼트삽입부(88)가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81), 상기 프레임 본체(81)의 상부로 돌출되어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상판(83), 상기 프레임 본체(81)의 하부로 돌출되어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하판(84), 상기 프레임 하판(84)의 내부에 형성되어 끼움부(100) 및 배수판(90)이 슬라이드 삽입되는 삽입공간(82), 상기 삽입공간(82)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82)으로 삽입되는 끼움부(100)를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86) 및 상기 측면 지지부(86)의 끝단에 형성되어 배수판(90)을 지지하는 받침부(85)를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에 매립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80); 상기 삽입공간(82)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끼움부(100); 배수판 본체(91)의 양측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92) 및 상기 연결부(92)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100) 내부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지지부(93)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80)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된 자갈 또는 빗물을 배수시키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배수판(90); 및 일단이 상기 슬래브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에 용접되고, 타단이 상기 볼트삽입부(88)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80)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5 및 6).
상기 프레임(80)은 중간 부분에 프레임 본체(81)를 포함하고, 프레임 본체(81)의 내부에 볼트삽입부(88)가 형성되며, 상기 볼트삽입부(88)에 삽입되는 볼트(70)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 본체(81)는 슬래브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 본체(81)의 상부에는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상판(83)이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프레임 본체(81)의 하부에는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하판(84)이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프레임 하판(84)의 끝단은 내부로 굴절되게 형성함으로써 삽입공간(82)으로 자갈 또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내부 구조물이 부식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하판(84)의 내부에는 삽입공간(8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82)에는 끼움부(100) 및 배수판(90)의 지지부(93)가 슬라이드 삽입되어 프레임(80)과 배수판(90)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공간(82)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공간(82)으로 삽입되는 끼움부(100)를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86)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 지지부(86)는 내면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끼움부(10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오목부가 슬라이드 삽입되어 체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온도변화에 따라 슬래브가 변형되고, 차량의 이동에 따라 슬래브 사이의 간격이 변하더라도 상기 돌출부와 오목부의 안정적인 체결에 의하여 신축이음장치는 장기간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오목부와의 안정적인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삽입공간(82)으로 자갈 또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내부 구조물이 부식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지지부(86)의 끝단에는 받침부(85)가 형성되어 배수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장기간 사용 시에도 배수판의 손상이나 이탈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볼트(70)의 일단은 슬래브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에 용접되고, 타단은 상기 볼트삽입부(88)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80)을 슬래브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프레임(80)은 마주보는 슬래브의 양 측면에 대칭되게 매립 설치된다.
상기 끼움부(100)는 상기 삽입공간(82)에 슬라이드 삽입되고, 상기 끼움부(100)의 내부에 배수판(90)이 슬라이드 삽입됨으로써 프레임(80)과 배수판(90)의 체결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배수판(90)은 중간 부분에 배수판 본체(91)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판 본체(91)의 양측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92)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92)의 끝단에는 상기 끼움부(100)의 내부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지지부(9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93)의 형상은 상기 끼움부(100)의 내부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배수판(90)은 한 쌍의 프레임(80)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부로부터 유입된 자갈 또는 빗물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배수판은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배수판은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고무, 유리섬유, 윤활제, 몰리브덴 디설파이드, 자외선 흡수제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고무 50~300중량부, 유리섬유 1~10중량부, 윤활제 1~10중량부, 몰리브덴 디설파이드 1~10중량부, 자외선 흡수제 1~10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1~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판의 재질을 고무나 연질의 재료로 하는 경우, 햇빛이나 강수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쉽게 노후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며 보수, 교체작업이 자주 발생하게 되어 유지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배수판의 재료를 폴리우레탄 재질로 하여 경도, 내구성, 내오존성, 내부식성, 내마모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신축이음장치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의 중합반응으로부터 제조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1,3- 또는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 또는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 또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4,4',4"-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다.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헥사메틸렌-1,6-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톡시부탄 1,4-디이소시아네이트, 부탄 1,4-디이소시아네이트, 1,6-디이소시아나토-2,2,4-트리메틸헥산, 1,6-디이소시아나토-2,4,4-트리메틸헥산 등이 있다.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노르보르난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사이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다.
폴리올로는 에틸렌글리콜, 1,2- 및 1,3-프로판디올, 1,3- 및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8-옥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4-비스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 2-메틸-1,3-프로판디올, 2,2,4-트라이메틸펜탄-1,3-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틸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비스페놀 A,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1,2,6-헥산트리올, 1,2,4-부탄트리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퀴니톨, 만니톨, 소르비톨,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등이 있다.
