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312B1 - 타일블럭벽체 - Google Patents

타일블럭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312B1
KR940008312B1 KR1019900011857A KR900011857A KR940008312B1 KR 940008312 B1 KR940008312 B1 KR 940008312B1 KR 1019900011857 A KR1019900011857 A KR 1019900011857A KR 900011857 A KR900011857 A KR 900011857A KR 940008312 B1 KR940008312 B1 KR 940008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block
piece
tile
protrusio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573A (ko
Inventor
모도가쯔 후나끼
Original Assignee
간단뷰띠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모도가쯔 후나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간단뷰띠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모도가쯔 후나끼 filed Critical 간단뷰띠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일블럭벽체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타일블럭벽체를 표시한 부분개략 종단면도.
제2도는 동 부분 사시도.
제3도는 동 유지금구의 일부를 절제한 측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동 타일블럭의 사시도 및 종단측면도.
제6도는 동 타일블럭의 착설순서를 설명하는 종단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의한 타일블럭벽체를 표시한 부분사시도.
제9도는 제3실시예의 유지금구를 표시한 부분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타일블럭벽체를 표시한 부분사시도.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 및 제6실시예에 의한 타일블럭벽체를 표시한 부분사시도.
제13도는 종래의 타일블럭벽체를 표시한 부분개략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건축물의 몸체 12 : 유지금구
12a : 고정부 12b : 상돌편
12c : 돌출부 12d : 계합부
12e : 하돌편 13 : 타일블럭
13a : 상돌조 13b : 하돌조
13c : 계합
Figure kpo00001
조 13d : 소돌기
13e :
Figure kpo00002
부 14 : 착설판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벽, 내장벽 등에 사용하는 타일블럭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와 같은 타일블럭벽체로서 특개평1-29596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것이 있었다. 이 타일블럭벽체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몸체(1)측에 직접(또는 기초제를 개재하여)고정되는 판상의 취부부재 겸용의 유지금구(2) 표면에 상, 하돌편(2a)(2b) 및 소돌편(2c)을 1조로 하여 돌출시키고 이들의 여러조를 상하 및 좌우에 소정간격으로 배설하고 있다. 횡방향으로 긴형상의 타일블럭(3) 이면에 상, 하돌조(3a)(3b)를 상하방향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횡방향 전체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표면측 및 하부이면측에 상부절결턱(3c) 및 하부절결턱(3d)을 횡방향 전체에 형성하고, 상기 유지금구(2)의 상, 하돌편(2a)(2b)에 타일블럭(3)의 상, 하돌조(3a)(3b) 사이의 간격부를 끼우고 있다. 또 탄성재료로 된 지지금구(4)의 종편(4a) 하단부를 유지금구(2)의 소돌편(2c)상에 지지시키고, 지지금구(4)의 종편(4a) 상단부에서 경사표면측의 상향으로 돌출된 상돌편(4b)을 유지금구(2)의 하돌편(2b) 하면에 지지하고, 상기 종편(4a) 상단부에서 경사표면측의 하향으로 돌출하는 하돌편(4c)의 선단부를 타일블럭(3)의 하돌조(3b) 상면에 계지하고, 타일블럭(3)의 상돌조(3a) 하면을 유지금구(2)의 상돌편(2a) 상면에 지지하므로서, 지지금구(4)의 상, 하돌편(4b)(4c)의 탄성력에 의하여 타일블럭(3)의 상, 하돌조(3a)(3b)의 대향하는 하, 상면을 지지하고, 타일블럭(3)을 유지금구(2)의 상, 하돌편(2a)(2b) 사이에 유지고정하고 있다. 