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230A - 이동식 과속방지턱 - Google Patents

이동식 과속방지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230A
KR20110130230A KR1020100049775A KR20100049775A KR20110130230A KR 20110130230 A KR20110130230 A KR 20110130230A KR 1020100049775 A KR1020100049775 A KR 1020100049775A KR 20100049775 A KR20100049775 A KR 20100049775A KR 20110130230 A KR20110130230 A KR 20110130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dy
coupling
intermediate plate
end plate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순
Original Assignee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9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0230A/ko
Publication of KR20110130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속방지턱(50)은 중간판체(60), 제1 및 제2 단부판체(80,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간판체(60)는 중간부의 높이가 가장 높고 선단과 후단으로 가면서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간판체(60)의 측면에는 결합철부(62)와 결합요부(64)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철부(62)는 연결목(63)의 선단에 걸이블록(63')이 적어도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요부(64)는 상기 결합철부(62)가 안착될 수 있는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판체(60,90)를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중간판체(60)의 하면에는 직선리브(74)가 격자모양으로 교차하게 형성되고, 상기 직선리브(74)가 교차하는 점이 중심이 되도록 원형리브(76)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직선리브(74)가 형성하는 격자의 내부 면적은 중간판체(60)의 중간부쪽으로 갈수록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과속방지턱(50)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이동이 가능하고, 부분적으로 손상된 중간판체(60)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며 도로 폭방향으로의 길이조절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과속방지턱{A movable overspeed preventive projection}
본 발명은 이동식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장소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판체들끼리 서로 직접 결합되도록 구성된 이동식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이다.
과속방지턱은 학교앞의 도로, 아파트 단지내 도로 등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주행차량의 속도를 감속시켜 주변시설물이나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속방지턱은 일반적으로 도로의 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도로를 형성하는 아스팔트와 일체가 되도록 아스팔트나 시멘트 등으로 만든다.
하지만, 아스팔트나 시멘트 등으로 과속방지턱을 만들게 되면 과속방지턱의 형성 후 양생이 완료될 때까지 차량통행이 불가능한 불편한 점이 있고, 도로의 포장을 새로하는 경우에는 과속방지턱도 새로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설치장소에 용이하게 착탈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과속방지턱'을 개발하여, 1999년 10월 12일자로 출원하였다. 이 조립식 과속방지턱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과속방지턱(10)은 중심부에 설치된 지지관(도시되지 않음)을 기준으로 다수의 판체로 된 본체(12)들을 이 지지관에 끼운 후 앵커볼트(11)로 각각의 본체(12)들을 노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과속방지턱(10)은 앵커볼트(11)를 사용하여 본체(12)들을 노면에 고정하므로, 설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앵커볼트(11)를 일일이 다 풀고 이동위치에서 새롭게 앵커볼트(11)를 노면에 체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과속방지턱(10)은 각각의 본체(12)들을 지지관으로 연결설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12)의 일부분이 파손되었을 경우, 파손된 본체(12)의 교체를 위해서는 파손된 본체(12) 이외에도 최소한 하나 이상의 본체(12)를 지지관으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과속방지턱(10)을 도로의 폭방향으로 더 연장하기 위해서는 지지관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판체들 끼리 직접 서로 결합되어 도로상에 설치될 수 있는 이동식 과속방지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손된 판체만을 뽑아 교체할 수 있는 이동식 과속방지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의 폭방향으로의 연장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식 과속방지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중간부보다 선단과 후단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양측면에 결합철부와 결합요부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것끼리 상기 결합돌부와 결합요부의 결합에 의해 열을 지어 노면상에 체결되어 놓여지는 중간판체와, 상기 중간판체 열의 단부에 있는 중간판체의 결합요부와 결합돌부에 결합되는 결합돌부와 결합요부를 구비하는 제1 및 제2 단부판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철부는 각각의 판체와 연결되는 연결목과 상기 연결목 선단에서 적어도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이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요부는 상기 연결목과 걸이블록이 안착되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요부는 각각의 판체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중간판체의 중간부에 해당되는 일단에는 결합철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타단에는 결합요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부판체에는 상기 결합요부와 결합되는 결합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단부판체에는 상기 결합철부와 결합되는 결합요부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판체의 양측면에는 각각 결합철부와 결합요부 쌍이 형성되는데, 상기 중간판체의 양측면에 있는 결합철부와 결합요부가 각각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단부판체와 제2단부판체에는 상기 중간판체의 결합철부 및 결합요부와 결합되는 결합요부 및 결합철부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판체, 제1 및 제2 단부판체의 하면에는 직선리브가 격자 형상을 이루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중간판체, 제1 및 제2 단부판체의 중간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격자형상의 면적이 다른 부분에 비해 좁게 형성된다.