상기 열가소성 고무는 탄성, 내후성 및 내오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스티렌계 열가소성 고무, 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무, 우레탄계 열가소성 고무, 아미드계 열가소성 고무, 에스테르계 열가소성 고무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를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천연고무, SBR(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등의 고무와 동적 가교하거나 혼합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고무는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50~300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가소성 고무의 함량이 50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3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배수판의 강도 및 내열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유리섬유는 강도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섬유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배수판의 계면 특성, 강도 및 내열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윤활제는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동식물유, 합성유, 그리스, 그래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윤활제의 함량은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된 배수판의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몰리브덴 디설파이드는 자기 윤활 특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된 배수판의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배수판의 열화 및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의 벤조트리아졸계, 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등의 힌더드아민계 등이 있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은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배수판의 강도 및 내열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실란 커플링제는 유기 화합물과 결합할 수 있는 유기 관능기 및 무기물과 반응할 수 있는 가수분해기를 가지며, 폴리우레탄, 유리섬유, 윤활제, 몰리브덴 디설파이드 및 자외선 흡수제의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켜 배수판의 경도, 내구성, 내오존성, 내부식성, 내마모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알킬 실란, 아미노 실란, 에폭시 실란, 아크릴 실란, 메르캅토 실란, 불소 실란, 비닐 실란, 클로로 실란, 실라잔 등이 사용된다.
특히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은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마모성, 내열성, 강도 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과다한 실란 커플링제의 사용으로 오히려 계면 접착 특성 및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조성물은 내부에 진공상태의 중공을 포함하는 구 형상의 세라믹 분말 1~1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 형상의 세라믹 분말은 내부에 진공상태의 중공을 포함하며, 분말의 직경은 1~500μm이고 주성분은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이다.
상기 구 형상의 세라믹 분말은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부식성, 방음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가공성, 접착성 및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구 형상의 세라믹 분말은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구 형상의 세라믹 분말을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함으로써 분말과 다른 성분 간의 계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표면에 존재하는 실란 커플링제로 인해 내마모성이 향상된다.
특히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를 동시에 사용하여 표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의 표면에 코팅되는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은 분말 100중량부 대비 1~10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력 및 내마모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과다한 실란 커플링제의 사용으로 오히려 계면 접착 특성 및 강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포제, 증점제, 촉매, 희석제, 분산제, 레벨링제, 가소제, 가교제, pH 조절제, 난연제, 안료, 습윤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이형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이음장치는 배수판 상면에 불소 수지, 아크릴 에멀젼, 몰리브덴 디설파이드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배수판의 경도, 내구성, 내오존성, 내부식성, 내마모성 등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불소 수지는 코팅층의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아크릴 에멀젼은 접착성 및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지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 공중합체 등이 있다.
아크릴 에멀젼의 함량은 불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2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성 및 탄성이 충분히 발현될 수 없고,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몰리브덴 디설파이드는 불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불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나 이상의 볼트는 일단이 슬래브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에 용접되고 타단은 상기 볼트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볼트의 머리는 볼트삽입부에 슬라이드 삽입되며, 삽입된 볼트는 볼트삽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적당한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볼트삽입부에 삽입된 다수의 볼트를 슬래브의 철근에 용접하여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의 양 측면에 프레임이 매설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상부와 하부로 돌출 형성된 프레임 상판과 프레임 하판이 슬래브의 양 측면에 수직선상이 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은 마주보는 슬래브의 양 측면에 대칭되게 매립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이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의 양 측면에 매립된 후, 슬래브의 측면에서 배수판의 지지부를 프레임의 삽입공간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함으로써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배수판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배수판의 연결부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는 자갈 또는 빗물이 삽입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배수판 본체로 유입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내부 구조물이 부식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로 유입된 자갈 등의 토사는 배수판 본체의 내측에 적층되고, 빗물은 배수판 본체의 전후 끝 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슬래브의 내부로 자갈 또는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에 설치된 배수판을 청소하거나 