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730B1 -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 Google Patents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730B1
KR100923730B1 KR1020070079921A KR20070079921A KR100923730B1 KR 100923730 B1 KR100923730 B1 KR 100923730B1 KR 1020070079921 A KR1020070079921 A KR 1020070079921A KR 20070079921 A KR20070079921 A KR 20070079921A KR 100923730 B1 KR100923730 B1 KR 100923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isually impaired
fixing pin
induction block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5529A (ko
Inventor
이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성리싸이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성리싸이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성리싸이클링
Priority to KR1020070079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730B1/ko
Publication of KR20090015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8Paving elements having direction indic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위치와 방향을 알 수 있도록 차도와 인도에 설치되는 유도블록에 있어서, 유도블록의 상판과 몸체를 견고히 고정하여 온도 차이로 인해 보도블록이 수축과 팽창이 발생하여도 상판이 들뜨지 않고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판의 재질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어 다양한 색상 및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질로 실시될 수 있는 유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는 상하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상하부 몸체를 구비하며, 상하부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어 미끄럼 방지수단과 시각장애인용 유도 돌기가 형성되는 상판을 구비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적어도 일단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도블록, 시각장애인, 결합부

Description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A Blind person walk block}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인도 또는 차도를 건널 시 지팡이에 걸림 되어 위치와 방향을 알 수 있도록 차도와 인도에 설치되는 시각장애인 유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유도블록의 상판과 몸체를 견고히 고정하여 온도 차이로 인해 보도블록이 수축과 팽창이 발생하여도 상판이 들뜨지 않고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판의 재질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어 다양한 색상 및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질로 실시될 수 있는 유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이르러 시각장애인이 인도 및 차도를 건널 시 그 위치와 방향을 지팡이 끝에 걸리는 촉감에 의해 알 수 있도록 시각장애인 유도블록을 설치하고 있다.
이는 시각장애인이 보도의 형태나 보행 코스에 대해서 어느 정도 정보를 가지고 있는 건널목, 지하철도역, 버스정류장 등 공공장소에 설치되며, 유도블록은 발바닥의 촉감과 시각장애인용 흰 지팡이의 터치 기술, 일반 보행자와의 관계, 도시 미관 등을 고려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유도블록은, 정보의 인지와 구별에 따라 크게 위치표시용과 방향표시용으로 나누어지며, 위치표시용은 점자유도블록이라 하여 보행 분기점, 대기점, 시발점, 종료지점 등의 위치를 표시하며, 위험물이나 위험지역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방향표시용은 선 블록이라고 하여 보행 분기점, 대기점, 시발점에서 목적방향으로 일정한 거리까지 설치되어 정확한 방향을 알리는 유도블록이다. 이러한 방향표시용 블록의 끝 지점에 유도블록이 더 이상 연결되지 아니함은 인지시키는 시설이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서 시공되는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은 도 1a 도시와 같이 일반적인 보도 블록(100)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그 상면에 목적에 따라 유도선 및 점자유도 돌기(200)가 형성된다.
상기 유도 블록(100)은 제작의 용이성과 실용성 및 무게 등을 고려하여 콘크리트 또는 플라스틱 및 우레탄과 합성고무 등 다양한 재질을 혼합 및 결합하여 제작하고 있다.
이에 대한 선출원 기술로 2000년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90076호 명칭 : 보도블록이 출원된 바 있다.
상기 유도 블록(300)은 도 1b 도시와 같이, 일정 크기를 갖는 상판(310)에 유도 돌기(311)를 형성하고, 그 저면에 일정 두께의 몸체(320)와 하판(330)을 구비하여 일반적인 보도블록과 높이를 맞춘다.
