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469B1 - 데크 체결용 클립 - Google Patents

데크 체결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469B1
KR102524469B1 KR1020210018993A KR20210018993A KR102524469B1 KR 102524469 B1 KR102524469 B1 KR 102524469B1 KR 1020210018993 A KR1020210018993 A KR 1020210018993A KR 20210018993 A KR20210018993 A KR 20210018993A KR 102524469 B1 KR102524469 B1 KR 102524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clip
square pipe
deck material
shap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2595A (ko
Inventor
김지용
Original Assignee
김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용 filed Critical 김지용
Priority to KR1020210018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4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2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88Engaging side holes preformed into the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재(1)를 사각파이프(3)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데크체결용 클립(10)에 있어서, 상기 클립(10)은, 상기 사각파이프(3)의 폭방향으로 끼워지며 사각파이프(3)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U형상브래킷(20); 상기 U형상브래킷(20)의 상단에서 사각파이프(3)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외향 연장되어 데크재(1)를 지지하는 데크지지날개(30,31); 상기 브래킷(20)의 상측에서 상향 돌출된 상향돌출부(40,41); 및 상기 상향돌출부(40,41)의 상측에 구비되어 데크재(1)의 측면에 형성된 끼움홈(2)에 삽입되는 끼움판(50,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체결용 클립이다.

Description

데크 체결용 클립{Clip for connecting deck}
본 발명은 데크 체결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된 데크 판재를 서로 연결하면서 고정시키는 데크 체결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의 내부 바닥이나 벽면, 실외 산책로 등에는 목재의 데크 조립체(deck assembly)가 마감재로 사용된다. 이러한 목재 데크 조립체는 다른 재료에 비해 자연친화적이고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조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편안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어 최근 많이 사용된다.
종래의 데크 조립체는 데크재를 사각파이프에 클립을 이용하여 고정하는데, 클립은 상단이 인접된 데크재의 삽입홈에 끼워지고 하단이 사각파이프에 고정된다. 그리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데크재의 단부는 하나의 사각파이프에 지지되며,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데크재의 단부를 사각파이프에 고정시킨다.
그런데 종래에는 한 쌍의 데크재의 단부가 하나의 지지바에 고정되므로, 데크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가 데크재의 단부에 근접되어, 데크재가 외부온도 등의 요인으로 팽창 및 수축될 경우 상기 고정볼트에 의한 데크의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 쌍의 데크재가 하나의 사각파이프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데크재가 사각파이프에 의해 지지되는 면적이 작아서, 데크재가 수축하게 되면 지지하던 사각파이프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있고, 보행자가 상기 데크재를 밟게 되면 데크재가 하측으로 꺼지면서 상해를 입을 수 있어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295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서로 인접된 데크재를 하나의 지지바에 좀 더 간편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어 데크재가 지지바에서 이탈되거나 데크재의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전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고 지지바를 이중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편의성이 향상되며 비용이 절감되고, 지지바에 가설치될 수 있어 시공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며, 끼움홈의 깊이가 서로 다른 다양한 규격의 데크재에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우수하고, 울퉁불퉁한 측면의 데크재도 간편하게 정렬 설치될 수 있어 시공편의성이 더욱 더 향상되며, 데크재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서도 데크재의 정렬이 훼손되지 않아서 외관이 미려한 데크 체결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데크재(1)를 사각파이프(3)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데크체결용 클립(10)에 있어서, 상기 클립(10)은, 상기 사각파이프(3)의 폭방향으로 끼워지며 사각파이프(3)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U형상브래킷(20); 상기 브래킷(20)의 상단에서 사각파이프(3)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외향 연장되어 데크재(1)를 지지하는 데크지지날개(30,31); 상기 U형상브래킷(20)의 상측에서 상향 돌출된 상향돌출부(40,41); 및 상기 상향돌출부(40,41)의 상측에 구비되어 데크재(1)의 측면에 형성된 끼움홈(2)에 삽입되는 끼움판(50,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체결용 클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U형상브래킷(20)의 하측에서 하향 돌출된 하향돌출부(60)와, 상기 U형상브래킷(20)의 하단에서 