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228Y1 - 기둥 거푸집 밴드 - Google Patents

기둥 거푸집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228Y1
KR200478228Y1 KR2020140005546U KR20140005546U KR200478228Y1 KR 200478228 Y1 KR200478228 Y1 KR 200478228Y1 KR 2020140005546 U KR2020140005546 U KR 2020140005546U KR 20140005546 U KR20140005546 U KR 20140005546U KR 200478228 Y1 KR200478228 Y1 KR 200478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plate
ban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신텍
Priority to KR2020140005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2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2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둥 거푸집 밴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밴드는 일단부 근처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핀홀이 복수로 형성되고, 타단부 근처에는 측면으로 관통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장홀이 구비된 가이드부재가 4개가 구비되고. 서로 연결되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기 장홀과 상기 핀홀을 관통하는 핀이 4개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단면이 사각모양을 이루는 각목 형상의 프레임과; 평판형상이고 상기 프레임의 일단의 상하면에서 돌출되게 고정되며 장홀이 구비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단부 사이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장방형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쐐기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추가로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동일한 형상의 가이드부재에 의하여 밴드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상기 쐐기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서도 상기 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기둥 거푸집 밴드{MOLD FIXING BAND FOR CONCRETE COLUMN}
본 고안은 기둥 거푸집을 결속하는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형상의 가이드부재에 의하여 밴드를 형성할 수 있고,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기둥 거푸집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구조물의 사각기둥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기둥 거푸집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기둥거푸집은 주로 목재패널을 틀로 이용하고 있으나, 콘크리트 타설시 측 방향 압력이 강하게 발생하여 배부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둥 거푸집 밴드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0831호의 "기둥거푸집용 고정구조물"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기둥거푸집용 고정구조물"은 기둥거푸집의 둘레에 배치된 밴드몸체 및 이 밴드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가이드밴드를 포함하는 한 쌍의 주밴드와; 이 가이드밴드의 반대편에 위치한 주밴드의 다른 일단에 상하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내부에 작동공간을 갖으며, 상기 주밴드와 인접하게 경사진 플레이트바가 설치되고, 이 플레이트바의 반대편에는 작동공간을 외부로 개방시키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며, 이 개방부와 인접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구멍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안내구멍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힌지축과; 이 힌지축에 조립되는 몸통 및 상기 몸통으로부터 교차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이 안내부재의 내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된 당김너트와; 상기 당김너트를 수용한 상태로 힌지축을 통해 일단이 주밴드에 평행하게 교차 연결되고 회동하며, 다른 일단은 상기 가이드밴드의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되어 기둥거푸집의 둘레에 배치된 한 쌍의 연결밴드와; 상기 주밴드의 다른 일단과 이를 감싸며 조립된 가이드밴드의 조립상태를 유지 고정토록 하는 체결요소와; 상기 플레이트바에 장착되어 회전되며, 당김너트의 안내부재와 나사 결합되어 연결밴드의 배치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볼트로 구성된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0917833호(2009.09.10) 문헌2: 등록특허공보 제10-0860831호(2008.09.23)
상술한 상기 "기둥거푸집용 고정구조물"는 한 쌍의 주밴드(10)와 한 쌍의 연결밴드(20)가 서로 연결되어서 기둥의 거푸집을 감싸면서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주밴드(10)과 상기 연결밴드(20)는 형상이 서로 상이하므로 제작원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주밴드(10)와 상기 연결밴드(20)는 조임볼트(50)에 의하여 연결되고, 또한 상기 조임볼트(5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주밴드(10)와 상기 연결밴드(20)가 거푸집을 압착하게 된다. 그러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건설현장에서는 상기 조임볼트(50)가 비산된 콘크리트에 의하여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또한 상기 조임볼트(50)를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동일한 형상으로 밴드를 조립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둥 거푸집 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기둥 거푸집 밴드는, 일단부 근처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핀홀이 복수로 형성되고, 타단부 근처에는 측면으로 관통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장홀이 구비된 가이드부재가 4개가 구비되고. 