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869Y1 -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 Google Patents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869Y1
KR200166869Y1 KR2019990015921U KR19990015921U KR200166869Y1 KR 200166869 Y1 KR200166869 Y1 KR 200166869Y1 KR 2019990015921 U KR2019990015921 U KR 2019990015921U KR 19990015921 U KR19990015921 U KR 19990015921U KR 200166869 Y1 KR200166869 Y1 KR 200166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panel
hollow
panel
synthetic resin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승철
Original Assignee
기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31889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78738A/ko
Application filed by 기승철 filed Critical 기승철
Priority to KR2019990015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8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8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laminated and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12, E04C2/16, E04C2/2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외부 비내력벽체 및 화장실 등의 특수벽체,지하 결로 방지벽, 토목 구조물용 방음벽, 건축물용 내,외장패널 등의 매우 광범위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는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합성수지 소재를 사용하여 전,후 표면재 사이에 길이방향 으로 일정한 간격 간에 간막이부 와 중공부가 형성 되며 연속하여 압출성형하여 그 간막이부 사이 사이의 중공부에 철재 'C'형강 과 발포 폴리스틸렌 입자와 콘크리트를 혼합한 단열몰탈을 충진하고 합성수지 표면에 다양한 소재의 마감재의 표면화장층를 접합하여 이루어진 다 기능성의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복합패널은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전,후표면재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간막이부 와 중공부가 금형상에 합성수지 사출방법인 연속 압출성형으로 제조되어 평판상 및 곡선코너 및 직각코너 형상 등의 다양한 형태의 형상을 제공하며, 전,후 표면재 사이의 다수의 중공부에 보강부재인 'C'형강 및 발포 폴리스틸렌입자 와 시멘트몰탈을 혼합 충진하여 수직강도 증가와 압축강도 및 표면강도를 높이고, 별도의 형틀 장치없이 발포 폴리스틸렌입자 혼합몰탈을 충진하여 대량생산을 통한 생산원가 절감을 할수 있으며, 아울러 합성수지 표면층에 인쇄미장층 및 다양한 마감부재를 접합하여 사용범위가 다양하며 또한, 복합패널 사변 측면부에 통상의 보강부재 및 연결철물을 결속하여 건물 커튼월 시공에 편리성을 제공한다.
상기 복합패널의 구성을 보면 상호 소정 간격을 두어 나란히 입설된 전,후 표면재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간막이부가 형성되고 그 간막이부 사이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게 합성수지 소재를 금형상에서 연속 압출성형한 합성수지 소재의 중공패널(2)과:
상기 중공패널(2)의 다수 중공부(3)에 통상의 'C'형강(4)이 수직으로 삽입되고 발포 폴리스틸렌입자(5)와 유동성몰탈(6)이 혼합 충진되어 복합패널(1)이 형성된다.
상기 복합패널(1)은 그 일표면 또는 양표면에 인쇄층 또는 통상의 마감재로 표면화장층(7)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의 본 고안에 따른 복합패널은 평판상 또는 곡선코너,직각코너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고 그 복합패널의 중공부에 'C'형강 및 단열몰탈이 충진되어 압축강도, 표면강도, 방음성이 뛰어나며 내수성이 확고하고 다양한 마감소재 와의 결합으로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는 다기능성의 토목 및 건출물에 사용 될수 있다.
[색인어]
1 : 복합패널 2 : 중공패널 3 : 중공부 4 : 'C'형강
5 : 발포 폴리스틸렌입자 6 : 유동성몰탈 7 : 표면화장층 8 : 수직요홈
9 : 수직연결부재 10 : 곡선코너 중공패널 11 :직각코너 중공패널
12 : 간막이부 13 : 'ㄱ'자 철물 14 : 나사못