사각파이프(3)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외향 연장되어 데크재(1)를 지지하는 보조데크지지날개(80,81)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데크지지날개(80,81)가 상측에 위치되도록 브래킷(20)이 사각파이프(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체결용 클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향돌출부(60)의 하단에 구비되어 데크재(1)의 끼움홈(2)에 삽입되는 보조끼움판(70,7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체결용 클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상기 사각파이프(3)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데크재(1) 사이의 틈새(4)를 따라 배치되고 저면에는 착탈돌기 또는 착탈홈(91)이 형성된 스트립(9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클립(10)의 하향돌출부(60)의 저면 중간부에는 상기 스트립(90)의 착탈돌기 또는 착탈홈(9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홈 또는 착탈돌기(6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체결용 클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U형상브래킷(20)은 사각파이프(3)의 양측면을 감싸며 각각 상기 상향돌출부(40,41) 및 끼움판(50,51)이 구비된 한 쌍의 수직부(21,22)와, 이 수직부(21,22)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23)로 이루어지고, 상향돌출부(40,41)에는 사각파이프(3)의 상면에 걸려지도록 내향 돌출된 내향걸림턱(42,43)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체결용 클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U형상브래킷(20)은 사각파이프(3)의 양측면을 감싸며 각각 상기 상향돌출부(40,41) 및 끼움판(50,51)이 구비된 한 쌍의 수직부(21,22)와, 이 한 쌍의 수직부(21,22)의 하단을 연결하며 하단에는 보조끼움판(70,71)이 구비된 하향돌출부(6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수직부(21,22)의 상단 및 하단에는 사각파이프(3)의 상면 및 저면을 감싸도록 내향 돌출된 연장부(26~29)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체결용 클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상향돌출부(40,41)는 U형상브래킷(20)의 양 단부에서 대향 배치되되 서로 인접된 한 쌍의 데크재(1) 중 서로 반대편에 위치된 데크재(1)에 각각 근접되도록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체결용 클립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립(10)의 사각파이프(3)에 장착되는 U형상브래킷(20)의 상단에서 사각파이프(3)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데크지지날개(30,31)가 데크재(1)의 저면을 지지하므로, 데크재(1)가 사각파이프(3) 뿐만 아니라 데크지지날개(30,31)에 의해서도 지지되어 지지되는 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에, 데크재(1)가 구조적으로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보행자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때,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데크재(1)의 길이방향 단부가 하나의 사각파이프(3)에 함께 지지될 때, 데크재(1)가 수축되더라도 클립(10)의 데크지지날개(30,31)에 의해 지지되므로 사각파이프(3)에서 완전히 이탈됨에 따라 보행자가 데크재(1)를 밟을 경우 데크재(1)가 푹 꺼지는 것이 방지되어 보행자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데크재(1)를 클립(10)의 데크지지날개(30,31)에 고정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어 데크재(1)의 고정볼트의 결합부위가 데크재(1)의 단부에서 좀 더 이격되므로, 데크재(1)의 팽창과 수축에 의해 결합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데크재(1)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클립(10)의 U형상브래킷(20)의 상단에 끼움판(50,51) 및 데크지지날개(30,31)가 구비되고 하단에 보조끼움판(70,71)과 보조데크지지날개(80,81)가 구비되어, 클립(10)을 사각파이프(3)에 상하 구분하지 않고 장착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이때, 설치장소 등의 상태를 고려하여 클립(10)을 양방향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상기 클립(10)의 하단에 하향돌출부(60) 및 보조데크지지날개(80,81)가 구비되어 클립(10)을 양방향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단일의 클립(10)을 이용하여 끼움홈(3)이 형성된 데크재(1)와 끼움홈(3)이 형성되지 않은 데크재(1)를 모두 단일의 클립(10)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성 및 시공편의성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된다.
그리고 상기 클립(10)의 보조끼움판(70,71)이 형성된 하단에 스트립(90) 장착을 위한 착탈돌기(91) 또는 착탈홈이 형성되어, 폭방향으로 이격된 데크재(1)를 연결할 때 끼움판(50,51)을 이용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데크재(1)의 틈새(4)를 마감하는 스트립(90)을 장착하며 보조끼움판(70,71)을 이용하여 데크재(1)를 연결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일의 클립(10)을 이용하여 데크재(1)의 폭방향 연결 및 길이방향 틈새(4)를 마감을 할 수 있으므로, 각각 별개의 부품으로 데크재의 폭방향 연결 및 길이방향 틈새를 마감하는 것에 비해 별개의 부품을 제작할 필요가 없어 금형비용이 절감되고 작업현장에서 부품을 구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작업편의성이 향상된다. 이때, 클립(10)에 복수개의 착탈홈 또는 착탈돌기(61)가 이격 형성되어, 스트립(90)을 클립(10)에서 위치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설치환경 등에 의해 데크재(1)가 사각파이프(3)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스트립(90)이 틈새(4)를 효과적으로 마감할 수 있다.