또한 상, 하방향에 인접하는 타일블럭(3)(3)의 상, 하측연부를 상기 절결부(3d)(3e)를 이용하여 표리방향으로 중첩시키고, 상, 하방향에 인접하는 타일블럭(3)(3)의 표면을 동일수직면상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타일블럭벽체는 유지금구(2)와 타일블럭(3)에 지지금구(4)를 더하고 있으므로, 부품수가 많고, 또 타일블럭(3)의 착설작업이 번거로워서 이 작업에 장시간을 요하고 특히 상방에서 하방으로 타일블럭(3)을 장착할 경우에는 제13도의 화살표 a와 같이 타일블럭(3)을 경사하방에서 몸체측에 삽입하고 화살표 b로 표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내려서 다시 화살표 c와 같이 타일블럭(3)의 하부를 건축물의 몸체(1)측에 밀어넣어 타일블럭(3)의 하돌조(3b)와 유지금구(2)의 하돌편(2b)와의 사이에 지지금구(4)의 상, 하돌편(4b)(4c)를 탄성변형시켜서 개재시키는 3동작을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타일블럭(3)의 착설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유지금구와 타일블럭만을 사용하고, 또한 타일블럭의 형상이 단순하면서도 타일블럭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장착하는 경우에도, 반대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장착할 경우에도 2동작만으로 작업성이 양호하게 장착할 수 있는 타일블럭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일블럭벽체는 건축물의 몸체측에 고정된 유지금구에 의하여 타일블럭을 유지고정시키는 타일블럭벽체로서, 상기 유지금구는 탄성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측의 고정부에서 표면측으로 하향경사지게 돌출하는 상돌편과, 상기 고정부에서 표면측으로 대략 수평으로 돌출된 돌출부의 선단을 상향 경사지게한 계합부를 역으로 절곡시킨 하돌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타일블럭은 상면기부에 계합
Figure kpo00003
조를 형성한 상돌조와, 하면의 선단부에 계지소돌기를 돌출시킨 하돌조를 상, 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이면에 형성하여 횡방향으로 길게 돌출시킴과 동시에 상돌조의 상부표면측 및 하돌조의 하부이면측에 각기 횡방향의 상부 절격턱 및 하부절격턱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유지구의 상돌편에 상기 타일블럭의 상돌조의 상면을 지지시키고, 상기 상돌조의 계합
Figure kpo00004
조를 상기 상돌편의 선단부에 계합시키며, 상기 하돌편의 계합부에는 상기 하돌조의 계지소돌기에 의해 기부측부분을 계합탄성 지지시켜서 유지금구에 타일블럭이 유지고정되게 하고, 다시 상, 하방향에 인접하는 타일블럭의 상, 하연부를 표리방향에서 중합시킨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타일블럭벽체는 종래에 사용하던 지지금구등의 각각의 부재를 사용하는 일없이 유지금구와 타일블럭만을 사용하고, 또 타일블럭의 이면에 상, 하돌조만을 형성한 단순한 형상이다. 또한 상기 타일블럭의 상, 하돌조의 상, 하면을 건축물의 몸체측에 고정시킨 유지금구의 상, 하돌편의 하, 상에 지지시킨다. 즉 상, 하돌조간에 상기 상, 하돌편을 위치시킴으로서, 타일블럭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장착할 경우에도, 상방에서 하방으로 장착할 경우에도 타일블럭을 경사하방에서 몸체측으로 삽입하고, 타일블럭의 하부를 몸체측에 밀어넣는 2동작만으로 유지금구에 타일블럭을 유지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유지금구의 하돌편은 그 고정부에서 표면측에 대략 수평으로 돌출한 돌출부의 선단에서 계합부를 이면측 상향 경사방향으로 역절곡하였기 때문에 타일블럭 하부를 밀어넣을때 하돌편의 돌출단에 타일블럭의 하돌조가 걸릴염려가 없고, 이 하돌조로 상기 계합부 또는 계합부와 돌출부를 탄성변형시켜서 원활하게 타일블럭의 하부를 밀어넣을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6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11은 건축물의 몸체, 12는 착설판(14)을 개재하여 상기 몸체(11)에 고정된 유지금구, 13은 유지금구(12)에 유지고정되는 타일블럭이다.
상기 유지금구(12)는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등의 탄성금속판을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것으로, 상하방향 중간부의 고정부(12a) 상측연에서 표면측으로 하향경사지게 굴곡하여 상돌편(12b)이 돌출되고, 이 상돌편(12b)의 선단부는 상측에 절곡중첩되어 2중판으로 구성되었다. 또 고정부(12a) 하측연에서 표면측으로 대략 직각이 되게 굴곡시킨 돌출부(12c)가 돌출되고 이 돌출부(12c)의 선단에서 예각으로 굴곡하여 상향경사지게한 계합부(12d)가 역으로 절곡되어서 돌출부(12c)와 계합부(12d)로 이루어진 하돌편(12e)이 구성되었다. 또한, 상돌편(12b)은 하돌편(12e)의 계합부(12d)와 돌출부(12c)보다 돌출폭이 작고, 상기 상, 하돌편(12b)(12e)은 유지금구(12)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수평이 되게 배치되었다.
