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542B1 - 시공이 용이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시공이 용이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542B1
KR102059542B1 KR1020180033794A KR20180033794A KR102059542B1 KR 102059542 B1 KR102059542 B1 KR 102059542B1 KR 1020180033794 A KR1020180033794 A KR 1020180033794A KR 20180033794 A KR20180033794 A KR 20180033794A KR 102059542 B1 KR102059542 B1 KR 102059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clip
wood
wood deck
extens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1536A (ko
Inventor
정영욱
Original Assignee
(주)우드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드린 filed Critical (주)우드린
Priority to KR1020180033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542B1/ko
Publication of KR20190111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일렬 연결되는 클립부재에 의해 목재데크를 간편하게 조립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물론, 레벨 조절에 의해 바닥이 경사진 곳에서도 설치가 용이하고,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목재데크의 취약점인 진동 및 소음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중 목재데크 조립시스템은, 사각의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이 마주하도록 폭방향으로 다수 배치되는 목재데크; 상기 목재데크의 하측에서 일렬로 다수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목재데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데크클립; 상기 데크클립의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일렬 형성된 복수의 안착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하 신축동작에 의해 데크클립의 높낮이 및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레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공이 용이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시공방법{WOOD DECK ASSEMBLY SYSTEM WITH EASY CONSTRUCTION AND WOOD DECK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목재데크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후방향으로 일렬 연결되는 클립부재에 의해 목재데크를 간편하게 조립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물론, 레벨 조절에 의해 바닥이 경사진 곳에서도 설치가 용이하고,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목재데크의 취약점인 진동 및 소음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등산로, 공원 내의 산책로, 호수 주변을 따라 형성된 보도, 전원주택이나 펜션 등의 테라스와 같은 다양한 장소의 바닥면에 평상 타입의 목재데크를 많이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목재데크는 습도나 온도에 따라 신축되고, 장시간 사용할 경우 뒤틀리거나 벌레에 의해 손상되어 내습성과 방충 성능을 갖는 등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데크로 발전하고 있다.
한편 목재데크의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하면서도 유지 보수에 유리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832663호에는 실내외 바닥면에 시공되는 목재데크 구조물에 있어서, 바닥면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데크돌기를 형성하고 양측면에 내측에 요입된 형태의 요입홈을 형성하는 데크보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단과 하단으로 반복적인 절곡이 이루어져 다수개의 절곡면을 구비하는 데크보드수용부와, 외측에 돌출된 형태로 데크보드수용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지지돌기와, 데크보드수용부에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지지턱과, 데크보드수용부와 지지턱 사이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고, 일측에 톱니를 구비한 좌, 우 고정돌기를 양측면에 구비하는 고정부로 구비된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구성이 개시되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2005호에는 인접하게 시공된 데크 사이에 배치되면서 양측으로 배치된 데크의 상부를 파지하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가 결합되고 데크를 지지하는 통상의 장선으로 이루어진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는 수직한 판 형상을 가지며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되고, 데크 사이로 삽입되는 제 1 수직부 및 제 2 수직부, 제 1 수직부 및 제 2 수직부의 하부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제 1 수직부 및 제 2 수직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제 1 안치평면부 및 제 2 안치평면부에 안치되는 제 1 날개부 및 제 2 날개부, 및 제 1 날개부 및 제 2 날개부의 연장단에서 수직하게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 1 삽입홈부 및 제 2 삽입홈부에 삽입되는 제 1 삽입부 및 제 2 삽입부를 구비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52280호에는 목재데크 고정부재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홈, 하부홈 및 결속홈이 양쪽 측면에 형성된 목재데크; 및 고정부재에 형성된 하부돌출편의 꺽임부에 걸림결합될 수 있는 하부꺽임부를 양측에 구비하고, 하부의 장선에 고정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가 관통되도록 결합구멍이 중심에 형성된 걸쇠편으로 이루어진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기술들은 간편한 시공성, 견고한 조립구조, 부분 손상시 교체의 용이성 중 어느 한 가지 부면에서 장점이 있을 수는 있었으나 이들을 종합적으로 만족시키지는 못하였다. 즉, 간편하게 시공이 이루어지고 손상된 부분의 교체가 편리하면서 그 반대 성격이 강한 구조적인 견고함까지 갖춘 기술은 종래기술 중에 없었다.