교체하는 경우에는 슬래브의 측면에서 배수판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프레임으로부터 배수판을 쉽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우레탄 100중량부, 폴리에틸렌 70중량%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30중량%를 블렌드한 열가소성 고무 100중량부, 유리섬유 5중량부, 파라핀 오일 5중량부, 몰리브덴 디설파이드 5중량부,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3중량부 및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5중량부를 혼합한 후 압출 가공하여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내부에 진공상태의 중공을 포함하는 구 형상의 세라믹 분말 5중량부를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몰리브덴 디설파이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인장강도, 신율, 경도, 내열성, 마찰계수 및 내산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 및 신율은 ASTM D 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내열성은 100℃로 유지되는 열풍 순환식 가열로에서 상기 조성물을 3시간 가열한 후 조성물의 황변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쇼어 A 경도는 ASTM D 2240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마찰계수는 roller-and-disk 시험기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수직하중과 회전시에 발생하는 접선 마찰력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내산성은 상기 조성물을 10중량%의 황산에 실온에서 5일간 침지한 후, 조성물의 상태를 관찰하여 판단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인장강도
(kg/cm2)
200 220 160 170
신율(%) 402 393 388 392
쇼어 A 경도 70 70 60 60
내열성 양호 양호 불량 불량
마찰계수 0.5 0.4 0.8 0.7
내산성 양호 양호 불량 불량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및 2의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인장강도, 신율, 경도, 내열성, 내마모성 및 내산성이 우수하여 배수판의 재료로 사용되는 경우 강도, 경도, 내구성, 내오존성, 내부식성, 내마모성 등의 특성이 향상되므로 신축이음장치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및 2의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상기 특성이 실시예에 비하여 열등하여 배수판의 재료로 사용되기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10, 40, 70: 볼트 21, 51, 81: 프레임 본체
22, 52, 82: 삽입공간 23, 53, 83: 프레임 상판
24, 54, 84: 프레임 하판 25, 55, 85: 받침부
26: 상부 지지부 27: 하부 지지부
56, 86: 측면 지지부 28, 58, 88: 볼트삽입부
29, 89: 개구부 30, 60, 90: 배수판
31, 61, 91: 배수판 본체 32, 62, 92: 연결부
33, 63, 93: 지지부 100: 끼움부

Claims (7)

  1. 교량의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볼트삽입부 및 삽입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에 매립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공간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며, 유입된 자갈 또는 빗물을 배수시키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배수판; 및
    일단이 상기 슬래브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에 용접되고, 타단이 상기 볼트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우레탄 재질은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고무, 유리섬유, 윤활제, 몰리브덴 디설파이드, 자외선 흡수제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볼트삽입부(28)가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21),
    상기 프레임 본체(21)의 상부로 돌출되어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상판(23),
    상기 프레임 본체(21)의 하부로 돌출되어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하판(24),
    상기 프레임 하판(24)의 내부에 형성되어 배수판(30)이 슬라이드 삽입되는 삽입공간(22),
    상기 삽입공간(22)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22)으로 삽입되는 배수판(30)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26),
    상기 삽입공간(2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22)으로 삽입되는 배수판(30)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27) 및
    상기 하부 지지부(27)의 끝단에 형성되어 배수판(30)을 지지하는 받침부(25)를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에 매립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20);
    배수판 본체(31)의 양측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32) 및
    상기 연결부(32)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22)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지지부(33)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된 자갈 또는 빗물을 배수시키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배수판(30); 및
    일단이 상기 슬래브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에 용접되고, 타단이 상기 볼트삽입부(28)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20)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볼트삽입부(58)가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51),
    상기 프레임 본체(51)의 상부로 돌출되어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상판(53),
    상기 프레임 본체(51)의 하부로 돌출되어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하판(54),
    상기 프레임 하판(54)의 내부에 형성되어 배수판(60)이 슬라이드 삽입되는 삽입공간(52),
    상기 삽입공간(52)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52)으로 삽입되는 배수판(60)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56) 및
    상기 측면 지지부(56)의 끝단에 형성되어 배수판(60)을 지지하는 받침부(55)를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에 매립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50);
    배수판 본체(61)의 양측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62) 및
    상기 연결부(62)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52)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지지부(63)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50)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된 자갈 또는 빗물을 배수시키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배수판(60); 및
    일단이 상기 슬래브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에 용접되고, 타단이 상기 볼트삽입부(58)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50)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볼트삽입부(88)가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81),
    상기 프레임 본체(81)의 상부로 돌출되어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상판(83),
    상기 프레임 본체(81)의 하부로 돌출되어 슬래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프레임 하판(84),
    상기 프레임 하판(84)의 내부에 형성되어 끼움부(100) 및 배수판(90)이 슬라이드 삽입되는 삽입공간(82),
