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343B1 - 기둥 폼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기둥 폼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343B1
KR101552343B1 KR1020140096785A KR20140096785A KR101552343B1 KR 101552343 B1 KR101552343 B1 KR 101552343B1 KR 1020140096785 A KR1020140096785 A KR 1020140096785A KR 20140096785 A KR20140096785 A KR 20140096785A KR 101552343 B1 KR101552343 B1 KR 101552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main band
column foam
main
inser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6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 폼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주밴드와 결속구를 셋트화하고 상기 결속구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기둥 시공에 적용되고 보강부의 구성을 통해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한 기둥 폼과 기둥 폼 지지 장치의 변형을 막고 기둥을 설계대로 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둥 폼 지지 장치는, 내부에 기둥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세워지는 기둥 폼의 둘레부에 상기 기둥 폼의 둘레를 따라 연쇄적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기둥 폼을 감싸 지지하는 다수의 주밴드(10)와; 상기 기둥 폼의 둘레부를 감싸면서 배열되는 상기 다수의 주밴드들의 이음부를 각각 결속하여 상기 다수의 주밴드들이 서로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기둥 폼을 지지하도록 하는 결속구(20)를 포함하고, 상기 주밴드는, 장방형의 주밴드 몸체(11), 상기 주밴드 몸체의 길이방향의 일측에서부터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다단의 삽입구 연결공(12), 상기 주밴드의 타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체결홀이 구비된 소켓(13)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구는 상기 주밴드의 삽입구 연결공에 연결핀(23)을 통해 회동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웃하는 주밴드의 상기 소켓에 삽입되는 삽입구(21), 상기 소켓에 삽입된 상기 삽입구에 체결되어 상기 삽입구를 상기 소켓에 고정하는 결속봉(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주밴드 몸체는 삽입구 연결공으로 인한 강도 저하를 보상하기 위하여 보강부로서 보강리브, 보강띠가 구성된다.

Description

기둥 폼 지지 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PILLAR OF CONCRETE BUILDING}
본 발명은 기둥 폼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 폼의 크기와 면의 수량과 상관없이 모든 기둥의 시공에 적용되며 강도 보강을 통해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한 기둥 폼의 변형과 손상 즉 기둥의 품질 저하를 막을 수 있는 기둥 폼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둥의 성형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는 경우, 종래에는 합판으로 틀을 짜거나, 유로폼과 같은 거푸집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합판으로 틀을 짜는 공법은 기둥의 치수와 동일하게 기둥 주위 네 면의 거푸집을 합판과 각재로 틀을 짜서 설치하고, 그 내측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기둥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합판을 이용한 공법은 합판과 각재의 전용 회수가 크지 아니하여 동일 치수의 기둥을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거푸집 제작 비용이 증가하며, 거푸집의 강성이 그다지 크지 않아 몇 회 사용하면 거푸집의 변형이 커지므로 콘크리트 기둥의 치수 정밀도가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거푸집의 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각 재료는 타 공사 현장으로 전용이 불가능하여 전량 폐기 처리되는 바, 귀중한 자원의 낭비와 폐기물 처리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거푸집이 특허문헌 1(등록특허 제10-0322486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몰딩바에 의해 기둥의 단면을 유지토록 연결되는 거푸집널의 외측을 감싸도록 멍에가 기둥의 높이 방향에 교대로 적층되고, 상기 멍에를 폼타이에 의해 상호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거푸집은, 거푸집널의 성형하고자 하는 기둥과 동일형상을 갖도록 제작한후 그 모서리부를 몰딩바에 의해 각각 연결하고, 상기 거푸집널의 외측둘레를 폼타이로서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멍에에 의해 지지하여 콘크리트의 주입압력에 의한 거푸집널의 분리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거푸집은, 거푸집널의 둘레 전체를 균일하게 지지하여 못하여 측압에 취약하며, 상호 대응되는 한 쌍의 멍에를 폼타이의 연결하는 구성으로 일방향의 압력에만 작용하도록 하고,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멍에에 폼타이의 삽입하는 결합구조에 의해 작업성이 저하되고, 일정규격의 기둥에만 적용이 가능하여 규격의 변화시 별도의 거푸집을 제작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허문헌 2(등록특허 제10-0860831호)가 있다.