이때 상판(310)과 몸체(320) 및 하판(330)의 고정은 하판(330) 저면으로부터 관통결합되는 나사(340)가 상판(310)에 나사결합되어 중간측 몸체(320)가 함께 고정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도 블록(300)은, 다수의 나사(340)는 유도 블록(30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비틀림 및 유동이 발생하고, 나사부의 마모가 발생하여 상판(310)의 결합이 해제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유도 블록(300)의 조립을 위해 다수의 나사(340)를 작업자가 조임 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다양한 재질의 상판을 이용해 유도 블록을 제조할 시 발생하는 상판의 고정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손쉽게 조립되는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인도와 차도에 각각 설치되는 유도 블록의 차이 없이 동일한 구조로 제조하되, 필요에 따라 몸체 저면에 하판을 더 부착하여 시공시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선택 시공될 수 있는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과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과 특징들은 양호한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도면과 관련한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인도 또는 차도를 건널 시 지팡이의 걸림으로 보행방향을 안내하는 시각장애인 유도블록에 있어서,
상하로 분리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일정 크기를 가지며 마주보는 면에 서로 교차 형성되는 요철부가 구비되는 상하부 몸체와;
상하부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어 미끄럼 방지수단과 시각장애인용 유도 돌기가 형성되는 상판과;
일정 길이를 가지며 끝단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상부고정핀;으로 구성되며,
상부고정핀이 상하부 몸체와 상판을 관통하여 상부고정핀에 의해 상하부 몸체와 상판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하부 몸체에는 상하부 몸체를 관통하여 중간측에 소정 크기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판에는 관통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을 구비하며,
상부고정핀 양단에는 걸림 돌기를 형성하여,
상판의 체결공에 상부고정핀의 일단이 걸림 되며, 타단이 상하부 몸체의 관통홀에 내삽되어 중간측 걸림턱에 의해 걸림 고정되게 한 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인도 또는 차도를 건널 시 지팡이의 걸림으로 보행방향을 안내하는 시각장애인 유도블록에 있어서,
상하로 분리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일정 크기를 가지며 마주보는 면에 서로 교차 형성되는 요철부가 구비되고, 상하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 및 하부고정핀이 구비되는 상하부 몸체와;
상하부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어 미끄럼 방지수단과 시각장애인용 유도 돌기가 형성되는 상판과;
상하부 몸체의 하부고정핀에 의해 고정되고, 좌우로 일정 폭 연장 돌출되는 날개판이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하판;으로 이루어지며,
상판이 상부고정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상판에는 상하부 몸체의 상부고정핀이 관통되어 걸림 되는 걸림홀이 형성된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목적과,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해 얻어지는 본 발명의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의 사용으로, 다양한 재질의 상판을 이용해 유도 블록을 제조할 시 발생하는 상판의 고정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손쉽게 조립되어 제작 시간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도와 차도에 각각 설치되는 유도 블록의 차이 없이 동일한 구조로 제조하되, 필요에 따라 몸체 저면에 하판을 더 부착하여 시공시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선택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좀더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하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상하부 몸체(10A,10B)를 구비하며, 상기 상하부 몸체(10A,10B)의 상면(U')에 위치되어 미끄럼 방지수단과 시각장애인용 유도 돌기(21)가 형성되는 상판(20)을 구비하고, 상기 상하부 몸체(10A,10B)와 상판(20)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일정 길이의 상부고정핀(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고정핀(30)을 통한 상하부 몸체(10A,10B)와 상판(20)의 고정은 상부고정핀(30) 일단에 형성된 걸림 돌기(31)를 통해 억지 끼움 되어 고정된다.
이를 제 1 실시 예를 통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2 도시와 도 3 도시와 같이 상기 상하부 몸체(10A,10B)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교차 형성되는 요철부(11)를 구비하며, 상기 상하부 몸체(10A,10B)를 관통하여 중간측에 소정 크기의 걸림턱(12A)이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12)을 구비하고, 상기 상판(20)은 관통홀(12)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22)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고정핀(30) 양단에 걸림 돌기(31)를 형성하여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도 6 도시와 같이 상하부 몸체(10A,10B) 저면에 위치되어 하부고정핀(30')에 의해 고정되고, 좌우로 일정 폭 연장 돌출되는 날개판(41)이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하판(40)을 더 구비하여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날개판(41)은, 좌우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며 일정 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날개살(41A)과, 상기 날개살(41A) 간을 연결하는 보강살(41B)로 구성된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0 도시와 같이 상기 상하부 몸체(10A,10B) 측면에 상하로 길이를 가지며 일정 폭을 갖는 다수의 요홈(13)을 더 구비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로서 제 1 실시 예의 모든 구성을 포함하되, 도 7 도시와 도 8 도시와 같이 상기 상하부 몸체(10A,10B)는 마주하는 면에 서로 교차 형성되는 요철부(11)를 구비하며, 상하부 몸체(10A,10B) 상하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 및 하부고정핀(30A, 30A')을 구비하고, 상기 상판(20)은 상하부 몸체(10A,10B)의 상부고정핀(30A)이 관통되어 걸림 되는 걸림홀(22A)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 2 실시 예는 도 9 도시와 같이 하부 몸체(10B) 저면에 하부고정핀(30A')을 형성하여 이와 체결 고정되는 날개판(40)을 더 구비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 예를 통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 예>
도 2 도시와 도 3 도시와 같이 상부 몸체(10A) 저면과 하부 몸체(10B) 저면에 각각 서로 마주하는 일정 폭과 길이의 요철부(11)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요철부(11)가 서로 끼워 맞추어져 상하부 몸체(10A,10B)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 몸체(10A,10B)는 서로 결합되는 중간측에 맞닿는 다수의 걸림턱(12A)을 형성한 것으로, 이는 상하부 몸체(10A,10B)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12)의 상하 끝단에 위치되어 상하부 몸체(10A,10B)를 결합할 시 걸림턱(12A)이 서로 맞닿게 되고, 이로 인해 상하부 몸체(10A,10B)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12)이 연통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12A)은 상하측 관통홀(12) 보다 내경을 작게 형성하여 이에 관통되는 상부고정핀(30)의 걸림 돌기(31)가 상기 걸림턱(12A)을 하향 압력에 의해 관통되며, 관통된 걸림 돌기(31)가 걸림턱(12A)에 의해 걸림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부고정핀(30)의 결합은 상부 몸체(10A) 상면(U')에 단순히 상판(20)을 결합고정한 것이 아닌, 분리결합된 상하부 몸체(10A,10B)를 함께 고정하여 상하부 몸체(10A,10B)와 상판(20)이 견고히 고정된다.