그리고 클립(10)의 U형상브래킷(20)의 양 단부에는 내향걸림턱(42,43)이 내향 돌출되어 사각파이프(3)의 상면에 걸려지므로, 클립(10)의 끼움돌기(40,41)가 데크재(1)의 끼움홈(2)에 끼우지 않고도 클립(10)을 사각파이프(3)에 가조립시킬 수 있어 데크재(1)의 시공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클립(10)의 상단 및 하단에서 사각파이프(3)의 상면 및 저면을 감싸는 연장부(26~29)가 내향 돌출되므로, 클립(10)을 사각파이프(3)에 가조립시킬 수 있어 시공편의성이 향상되며 데크재(1)가 사각파이프(3)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므로 데크재(1)가 결로에 의해 부식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클립(10)의 U형상브래킷(20)의 양단부에서 돌출된 한 쌍의 상향돌출부(40,41)가 상측의 끼움판(50,51)이 삽입되는 한 쌍의 데크재(1)와 근접되도록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므로, 상향돌출부(40,41)가 인접된 한 쌍의 데크재(1) 중 일측 데크재(1)와 이격되기 때문에, 타측 데크재(1)가 팽창될 경우 상향돌출부(40,41)가 일측 데크재(1)까지 이동될 수 있어 데크재(1)의 팽창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재(1)가 팽창되면서 인접된 데크재(1)의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보행자가 상향 돌출된 데크재(1)에 걸려 넘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사고가 예방되고, 클립(10)이 데크재(1)의 팽창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어 클립(10)의 교체 및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클립(10)이 데크재(1)를 완충시킬 수 있으므로, 끼움홈(2)의 깊이가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여러 형태의 데크재(1)에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데크재(1)의 끼움홈(2)이 형성된 측면이 매끄럽지 않고 울퉁불퉁할 경우에도 데크재(1)를 완충시키면서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한편, 상기와 같이 클립(10)의 한 쌍의 상향돌출부(40,41)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므로, 상향돌출부(40,41) 및 끼움판(50,51)이 데크재(1)의 끼움홈(2)에서 이탈될 수 있는 거리가 좀 더 확보되어 데크재(1)를 클립(10)에서 좀 더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데크재(1)의 유지보수 및 교체가 좀 더 용이하다. 그리고 한편, 끼움판(50,51)의 적어도 저면에 선단으로 갈수록 상향된 테이퍼부 또는 상향 만곡진 만곡부(52)가 형성되어, 클립(10)의 끼움판(50,51)가 데크재(1)의 끼움홈(2)에서 용이하게 이탈되므로, 데크재(1)의 유지보수 및 교체가 더욱 용이하다.
그리고 한편, 클립(10)의 U형상브래킷(20)의 상단에 데크재(1)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위치정렬돌기(20a)가 구비되어, 데크재(1)간의 간격을 보다 일정하도록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으므로, 데크재(1)를 보다 신속하면서도 미려하게 시공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와 같이 데크재(1)가 팽창되면서 위치정렬돌기(20a)를 타고넘어서 완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제1실시예의 클립의 체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상기 제1실시예의 클립의 체결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상기 제2실시예의 클립의 제1체결상태도
도 6은 상기 제2실시예의 클립을 거꾸로 보인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상기 제2실시예의 클립의 제2체결상태도
도 8은 상기 제2실시예의 제1 및 제2체결상태의 측면을 보인 도면
도 9는 상기 제2실시예의 변형례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상기 제3실시예의 클립의 체결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12는 상기 제3실시예의 클립의 체결상태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의 제4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상기 제4실시예의 클립의 체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상기 제4실시예의 클립의 체결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의 제5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7은 상기 제5실시예의 클립의 체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상기 제5실시예의 클립의 체결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의 제6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0은 상기 제6실시예의 클립의 체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1은 상기 제6실시예의 데크재의 인출을 보인 도면
도 22는 상기 제6실시예의 클립의 체결상태의 평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의 제7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4는 상기 제7실시예의 클립의 체결상태의 평단면도