상기 중간판체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원형리브가 형성되는데, 상기 원형리브의 중심에서 상기 직선리브가 교차한다.
상기 중간판체와 제1 및 제2 단부판체의 양측 표면에는 사선요철이 형성되는데, 상기 사선요철은 V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단부판체에서 상기 중간판체와 결합되는 측면은 직선으로 되고 나머지 가장자리는 원형상으로 되어 상기 나머지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과속방지턱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이동식 과속방지턱은 각각의 판체들이 도로에 체결되지 않고 서로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어, 판체들 사이의 결합만을 해제하면 쉽게 이동시켜 다시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어 설치위치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동식 과속방지턱은 그 돌출방향으로는 판체들끼리의 결합이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손상된 판체만을 인접한 판체에서 노면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분리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본 발명의 이동식 과속방지턱은 각각의 판체에 결합요부와 결합철부가 도로의 폭방향으로 요입 또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판체의 갯수만 달리하면 도로의 폭방향으로의 연장 또는 축소가 매우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립식 과속방지턱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과속방지턱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중간판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단부판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단부판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과속방지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예의 이동식 과속방지턱(50)은 다수개의 중간판체(60)와 상기 중간판체(60)의 열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1단부판체(80) 및 제2단부판체(90)로 구성된다. 이들 판체(60,80.90)들은 합성수지를 재료로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중간판체(60)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선단과 후단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경사를 가지고 중간부가 가장 높은 판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상기 중간판체(60)에서 가장 높은 중간부는 도로의 폭방향으로 상기 중간판체(60)의 양단까지 연장된다. 상기 중간판체(60)를 상하로 관통하게 다수개의 체결공(6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60')은 체결볼트나 앵커가 관통하여 도로상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공(60')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과속방지턱(50)을 도로에 고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만 사용된다.
상기 중간판체(60)의 양단, 즉 도로의 폭방향 양단에는 각각 결합철부(62)와 결합요부(64)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철부(62)와 결합요부(64)가 상기 중간판체(60)의 중간부 양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결합철부(6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중간판체(60)나 제2단부판체(90)의 결합요부(64)(92)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철부(62)는 평면도로 볼 때, 전체적으로 T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결합철부(62)를 구성하는 것은 연결목(63)과 걸이블록(63')인데, 상기 연결목(63)은 상기 중간판체(60)의 일단부에서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목(63)의 끝부분에 상기 걸이블록(63')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블록(63')은 상기 연결목(63)에 비해 그 폭이 크게 형성되어 도로의 폭방향으로 상기 결합철부(62)가 상기 결합요부(64),(92)로 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걸이블록(63')은 상기 연결목(63)의 선단에서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연결목(63)의 선단에서 일측 방향으로만 돌출되게 걸이블록(63')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철부(62)가 안착되는 결합요부(64)는 상기 중간판체(60)를 평면도로 볼 때 상기 결합철부(6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게 중간판체60)를 상하로 관통하고 중간판체(60)의 일측면으로도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요부(64)는 상기 연결목(63)이 위치되는 목통공(65)과 상기 걸이블록(63')이 위치되는 블록통공(65')으로 구성된다. 상기 목통공(65)의 폭은 상기 블록통공(65')의 폭보내 작게 형성된다.
상기 중간판체(60)중 일측 경사면에는 다수개의 수평채널(68)이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수평채널(68)은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중간판체(60)의 표면중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해당되는 수평채널(68)의 일단부 내에 예를 들면 유리알 반사체가 설치된다. 상기 유리알 반사체는 야간에 운전자에게 과속방지턱(50)의 존재를 알릴 수 있다.