    상기 삽입공간(82)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82)으로 삽입되는 끼움부(100)를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86) 및
    상기 측면 지지부(86)의 끝단에 형성되어 배수판(90)을 지지하는 받침부(85)를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에 매립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80);
    상기 삽입공간(82)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끼움부(100);
    배수판 본체(91)의 양측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92) 및
    상기 연결부(92)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100) 내부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지지부(93)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80)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된 자갈 또는 빗물을 배수시키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배수판(90); 및
    일단이 상기 슬래브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에 용접되고, 타단이 상기 볼트삽입부(88)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80)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고무 50~300중량부, 유리섬유 1~10중량부, 윤활제 1~10중량부, 몰리브덴 디설파이드 1~10중량부, 자외선 흡수제 1~10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내부에 진공상태의 중공을 포함하는 구 형상의 세라믹 분말 1~1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구 형상의 세라믹 분말은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KR1020160067007A 2016-05-31 2016-05-31 배수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기능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KR101679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007A KR101679841B1 (ko) 2016-05-31 2016-05-31 배수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기능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007A KR101679841B1 (ko) 2016-05-31 2016-05-31 배수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기능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841B1 true KR101679841B1 (ko) 2016-11-25

Family

ID=5768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007A KR101679841B1 (ko) 2016-05-31 2016-05-31 배수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기능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8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872A (ko) * 2016-12-14 2018-06-22 (주)대영산업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10112038A (ko) 2020-03-04 2021-09-14 주식회사 브리오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배수장치
KR102599181B1 (ko) * 2022-05-02 2023-11-06 박민규 내구성이 우수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99B1 (ko) * 2011-10-14 2012-06-22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교량용 누수방지장치
KR101266118B1 (ko) * 2012-08-22 2013-05-27 안태환 교량신축이음용 수밀형 배수장치
KR101352893B1 (ko) * 2013-03-25 2014-02-18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70953B1 (ko) * 2015-03-30 2015-11-27 고재용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99B1 (ko) * 2011-10-14 2012-06-22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교량용 누수방지장치
KR101266118B1 (ko) * 2012-08-22 2013-05-27 안태환 교량신축이음용 수밀형 배수장치
KR101352893B1 (ko) * 2013-03-25 2014-02-18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70953B1 (ko) * 2015-03-30 2015-11-27 고재용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872A (ko) * 2016-12-14 2018-06-22 (주)대영산업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10112038A (ko) 2020-03-04 2021-09-14 주식회사 브리오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배수장치
KR102378610B1 (ko) 2020-03-04 2022-03-24 주식회사 브리오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배수장치
KR102599181B1 (ko) * 2022-05-02 2023-11-06 박민규 내구성이 우수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589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679841B1 (ko) 배수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기능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JP2021004469A (ja) 止水構造
KR10180710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이음부 보수용 탄성 주입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이음부 보수방법
RU255855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крытия компенсационного зазора
KR100938923B1 (ko) 방수 도막용 우레탄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축물 보수용복합 방수 구조 및 복합 방수 공법
US20120094068A1 (en) Covering material for water- or weather-proofing
KR102443457B1 (ko) 건축물 내구성 강화를 위한 차열 폴리우레아 방수 공법
KR100676949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180081312A (ko) 단열성능과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복합방수공법
DE4114507C2 (de) Schalldämmende Überbrückung von Dehnungsfugen
KR100861479B1 (ko) 배수시트 교체시스템이 구비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이의 시공방법
KR101213715B1 (ko) 신축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신축 이음 장치
KR101365436B1 (ko)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101965224B1 (ko) 교면 방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 공법
KR102402710B1 (ko) 쿨루프형 복합방수구조 및 복합방수방법
KR102599181B1 (ko) 내구성이 우수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Biel et al. Performance study of portland cement concrete pavement joint sealants
CZ280276B6 (cs) Pružný izolační prvek pro upevnění kolejnic
KR20090089087A (ko) 교량용 핑거플레이트형 신축 이음장치
KR101901656B1 (ko) 탄성받침의 균열방지용 코팅 조성물
KR100552452B1 (ko) 옥상 노출형 절연 통기완충 시트와 에어벤트를 사용한옥상 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공법
CN113667292A (zh) 一种聚合物弹性复合材料及公路桥梁伸缩装置
KR100771901B1 (ko)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도록 홈이 형성된 바라스트 매트
KR101812539B1 (ko) 건축물용 방수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