서로 연결되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기 장홀과 상기 핀홀을 관통하는 핀이 4개가 구비되는 기둥 거푸집 밴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단면이 사각모양을 이루는 각목 형상의 프레임과; 평판형상이고 상기 프레임의 일단의 상하면에서 돌출되게 고정되며 장홀이 구비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단부 사이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장방형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방형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쐐기가 안내되는 쐐기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는 쐐기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평판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상기 쐐기홈을 향하여 돌출되게 절곡된 안내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지지돌기가 각각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지지홈에 각각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의 각각의 모서리에는 안내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동일한 형상의 가이드부재에 의하여 밴드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상기 쐐기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서도 상기 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둥 거푸집 밴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밴드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밴드의 요부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밴드의 요부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 거푸집 밴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밴드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밴드의 요부 평면 확대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밴드의 요부 측면 확대도.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의 요부 측면 확대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의 전체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둥 거푸집 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밴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기둥 거푸집 밴드는, 4개의 가이드부재(20)와 쐐기(5)와 핀(3)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0)는 프레임(21), 플레이트(23) 및 장방형프레임(25)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프레임(21)은 단면이 사각모양을 이루는 각목 형상이고, 상기 플레이트(23)는 평판형상으로 상기 프레임(21)의 일단 상하면에서 돌출되게 용접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23) 사이에는 빈 공간인 수용부(30)가 형성되어서, 연결되는 상기 프레임(21)의 타단부가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30)에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21)에는 복수의 핀홀(2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23)에는 장홀(3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장방형프레임(2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23)의 단부 사이에 장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장방형프레임(25)의 측면에는 쐐기(5)가 안착되는 쐐기홈(29)이 형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방형프레임(25)은 상기 프레임(21)의 단부과 일정거리 이격되어서 수용부(30)를 형성되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인접한게 연결되는 상기 프레임(21)이 안착되게 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홀(27)과 상기 장홀(33)에는 핀(3)이 관통되게 결합되어서 인접한 상기 가이드부재(20)들이 "ㄱ"자 형상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ㄱ"자로 결합된 상태로 2개를 서로 연결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ㅁ" 형상으로 조립되어서 기둥 거푸집을 측면에서 감싸게 된다.
상기 핀홀(27)을 상기 프레임(21)에 복수로 형성되므로 기둥 거푸집의 크기에 대응하여서 서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쐐기(5)를 상기 쐐기홈(29)에 안착한 후에 타격하면 기다란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장홀(33)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21)이 기둥 거푸집을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 거푸집 밴드(1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일실시예의 기둥 거푸집 밴드(10)에서 지지프레임(40)이 추가로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지지프레임(40)은 지지판(41)과 안내판(43)과 지지돌기(45) 및 안내돌기(47)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41)은 평판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안내판(43)은 평판형상의 상기 지지판(41)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상기 쐐기홈(29)을 향하여 돌출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판(41)과 상기 안내판(43)은 일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4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지지돌기(45)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있는데, 상기 지지돌기(45)는 상기 플레이트(23)에 형성되는 지지홈(35)에 각각 안착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23)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홈(35)은 상기 쐐기(5)의 진행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40)이 이동할 수 있도록 기다란 장홀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안내돌기(47)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41)의 4개의 모서리에는 안내돌기(4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돌기(47)는 상기 플레이트(23)의 측면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안착되는 상기 안내돌기(47)에 의하여 상기 지지프레임(40)이 상기 플레이트(40)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40)이 상기 안내돌기(47)를 중심으로 360° 회전이 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수용부(30)에 상기 플레이트(23)가 삽입될 때 상기 지지프레임(21)의 방해가 억지될 수 있게 된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쐐기(5)의 진입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23)의 단부에 집중하중이 발생할 수 있으나, 상기 지지프레임(40)에 의하여 상기 쐐기(5)에 의하여 발생되는 하중이 상기 플레이트(23)에 분산되므로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쐐기(5)는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23)에는 상기 쐐기(5)가 관통하는 장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장방형프레임(25)에 형성되는 상기 쐐기홈(29)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홀과 상기 쐐기홈(29)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쐐기(5)가 관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쐐기(5)가 상하로 관통하게 되면 본 고안의 기둥 거푸집 밴드(10)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기둥 거푸집 밴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기둥 거푸집 밴드, 20: 가이드 부재,
21: 프레임, 23: 플레이트,
27: 핀홀, 29: 쐐기홈,
30: 수용부, 33: 장홀,
35: 지지홈, 40: 지지프레임,
41: 지지판, 43: 안내판,
45: 지지돌기, 47: 안내돌기,