특허문헌 2는 기둥거푸집의 둘레에 배치된 밴드몸체 및 이 밴드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가이드밴드를 포함하는 한 쌍의 주밴드와; 이 가이드밴드의 반대편에 위치한 주밴드의 다른 일단에 상하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내부에 작동공간을 갖으며, 상기 주밴드와 인접하게 경사진 플레이트바가 설치되고, 이 플레이트바의 반대편에는 작동공간을 외부로 개방시키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며, 이 개방부와 인접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구멍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안내구멍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힌지축과; 이 힌지축에 조립되는 몸통 및 상기 몸통으로부터 교차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이 안내부재의 내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된 당김너트와; 상기 당김너트를 수용한 상태로 힌지축을 통해 일단이 주밴드에 평행하게 교차 연결되고 회동하며, 다른 일단은 상기 가이드밴드의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되어 기둥거푸집의 둘레에 배치된 한 쌍의 연결밴드와; 상기 주밴드의 다른 일단과 이를 감싸며 조립된 가이드밴드의 조립상태를 유지 고정토록 하는 체결요소와; 상기 플레이트바에 장착되어 회전되며, 당김너트의 안내부재와 나사 결합되어 연결밴드의 배치간격을 조절하는조임볼트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이드플레이트에 콘크리트압 등이 집중됨에 따라 가이드플레이트로 연결되는 부분이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콘크리트압에 의해 파손되는 우려가 있고 또한, 2 부분에서만 길이조절이 됨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기둥을 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아울러 4면 이외의 기둥을 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주밴드가 밴드몸체와 가이드밴드의 조립에 의해 구성되어 취급시나 외력에 의해 이들 조립부가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다.
등록특허 제10-0322486호 등록특허 제10-086083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둥 폼의 크기와 면의 수량과 상관없이 모든 기둥의 시공에 적용되며 강도 보강을 통해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한 기둥 폼의 변형과 손상 즉 기둥의 품질 저하를 막을 수 있는 기둥 폼 지지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둥폼 고정 장치는, 내부에 기둥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세워지는 기둥 폼의 둘레부에 상기 기둥 폼의 둘레를 따라 연쇄적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기둥 폼을 감싸 지지하는 다수의 주밴드와; 상기 기둥 폼의 둘레부를 감싸면서 배열되는 상기 다수의 주밴드들의 이음부를 각각 결속하여 상기 다수의 주밴드들이 서로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기둥 폼을 지지하도록 하는 결속구를 포함하고, 상기 주밴드는, 장방형의 주밴드 몸체, 상기 주밴드 몸체의 길이방향의 일측에서부터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다단의 삽입구 연결공, 상기 주밴드의 타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체결홀이 구비된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구는 상기 주밴드의 삽입구 연결공에 연결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웃하는 주밴드의 상기 소켓에 삽입되는 삽입구, 상기 소켓에 삽입된 상기 삽입구에 체결되어 상기 삽입구를 상기 삽입편에 고정하는 결속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둥 폼 지지 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주밴드와 하나의 결속구를 셋트화하여 기둥의 형태에 따라 주밴드의 수량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4각 기둥은 물론 다양한 각형과 원형 기둥에 적용되어 제품의 효용성을 향상하고 따라서 기둥의 형태에 맞는 많은 종류의 기둥 폼 지지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비용과 유지비용(보관 등)을 대폭으로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결속구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여 다양한 크기의 기둥 폼에도 적용 가능하므로 각종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삽입구 연결공으로 인한 강도 저하를 보강리브와 보강띠로 보상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기둥 폼을 설치 상태로 유지하여 설계상의 기둥을 시공하게 되므로 기둥 폼 지지 장치로서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 폼 지지 장치의 설치 상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둥 폼 지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기둥 폼 지지 장치에 적용된 보강리브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기둥 폼 지지 장치가 도 1의 기둥 폼보다 다른 크기의 기둥 폼에 적용된 예를 보인 평면도.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둥 폼 지지 장치는, 4각 기둥(1)의 시공을 위하여 4각형으로 설치되는 기둥 폼(2)을 지지하기 위하여 4개의 주밴드(10)와 4개의 결속구(20)로 구성되며, 4개의 주밴드(10)는 기둥 폼(2)의 둘레부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면서 결속구(20)를 통해 연쇄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기둥 폼(2)이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해 설치 상태를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한다. 즉 4각형 이외의 기둥인 경우 예를 들어 5각형의 기둥인 경우 주밴드(10)와 결속구(20)는 각각 5개씩으로 구성된다.
