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272U -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 Google Patents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272U
KR20200000272U KR2020180003421U KR20180003421U KR20200000272U KR 20200000272 U KR20200000272 U KR 20200000272U KR 2020180003421 U KR2020180003421 U KR 2020180003421U KR 20180003421 U KR20180003421 U KR 20180003421U KR 20200000272 U KR20200000272 U KR 202000002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fixing piece
pillar
vertic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선
Original Assignee
이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선 filed Critical 이상선
Priority to KR2020180003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272U/ko
Publication of KR202000002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2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는, 기둥 거푸집의 각 모서리 외부에서 수직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와 결합되면서 상기 기둥 거푸집의 외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수평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와 2개의 상기 수평부재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부재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기다란 상부 면과 상기 상부 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면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는 단면이 "ㄴ" 형상인 수직지지대와; 평판 형상이고 상기 수직지지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제1고정편과; 상기 제1고정편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 및 상기 수직지지대에 형성되는 복수의 쐐기홈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거푸집 전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MOLD FIXING BAND FOR CONCRETE COLUMN}
본 고안은 기둥 거푸집에 콘크리트 타설 시 발생하는 횡 방향 압력을 해소하여 기둥 거푸집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고정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특히 거푸집과 쐐기에 의하여 결합되어 지지되고, 설치와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기둥 거푸집용 고정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둥 거푸집은 콘크리트구조물의 사각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타설 공간을 형성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둥 거푸집은 주로 목재패널을 틀로 이용하고 있으나, 콘크리트 타설 시 측 방향 압력이 강하게 발생하므로 금속패널을 틀로 이용한 것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사각기둥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둥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상기 기둥 거푸집에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둥 거푸집용 고정밴드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거푸집용 고정밴드에는 선출원 된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공개번호(10-2011-0006207)"가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공개번호(10-2011-0006207)"는 일측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길이부재 및 제2길이부재가, 제1길이부재가 제2길이부재보다 높이가 큰 채 형성되어 있으며, 제1길이부재의 일측 내부로 제2길이부재가 삽입된 채 회전핀이 제1길이부재 및 제2길이부재 일측에 체결되어 제1길이부재를 기준으로 제2길이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 형태의 일측유닛을 형성하고, 상기 일측유닛과 동일하게 구성된 타측유닛이 더 준비되어 일측유닛의 제1길이부재의 관통홀에 타측유닛의 제2길이부재가 일측이 삽입되는 형태로 서로 교차 배치되어 있되, 제1길이부재 및 제2길이부재의 일측 끝단이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이 설치되어 거푸집을 고정하는 거푸집 고정밴드에 있어서, 상기 제1길이부재 및 제2길이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을 기준으로 상면과 하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봉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제1길이부재와 제2길이부재가 서로 교차되어 돌출된 부분의 바깥쪽에 제1길이부재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제1밀착부 및 제2길이부재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제2밀착부로 구성된 "┓" 형태의 밀착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밀착부재의 모서리에 일측 끝단이 고정되어 있고, 밀착부재 모서리로부터 제1밀착부와 제2밀착부 사이각을 양분하는 각도로 설치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축이 설치되어 있고, 중앙 부분이 상기 고정축에 볼트 체결되며,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수평부가 형성되어 있고, 수평부 양측 끝단으로부터 하향되게 꺾여 상기 고정봉삽입홀에 삽입되는 고정봉이 구비된 고정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에 상기 고정축이 볼트 체결되도록 중앙에 고정축보조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부재가 고정부재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서로 교차 배치된 제1길이부재 및 제2길이부재의 상,하로 관통된 고정봉삽입홀을 형성하고, 제1길이부재와 제2길이부재가 접하는 모서리에 "┓" 