도 25는 상기 제7실시예의 클립의 체결상태의 측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의 제8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7은 상기 제8실시예의 클립의 체결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10)은 복수개의 데크재(1)를 사각파이프(3)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U형상브래킷(20), 데크지지날개(30,31), 상향돌출부(30,31) 및 끼움판(40,41)을 포함한다. 이때, 사각파이프(3)는 수평설치되거나 수직설치될 수 있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수평설치된 것을 예시하였다. 도 1과 같이, 띠형상으로 연장된 데크재(1)가 사각파이프(3)와 크로스되도록 설치된다. 데크재(1)는 측면에 끼움홈(2)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U형상브래킷(20)은 사각파이프(3)의 폭방향으로 끼워지며 사각파이프(3)를 감싸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면 디귿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사각파이프(3)의 측방에서 끼워지거나 또는 대략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사각파이프(3)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지는 형태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과 같이, U형상브래킷(20)이 사각파이프(3)의 양측면을 감싸는 한 쌍의 수직부(21,22)와, 이 한 쌍의 수직부(23)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23)를 포함하여 사각파이프(3)를 감싸도록 대략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수평으로 배치된 사각파이프(3)에 아래에서 위로 끼워지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도 1과 같이, U형상브래킷(20)은 소정의 폭을 갖는 띠부재가 U자 형상으로 절곡 또는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띠부재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데크지지날개(30,31)는 U형상브래킷(20)의 상단에서 사각파이프(3)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외향 연장되어 데크재(1)의 저면을 지지한다. 데크지지날개(30,31)는 U형상브래킷(20)의 수직부(21,22)의 상단에서 외향 연장되는데, 도 1과 같이 U형상브래킷(20)의 양측 수직부(21,22)의 상단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일측 수직부(21,22)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데크지지날개(30,31)는 U형상브래킷(20)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데크지지날개(30,31)는 U형상브래킷(20)의 수직부(21,22)의 폭보다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U형상브래킷(20)의 수직부(21,22)에 데크지지날개(30,31)를 지지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24,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강재(24,25)는 U형상브래킷(20)의 수직부(21,22)과 데크지지날개(30,31)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판 형태인 것을 예시하였는데, 판 형태 이외에도 단면 사각, 원형, 타원형 등 데크지지날개(30,31)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재(1)를 지지하는 데크지지날개(30,31)의 강도가 향상되어, 데크재(1)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향돌출부(40,41)는 U형상브래킷(20)의 상단에서 상향 돌출되며 사각파이프(3)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향돌출부(40,41)는 데크지지날개(30,31)를 따라 길게 연장되며, 데크지지날개(30,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상향돌출부(40,41)는 U형상브래킷(20)의 한 쌍의 수직부(21,22)에서 각각 상측으로 돌출된 한 쌍을 예시하였다. 경우에 따라, U형상브래킷(20)이 단면 디귿자 또는 ∩형상일 경우에는 하나의 상향돌출부(40,41)가 U형상브래킷(20)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상향돌출부(40,41)는 U형상브래킷(20)의 수직부(21,22)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되 내향 돌출되지 않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따라, 도 2와 같이 U형상브래킷(20)을 사각파이프(3)에 좀 더 용이하게 끼울 수 있다. 상향돌출부(40,41)는 폭방향으로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끼움판(50,51)은 상향돌출부(40,41)의 상측에서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사각파이프(3)와 크로스배치된 데크재(1)의 끼움홈(2)에 삽입되는데, 도 1과 같이 한 쌍의 상향돌출부(40,41)에서 각각 돌출된 한 쌍을 예시하였다. 이 끼움판(50,51)은 상향돌출부(40,41)의 폭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데, 도 1과 같이, 상향돌출부(40,41)의 폭방향 양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10)은 U형상브래킷(20), 데크지지날개(30,31), 상향돌출부(40,41) 및 끼움판(50,51)이 일체가 되도록 수지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클립(10)은 어느 정도 탄성변형될 수 있다. 물론, 클립(10)이 탄성변형가능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10)의 U형상브래킷(20)을 도 2와 같이 수평으로 배치된 사각파이프(3)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운다. 그리고 클립(10)의 끼움판(50,51)을 사각파이프(3)와 크로스 배치된 데크재(1)의 끼움홈(2)에 끼운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된 두 개의 데크재(1)가 클립(10)에 의해 사각파이프(3)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데크재(1)와 클립(10)을 교호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데크재(1)를 사각파이프(3)에 설치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데크재(1)의 단부가 하나의 사각파이프(3)에 올려질 때, 데크재(1)의 단부가 사각파이프(3) 뿐만 아니라 클립(10)의 데크지지날개(30,31)에 의해 지지되어, 데크재(1)가 좀 더 넓은 면적이 지지되므로, 데크재(1)가 클립(10)에 의해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사각파이프(3)에 설치된다. 