한편, 상판(20)의 상면(U)에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22)은 도 4 도시와 도 5 도시와 같이 상측에 상부고정핀(30)의 상단측이 걸림되도록 일정 크기의 홈부(H)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홈부(H)에 걸림 되는 상부고정핀(30)의 상단이 상판(20)의 상면(U)으로 소정 폭 돌출되게 하여 실시된다.
이러한 상부고정핀(30)의 돌출은, 상판(20)에 형성되는 유도 돌기(21)의 인식에 지장이 없는 정도의 돌출이 적당하며, 유도 돌기(21) 사이 또는 유도 돌기(21) 중심측에 다수 형성함으로써, 상부고정핀(30)의 상단이 미끄럼 방지수단 역할을 하여 이를 밝고 보행하는 보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한다.
상기 상부고정핀(30)의 역할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상면(U)으로 돌출되지 않게 결합시 평면을 유지하도록 변형 실시되어 시각장애인이 유도 방향을 판별하기 용이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고정핀(30)은 걸림턱(12A)을 하향 또는 상향 압력에 의해 관통되어 걸림턱(12A)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부고정핀(30)의 일단에 소정 폭의 절결부(32)를 형성하고, 하단에 원뿔형 걸림 돌기(31)를 형성하여 억지 끼움에 절결부(32)가 좁혀져 걸림 돌기(31)가 걸림턱(12A)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고, 관통된 걸림 돌기(31)는 탄성력에 의해 절결부(32)의 폭이 복원되어 걸림 돌기(31)가 걸림턱(12A)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고정핀(30)은 일 실시 예로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걸림턱(12A)을 관통한 일정 길이의 고정핀(30) 끝단을 압력에 의해 구부리거나, 확장시켜 걸림턱(12A)에 고정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하부 몸체(10A,10B)는 인도용 보도에 적용 실시되는 형태로서, 비교적 압력과 비틀림을 많이 받는 차도용 유도블록의 경우 이를 보다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하판(40)을 더 구비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하판(40)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양측으로 일정 폭 돌출 형성되는 날개판(41)을 더 구비하여 콘크리트, 자갈, 흙 등에 의해 날개판(41)이 묻히도록 시공하여 날개판(41)에 의해 상하부 몸체(10A,10B)와 상판(20)이 비틀리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날개판(41)은 상하부 몸체(10A,10B)와 상판(20) 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일 실시 예로서, 도 6 도시와 같이 상면(U")이 하부 몸체(10B)에 접면되는 일정 크기를 가지며 양측으로 일정 길이 수평 돌출되는 다수의 날개살(41A)을 구비하고, 상기 날개살(41A) 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보강살(41B)을 구비한 것으로 실시되어, 충진되는 콘크리트, 자갈, 흙이 상기 날개살(41A)과 보강살(41B) 사이사이에 충진되어 결합력을 높인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날개살(41A)과 보강살(41B)은 일정 두께의 판 형태로 실시되거나, 원형 봉 및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되어도 무관하다.
여기서 상기 하판(40)의 고정은 상판(20)의 고정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판(20)의 상부고정핀(30) 위치에 어긋나게 다수 형성되는 걸림턱(12A)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몸체(10B) 저면에 하판(40)을 밀착한 후, 하판(40)에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42)에 하부고정핀(30')을 삽입하여 걸림턱(12A)에 고정한다.