상기 타일블럭(13)은 제1도, 제2도,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이 횡방향으로 길다린 장방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면에는 상부에 상돌조(13a)가, 하부에 하돌조(13b)가 타일블럭(13)의 횡방형 전길이에 걸쳐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었으며, 상돌조(13a)와 하돌조(13b)와의 사이에는 개미홈 형상의
Figure kpo00005
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돌조(13a)의 상면기부에는 계합
Figure kpo00006
조(13c)가 횡방형 전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하돌조(13b)에는 하면의 선단부에 계지소돌기(13d)가 형성되고, 이 소돌기(13d)에서 기부측에는 기부에서 선단을 향하여 상향경사진
Figure kpo00007
부(13e)가 형성되며, 상기 소돌기(13d)의 하면에도 상기
Figure kpo00008
부(13e)와 평행한 경사가 형성되고, 상, 하돌조(13a)(13b)의 상측 최선단면에는 원호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타일블럭(13)의 상부표면측 및 하부이면측의 하돌조(13b) 하방에는 횡방향의 전길이에 걸쳐서 상부절결턱(13f) 및 하부절결턱(13g)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부재를 가진 제1실시예의 타일블럭벽체를 구축하는데는, 유지금구(12)의 고정부(12a)를 볼트등의 고정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몸체(11)의 표면에 착설판(14)을 게재하여 이것과 함께 체결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제6도의 화살표 a로 표시한 바와 같이 타일블럭(13)을 경사하방에서 몸체(11)측에 밀어넣고, 다음에 화살표 b로 표시한 바와 같이 타일블럭(13)의 하부를 몸체(11)측에 밀어넣는 2동작에 의하여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일블럭(13)을 유지금구(12)에 유지고정시킬 수가 있다. 즉 유지금구(12)의 상돌편(12b)의 하측에 타일블럭(13)의 상돌조(13a) 상면을 지지시키고, 상돌조(13a)의 계합
Figure kpo00009
조(13c)를 상기 상돌편(12b)의 선단부에 계합시키고, 유지금구(12)의 하돌편(12e)상에 타일블럭(13)의 하돌조(13b)를 위치시키고, 하돌조(13b)의 계지소돌기(13d)에 의해 기부의
Figure kpo00010
부(13e)를 하돌편(12e)의 계합부(12d)에 계합시키고, 하돌편(12e)의 돌출단에 계지소돌기(13d)의
Figure kpo00011
부(13e) 측단을 계지시키고, 계합부(12d) 또는 계합부(12d)와 돌출부(12c)로 된 하돌편(12e) 전체의 탄성복원력으로 하돌조(13b)를 밀어올리도록 지지하고, 유지금구(12)의 상, 하돌편(12b)(12e)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타일블럭(13)의 상, 하돌조(13a)(13b)를 상, 하방에서 탄성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유지금구(12)에 타일블럭(13)을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하여 타일블럭(13)을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여러개 장착하므로서 타일블럭벽체를 구축하고, 상, 하방향에 인접하는 타일블럭(13)(13)의 하부와 상부절결턱(13g)(13f)을 사용하여 타일블럭(13)(13)의 하, 상연부를 표리방향으로 중합하여 타일블럭(13)(13)의 표면을 동일수직면에 위치시킨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건축물의 몸체측에 소정간격으로 수직설치된 해트(hat)형 단면의 강제 등으로 된 착설부재 즉, 착설기둥(15)의 플랜지부(15a)에 제1실시예의 유지금구와 동일한 유지금구(12)의 고정부(12a)를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평으로 고정한 것 외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착설부재인 착설기둥과 유지금구(12)를 겸용시킨 것으로서, 유지금구(12)는 해트형 단면의 강제등으로 구성되고, 소정간격으로 여러개를 수직설치하여 건축물의 몸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좌, 우방향에 병렬되는 유지금구(12)의 좌, 우플랜지부(12f)에서 상, 하돌편(12b)(12e)을 한쌍으로하여 같은 높이로 각각 절개기립시키고, 이들을 1조로하여 상, 하방향에 여러조를 형성하고, 좌, 우 여러개의 유지금구(12)의 상, 하 1쌍의 상, 하돌편(12b)(12c)에 1개의 타일블럭(13)을 유지고정시킨 것 외에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같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착설부재인 착설판과 유지금구(12)를 겸용시킨 것으로서, 유지금구(12)는 강판등의 금속판으로 되었고, 건축물의 몸체에 수직으로 수직설치되어 있다. 