상기 중간판체(60)의 표면에는 사선요철(70)이 형성된다. 상기 사선요철(70)은 상기 중간판체(60)의 표면이 돌출되고 요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하나의 중간판체(60)에는 상기 사선요철(70)들에 의해 다수개의 V자 형상이 만들어지도록 된다. 상기 사선요철(70)은 상기 중간판체(60)의 상면과 하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중간판체(60)의 상면에 돌출된 사선요철(70) 부분은 하면에서는 요입된 사선요철(70)이 되는 것이다.
상기 중간판체(60)의 하면 양단에서 돌출되게 이중벽체(72)가 형성된다. 상기 이중벽체(72)는 2개의 판상의 리브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만들어 진 것으로 중간판체(60)의 양단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이중벽체(72)에는 이중벽체(72)를 형성하는 판상의 리브를 서로 연결하는 리브(도면부호 부여않음)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중간판체(60)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직선리브(74)가 가로세로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직선리브(74)는 상기 중간판체(60)의 하면에 서로 직교하게 형성되어 격자모양을 형성한다. 상기 직선리브(74)가 가로세로방향으로 서로 직교하게 형성됨에 있어 상기 중간판체(60)의 중간부, 즉 상대적으로 노면으로부터 높이 올라와 있는 부분에서 형성하는 사각형의 격자의 면적이 다른 부분의 그것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중간판체(60)에서 높이가 높은 부분은 직선리브(74)가 보다 간격이 좁게 되어 사각형의 격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 이는 해당 부분의 강도를 보다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직선리브(74)가 돌출된 정도는 중간판체(60)의 중간부에서 가장 길다. 중간판체(60)의 하면 선단과 후단에서는 상대적으로 짧다. 하지만, 평평한 노면에 동시에 접촉하기 위해서는 직선리브(74) 전체의 선단 위치는 동일해야 한다.
상기 중간판체(60)의 하면에는 또한 원형리브(76)가 형성된다. 상기 원형리브(76)는 상기 직선리브(74)가 직교하는 부분이 원형리브의 중심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원형리브(76)와 직선리브(74)가 서로 협력하여 해당되는 부분의 강도를 보다 높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1단부판체(80)의 구성을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1단부판체(80)도 합성수지재질을 사출성형하여 만드는 것으로, 대략 4각형의 판상으로 된다. 물론 상기 제1단부판체(80)는 도로의 길이방향 선단과 후단의 일단부가 곡선으로 되도록 되거나, 평면도로 볼 때 상기 중간판체(60)와 결합되는 쪽 측면은 직선형이고 나머지 부분은 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단부판체(80)는 과속방지턱(50)의 일측 단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1단부판체(80)는 상기 중간판체(60)와 결합되는 쪽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져 노면과 거의 같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판체(60)의 중간부와 대응되는 부분은 중간판체(60)의 부분과 같은 높이로 된다.
상기 제1단부판체(80)에서 상기 중간판체(60)와 결합되는 쪽 측면은 직선으로 형성되는데, 그 중간에 결합철부(8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철부(82)는 상기 중간판체(60)의 결합요부(64)에 안착된다. 상기 결합철부(82)의 구성은 상기 중간판체(60)의 결합철부(62)와 동일하다. 즉 연결목(83)이 제1단부판체(80)에서 돌출되고, 상기 연결목(83) 선단에 걸이블록(83')이 구비된다.
상기 제1단부판체(80)의 표면에는 사선요철(84)이 형성되는데, 상기 사선요철(84)은 중간판체(60)의 사선요철(70)과 협력하여 V자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다. 물론, 제1단부판체(80)에 구비된 사선요철(84) 만으로도 V자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단부판체(80)의 하면에도 직선리브(86)가 격자모양으로 다수개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단부판체(80)중 상기 중간판체(60)와 결합되는 쪽 측면에는 단부벽체(8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단부벽체(88)는 2중으로 만들어지지는 않으나 상기 직선리브(86)와 협력하여 2중으로 된다.