형의 밀착부재를 설치한 채 밀착부재에 고정축을 고정하고, 고정축에는 양측에 고정봉이 구비된 고정부재를 전,후진 시키도록 설치하여 양측의 고정봉이 고정봉삽입홀에 삽입된 채 고정부재를 모서리측으로 전진 밀착시켜 고정함으로써 고정부재의 이탈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고정부재의 설치는 고정부재를 고정축에 끼운 채 밀착부재를 모서리에 댄 상태에서 고정봉이 양측의 고정봉삽입홀에 삽입되도록 한 다음 너트부재를 간단한 볼팅 작업을 통해 고정부재를 전진시켜 밀착하도록 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해 설치 작업이 간단해지며, "┓" 형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밀착부재의 내측 모서리에 직각 삼각형 형태의 고정구를 설치함으로써 설치 과정에서 제1길이부재 및 제2길이부재가 완전한 직각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고정부재의 고정봉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고정봉에 조임너트를 설치하여 조임으로써 고정봉삽입홀에 삽입된 고정봉의 위치를 견고하게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거푸집 내압에 의한 밀림 현상을 3개소에서 방지함으로써 밀림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제1길이부재 및 제2길이부재의 관통홀을 잇는 방향을 기준으로 해서 위에서 봤을 때 인접한 고정봉삽입홀이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중복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기둥 크기에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문헌1: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2-0000921호(2012. 02. 08. 공개) 문헌2: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78228호(2015.09.10. 공고) 문헌3: 등록특허공보 10-1059571호(2011.08.26. 공고)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는 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져서 거푸집의 측면만을 지지하게 되는 구성이므로, 거푸집과 연결성이 부족하고 상하로 이격된 상기 고정배드 사이의 거푸집을 지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거푸집의 전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는 기둥 거푸집의 각 모서리 외부에서 수직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와 결합되면서 상기 기둥 거푸집의 외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수평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와 2개의 상기 수평부재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기다란 상부 면과 상기 상부 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면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는 단면이 "ㄴ" 형상인 수직지지대와; 평판 형상이고 상기 수직지지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제1고정편과; 상기 제1고정편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 및 상기 수직지지대에 형성되는 복수의 쐐기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1고정편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기 수직지지대에는 평판 형상의 제2고정편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편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편과 상기 제2고정편 사이에는 단면이 "ㄴ"자 형상의 간극유지편이 추가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꺾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꺾쇠는 상기 제1고정편과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제2고정편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을 각각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수직지지대에 형성된 쐐기홈과 상기 거푸집에 형성된 쐐기홈에는 쐐기가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간극유지편과 상기 쐐기와 상기 꺾쇠에 의하여 거푸집 전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밴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밴드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수평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수직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거푸집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거푸집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고정밴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의한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는 수직부재(20)와 수평부재(30) 및 결합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재(3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00)의 외부 면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상기 수평부재(30)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기다란 상부 면과 상기 상부 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면에는 복수의 관통홀(50)이 형성되는 형상이다.
상기 수평부재(30)의 일단부 근처에는 2~4개 정도의 관통홀(50)이 형성되고, 타단 근처에는 8~15개 정도의 관통홀(5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는 단면이 "ㄴ" 형상인 수직지지대(20)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지지대(20)에는 한 쌍의 제1고정편(21)과 제2고정편(23)이 이격된 거리를 두고 고정되게 된다. 상기 수직지지대(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쐐기홈(60)이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상기 제1고정편(21)과 상기 제2고정편(23) 사이에는 단면이 "ㄴ"자 형상의 간극유지편(25)이 고정되게 된다.