뿐만 아니라 바닥이 경사진 곳에서는 목재데크들을 연결할 때 단차가 발생하는 관계로 시공이 어렵고 시공품질도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빈번하였으며, 목재데크의 재질 특성상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매우 쉽게 진동 및 소음 발생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832663호(2008.05.20)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후방향으로 일렬 연결되는 클립부재에 의해 목재데크를 간편하게 조립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물론, 레벨 조절에 의해 바닥이 경사진 곳에서도 설치가 용이하고,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목재데크의 취약점인 진동 및 소음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은, 사각의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이 마주하도록 폭방향으로 다수 배치되는 목재데크; 상기 목재데크의 하측에서 일렬로 다수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목재데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단에서 수평 판재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상부 연장판재부, 상기 본체부의 후단에서 수평 판재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후측에서 연결되는 이웃한 데크클립의 상부 연장판재부의 하면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한 하부 연장판재부, 상기 상부 연장판재부의 상면에서 그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을 중심으로 좌편과 우편에 각각 형성되어 목재데크의 끼움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제1단위 끼움부, 상기 하부 연장판재부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어 후측에서 연결되는 이웃한 데크클립의 상부 연장판재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이웃한 데크클립의 제1단위 끼움부 한 쌍 사이에 밀접하게 일렬로 교합되는 제2단위 끼움부로 이루어진 데크클립; 상기 데크클립의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일렬 형성된 복수의 안착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하 신축동작에 의해 데크클립의 높낮이 및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레벨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상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크클립의 안착홈은 일정 깊이를 갖는 사각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벨부재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클립의 안착홈에 끼워져 결합되며 하면 중앙에는 내주면에 암나사 형성된 암나사홀을 구비한 결합본체와, 외주면에 수나사 형성되어 상기 결합본체의 암나사홀에 삽입된 상태로 나사결합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결합본체에서 승강하는 승강지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클립의 본체부와 하부 연장판재부의 하면에 접합되어 상측의 목재데크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한 감쇄패드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쇄패드는, 상측으로부터 전달되는 경량음 및 경량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연질의 천연고무를 소재로 이루어진 제1중간층; 상기 제1중간층에 적층되어 상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중량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감쇠 고무를 소재로 이루어진 제2중간층; 적층된 제1중간층 및 제2중간층의 상부와 하부를 덮는 상층과 하층의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통하여 상층과 하층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며, EVA폼을 소재로 이루어져 경량음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피복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클립의 제1단위 끼움부는, 상기 상부 연장판재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의 상단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전방과 후방 양편에서 각각 목재데크의 끼움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제1수평부로 이루어진 T자형 단면의 레일형 부재이며, 상기 데크클립의 제2단위 끼움부는, 상기 하부 연장판재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제2수직부와, 상기 제2수직부의 상단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전방과 후방 양편에서 각각 목재데크의 끼움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제2수평부로 이루어진 T자형 단면의 레일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클립은, 상기 제1단위 끼움부의 제1수평부와 상기 제2단위 끼움부의 제2수평부가 하나의 목재데크에 대응하여 그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형성된 끼움홈에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제1수평부가 상기 목재데크의 일측단부 끼움홈에 먼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목재데크의 타측단부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눌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수평부가 상기 목재데크의 타측단부 끼움홈에 스냅핑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단위 끼움부의 제1수평부 전단부와 후단부, 상기 제2단위 끼움부의 제2수평부 전단부와 후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목재데크 시공방법은, 전술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데크클립들을 일렬로 연결하여 바닥 또는 지지프레임에 내려놓아 지지시키면서 상기 레벨부재를 사용하여 데크클립들이 수평을 이루도록 조절하는 단계; 전 단계를 통해 바닥 또는 지지프레임에 수평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데크클립의 상부에 목재데크들을 조립하여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및 목재데크 시공방법은, 전후방향으로 일렬 연결되는 클립부재에 의해 목재데크를 간편하게 조립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물론, 레벨 조절에 의해 바닥이 경사진 곳에서도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목재데크의 취약점인 진동 및 소음에도 대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에서 데크클립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평면도, 측단면도,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에서 레벨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에서 감쇄패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감쇄패드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에서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데크클립 간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9는 수평하지 못한 바닥에 레벨부재에 의해 수평한 상태로 시공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및 목재데크 시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에서 데크클립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평면도, 측단면도,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에서 레벨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에서 감쇄패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감쇄패드의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에서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데크클립 간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며, 도 9는 수평하지 못한 바닥에 레벨부재에 의해 수평한 상태로 시공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목재데크(110) 조립시스템은 목재데크(110)와, 데크클립(120)과, 레벨부재(130)와, 감쇄패드(140)로 이루어지며, 독특한 형태의 클립부재에 의해 목재데크를 스냅핑 방식으로 간편하게 조립하여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이루도록 한 것은 물론, 상기 레벨부재(130)와 감쇄패드(140)에 의해 데크클립의 높낮이 및 경사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바닥이 경사진 곳에서도 수평한 설치가 쉽게 이루어지고,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목재데크의 취약점인 진동 및 소음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데크클립(120)은 상기 목재데크(110)의 하측에서 목재데크(110)의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다수 연결되면서 상기 목재데크(110)를 구속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데크클립(12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부(121)와, 상부 연장판재부(122)와, 하부 연장판재부(123)와, 제1단위 끼움부(124)와, 제2단위 끼움부(125)로 이루어진다.