Description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외부 비내력벽체 및 화장실 등의 특수벽체,지하 결로 방지벽, 토목 구조물용 방음벽, 건축물용 내,외장패널 등의 매우 광범위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는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합성수지 소재를 사용하여 전,후 표면재 사이에 길이방향 으로 일정한 간격 간에 간막이부 와 중공부가 형성 되며 연속하여 압출성형하여 그 간막이부 사이 사이의 중공부에 철재 'C'형강 그리고 발포 폴리스틸렌 입자와 콘크리트를 혼합한 단열몰탈을 충진하고 합성수지 표면에 다양한 소재의 마감재의 표면화장층을 접합하여 이루어진 다 기능성의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패널은 전.후면 강판 사이에 단열재(발포 폴리스틸렌,우레탄,그라스울)를 채워 이루어진 샌드위치패널은 단열성은 우수하나 수직 방향의 압축강도가 떨어지고 패널의 표면강도가 저조하여 약한 충격에도 표면 강판의 찌그러짐 현상과 아울러 전,후면 강판 사이에 단열재를 삽입 접합하여 전,후면 강판 간에 완벽한 결합력을 이룰수 없었으며, 그 적용범위에 있어 조립식 건축물의 벽체용에 한정된 부위에만 사용되는 한계성을 지니도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과 관련하여 근래에는 시멘트 판상재 사이에 스치로폴 과 콘크리트를 혼합한 몰탈을 주입한 샌드위치 구조의 시멘트 복합패널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멘트 복합패널은 그 사용범위가 매우 넓으며 압축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있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시멘트 복합패널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전,후면 시멘트 판상재 사이에 스치로폴 혼합몰탈은 주입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형틀 장치가 필요하여, 그 설비비용 및 막대한 공간 확보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둘째, 이 시멘트 복합패널은 제조상에 있어 형틀에 삽입된 몰탈의 경화를 위하여 장시간의 형틀내부에서 일정한 건조시간을 요하여 다량의 생산에 한계성이 있어 제품 생산원가의 상승을 초래한다.
셋째, 시멘트 판상재는 곡선코너 나 직각코너 등의 다양한 형태의 가공에 어려우며, 다양한 형태의 복합패널의 형상에 있어 한계성을 지녀 설계상에 있어 가변성이 떨어진다.
넷째, 시멘트 복합패널은 그 내부에 보강철물이 내설되 있지 않아 그 사변 측면에 'ㄱ'자 형의 연결철물의 설치가 어려워 건물의 외장 커튼월 시공시 건축물에 부착된 수직부재 와의 결속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샌드위치 구조의 패널이나 시멘트 복합패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의 하나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전,후 표면재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간막이부 와 중공부가 금형상에 합성수지 사출방법인 연속 압출성형으로 제조되어 평판상 및 곡선코너 및 직각코너 등의 다양한 형태의 형상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후 표면재 사이의 다수의 중공부에 보강부재인 'C'형강 및 발포 폴리스틸렌입자 와 시멘트몰탈을 혼합 충진하여 수직강도 증가와 압축강도 및 표면강도를 높인 복합패널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별도의 형틀 장치없이 발포 폴리스틸렌입자와 유동성몰탈이 혼합되어 충진하여 대량생산을 통한 생산원가 절감을 할수 있는 복합패널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합성수지 표면층에 인쇄미장층 및 다양한 마감부재를 접합하여 사용범위가 다양한 복합패널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복합패널 사변 측면부에 통상의 보강부재 및 연결철물을 결속하여 건물 커튼월 시공에 편리성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이점과 특징은 후상술하는 구성 및 작용의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패널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패널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소재의 중공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패널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패널의 제2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패널의 제3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패널 복수개를 사용하여 벽체를 구축하는 것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패널을 외장패널로 사용하여 건축물 벽체면에 부착하기 위해 복합패널 양측면에 통상의 'ㄱ'자 철물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1에 도시된 복합패널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패널의 제2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패널의 제3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패널 복수개를 사용하여 벽체를 구축하는 것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해 잘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복합패널(1)의 실시예는,
상호 소정 간격을 두어 나란히 입설된 전,후 표면재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간막이부가 형성되고 그 간막이부 사이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게 합성수지 소재를 금형상에서 연속 압출성형한 합성수지 소재의 중공패널(2)과:
상기 중공패널(2)의 다수 중공부(3)에 통상의 'C'형강(4)이 수직으로 삽입되고 발포 폴리스틸렌입자(5)와 유동성몰탈(6)이 혼합 충진되어 복합패널(1)이 형성된다.
상기 복합패널(1)은 그 일표면 또는 양표면에 인쇄미장층 또는 통상의 마감재를 결합한 표면화장층(7)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합패널(1)은, 복수개를 사용하여 벽체면을 구축하는 것을 도시한 제6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그 복수개의 복합패널(1)은 양측면의 수직요홈(8) 간에 수직연결부재(9)가 삽입되며 복합패널(1)의 벽체면이 조립된다.
또한, 상기 벽체면 구성에 있어서, 직각코너 또는 곡선코너 시공시에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형상에 의해 알 수 있듯이 곡선코너 중공패널(10) 또는 직각코너 중공패널(11)을 사용하여 양측면의 수직요홈(8) 간에 수직연결부재(9)를 사용하여 조립된다.
한편, 상기 구성에 있어서, 중공패널(2),곡선코너 중공패널(10),직각코너 중공패널(11)의 각각의 부분별 칫수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 가변성을 지니며, 이에 따라 중공부(3)에 삽입되는 'C'형강(4)의 규격 또한 가변성을 지닌다.
아울러 중공부(3)에 충진되는 단열몰탈의 발포 폴리스틸렌입자(5)와 유동성몰탈(6)의 혼합비율도 가변성을 지니며, 그 사용 재료는 통상의 것이면 어떠한 제한도 없으며, 복합패널(1) 일표면 또는 양표면에 결합되는 표면화장층(7)에 사용되는 소재는 합성수지재의 인쇄미장층 및 무기질계,석재(대리석 포함),금속재 등의 통상의 마감소재이면 어떠한 제한도 없다.
전술한 바의 본 고안에 따른 복합패널은 평판상 또는 곡선코너,직각코너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고 그 복합패널의 중공부에 'C'형강 및 단열몰탈이 충진되어 압축강도,표면강도,방음성이 뛰어나며 내수성이 확고하고 다양한 마감소재 와의 결합으로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는 다기능성의 토목 및 건출물에 사용 될수 있다.