도 4에서는 상기 간극유지편(25)의 형상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편(21)과 상기 제2고정편(23)은 상기 간극유지편(25)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수직지지대(20)와 상기 제1고정편(21)과 상기 제2고정편(23)과 상기 간극유지편(25)은 서로 용접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편(21)과 상기 제2고정편(23) 사이에는 상기 수평부재(30)가 삽입되게 되므로, 상기 간극유지편(25)의 상하의 폭은 상기 수평지지대(2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꺾쇠(40)로 이루어지고, 도 1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꺾쇠(40)는 상기 제1고정편(21)과 상기 수평부재(30)와 상기 제2고정편(23)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50)을 각각 관통하여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대(20)에 형성된 쐐기홈(60)과 상기 거푸집(100)에 형성된 쐐기홈(60)에는 쐐기(70)가 관통하여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10)는 상기 쐐기(70)에 의하여 상기 수직지지대(20)와 상기 거푸집(100)이 서로 연결되므로 더욱 견고하게 상기 거푸집(10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를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거푸집 고정밴드, 20: 수직지지대,
21: 제1고정편, 23: 제2고정편,
25: 간극유지편, 30: 수평부재,
40: 꺾쇠, 50: 관통홀,
60: 쐐기홈, 70: 쐐기,
100: 거푸집

Claims (8)

  1. 기둥 거푸집의 각 모서리 외부에서 수직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와 결합되면서 상기 기둥 거푸집의 외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수평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와 2개의 상기 수평부재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기다란 상부 면과 상기 상부 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면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는 단면이 "ㄴ" 형상인 수직지지대; 평판 형상이고 상기 수직지지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제1고정편; 상기 제1고정편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 및 상기 수직지지대에 형성되는 복수의 쐐기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편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기 수직지지대에는 평판 형상의 제2고정편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편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편과 상기 제2고정편 사이에는 단면이 "ㄴ"자 형상의 간극유지편이 추가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꺾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꺾쇠는 상기 제1고정편과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제2고정편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을 각각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에 형성된 쐐기홈과 상기 거푸집에 형성된 쐐기홈에는 쐐기가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KR2020180003421U 2018-07-25 2018-07-25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KR202000002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421U KR20200000272U (ko) 2018-07-25 2018-07-25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421U KR20200000272U (ko) 2018-07-25 2018-07-25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272U true KR20200000272U (ko) 2020-02-04

Family

ID=69494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421U KR20200000272U (ko) 2018-07-25 2018-07-25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27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7513A (zh) * 2022-09-15 2022-12-13 长春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柱模板支撑工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571B1 (ko) 2009-07-13 2011-08-26 최은수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KR20120000921U (ko) 2010-07-28 2012-02-08 이상선 기둥 거푸집용 고정밴드
KR200478228Y1 (ko) 2014-07-24 2015-09-10 주식회사 동신텍 기둥 거푸집 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571B1 (ko) 2009-07-13 2011-08-26 최은수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KR20120000921U (ko) 2010-07-28 2012-02-08 이상선 기둥 거푸집용 고정밴드
KR200478228Y1 (ko) 2014-07-24 2015-09-10 주식회사 동신텍 기둥 거푸집 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7513A (zh) * 2022-09-15 2022-12-13 长春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柱模板支撑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493B1 (ko) 프리캐스트 영구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101016768B1 (ko) 거더의 전도방지장치
KR100926750B1 (ko) 보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KR20190017509A (ko) 콘크리트 균열방지구
KR101310844B1 (ko) 보 시공용 거푸집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KR101305918B1 (ko) 프리캐스트 거더용 거푸집장치
KR20200000272U (ko)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KR101779739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과 그 상부에 설치되는 강재 거푸집의 연결부 구조
KR101028586B1 (ko) 슬래브패널 어셈블리
KR101891322B1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200482085Y1 (ko)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JP5498815B2 (ja) アルミ製改装フェンス
JP2012162882A (ja) アンカーフレーム及びそれを用いた基礎構造体の構築工法
KR200480637Y1 (ko) 통폼 연결 브래킷
KR101381660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KR101641334B1 (ko) 조립식 라운드 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공법
KR20190018786A (ko) 개량형 멍에트러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구조
JP6252834B2 (ja) 地下ピット構造
CN220241816U (zh) 一种装配式胎膜装置
KR20200053193A (ko) 복합 단열재를 사용한 영구 거푸집
JP7365518B1 (ja) パネル支柱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型枠構造
CN210460185U (zh) 一种市政工程建筑施工围板
CN220414843U (zh) 后浇带支模系统
KR102380525B1 (ko) 보 제작용 거푸집
CN212656418U (zh) 一种采用装配式组装施工的柱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