이때, 도시안된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데크재(1)를 클립(10)의 데크지지날개(30,31)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데크재(1)의 고정볼트에 의한 결합부위가 데크재(1)의 단부에서 좀 더 이격되므로, 종래에 비해 데크재(1)의 팽창과 수축에 의해서도 상기 결합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데크재(1)가 외부온도 등에 의해 수축되더라도 데크재(1)가 클립(10)의 데크지지날개(30,31)에 의해서도 지지되므로, 사각파이프(3)에서 이탈되어 보행자가 데크재(1)를 밟을 경우 푹 꺼지는 것이 방지되어, 보행자의 보행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0)은 하향돌출부(60) 및 보조데크지지날개(80,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향돌출부(60)는 U형상브래킷(20)의 하단에서 하향 돌출되며 사각파이프(3)의 폭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U형상브래킷(20)이 한 쌍의 수직부(21,22)를 연결부(23) 대신 하향돌출부(60)가 연결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U형상브래킷(20)의 한 쌍의 수직부(21,22)를 연결부(23)가 연결하고 하향돌출부(60)가 연결부(23)에서 하향 돌출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보조데크지지날개(80,81)는 U형상브래킷(20)의 하단에서 사각파이프(3)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외향 연장되어 데크재(1)를 지지한다. 즉, 보조데크지지날개(80,81)가 상측에 위치되도록 브래킷(20)을 사각파이프(3)에 결합시킬 때, 보조데크지지날개(80,81)가 데크재(1)를 지지하게 된다. 보조데크지지날개(80,81)는 U형상브래킷(20)의 수직부(21,22)에서 돌출된 보조보강재(82,83)에 의해 보강되며, 보조보강재(82,83)는 보강재(24,25)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은 보조끼움판(70,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끼움판(70,71)은 하향돌출부(60)의 하단에서 하향돌출부(6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데크재(1)의 끼움홈(2)에 삽입된다.
도 5 및 도 8의 (a)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10)을 끼움판(50,51)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U형상브래킷(20)을 사각파이프(3)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운다. 이에 따라, 끼움판(50,51)이 데크재(1)의 끼움홈(2)에 삽입되어 데크재(1)를 연결조립하게 된다. 이때, 데크지지날개(30,31)가 데크재(1)의 단부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도 6 및 도 8의 (b)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10)을 보조끼움판(70,71)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U형상브래킷(20)을 사각파이프(3)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운다. 이에 따라, 보조끼움판(70,71)이 데크재(1)의 끼움홈(2)에 삽입되어 데크재(1)를 연결조립하게 된다. 이때, 보조데크지지날개(80,81)가 데크재(1)의 단부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은 도 4 및 도 6과 같이 하향돌출부(6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데크재(1) 사이의 틈새(4)를 따라 배치되며 저면에 착탈홈(91) 또는 착탈돌기가 구비된 스트립(90)을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착탈돌기(61) 또는 착탈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트립(90)은 폭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폭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6과 같이, 클립(10)의 하향돌출부(60)의 중간부에 착탈돌기(61) 또는 착탈홈이 형성됨에 따라 보조끼움판(70,71)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7과 같이, 클립(10)을 보조끼움판(70,71)이 상측에 배치되도록 사각파이프(3)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우는데,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데크재(1)의 단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사각파이프(3)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클립(10)을 이격 설치한다. 그리고 스트립(90)의 착탈홈(91) 또는 착탈돌기의 양단부를 한 쌍의 클립(10)의 착탈돌기(61) 또는 착탈홈에 결합시키면, 도 8의 (b)와 같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데크재(1) 사이의 틈새(4)가 스트립(90)에 의해 마감되며, 데크재(1)가 팽창 및 수축되더라도 스트립(90)의 신축에 의해 상기 틈새(4)가 지속적으로 마감되어 이물질 유입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은 도 4 내지 도 8과 같이 사각파이프(3)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워서 데크재(1)들을 연결조립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데크재(1) 사이의 틈새(4) 부위에는 사각파이프(3)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서 상기 틈새(4)를 마감하는 스트립(90)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틈새(4)가 형성되는 부위에 스트립(90) 연결을 위해 다른 형태의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단일의 클립(10)을 이용하여 상기 틈새(4)가 형성되지 않는 부위와 틈새(4)가 형성되는 부위에 스트립(90)을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우수하고 단일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감되며 