또, 유지금구(12)의 판면에서 상, 하돌편(12b)(12e)을 1쌍으로 하여 이들을 상하 및 좌우방향에 각각 여러쌍 절개기립시키고, 좌, 우 여러쌍의 유지금구(12)의 상, 하돌편(12b)(12e)에 1개의 타일블럭(13)을 유지고성시킨 것 외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같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몸체(11)의 표면에 착설부재인 착설판(14)을 개재하여 고정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함께 체결고정하는 유지금구(12)의 고정부(12a) 상측연에서 돌출시킨 상돌편(12b)에 상방의 타일블럭(13)의 상돌조(13a)를 계합탄성 지지시키고, 상기 고정부(12a) 하측연에서 돌출시킨 하돌편(12e)의 하방에 인접하는 타일블럭(13)의 하돌조(13b)를 지지한 것 외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같다. 더욱이, 제5실시예에서는 유지금구(12)의 높이방향 치수가 제1실시예의 유지금구의 높이방향 치수보다 짧게되고, 유지금구(12)의 경량화와 재료의 절약이 가능하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착설판(14)에 유지금구의 상돌편(12b)을 겸용시키고 유지금구(12)의 고정부(12a) 및 하돌편(12e)을 상기 착설판(14)과 독립시킨 것이다. 즉, 착설판(14)에 상방으로 역으로 절곡하고 다시 하방으로 역으로 절곡한 3중판 구성의 착설부(14a)를 형성하고, 착설부(14a)의 상방에서 유지금구(12)의 고정부(12a)를 끼워 삽입하여 고정부(12a)를 착설부(14a)에 유지 고정하고 고정부(12a) 상측연에서 하돌편(12e)을 돌출시키고, 또 착설부(14a)의 하측연에서 상돌편(12b)을 돌출시켜서 하방에서 역으로 절곡하여 상돌편(12b)을 2중판으로 구성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5실시예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게 유지금구(12)의 상돌편(12b)에 타일블럭(13)의 상돌조(13a)를 탄성지지시키고 유지금구(12)의 하돌편(12e)의 상방에 인접한 타일블럭(13)의 하돌조(13b)를 지지시킨 것이다. 이 제6실시예의 전술한 이외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것과 대략 같은 구성이지만 제6실시예의 것은 착설판(14)을 건축물의 몸체(11)에 고정구로 고정하게 되면 유지금구(12)는 고정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착설판(14)에 유지고정이 된다.
본 발명은 여러개의 타일블럭(13)간에 형성되는 이음간격에 적당한 이음재를 충전하여도 좋고, 또 건축물의 몸체(11)에 착설판(14)이나 유지금구(12)를 직접 지지고정하는일 없이 단열재등 적당한 바닥재를 개재하여 고정시켜도 좋다. 더욱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벽에 한정되지 않고 내장벽등의 타일블럭벽체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일블럭벽체는 건축물의 몸체(11)측에 고정된 유지금구(12)에 의한 타일블럭(13)을 유지고정시키는 타일블럭벽체로서, 상기 유지금구(12)는 탄성금속판으로 되었고, 상기 몸체측으로의 고정부(12a)에서 표면측 경사하향으로 돌출한 상돌편(12b)과, 상기 고정부(12a)에서 표면측에 대략 수평으로 돌출한 돌출부(12c)의 선단에서 경사상향으로 계합부(12d)을 역으로 절곡한 하돌편(12e)을 가지고 있고, 상기 타일블럭(13)은 상면기부에 계합
Figure kpo00012
조(13c)를 형성한 상돌조(13a)와, 하면의 선단부에 계지소돌기(13d)를 돌출시킨 하돌조(13b)를 상, 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면에 횡방향으로 길게 돌출시킴과 동시에, 상부표면측 및 하부이면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절결턱(13f)(13g)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유지금구(12)의 상돌편(12b)에 상기 타일블럭(13)의 상돌조(13a)의 상면을 지지시키고 상기 상돌조(13a)의 계합
Figure kpo00013
조(13c)를 상기 상돌편(12b)의 선단부에 계합시키고, 상기 하돌편(12e)의 계합부(12d)에서 상기 하돌조(13b)의 계지소돌기(13d)에서 기부측 부분을 계합탄성 지지시켜서, 상기 유지금구(12)에 상기 타일블럭(13)을 유지고정하고, 다시 상, 하방향에 인접하는 타일블럭(13)의 연부를 표리방향으로 중첩하였으므로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사용하였던 지지금구 등의 별도부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유지금구(12)와 타일블럭(13)만을 사용하여 또는 타일블럭(13)의 이면에 단지 상, 하돌조(13a)(13b)를 설치하는 단순한 형상이기 때문에 이들의 재료를 저렴한 가격으로 얻게 된다.