<제 2 실시 예>
제 1 실시 예의 모든 구성을 포함하되, 도 7 도시와 같이 상기 상하부 몸체(10A,10B)는 마주하는 면에 서로 교차 형성되는 요철부(11)를 구비하며, 상하부 몸체(10A,10B) 상하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 및 하부고정핀(30A, 30A')을 구비하고, 상기 상판(20)은 상하부 몸체(10A,10B)의 상부고정핀(30A)이 관통되어 걸림되는 걸림홀(22A)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상부 몸체(10A) 상면(U')에 구비되는 다수의 상부고정핀(30A)이 상판(20)의 걸림홀(22A)을 관통하여 끝단의 걸림 돌기(31)가 상판(20)의 상면(U)으로 소정 폭 돌출되어 고정된다. 이때 하부 몸체(10A)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일정 폭과 길이를 갖게 형성되는 다수의 요철부(11)에 의해 억지 끼움 되어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하판(40)을 고정함에 있어서, 도 9 도시와 같이 상하부 몸체(10A,10B)에 각각 다수의 하부고정핀(30A')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고정핀(10A')이 결합되는 다수의 걸림홀(23)과 체결공(42)을 상판(20)과 하판(40)에 각각 형성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판(40)의 체결공(42)은 소정 크기의 홈부(H)을 더 구비하여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하부고정핀(30A')이 체결공(42)을 관통할 시 걸림 돌기(41)가 저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시공시 유도 블록의 수평을 맞추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 1, 2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0 도시와 같이 상하부 몸체(10A,10B)의 측면에 일정 폭을 갖는 다수의 요홈(13)을 더 구비하여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하판(40)을 구비하지 않는 인도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요홈(13)에 콘크리트, 자갈, 흙 등이 충진되어 상하부 몸체(10A,10B)가 좌우로 비틀리거나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다 견고히 고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판(20)은 당업자가 실시함에 있어 충격을 흡수하는 다양한 재질 및 다른 보행자의 식별이 용이한 색상 등으로 용이하게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착안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a는 종래의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의 일 예를 보인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의 일 예를 보인 분리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의 일 예를 보인 결합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중 날개판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중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용 유도블 중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리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중 다른 실시 예의 날개판 사용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중 요홈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상하부 몸체 11: 요철부
12: 관통홀 12A: 걸림턱
13: 요홈 20: 상판
21: 유도 돌기 22: 체결공
22A: 걸림홀 30, 30A: 고정핀
31: 걸림돌기 32: 절결부
40: 하판 41: 날개판
41A: 날개살 41B: 보강살
42: 체결공 H: 홈부
U, U', U": 상면

Claims (6)

  1. 시각장애인이 인도 또는 차도를 건널 시 지팡이의 걸림으로 보행방향을 안내하는 시각장애인 유도블록에 있어서,
    상하로 분리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일정 크기를 가지며 마주보는 면에 서로 교차 형성되는 요철부(11)가 구비되는 상하부 몸체(10A,10B)와;
    상기 상하부 몸체(10A,10B)의 상면(U')에 위치되어 미끄럼 방지수단과 시각장애인용 유도 돌기(21)가 형성되는 상판(20)과;
    일정 길이를 가지며 끝단에 걸림 돌기(31)가 형성되는 상부고정핀(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고정핀(30)이 상기 상하부 몸체(10A,10B)와 상기 상판(20)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고정핀(30)에 의해 상기 상하부 몸체(10A,10B)와 상기 상판(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 몸체(10A,10B)에는 상기 상하부 몸체(10A, 10B)를 관통하여 중간측에 소정 크기의 걸림턱(12A)이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12)을 구비하고,
    상기 상판(20)에는 상기 관통홀(12)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22)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고정핀(30) 양단에는 상기 걸림 돌기(31)를 형성하여,
    상기 상판(20)의 상기 체결공(22)에 상기 상부고정핀(30)의 일단이 걸림 되며, 타단이 상기 상하부 몸체(10A,10B)의 상기 관통홀(12)에 내삽되어 중간측 상기 걸림턱(12A)에 의해 걸림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몸체(10A,10B) 저면에 위치되어 하부고정핀(30')에 의해 고정되고, 좌우로 일정 폭 연장 돌출되는 날개판(41)이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하판(40)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4. 시각장애인이 인도 또는 차도를 건널 시 지팡이의 걸림으로 보행방향을 안내하는 시각장애인 유도블록에 있어서,
    상하로 분리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일정 크기를 가지며 마주보는 면에 서로 교차 형성되는 요철부(11)가 구비되고, 상하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 및 하부고정핀(30A, 30A')이 구비되는 상하부 몸체(10A,10B)와;
    상기 상하부 몸체(10A,10B)의 상면(U')에 위치되어 미끄럼 방지수단과 시각장애인용 유도 돌기(21)가 형성되는 상판(20)과;