주밴드(10)는 장방형의 주밴드 몸체(11), 주밴드 몸체(11)에 형성되며 결속구(20)의 삽입구(21)가 연결되는 다단의 삽입구 연결공(12), 주밴드(11)의 타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체결홀이 구비된 소켓(13)으로 구성된다.
주밴드 몸체(1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각관(사각형 등)이다.
도면에서 주밴드 몸체(11)는 직선형인 것으로만 도시되었으나, 곡선형으로 형성하여 원형 기둥의 시공도 가능하다.
주밴드 몸체(11)는 자신의 재질과 구조를 통해 기둥 폼(2)에 가해지는 외력(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해 기둥 폼(2)이 휨 변형 및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크기가 클수록 기둥 폼(2)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겠지만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취급(보관, 운반 등)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작은 크기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보강부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보강리브(15), 보강리브(15)에 형성되는 보강띠(16)가 가능하다.
보강리브(15)는 주밴드 몸체(11)의 둘레부[도면에는 주밴드 몸체(11)의 둘레부 중에서 1개소에만 도시되었으나 모든 둘레부에도 적용 가능하다]에 돌출 형성되는 구조이며 별도의 판형 자재로서 주밴드 몸체(11)에 용접 고정될 수 있다.
보강띠(16)는 보강리브(15)의 단부에 보강리브(15)보다 큰 단면적(원형봉, 원형 파이프 등)으로 형성된다.
보강리브(15)와 보강띠(16)는 주밴드 몸체(11)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주밴드 몸체(11)에 가해지는 힘에 대한 버팀력을 발생하여 주밴드 몸체(11)를 보강한다.
도 3과 도 4는 보강리브(15)와 보강띠(16)의 적용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보강리브(15)는 판재가 용접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보강띠(16)는 원형봉으로서 보강리브(15)에 용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보강리브(15)와 보강띠(16)는 판재를 겹쳐지도록 포밍하는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보강리브(15)와 보강띠(16)는 삽입구 연결공(12)으로 인한 강도 저하도 보강한다.
삽입구 연결공(12)은 삽입구(21)를 다양한 위치에 연결하기 위하여 다수개가 형성되며 예를 들어 주밴드 몸체(11)의 일측 단부에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주밴드 몸체(11)의 구조에 따라 주밴드 몸체(11)가 각관인 경우 상부와 하부에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결속구(20)의 연결핀(23)이 관통 체결되도록 한다.
삽입구 연결공(12)은 삽입구(21)의 연결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므로 수량이 많을수록 다양한 크기의 기둥 폼(2)에 적용되고 간격이 좁을수록 미세한 크기의 차이를 갖는 기둥 폼(2)들에도 적용 가능하다.
소켓(13)은 이웃하는 다른 주밴드와 결속을 위하여 결속구(20)가 결속되는 구성이며, 내부에는 결속구(20)의 삽입구(21)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각관의 사용이 가능하면서 결속구(20)의 결속봉(22)이 체결되는 암나사부 또는 너트가 형성된다. 소켓(13)은 주밴드 몸체(11)의 타측에 용접 등으로 적용된다.
소켓(13)은 삽입구(21)가 삽입되는 반대쪽이 막음판(14)에 의해 막힌 구조가 바람직하고 단 결속봉(22)이 관통 또는 체결되는 구멍이 구비된다.
결속구(20)는 기둥 폼(2)을 따라 일정 형태로 설치되는 주밴드(10)들의 이음부 즉 모서리부에서 이웃하는 주밴드(10)들을 결속하는 것이며, 이웃하는 주밴드(10)의 삽입구 연결공(12)에 연결되면서 다른 주밴드(10)의 소켓(13)에 삽입되는 삽입구(21), 소켓(13)에 삽입된 삽입구(21)를 고정함으로써 이웃하는 주밴드(10)들을 결속하는 결속봉(22)으로 구성된다.