Claims (6)

  1. 일단부 근처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핀홀이 복수로 형성되고, 타단부 근처에는 측면으로 관통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장홀이 구비된 가이드부재가 4개가 구비되고. 서로 연결되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기 장홀과 상기 핀홀을 관통하는 핀이 4개가 구비되는 기둥 거푸집 밴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단면이 사각모양을 이루는 각목 형상의 프레임과; 평판형상이고 상기 프레임의 일단의 상하면에서 돌출되게 고정되며 장홀이 구비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단부 사이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장방형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방형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쐐기가 안내되는 쐐기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쐐기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평판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상기 쐐기홈을 향하여 돌출되게 절곡된 안내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거푸집 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지지돌기가 각각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지지홈에 각각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거푸집 밴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각각의 모서리에는 안내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거푸집 밴드.






KR2020140005546U 2014-07-24 2014-07-24 기둥 거푸집 밴드 KR2004782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546U KR200478228Y1 (ko) 2014-07-24 2014-07-24 기둥 거푸집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546U KR200478228Y1 (ko) 2014-07-24 2014-07-24 기둥 거푸집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228Y1 true KR200478228Y1 (ko) 2015-09-10

Family

ID=54341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546U KR200478228Y1 (ko) 2014-07-24 2014-07-24 기둥 거푸집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2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272U (ko) 2018-07-25 2020-02-04 이상선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CN110761490A (zh) * 2019-07-31 2020-02-07 浙江圣奥家具制造有限公司 清水砼柱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088B1 (ko) * 2008-11-21 2009-07-20 정지현 거푸집 지지 웨일러
KR101129493B1 (ko) * 2010-12-17 2012-03-28 주식회사 빌드윈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088B1 (ko) * 2008-11-21 2009-07-20 정지현 거푸집 지지 웨일러
KR101129493B1 (ko) * 2010-12-17 2012-03-28 주식회사 빌드윈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272U (ko) 2018-07-25 2020-02-04 이상선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CN110761490A (zh) * 2019-07-31 2020-02-07 浙江圣奥家具制造有限公司 清水砼柱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611B1 (ko) 거푸집 체결장치
KR102027278B1 (ko) 곡률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구조물 거푸집
KR200478228Y1 (ko) 기둥 거푸집 밴드
KR200461108Y1 (ko) 수직지지대 하단부에 고정되는 받침대를 구비한 서포터
KR101494879B1 (ko) 거푸집용 체결수단
KR20180022216A (ko)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KR100982676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물 및 그 조립체
JP2013238035A (ja) 複数の円筒材よりなる型枠、基礎コンクリート、及び杭基礎の施工方法
KR101340773B1 (ko) 기둥과 기초의 조립식 결합구조
KR101936335B1 (ko)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
KR200482085Y1 (ko)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JP5982374B2 (ja) エレクションピース及びその取付構造
KR102378158B1 (ko) 구조체 조립용 프레임 결속장치
KR101552343B1 (ko) 기둥 폼 지지 장치
KR200462253Y1 (ko) 기둥 거푸집용 고정밴드
KR200436781Y1 (ko) 기둥 거푸집용 고정밴드.
KR101677423B1 (ko) 빔 연결 고정 장치
KR101308581B1 (ko) 기둥거푸집용 고정장치
KR200437257Y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090091683A (ko) 기둥거푸집 고정장치
JP2012067518A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KR102143638B1 (ko) 가변형 기둥폼 및 이를 이용한 기둥 시공방법
KR102022185B1 (ko) 거푸집용 목재 지지대 고정구
JP4520438B2 (ja) 配線用ボックス
KR200397257Y1 (ko) 기둥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