도 5를 참고하여 제2단부판체(9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2단부판체(90)도 합성수지재질을 사출성형하여 만드는 것으로, 대략 4각형의 판상으로 된다. 물론 상기 제2단부판체(90)는 도로의 길이방향 선단과 후단의 일단부가 곡선으로 되도록 되거나, 평면도로 볼 때 상기 중간판체(60)와 결합되는 쪽 측면은 직선형이고 나머지 부분은 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2단부판체(90)는 과속방지턱(50)의 일측 단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2단부판체(90)는 상기 중간판체(60)와 결합되는 쪽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져 노면과 거의 같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판체(60)의 중간부와 대응되는 부분은 중간판체(60)의 부분과 같은 높이로 된다.
상기 제2단부판체(90)에서 상기 중간판체(60)와 결합되는 쪽 측면은 직선으로 형성되는데, 그 중간에 결합요부(92)가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요부(92)에는 상기 중간판체(60)의 결합돌부(62)가 안착된다. 상기 결합요부(92)의 구성은 상기 중간판체(60)의 결합요부(64)와 동일하다. 즉, 상기 연결목(63)이 위치되는 목통공(93)이 제2단부판체(90)의 일측면으로 개구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이블록(63')이 위치되는 블록통공(93')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단부판체(90)의 표면에는 사선요철(94)이 형성되는데, 상기 사선요철(94)은 중간판체(60)의 사선요철(70)과 협력하여 V자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다. 물론, 제2단부판체(90)에 구비된 사선요철(94) 만으로도 V자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단부판체(90)의 하면에도 직선리브(96)가 격자모양으로 다수개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단부판체(90)중 상기 중간판체(60)와 결합되는 쪽 측면에는 단부벽체(9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단부벽체(98)는 2중으로 만들어지지는 않으나 상기 직선리브(96)와 협력하여 2중으로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실시예들의 구성요소에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응되는 것에 100단위 및 200단위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중간판체(160)의 양단에 각각 결합철부(162)와 결합요부(164)가 2개씩 형성된다. 즉, 중간판체(160)의 일측면에 결합철부(162)가 나란히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결합요부(164)가 나란히 형성되는 것이다. 이들 결합철부(162)와 결합요부(164)는 중간판체(160)의 중간부를 벗어난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단부판체(180)에는 결합철부(182) 2개가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제2단부판체(190)에는 결합요부(192) 2개가 나란히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중간판체(260)의 각각의 측면에 각각 결합철부(262)와 결합요부(264) 쌍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판체(260)의 양측면에 있는 결합철부(262)와 결합요부(264)가 각각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중간판체(260)에 결합철부(262)가 2개 결합요부(264)가 2개씩 형성된다.
참고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단부판체(280)와 제2단부판체(290)가 동일한 구성을 가지게 되어 구별이 없어지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과속방지턱을 사용하는 것을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동식 과속방지턱(50)은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중간판체(60)를 서로서로 직접 연결하여 도로의 폭방향으로 열을 지어 길게 위치시키고, 서로 연결된 중간판체(60)들중 양단에 있는 것에 각각 제1단부판체(80)와 제2단부판체(90)를 결합하여 마무리하게 된다.
먼저, 상기 중간판체(60)끼리 연결하는 것을 설명한다. 인접하는 중간판체(60)에서는 각각의 결합철부(62)와 결합요부(64)가 결합된다. 즉, 일측 중간판체(60)의 결합철부(62)가 인접한 타측 중간판체(60)의 결합요부(64)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철부(62)가 상기 결합요부(64)에 삽입되는 것은, 일측 중간판체(60)를 노면에 두고, 타측 중간판체(60)를 노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결합철부(62)가 결합요부(64)에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서로 결합된 중간판체(60)끼리는 도로의 폭방향으로는 아무리 강력한 힘이 작용하여도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물론 일측 중간판체(60)에 노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즉 중간판체(60)를 들어 올리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철부(62)와 결합요부(64)를 차례로 결합하면 중간판체(60)를 도로의 폭에 맞도록 설치할 수 있고, 다수개의 중간판체(60)가 배열된 양단에 각각 제1단부판체(80)와 제2단부판체(90)를 결합하면 된다.
즉, 제1단부판체(80)의 결합철부(82)가 중간판체(60)의 비어있는 결합요부(64)에 삽입되어 안착되면 된다. 이때에도 제1단부판체(80)는 노면의 상부에서 노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내려지면서 상기 결합철부(82)가 중간판체(60)의 결합요부(64)에 안착되면 된다.