상기 데크클립(120)의 본체부(121)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프레임(F) 중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전후방향 제1프레임(F1) 상면에 볼트 또는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공(121a)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121)의 하면에는 경량화 및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요입된 형태의 요홈(121b)이 형성된다. (참고로 도면부호 F2는 전후방향 제1프레임(F1)과 교차 설치되는 좌우방향 제2프레임을 가리킨다.)
상기 데크클립(120)의 상부 연장판재부(122)는 상기 본체부(121)의 전단에서 수평 판재 형상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홀(122a)을 구비한다. 상기 관통홀(122a)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이웃한 데크클립(120)의 하부 연장판제에 형성된 제2끼움부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한 후 정합돌부(123a)가 끼워져 정합되도록 한다. 상기 관통홀(122a)은 상기 정합돌부(123a)의 형상에 대응하여 서로 단차를 두고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 하부 관통홀(122b)과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상부 관통홀(122c)로 이루어진다.
상기 데크클립(120)의 하부 연장판재부(123)는 상기 본체부(121)의 후단에서 수평 판재 형상으로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후측에서 연결되는 이웃한 데크클립(120)의 상부 연장판재부(122)의 하면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연장판재부(122)와 하부 연장판재부(123)가 서로 상부와 하부에 적층될 때 이루는 전체 상하 폭이 상기 본체부(121)의 상하 폭과 동일해지도록 한다. 즉, 상부 연장판재부(122)와 하부 연장판재부(123)는 본체부(121) 두께(상하 폭)의 1/2로 이루어져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본체부(121)의 상측이나 하측으로 단차가 생겨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연장판재부(122)의 상면에는 제2단위 끼움부(125)와의 사이에 상기 상부 연장판재부(122)의 관통홀(122a)에 대응하여 정합되는 정합돌부(123a)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정합돌부(123a)는 서로에 대하여 단차를 두고 상대적으로 넓은 면으로 형성된 하부 정합돌부(123b)와 상기 하부 정합돌부(123b)의 상면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면으로 형성된 상부 정합돌부(123c)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2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정합돌부(123a)와 관통홀(122a)을 구비한 구성에 따르면 데크클립(120)이 전후로 연결될 때 매우 견고하게 결합되어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데크클립(120)의 제1단위 끼움부(124)는 상부 연장판재부(122)의 상면에서 그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22a)을 중심으로 좌편과 우편에 각각 형성된다. 이같은 제1단위 끼움부(124)는 상부 연장판재부(12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제1수직부(124a)와, 상기 제1수직부(124a)의 상단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전방과 후방 양편에서 각각 목재데크(110)의 끼움홈(1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제1수평부(124b)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제1단위 끼움부(124)는 T자형 단면을 갖는 레일형 부재의 형상을 갖는데, 상기 제1수평부(124b)의 경우 전단부 및 후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데크클립(120)의 제2단위 끼움부(125)는 하부 연장판재부(123)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연장판재부(123)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제2수직부(125a)와, 상기 제2수직부(125a)의 상단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전방과 후방 양편에서 각각 목재데크(110)의 끼움홈(1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제2수평부(125b)로 이루어진 T자형 단면의 레일형 부재로 형성된다. 