    상기 상하부 몸체(10A, 10B)의 상기 하부고정핀(30A')에 의해 고정되고, 좌우로 일정 폭 연장 돌출되는 날개판(41)이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하판(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20)이 상기 상부고정핀(30A)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20)에는 상기 상하부 몸체(10A, 10B)의 상기 상부고정핀(30A)이 관통되어 걸림 되는 걸림홀(2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5.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41)은, 좌우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며 일정 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날개살(41A)과, 상기 날개살(41A) 간을 연결하는 보강살(41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6. 제 1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몸체(10A,10B) 측면에 상하로 길이를 가지며 일정 폭을 갖는 다수의 요홈(13)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KR1020070079921A 2007-08-09 2007-08-09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KR100923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921A KR100923730B1 (ko) 2007-08-09 2007-08-09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921A KR100923730B1 (ko) 2007-08-09 2007-08-09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529A KR20090015529A (ko) 2009-02-12
KR100923730B1 true KR100923730B1 (ko) 2009-10-27

Family

ID=4068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921A KR100923730B1 (ko) 2007-08-09 2007-08-09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7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032B1 (ko) 2010-11-03 2011-03-02 김지훈 놀이터 바닥용 복합 탄성층 블록 매트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756B1 (ko) * 2010-03-31 2011-04-21 최병현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KR102054727B1 (ko) * 2017-11-16 2019-12-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9841A (ja) * 1992-02-07 1993-08-31 Hayashi Bussan:Kk 木レンガ敷設枠
JPH07322773A (ja) * 1994-05-30 1995-12-12 Hayashi Prod Corp 植物保護踏盤用の表示具
KR200351459Y1 (ko) * 2004-03-09 2004-05-20 주식회사 펩티모 광고 또는 안전유도가 가능한 점자블록
KR20060055267A (ko) * 2004-12-14 2006-05-23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조립식 포장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9841A (ja) * 1992-02-07 1993-08-31 Hayashi Bussan:Kk 木レンガ敷設枠
JPH07322773A (ja) * 1994-05-30 1995-12-12 Hayashi Prod Corp 植物保護踏盤用の表示具
KR200351459Y1 (ko) * 2004-03-09 2004-05-20 주식회사 펩티모 광고 또는 안전유도가 가능한 점자블록
KR20060055267A (ko) * 2004-12-14 2006-05-23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조립식 포장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032B1 (ko) 2010-11-03 2011-03-02 김지훈 놀이터 바닥용 복합 탄성층 블록 매트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529A (ko)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3339B2 (en) Portable roadway warning device
US20060245828A1 (en) Modular traffic calming devices
US8807277B1 (en) Shoe bracket assembly for attachment to a bottom of a rail of ladder
DE202010002641U1 (de) Optisch ansprechende Bewegungsfugenprofile mit ausgezeichneter trittfester Trittfläche, dauerhafter Abriebfestigkeit und hoher Belastbarkeit
US8245950B2 (en) Removable rail seal
KR100923730B1 (ko)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KR100987143B1 (ko)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
US20140270946A1 (en) Modular concrete unit and an assembly thereof
KR101185468B1 (ko) 매립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과속방지턱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 시공방법
KR101295823B1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10130230A (ko) 이동식 과속방지턱
KR100938185B1 (ko) 결합돌기를 통해 결합되는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KR200171376Y1 (ko) 시각장애인용점자유도블럭
KR200274494Y1 (ko) 도로의 경계석 구조
CN205474914U (zh) 一种适用于重载车频繁路段的突起路标
CN212200458U (zh) 公路路基边坡防滑装置
KR102019668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자전거 도로용 블록
KR200378135Y1 (ko)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럭
CN203546558U (zh) 玻璃钢盲道砖
KR200366538Y1 (ko)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럭
KR200403161Y1 (ko) 실족 방지용 안전망
KR100370288B1 (ko) 건축물의 마감장치
KR101091878B1 (ko)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KR200173060Y1 (ko) 일체 형성방식의 맹인 안내용 바닥타일 구조물
KR200378138Y1 (ko) 도로의 차도 경계블럭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