작업현장에서 서로 다른 두 개의 클립을 구별하여 사용하는 것에 비해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은 하향돌출부(60)에 복수개의 착탈돌기(61) 또는 착탈홈이 하향돌출부(60)의 길이방향이며 사각파이프(3)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와 같이 스트립(90)을 클립(10)의 복수개의 착탈돌기(61) 또는 착탈홈 중 어느 일측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스트립(9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데크재(1)의 시공시 외부환경 등에 의해 데크재(1)가 사각파이프(3)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스트립(90)도 함께 간편하게 이동시켜 시공할 수 있으므로, 틈새(4)를 효과적으로 마감할 수 있고 시공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을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0)이 측면에 끼움홈(2)이 형성되지 않은 형태의 데크재(1)의 시공시에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클립(10)이 제2실시예에서 보조끼움판(70,71)이 구비되지 않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과 같이, 끼움홈(2)이 형성되지 않은 데크재(1)를 사용할 경우, 클립(10)을 하향돌출부(60)가 상측에 위치되도록 사각파이프(3)에 결합시키면, 도 11과 같이 끼움판(50,51)에 의해 데크재(1)간의 간격이 간섭되지 않고 하향돌출부(60)에 의해 데크재(1)의 간격이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데크재(1)를 고정수단(100)으로 보조데크지지날개(80,8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끼움홈(2)이 형성되지 않은 데크재(1)는 도 11의 (a)와 같이 하향돌출부(60)가 상향되도록 클립(10)을 사각파이프(3)에 결합시켜 데크재(1)를 설치하고, 끼움홈(2)이 형성된 데크재(1)는 끼움판(50,51)이 상향되도록 클립(10)을 사각파이프(3)에 결합시켜 데크재(1)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단일의 클립(10)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데크재(1)를 시공할 수 있어 범용성 및 시공편의성이 우수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2와 같이, 하향돌출부(60)의 양 단부에는 한 쌍의 데크재(1) 중 서로 반대쪽에 위치된 데크재(1)로 근접되는 형태로 돌출된 날개(62,6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2와 같이, 데크재(1)가 외부온도 등에 의해 팽창될 때 클립(10)의 날개(62,63)에 의해 완충되므로 데크재(1)간의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을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상향돌출부(40,41)에서 U형상브래킷(2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사각파이프(3)의 상면에 걸려지는 내향걸림턱(42,4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내향걸림턱(42,43)이 사각파이프(3)에 걸려지므로, 클립(10)을 사각파이프(3)에 가조립된 상태로 끼움판(50,51)을 데크재(1)의 끼움홈(2)에 끼울 수 있어 시공편의성이 향상된다. 내향걸림턱(42,43)은 제1실시예에서도 가능하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을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U형상브래킷(20)의 수직부(21,22)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U형상브래킷(2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사각파이프(3)의 상면 및 저면을 감싸는 연장부(26~2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각 연장부(26~29)는 데크지지날개(30,31) 및 보조데크지지날개(80,81)에서 일체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연장부(26~29)가 사각파이프(3)의 상면 및 저면을 감싸므로, 도 17 및 도 18과 같이 U형상브래킷(20)을 사각파이프(3)에 장착할 때 연장부(26~29)가 사각파이프(3)에 걸려져서 U형상브래킷(20)이 사각파이프(3)에 안정적으로 가조립될 수 있어 시공편의성이 더욱 더 향상된다. 그리고 연장부(26~29)에 의해 데크재(1)가 사각파이프(3)와 면접촉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데크재(1)가 사각파이프(3)와 접촉에 의해 결로발생이 방지된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을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U형상브래킷(20)의 한 쌍의 수직부(21,22)에서 각각 돌출된 한 쌍의 상향돌출부(40,41)가 대향 배치되되 서로 인접된 한 쌍의 데크재(1) 중 각각 반대편에 위치된 데크재(1)에 근접되도록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상향돌출부(40,41)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상향돌출부(40,41)의 폭방향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이 서로 일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도 22의 (a)와 같이, 한 쌍의 상향돌출부(40,41)는 서로 반대쪽 측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각각 일측 데크재(1)와 타측 데크재(1)에 근접되도록 U형상브래킷(20)에서 돌출된다. 