또한 상기 타일블럭(13)의 상, 하돌조(13a)(13b)의 상, 하면을 건축물의 몸체측에 고정시킨 유지금구(12)의 상, 하돌편(12b)(12e)의 하, 상에 지지시킨다. 즉 상, 하돌조(13a)(13b)간에 상기 상, 하돌편(12b)(12e)을 위치시키므로서, 타일블럭(13)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장착할 경우에도, 상방에서 하방으로 장착할 경우에도, 타일블럭(13)을 경사하방에서 몸체(11)측에 삽입하고, 타일블럭(13)의 하부를 몸체(11)측에 밀어넣는 2동작만으로 유지금구(12)에 유지시킬수가 있고, 더욱이 유지금구(12)의 하돌편(12e)은 그 고정부(12a)로부터 표면측에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2c)의 선단에서 계합부(12d)를 이면측 경사상향으로 역으로 절곡하였으므로 타일블럭(13)하부를 밀어넣을때에 하돌편(12e)의 돌출단에 타일블럭(13)의 하돌조(13b)가 걸릴 염려가 없고, 이 하돌조(13b)로 상기 계합부(12d) 또는 계합부(12d)와 돌출부(12c)를 탄성변형시켜서 원활하게 타일블럭(13)의 하부를 밀어넣을 수가 있다. 따라서, 타일블럭(13)을 효율적으로 장착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건축물의 몸체(11)측에 고정한 유지금구(12)에 의하여 타일블럭(13)을 유지고정시키는 타일블럭벽체에 있어서, 상기 유지금구(12)는 탄성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1)측으로의 고정부(12a)에서 표면측 경사하향으로 돌출하는 상돌편(12b)과 상기 고정부(12a)에서 표면측에 대략 수평으로 돌출된 돌출부(12c)의 선단에서 경사상향으로 계합부를 역으로 절곡한 하돌편(12e)을 가지고 있고, 상기 타일블럭(13)은 상면기부에 계합
    Figure kpo00014
    조(13c)를 형성한 상돌조(13a)와, 하면의 선단부에 계지소돌기(13d)를 돌출시킨 하돌조(13b)를 상, 하방향에 간격을 두고 이면에 횡방향으로 길게 돌출시킴과 동시에 상부표면측 및 하부이면측에 각각 횡방향의 상부 및 하부절결턱(13f)(13g)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유지금구(12)의 상돌편(12b)에 상기 타일블럭(13)의 상돌조(13a)의 상면을 지지시키고, 상기 상돌조(13a)의 계합
    Figure kpo00015
    조(13c)를 상돌편(12b)의 선단부에 계합시키고, 상기 하돌편(12e)의 계합부(12d)에 상기 하돌조(13b)의 계지소돌기(13d)에서 기부측 부분을 계합탄성지지시켜서 상기 유지금구(12)에 상기 타일블럭(13)을 유지고정하고, 다시 상, 하방향에 인접한 타일블럭(13)의 하, 상연부를 표리방향으로 중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블럭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금구(12)는 건축물의 몸체(11)측에 고정하는 착설판(14)의 표면에 고정부(12a)를 지지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블럭벽체.
  3. 제1항에 있어서, 유지금구(12)는, 건축물의 몸체(11)측에 고정한 착설판(14)과 일체로 상돌편(12b)을 형성하고, 고정부(12a)와 하돌편(12e)을 가진 별도부재의 상기 고정부(12a)를 상기 착설판(14)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블럭벽체.