이같은 제2단위 끼움부(125)는 후측에서 연결되는 이웃한 데크클립(120)의 상부 연장판재부(122)에 형성된 관통홀(122a)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이웃한 데크클립(120)의 제1단위 끼움부(124) 한 쌍 사이에 밀접하게 일렬로 교합되어 제1단위 끼움부(124)와 함께 좌우로 길게 완성된 레일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수평부(125b)의 경우에도 전단부와 후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같은 제1단위 끼움부(124)와 제2단위 끼움부(125)의 구성에서 주목할 수 있는 점은 제1단위 끼움부(124)와 제2단위 끼움부(125)가 일렬로 교합되어 하나의 레일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마주하는 목재데크(110)의 끼움홈(111)들에 끼워진다는 점이다. 그렇게 되면 두 개의 데크클립(120)이 전후로 연결될 때 상부 연장판재와 하부 연장판재에 형성된 관통홀(122a)과 정합돌부(123a) 간 정합에 의해 1차 결합되고, 상기 제1단위 끼움부(124)와 제2단위 끼움부(125)가 일렬로 교합되어 하나의 레일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마주하는 목재데크(110)의 끼움홈(111)들에 끼워진 상태가 되어 2차 결합된 다중 결합구조가 되어 데크클립(120) 간에 더욱 견고한 결합구조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들을 기반으로 목재데크(110) 간에도 안정적인 결합구조가 형성되는 것이다.
나아가, 전술된 것처럼 제1단위 끼움부(124)와 제2단위 끼움부(125)가 일렬로 교합되어 'T'자형 단면을 갖는 레일을 이루게 되면 도 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전방에 형성된 레일의 제1수평부(124b) 및 제2수평부(125b)가 목재데크(110)의 일측단부 끼움홈(111)에 먼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목재데크(110)의 타측단부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눌러 회전시킴으로써 후방에 형성된 레일의 제1수평부(124b) 및 제2수평부(125b)가 상기 목재데크(110)의 타측단부 끼움홈(111)에 스냅핑 방식으로 간편하게 끼워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목재데크(110)의 조립 시공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시공이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가 되면 목재데크(110)를 양측 단부에서 각각 일렬로 연결된 데크클립(120)이 지지한 형태가 되는데, 이때 목재데크(110) 하나를 제거하고자 한다면 해당 목재데크(110)를 일지점에서 폭방향으로 절단한 후 길이방향으로 간단히 당겨서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목재데크(110)가 제1단위 끼움부(124)와 제2단위 끼움부(125)가 일렬로 교합되어 이루어진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데크클립(120)으로부터 간단히 분리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경우 목재데크(110)의 조립시에는 간편한 스냅핑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지지만, 해체시에는 전혀 다른 슬라이딩 방식으로 목재데크(110)를 분리할 수 있게 되어 목재데크(110)의 조립과 해체 모두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레벨부재(130)는 9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수평하지 않은 바닥에 설치될 때 데크클립의 높낮이 및 경사도를 조절하여 수평을 이루어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 상기 레벨부재(130)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본체(131)와 승강지지체(13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결합본체(131)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클립(120)의 안착홈(121c)에 끼워져 결합되며 하면 중앙에는 내주면에 암나사 형성된 암나사홀(131a)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지지체(132)는 외주면에 수나사 형성된 원기둥(132a)과 상기 원기둥(132a)에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 원판형의 베이스(132b)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본체(131)의 암나사홀에 삽입된 상태로 나사결합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결합본체(131)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단, 상기 레벨부재(130)가 데크클립(120)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안착홈(121c)은 데크클립(120)의 하면에는 복수 형성되는데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레벨부재(130)를 구비하는 구성에 의해 도 9와 같이 바닥이 경사진 곳에서도 데크클립(120) 및 목재데크(110)의 수평을 잡기 위하여 난해한 작업이나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된다.