이에 따라, 도 22의 (a)와 같이, 일측 데크재(1)가 일측 상향돌출부(40)에만 접촉되고 타측 데크재(1)는 타측 상향돌출부(41)에만 접촉되므로, 일측 및 타측 상향돌출부(40,41)와 타측 및 일측 데크재(1)가 서로 이격되어, 도 21의 (b)와 같이 데크재(1)가 온도 등의 요인으로 팽창할 경우 일측 상향돌출부(40,41)가 타측 데크재(1)까지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데크재(1)의 팽창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9 내지 도 21과 같이, 한 쌍의 끼움판(50,51)은 서로 인접된 한 쌍의 데크재(1)의 끼움홈(2)에 각각 삽입되도록 각 상향돌출부(40,41)의 상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끼움판(50,51)은 상향돌출부(40,41)의 상단에서 일체로 직각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을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데크재(1)를 하자 보수 또는 교체하고자 할 때, 도 21과 같이 사각파이프(3)에서 분리시켜야 할 데크재(1)의 끼움홈(2)에 끼워진 클립(10)의 일측 끼움판(40)만 분리시키면 데크재(1)를 클립(1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클립(10)이 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탄성변형될 수 있으므로, 클립(10)의 U형상브래킷(20)의 일측 수직부(21)를 밀어주면 상기 일측 수직부(21)에 형성된 끼움판(50)이 데크재(1)의 끼움홈(2)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보수 또는 교체하고자 하는 데크재(1)만 사각파이프(3)에서 좀 더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9와 같이 끼움판(50,51)의 적어도 저면에 선단으로 갈수록 상향된 테이퍼부 또는 상향 만곡진 만곡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립(10)의 끼움판(50,51)이 데크재(1)의 끼움홈(2)에서 용이하게 이탈되므로, 데크재(1)의 유지보수 및 교체가 더욱 용이하다. 상기 만곡부(52)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은 물론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을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6실시예의 다른 변형례로서, 한 쌍의 상향돌출부(40,41)의 일측면에서 일부가 엠보(44,45)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상향돌출부(40,41)가 상기 엠보(44,45)에 의해 서로 어긋나는 형태가 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끼움판(50,51)이 상향돌출부(40,41)의 폭방향 양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예시하였는데, 제6실시예와 같이 한쪽으로만 돌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클립(10)을 제6실시예와 같이 사각파이프(3)에 설치하면, 도 24의 (b)와 같이 온도 등의 요인으로 데크재(1)가 폭방향으로 팽창될 경우, 클립(10)의 상향돌출부(40,41)가 서로 인접된 한 쌍의 데크재(1) 중 어느 일측 데크재(1)와 이격되므로, 탄성변형가능한 클립(10)의 상향돌출부(40,41)가 상기 일측 데크재(1)로 이동되면서 타측 데크재(1)의 팽창을 완충시킬 수 있어, 타측 데크재(1)가 일측 데크재(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보행자가 돌출된 데크재(1)에 걸려서 넘어지는 것이 예방되므로 안전성이 향상되며, 데크재(1)의 상향 돌출로 인해 클립(10)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어 클립(10)의 교체 및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된 데크재(1)를 하자 보수 또는 교체하고자 할 때, 상기와 같이 상향돌출부(40,41)가 유격을 통해 이동가능하므로, 상향돌출부(40,41)를 이동시킴에 따라 끼움판(50,51)을 데크재(1)의 끼움홈(2)에서 좀 더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데크재(1)를 사각파이프(3)에서 용이하게 분리시켜 하자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하자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3 및 도 25에서와 같이, 클립(10)에는 데크재(1)가 클립(10)에 위치정렬되도록 해주는 위치정렬돌기(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위치정렬돌기(20a)는 데크재(1)가 팽창되면 타고 넘을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위치정렬돌기(20a)로 인해 데크재(1)가 보다 정밀하게 위치정렬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데크 체결용 클립을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6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례로서, 한 쌍의 상향돌출부(40,41)는 각각의 단부에서 한 쌍의 데크재(1) 중 서로 반대쪽에 위치된 데크재(1)로 근접되도록 날개(46,47) 형태로 측방으로 돌출된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제1 내지 제8실시예에서 각각 설명한 부분은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만곡부(52)는 제6실시예에서만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데크재 2 : 끼움홈
3 : 사각파이프 10 : 클립
20 : U형상브래킷 21,22 : 수직부
23 : 연결부 30,31 : 데크지지날개
40,41 : 상향돌출부 42,43 : 내향걸림턱
50,51 : 끼움판 60 : 하향돌출부
70,71 : 보조끼움판 80,81 : 보조데크지지날개
90 : 스트립

Claims (7)

  1. 데크재(1)를 사각파이프(3)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데크체결용 클립(10)에 있어서,
    상기 클립(10)은,
    상기 사각파이프(3)의 폭방향으로 끼워지며 사각파이프(3)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U형상브래킷(20);
    상기 U형상브래킷(20)의 상단에서 사각파이프(3)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외향 연장되어 데크재(1)를 지지하는 데크지지날개(30,31);
    상기 U형상브래킷(20)의 상측에서 상향 돌출되며, 일측에는 사각파이프(3)의 상면 또는 저면에 걸려지도록 내향 돌출된 내향걸림턱(42,43)이 구비된 상향돌출부(40,41);
    상기 상향돌출부(40,41)의 상측에 구비되어 데크재(1)의 측면에 형성된 끼움홈(2)에 삽입되는 끼움판(50,51);
    상기 U형상브래킷(20)의 하측에서 하향 돌출된 하향돌출부(60);
    상기 하향돌출부(60)의 하단에 구비되어 데크재(1)의 끼움홈(2)에 삽입되는 보조끼움판(70,71);