  4. 제1항에 있어서, 유지금구(12)는 고정부(12a)의 상연에서 상방의 타일블럭(13)용의 하돌편(12e)을 돌출시키고, 상기 고정부(12a)의 하연에서 하방에 인접하는 타일블럭(13)용의 상돌편(12b)을 돌출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블럭벽체.
  5. 제1항에 있어서, 유지금구(12)는 건축물의 몸체(11)측에 고정하는 착설부재를 겸하고, 이 착설부재에서 상, 하돌편(12b)(12e)을 1쌍으로 하여 여러쌍 절개기립시켜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블럭벽체.
KR1019900011857A 1990-01-11 1990-08-02 타일블럭벽체 KR940008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533 1990-01-11
JP2002533A JPH0826647B2 (ja) 1990-01-11 1990-01-11 タイルブロック壁体
JP2-2533 1990-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573A KR910014573A (ko) 1991-08-31
KR940008312B1 true KR940008312B1 (ko) 1994-09-12

Family

ID=1153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857A KR940008312B1 (ko) 1990-01-11 1990-08-02 타일블럭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26647B2 (ko)
KR (1) KR940008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353B1 (ko) * 2007-10-11 2011-01-25 홍성철 건축용 조립식 벽체
US8209932B2 (en) * 2008-05-16 2012-07-03 General Electric Company Backsplash for an appliance
JP5231204B2 (ja) * 2008-12-26 2013-07-10 住友林業株式会社 耐火外壁構造
JP2010156129A (ja) * 2008-12-26 2010-07-15 Sumitomo Forestry Co Ltd 耐火タイルの取付け構造及び耐火タイル
JP5231205B2 (ja) * 2008-12-26 2013-07-10 住友林業株式会社 鋼板下地材
DE202011004967U1 (de) * 2011-04-07 2011-06-09 Serafini Besitz GmbH & Co. KG, 58636 Bausatz zur Fixierung von Paneelen in einem Ladenbau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2508U (ja) * 1981-08-28 1983-03-03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調速装置
JPS63103157A (ja) * 1986-10-17 1988-05-07 株式会社アイジー技術研究所 硬質壁材の取付構造
JPH063104B2 (ja) * 1987-07-24 1994-01-12 同和工営株式会社 プレスリツトジヤンボ−
JPH0194154A (ja) * 1987-10-07 1989-04-12 Funaki Shoji Kk 取付け面板とタイルブロックとの組合せ構造
JPH01102164A (ja) * 1987-10-13 1989-04-19 Funaki Shoji Kk 取付け面板とタイルブロックとの組合せ構造
JPH0663338B2 (ja) * 1987-12-15 1994-08-22 元旦ビユーティ工業株式会社 取付け面板とタイルブロックとの組合せ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26647B2 (ja) 1996-03-13
JPH03208952A (ja) 1991-09-12
KR910014573A (ko) 199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351B1 (ko) 타일 부착 장치
KR940008312B1 (ko) 타일블럭벽체
GB2417039A (en) Building cladding support system:retaining member
JP3307273B2 (ja) 壁面パネル装置
JP2848780B2 (ja) 物品取付具
JPH0622038Y2 (ja) 長尺タイル乾式施工構造
JP4641822B2 (ja) 板材支持具
JP3942503B2 (ja) 断熱板保持具
JPH0247461A (ja) タイル壁面施工方法
JPH03132554A (ja) タイルブロック壁体
JPH0755948Y2 (ja) ブラケットの抜止装置
JPH0642032Y2 (ja) 下見張りタイルの施工構造
JPH03122360A (ja) タイルブロック壁体
JPH0219063Y2 (ko)
JP2557601Y2 (ja) タイル取付レール
JPH03137349A (ja) タイルブロック壁体
JP2584983Y2 (ja) タイル取付レール
JPS6222601B2 (ko)
JPS5845381Y2 (ja) 鉄筋保持金具
JPH076365Y2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止め金具
JP2552519B2 (ja) タイルブロック張設用取付け面板の固定支持装置
JPS624122Y2 (ko)
JPH026856Y2 (ko)
JPH024163Y2 (ko)
JPH0743336Y2 (ja) 帯状パネル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