그리고, 제2단부판체(90)는 상기 제1단부판체(80)가 설치된 반대쪽에 위치되면 된다. 즉, 제1단부판체(80)가 설치된 반대쪽의 중간판체(60)의 결합철부(62)에 제2단부판체(90)의 결합요부(92)가 결합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하나의 과속방지턱(50)이 완성된다. 상기 과속방지턱(50)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늦추도록 하는 것인데, 차량의 타이어가 상기 과속방지턱(50)의 일측에서 상기 중간판체(60)의 중간부를 통과하여 타측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차량의 하중이 타이어를 통해 과속방지턱(50)을 구성하는 중간판체(60) 등에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하중은 중간판체(60)를 지면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데, 중간판체(60)에 이와 같은 힘이 작용할 경우 중간판체(60)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탄성변형은 인접하는 중간판체(60)가 결합철부(62)와 결합요부(64)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어 최소화되고, 중간판체(60)의 유동 또한 방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과속방지턱(50)은 그 하면에 격자형으로 직선리브(74,86,96)가 형성되고, 원형리브(76)가 형성되고 이중벽체(72)와 단부벽체(88,98)들이 형성되어 있어 자동차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면서도 노면과의 사이에 마찰력도 발생시킬 수 있어 유동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과속방지턱(50)을 사용하던 중에 하나의 중간판체(60)가 손상되었을 경우에는, 해당되는 중간판체(60)를 노면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분리된다. 그리고, 그 위치에 새로운 중간판체(60)를 위치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철부(62,82)의 걸이블록(63',83')은 상기 연결목(63,83)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목(63,83)의 선단에서 양단으로 돌출되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연결목(63,83)의 선단에서 적어도 일단으로만 돌출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결합철부(62,83)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결합요부(64,92)는 상기 걸이블록(63',83')의 돌출형상에 대응되게 만들어지면 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블록(63',83')의 구성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평면도로 볼 때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50: 과속방지턱 60: 중간판체
62: 결합철부 63: 연결목
63': 걸이블록 64: 결합요부
65: 목통공 65': 블록통공
68: 수평채널 70: 사선요철
72: 이중벽체 74: 직선리브
76: 원형리브 80: 제1단부판체
80': 체결공 82: 결합철부
83: 연결목 83': 걸이블록
84: 사선요철 86: 직선리브
88: 단부벽체 90: 제2단부판체
90': 체결공 92: 결합요부
93: 목통공 93': 블록통공
94: 사선요철 96: 직선리브
98: 단부벽체

Claims (8)

  1. 중간부보다 선단과 후단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양측면에 결합철부와 결합요부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것끼리 상기 결합돌부와 결합요부의 결합에 의해 열을 지어 노면상에 체결되어 놓여지는 중간판체와,
    상기 중간판체 열의 단부에 있는 중간판체의 결합요부와 결합돌부에 결합되는 결합돌부와 결합요부를 구비하는 제1 및 제2 단부판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철부는 각각의 판체와 연결되는 연결목과 상기 연결목 선단에서 적어도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이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요부는 상기 연결목과 걸이블록이 안착되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속방지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요부는 각각의 판체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속방지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체의 중간부에 해당되는 일단에는 결합철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타단에는 결합요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부판체에는 상기 결합요부와 결합되는 결합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단부판체에는 상기 결합철부와 결합되는 결합요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속방지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체의 양측면에는 각각 결합철부와 결합요부 쌍이 형성되는데, 상기 중간판체의 양측면에 있는 결합철부와 결합요부가 각각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단부판체와 제2단부판체에는 상기 중간판체의 결합철부 및 결합요부와 결합되는 결합요부 및 결합철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속방지턱.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체, 제1 및 제2 단부판체의 하면에는 직선리브가 격자 형상을 이루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중간판체, 제1 및 제2 단부판체의 중간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격자형상의 면적이 다른 부분에 비해 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속방지턱.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체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원형리브가 형성되는데, 상기 원형리브의 중심에서 상기 직선리브가 교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속방지턱.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체와 제1 및 제2 단부판체의 양측 표면에는 사선요철이 형성되는데, 상기 사선요철은 V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속방지턱.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부판체에서 상기 중간판체와 결합되는 측면은 직선으로 되고 나머지 가장자리는 원형상으로 되어 상기 나머지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속방지턱.