상기 감쇄패드(140)는 상기 데크클립(120)의 본체부(121)와 하부 연장판재부(123)의 하면에 접합되어 상측의 목재데크(110)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감쇄패드(140)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1중간층(140d) 및 제2중간층(140e), 이들을 감싸는 피복층(140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감쇄패드(140)의 제1중간층(140d)은 상측으로부터 전달되는 경량음 및 경량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연질의 천연고무를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감쇄패드(140)의 제2중간층(140e)은 상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중량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고감쇠 고무(High Damping Rubber)를 소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중간층(140e)의 소재로 사용되는 고감쇠 고무는 충격 및 진동에너지를 스스로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내력이 높기 때문에 천연고무에 비해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서 목재데크(110)로부터 전달되는 중량 충격을 작은 변형량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참고로 고감쇠 고무란 조성물의 배합비를 변화시켜 진동에너지 및 충격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특화된 제품을 일컫는다. 예컨대, 고무 조성물에 카본 미립자를 다량 포함시키게 되면 진동을 열로 치환하여 진동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보다 나은 능력을 갖게 될 수 있이며, 가황제의 함량을 변화시켜 진동주기를 늘리는 방법으로 진동에너지의 영향을 감쇄할 수 있기도 하다. 이같은 고감쇠 고무에 대해서는 기출원된 '고감쇠고무 조성물(PCT/JP1997/02309)'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공지되어 있다.
상기 감쇄패드(140)의 피복층(140a)은 상부에 위치한 목재데크(110)에서 전달되는 경량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피복층(140a)은 EVA폼을 소재로 이루어져 제1중간층(140d) 및 제2중간층(140e)의 상부와 하부를 덮는 상층과 하층의 형태로 구비되며 도 7의 확대부에 도시된 것처럼 제1중간층(140d)과 제2중간층(140e)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140b)을 통하여 브릿지(140c) 연결되어 이들 상층과 하층이 일체로 연결된다.
이같이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감쇄패드(140)가 구비되면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상부에 위치한 목재데크(1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목재데크의 취약점인 진동 및 소음의 확산을 잡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목재데크 111 : 끼움홈
120 : 데크클립 121 : 본체부
122 : 상부 연장판재부 123 : 하부 연장판재부
124 : 제1단위 끼움부 125 : 제2단위 끼움부
130 : 레벨부재 140 : 감쇄패드

Claims (8)

  1. 사각의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이 마주하도록 폭방향으로 다수 배치되는 목재데크; 상기 목재데크의 하측에서 일렬로 다수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목재데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데크클립; 및 상기 데크클립의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일렬 형성된 복수의 안착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하 신축동작에 의해 데크클립의 높낮이 및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레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클립의 본체부와 하부 연장판재부의 하면에 접합되어 상측의 목재데크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한 감쇄패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쇄패드는, 상측으로부터 전달되는 경량음 및 경량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연질의 천연고무를 소재로 이루어진 제1중간층; 상기 제1중간층에 적층되어 상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중량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카본 미립자를 포함하는 고무를 소재로 이루어진 제2중간층; 및 적층된 제1중간층 및 제2중간층의 상부와 하부를 덮는 상층과 하층의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통하여 상층과 하층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며, EVA폼을 소재로 이루어져 경량음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피복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클립의 안착홈은 일정 깊이를 갖는 사각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벨부재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클립의 안착홈에 끼워져 결합되며 하면 중앙에는 내주면에 암나사 형성된 암나사홀을 구비한 결합본체와, 외주면에 수나사 형성되어 상기 결합본체의 암나사홀에 삽입된 상태로 나사결합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결합본체에서 승강하는 승강지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클립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단에서 수평 판재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상부 연장판재부;
    상기 본체부의 후단에서 수평 판재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후측에서 연결되는 이웃한 데크클립의 상부 연장판재부의 하면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한 하부 연장판재부;
    상기 상부 연장판재부의 상면에서 그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을 중심으로 좌편과 우편에 각각 형성되어 목재데크의 끼움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제1단위 끼움부, 상기 하부 연장판재부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어 후측에서 연결되는 이웃한 데크클립의 상부 연장판재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이웃한 데크클립의 제1단위 끼움부 한 쌍 사이에 밀접하게 일렬로 교합되는 제2단위 끼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클립의 제1단위 끼움부는, 상기 상부 연장판재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의 상단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전방과 후방 양편에서 각각 목재데크의 끼움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제1수평부로 이루어진 T자형 단면의 레일형 부재이며,
    상기 데크클립의 제2단위 끼움부는, 상기 하부 연장판재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제2수직부와, 상기 제2수직부의 상단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전방과 후방 양편에서 각각 목재데크의 끼움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제2수평부로 이루어진 T자형 단면의 레일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클립은, 상기 제1단위 끼움부의 제1수평부와 상기 제2단위 끼움부의 제2수평부가 하나의 목재데크에 대응하여 그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형성된 끼움홈에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제1수평부가 상기 목재데크의 일측단부 끼움홈에 먼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목재데크의 타측단부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눌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수평부가 상기 목재데크의 타측단부 끼움홈에 스냅핑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단위 끼움부의 제1수평부 전단부와 후단부, 상기 제2단위 끼움부의 제2수평부 전단부와 후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8. 제1항, 제2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목재데크 조립시스템을 이용한 목재데크 시공방법으로서,
    데크클립들을 일렬로 연결하여 바닥 또는 지지프레임에 내려놓아 지지시키면서 상기 레벨부재를 사용하여 데크클립들이 수평을 이루도록 조절하는 단계; 및
    전 단계를 통해 바닥 또는 지지프레임에 수평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데크클립의 상부에 목재데크들을 조립하여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데크 시공방법.