삽입구(21)는 각관 등의 사용이 가능하고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가 연결핀(23)을 통해 주밴드(10)의 어느 하나의 삽입구 연결공(12)에 회동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삽입구(21)는 단부에 연결핀(23)이 끼워지는 연결편이 형성되며 예를 들어 상하부에 한 쌍의 고정편(24)이 형성되어 연결편(24)이 주밴드 몸체(11)의 상하부를 덮으면서 연결핀(23)이 고정편(24)과 주밴드 몸체(11)의 삽입구 연결공(12)에 끼워짐으로써 연결된다.
결속봉(22)은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볼트의 형태이며 소켓(13)에 삽입된 삽입구(21)에 나사 체결된다.
결속봉(22)은 볼트 형식이고 삽입구(21)에 나사 체결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반대로 삽입구(22)에 볼트를 형성하여 소켓(13)을 관통한 상기 볼트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로 대체될 수도 있다.
연결핀(23)은 삽입구(21)를 주밴드(10)에 연결하는 기능과 함께 삽입구(21)의 파손 및 소켓(13)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삽입구(21)의 회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둥 폼 지지 장치는, 4개의 주밴드(10)와 4개의 결속구(20)로 구성되며, 하나의 주밴드(10)에 하나의 결속구(20)가 결합된 상태로 취급(보관, 운반)된다.
즉, 결속구(20)는 삽입구(21)가 연결핀(23)을 통해 주밴드(10)에 연결되고 결속봉(22)이 삽입구(21)에 체결된 상태로 취급(보관, 운반)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주밴드(10)와 하나의 결속구(20)가 셋트화되고, 시공 현장에서 기둥 폼(2)의 면에 맞는 수량으로 주밴드 셋트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현장 적용성이 매우 좋다.
기둥 폼(2)의 면과 동일한 수량으로 주밴드 셋트를 선택한다. 먼저 각각의 주밴드(10)는 기둥 폼(2)의 크기에 맞도록 결속구(20)의 삽입구(21)의 위치를 결정하여야 하며, 삽입구(21)의 위치가 결정되면 연결핀(23)을 결정된 삽입구 연결공(12)과 삽입구(21)의 연결편(24)에 끼워 삽입구(21)를 주밴드(10)에 연결한다.
기둥의 시공 현상에서 먼저 거푸집과 보강재 등의 조립 등을 통해 사각형의 기둥 폼(2)을 제작하고, 기둥 폼(2)을 제작한 후 선택된 4개의 주밴드 셋트를 기둥 폼(2)에 설치한다.
각각의 주밴드 셋트는 먼저 기둥 폼(2)에 지지수단을 매개로 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은 기둥 폼(2)에 끼워지며 주밴드(10)를 저부(또는 저부와 상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핀 등이 가능하다. 물론 본 발명의 기둥 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주밴드 셋트는 기둥 폼(2)에 직접 지지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시공 현장에서 삽입구(21)에 체결된 결속봉(22)을 분리하고, 전술한 것처럼 이웃하는 주밴드(10)에 연결된 삽입구(21)를 다른 이웃하는 주밴드(10)에 형성된 소켓(13)에 삽입하여 끼움 결합하고, 결속봉(22)을 소켓(13)에 삽입된 삽입구(21)에 나사 체결하여 이웃하는 2개의 주밴드(10)들을 결속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4개의 주밴드(10)를 결속구(20)를 통해 연쇄적으로 결속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기둥 폼(2)의 크기(높이 등)에 따라 상하 종방향을 따라 본 발명의 기둥 폼 지지 장치를 다수개 설치한다.
본 발명의 기둥 폼 지지 장치의 설치가 완료되면 기둥 폼(2)을 인양하여 기둥의 시공 위치로 운반하고, 기둥 폼(2)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을 시공한다.