Claims (5)

  1. 상호 소정 간격을 두어 나란히 입설된 전,후 표면재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간막이부가 형성되고 그 간막이부 사이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게 합성수지 소재를 금형상에서 연속 압출성형한 합성수지 소재의 중공패널(2)과:
    상기 중공패널(2)의 다수 중공부(3)에 통상의 'C'형강(4)이 수직으로 삽입되고 발포 폴리스틸렌입자(5)와 유동성몰탈(6)이 혼합 충진되어 복합패널(1)이 형성되며, 상기 복합패널(1)은 그 일표면 또는 양표면에 인쇄미장층 또는 통상의 마감재를 사용한 표면화장층(7)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의 복합패널(1)이 평판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의 복합패널(1)이 곡선코너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의 복합패널(1)이 직각코너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의 복합패널(1) 측면에 통상의 나사구멍이 타공된 'ㄱ'자 앵글을 부착하여 건축물의 외장재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KR2019990015921U 1999-08-03 1999-08-04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KR200166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921U KR200166869Y1 (ko) 1999-08-03 1999-08-04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889A KR19990078738A (ko) 1999-08-03 1999-08-03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KR2019990015921U KR200166869Y1 (ko) 1999-08-03 1999-08-04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889A Division KR19990078738A (ko) 1999-08-03 1999-08-03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869Y1 true KR200166869Y1 (ko) 2000-02-15

Family

ID=2663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921U KR200166869Y1 (ko) 1999-08-03 1999-08-04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86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371B1 (ko) 2009-11-19 2012-02-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측면 보강구조를 가진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의 에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
KR101282092B1 (ko) * 2013-02-22 2013-07-04 김종군 블록 및 그의 성형장치
KR20170058198A (ko) * 2015-11-18 2017-05-26 김학섭 건축용 판넬
KR101829422B1 (ko) 2017-09-07 2018-02-20 에스와이우드(주) 데크바닥 결합구조
KR20220126380A (ko) * 2021-03-09 2022-09-16 정재경 다용도 경량형 플라스틱 벽체 모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371B1 (ko) 2009-11-19 2012-02-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측면 보강구조를 가진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의 에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
KR101282092B1 (ko) * 2013-02-22 2013-07-04 김종군 블록 및 그의 성형장치
KR20170058198A (ko) * 2015-11-18 2017-05-26 김학섭 건축용 판넬
KR101868211B1 (ko) * 2015-11-18 2018-06-15 김학섭 건축용 판넬
KR101829422B1 (ko) 2017-09-07 2018-02-20 에스와이우드(주) 데크바닥 결합구조
KR20220126380A (ko) * 2021-03-09 2022-09-16 정재경 다용도 경량형 플라스틱 벽체 모듈
KR102531030B1 (ko) * 2021-03-09 2023-05-09 정재경 다용도 경량형 플라스틱 벽체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9728A (en) Self-supporting concrete form module
US6247280B1 (en) Insulated wall construction and form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8240103B2 (en)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injected urethane foam between the wall frame and autoclaved aerated concrete (AAC) blocks
KR100422159B1 (ko) 건축용 경량 요철 마감블럭
WO2006138455A2 (en) Housing created from high strength expanded thermoformable honeycomb structures with cementitious reinforcement
KR200166869Y1 (ko)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KR100717967B1 (ko) 다중경량 단열방음공간벽돌
KR100420299B1 (ko) 다중경량 단열블럭 및 그 제조방법
US2185335A (en) Structural member
KR19990078738A (ko)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US20050284100A1 (en)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WO2007147178A2 (en) A construction element
KR100319645B1 (ko) 샌드위치형 콘크리트 패널
KR200166883Y1 (ko) 토목 및 건축용 합성수지패널.
CN1075429C (zh) 轻质保温空心砌块配筋灌芯承重体系新技术
KR100463671B1 (ko) 건축물의 비내력 벽체용 조립식 패널
KR200410097Y1 (ko) 건축용 외장재
CN111376543A (zh) 一种多层复合板及其制法
RU2792725C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ая фасадная
KR200182610Y1 (ko) 토목 및 건축용 복합소재 경량철골.
KR19990078737A (ko) 토목 및 건축용 합성수지 복합블럭
CN212528943U (zh) 一种多层复合板
RU33589U1 (ru)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варианты)
RU2192524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слойных ограждающих конструкций
JP3551290B2 (ja) 遮音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