    상기 U형상브래킷(20)의 하단에서 사각파이프(3)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외향 연장되어 데크재(1)를 지지하는 보조데크지지날개(80,81);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데크지지날개(80,81)가 상측 또는 하측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사각파이프(3)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상기 사각파이프(3)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데크재(1) 사이의 틈새(4)를 따라 배치되고 저면에는 착탈돌기 또는 착탈홈(91)이 형성된 스트립(9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클립(10)의 하향돌출부(60)의 저면에는 상기 스트립(90)의 착탈돌기 또는 착탈홈(9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착탈홈 또는 착탈돌기(6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체결용 클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향돌출부(40,41)는 U형상브래킷(20)의 양 단부에서 대향 배치되되 서로 인접된 한 쌍의 데크재(1) 중 서로 반대편에 위치된 데크재(1)에 각각 근접되도록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체결용 클립.
KR1020210018993A 2021-02-10 2021-02-10 데크 체결용 클립 KR102524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993A KR102524469B1 (ko) 2021-02-10 2021-02-10 데크 체결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993A KR102524469B1 (ko) 2021-02-10 2021-02-10 데크 체결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595A KR20210022595A (ko) 2021-03-03
KR102524469B1 true KR102524469B1 (ko) 2023-04-20

Family

ID=7515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993A KR102524469B1 (ko) 2021-02-10 2021-02-10 데크 체결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4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850B1 (ko) * 2021-04-13 2021-10-21 서부금속산업 주식회사 데크설치용 패널고정구
CN113431293B (zh) * 2021-06-29 2022-11-18 安徽森泰木塑科技地板有限公司 一种户外地板的免钉安装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180B1 (ko) * 2018-04-25 2018-11-19 황재순 데크 결합용 클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281A (ko) * 2013-02-07 2013-03-26 주식회사 영산이앤지 합성목재데크의 클립 체결구조 시공시 합성목재데크의 수팽창으로 인한 합성목재데크의 밀림방지 시공방법
KR102062957B1 (ko) 2017-09-25 2020-01-06 이나영 데크 체결용 클립
KR102420341B1 (ko) * 2020-08-28 2022-07-13 김지용 데크 체결용 클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180B1 (ko) * 2018-04-25 2018-11-19 황재순 데크 결합용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595A (ko)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4469B1 (ko) 데크 체결용 클립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DK201370486A1 (en) A connector element for use in a flashing assembly for roof windows mounted side-by-side and a method for mounting a flashing assembly
KR101028507B1 (ko) 마감콘크리트가 필요 없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시공방법
KR102256356B1 (ko) 데크조립체
KR102420341B1 (ko) 데크 체결용 클립
EP3282064B1 (en) A connector set for use in a flashing assembly for roof windows mounted side-by-side
KR100987143B1 (ko)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
JP5601620B2 (ja) 予め組み立てられた吊り天井格子
KR102058423B1 (ko)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948812B1 (ko)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KR20200141926A (ko) 데크 체결용 클립
KR200465511Y1 (ko)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KR1016421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102618856B1 (ko)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KR102170261B1 (ko)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KR101891322B1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200484470Y1 (ko) 트렌치 커버
KR200482083Y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가지는 데크로드용 f자형 연결프레임 및 데크로드 시스템
KR101663825B1 (ko) 자석을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20220015681A (ko) 익스펜션 조인트 및 그 시공방법
KR102022849B1 (ko) 층고 낮춤 구조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KR20110008084U (ko) 방수턱 거푸집
KR200350314Y1 (ko) 펜스 조립체
KR200482005Y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가지는 데크로드용 십자형 보강프레임 및 데크로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