KR1020180033794A 2018-03-23 2018-03-23 시공이 용이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시공방법 KR102059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794A KR102059542B1 (ko) 2018-03-23 2018-03-23 시공이 용이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794A KR102059542B1 (ko) 2018-03-23 2018-03-23 시공이 용이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536A KR20190111536A (ko) 2019-10-02
KR102059542B1 true KR102059542B1 (ko) 2019-12-26

Family

ID=6842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794A KR102059542B1 (ko) 2018-03-23 2018-03-23 시공이 용이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5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194B1 (ko) * 2022-07-19 2024-04-11 주식회사 리스아이피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293B1 (ko) * 2012-03-02 2012-07-31 손만호 목재고정용 히든클립 및 이를 이용한 목재패널 체결구조
KR101459559B1 (ko) * 2014-06-16 2014-11-12 주식회사 마루다움 스토퍼일체형 장선지지부를 적용한 면탄성 시스템 마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663B1 (ko) 2007-04-30 2008-05-27 장석조 목재 데크 구조물 및 목재 데크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293B1 (ko) * 2012-03-02 2012-07-31 손만호 목재고정용 히든클립 및 이를 이용한 목재패널 체결구조
KR101459559B1 (ko) * 2014-06-16 2014-11-12 주식회사 마루다움 스토퍼일체형 장선지지부를 적용한 면탄성 시스템 마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536A (ko)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0889B2 (en) Deck fastening device
US8622169B2 (en)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rubber pad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floor using same
US8695288B2 (en) Structural systems for restraining elevated surface tiles
US6418693B2 (en) Flooring assembly and fastener therefor
US7127857B2 (en) Subfloor assembly for athletic playing surface having improved deflection characteristics
KR102168421B1 (ko) 데크 플레이트 조립용 탄성 조립체
CN2934457Y (zh) 运动地板
KR102059542B1 (ko) 시공이 용이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시공방법
KR20180013630A (ko) 나사못 없이 원터치 탄성 결합이 가능한 목재 데크 판재
JP5827437B1 (ja) 天板構造及びテーブル
KR20130000374U (ko) 데크 클립
KR101260667B1 (ko) 데크 플레이트 고정 구조
KR102393461B1 (ko) 건축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CN111075144A (zh) 一种地面瓷砖的安装结构
KR101040234B1 (ko) 데크 어셈블리
CN211114608U (zh) 一种人防隔震地板结构
CN113882614A (zh) 一种拼装实木地面及制备方法
KR100981408B1 (ko) 데크 결합 구조체
KR101001191B1 (ko) 차음 방진용 체육관 마루바닥
KR100981921B1 (ko) 차음 방진용 고무패드 및 이를 이용한 차음 방진용 마루바닥의 설치공법
GB2356205A (en) Resilient member with projections extending from at least one surface
KR200374089Y1 (ko) 조립식 마루 구조물의 결합구조
KR101002262B1 (ko) 플로워보드 조립용 어셈블리
CA2810079A1 (en) Structural systems for restraining elevated surface tiles
KR102413438B1 (ko) 고밀도 목재패널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