KR1020100049775A 2010-05-27 2010-05-27 이동식 과속방지턱 KR20110130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775A KR20110130230A (ko) 2010-05-27 2010-05-27 이동식 과속방지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775A KR20110130230A (ko) 2010-05-27 2010-05-27 이동식 과속방지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230A true KR20110130230A (ko) 2011-12-05

Family

ID=4549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775A KR20110130230A (ko) 2010-05-27 2010-05-27 이동식 과속방지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023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5677A1 (en) * 2013-03-15 2014-09-18 Traffix Devices, Inc. Modular travel warning strip system and methods
US9783941B1 (en) 2015-01-28 2017-10-10 Traffix Devices, Inc. Modular travel warning strip system and methods
WO2019053477A1 (en) * 2017-09-18 2019-03-21 Brady Corporation Ltd RETARDER
US11414822B2 (en) 2018-03-30 2022-08-16 Traffix Devices, Inc. Modular travel warning strip system and methods
US11535993B2 (en) 2018-03-30 2022-12-27 Traffix Devices, Inc. Modular travel warning strip system and methods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5677A1 (en) * 2013-03-15 2014-09-18 Traffix Devices, Inc. Modular travel warning strip system and methods
US9783941B1 (en) 2015-01-28 2017-10-10 Traffix Devices, Inc. Modular travel warning strip system and methods
US10106938B1 (en) 2015-01-28 2018-10-23 Traffix Devices, Inc. Modular travel warning strip system and methods
US10443197B1 (en) 2015-01-28 2019-10-15 Traffix Devices, Inc. Modular travel warning strip system and methods
US11060251B1 (en) 2015-01-28 2021-07-13 Traffix Devices, Inc. Modular travel warning strip system and methods
WO2019053477A1 (en) * 2017-09-18 2019-03-21 Brady Corporation Ltd RETARDER
GB2568322A (en) * 2017-09-18 2019-05-15 Brady Corp Ltd Speed bump
GB2568322B (en) * 2017-09-18 2020-04-29 Brady Corp Ltd Speed bump
EP4234814A3 (en) * 2017-09-18 2023-10-11 Brady Corporation Ltd Speed bump
US11414822B2 (en) 2018-03-30 2022-08-16 Traffix Devices, Inc. Modular travel warning strip system and methods
US11535993B2 (en) 2018-03-30 2022-12-27 Traffix Devices, Inc. Modular travel warning strip system and methods
US11773546B2 (en) 2018-03-30 2023-10-03 Traffix Devices, Inc. Modular travel warning strip system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97090B (zh) 安装砖、砖组件的系统和该系统中使用的结合元件、安装砖的方法和砖地修理方法
KR20110130230A (ko) 이동식 과속방지턱
CA2752934A1 (en) Connector for boardwalk system
KR20200041715A (ko) 데크조립체
KR101972320B1 (ko) 다용도 조립형 보도 블록
KR10193736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차량 주행 도로의 박스 구조물
US4669245A (en) A device for the forming joints in a floor pavement of the industrial type generally made of concrete
KR100984019B1 (ko) 조립식 횡단보도
KR101767489B1 (ko) 모노레일용 궤도빔 신축이음장치
KR100794203B1 (ko) 도로의 옹벽구조
KR101625581B1 (ko) 배수성이 향상된 복공판
KR20050090064A (ko)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
JP2009287302A (ja) 緑化舗装ユニット
KR101191138B1 (ko) 미끄럼 방지용 맨홀 뚜껑
KR102127192B1 (ko) 하중 저항력이 강화된 부벽형 옹벽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923730B1 (ko)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JP4564020B2 (ja) 縁石ブロック
KR200428509Y1 (ko) 복공판
KR200402412Y1 (ko) 도로 옹벽구간 전도방지시설 설치구조
KR200197317Y1 (ko) 낙석방지용 그물망 고정부재
KR101210447B1 (ko)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용 배수판
KR200488459Y1 (ko) 조립식 도로
US3612394A (en) Railroad crossing
CN101285290A (zh) 钢轨锁定器隔离件
CN115506190B (zh) 一种预制混凝土拼装道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