물론, 전술한 것처럼, 기둥 폼(2)의 조립과 기둥 폼 지지 장치의 설치를 지상에서 하지 않고, 기둥 폼(2)을 조립하여 시공 위치에 먼저 설치한 후 작업대 등을 통해 기둥 폼 지지 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과 도 5는 서로 다른 크기의 기둥(1)을 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면에서 보이는 것처럼 다수의 삽입구 연결공(12)의 선택에 따라 결속구(20)의 위치가 달라지고 즉 다양한 크기의 기둥 폼(2)에 적용된다.
기둥의 양생이 완료되면 기둥 폼(2)을 탈형하여야 하며, 기둥 폼(2)의 탈형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둥 폼 지지 장치를 해체하여야 하고, 결속봉(22)을 삽입구(21)에서 분리하며 삽입구(21)를 소켓(13)에서 분리한 후 주밴드(10)와 결속구(20)의 조립체를 기둥 폼(2)에서 분리하거나 기둥 폼(2)과 함께 분리한다.
1 : 기둥, 2 : 기둥 폼
10 : 주밴드, 11 : 주밴드 몸체
12 : 삽입구 연결공, 13 : 소켓
14 : 보강리브, 15 : 보강띠
20 : 결속구, 21 : 삽입구
22 : 결속봉,

Claims (3)

  1. 내부에 기둥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세워지는 기둥 폼의 둘레부에 상기 기둥 폼의 둘레를 따라 연쇄적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기둥 폼을 감싸 지지하는 다수의 주밴드(10)와;
    상기 기둥 폼의 둘레부를 감싸면서 배열되는 상기 다수의 주밴드들의 이음부를 각각 결속하여 상기 다수의 주밴드들이 서로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기둥 폼을 지지하도록 하는 결속구(20)를 포함하고,
    상기 주밴드는, 장방형의 주밴드 몸체(11), 상기 주밴드 몸체의 길이방향의 일측에서부터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다단의 삽입구 연결공(12), 상기 주밴드의 타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체결홀이 구비된 소켓(13)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구는 상기 주밴드의 삽입구 연결공에 연결핀(23)을 통해 회동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웃하는 주밴드의 상기 소켓에 삽입되는 삽입구(21), 상기 소켓에 삽입된 상기 삽입구에 체결되어 상기 삽입구를 상기 소켓에 고정하는 결속봉(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폼 지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밴드의 주밴드 몸체의 둘레부에 돌출 형성되는 보강리브(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폼 지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의 단부에 상기 보강리브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보강띠(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폼 지지 장치.
KR1020140096785A 2014-07-29 2014-07-29 기둥 폼 지지 장치 KR101552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785A KR101552343B1 (ko) 2014-07-29 2014-07-29 기둥 폼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785A KR101552343B1 (ko) 2014-07-29 2014-07-29 기둥 폼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343B1 true KR101552343B1 (ko) 2015-09-11

Family

ID=54248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785A KR101552343B1 (ko) 2014-07-29 2014-07-29 기둥 폼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3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64366A (zh) * 2015-12-23 2016-04-06 嘉兴市博宏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保温砂浆墙体
CN105735640A (zh) * 2016-03-17 2016-07-06 胡彦彬 一种用于混凝土柱的模板支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257Y1 (ko) 2007-08-16 2007-11-21 서보산업 주식회사 거푸집 고정장치
KR100860831B1 (ko) 2007-07-27 2008-09-29 최재일 기둥거푸집용 고정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831B1 (ko) 2007-07-27 2008-09-29 최재일 기둥거푸집용 고정구조물
KR200437257Y1 (ko) 2007-08-16 2007-11-21 서보산업 주식회사 거푸집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64366A (zh) * 2015-12-23 2016-04-06 嘉兴市博宏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保温砂浆墙体
CN105735640A (zh) * 2016-03-17 2016-07-06 胡彦彬 一种用于混凝土柱的模板支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858B1 (ko) 기초 일체형 pc 벽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1758493B1 (ko) 프리캐스트 영구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101439488B1 (ko) 슬래브 성형용 탈형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0917833B1 (ko) 기둥 축조용 거푸집 고정 구조
KR101586858B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KR101765107B1 (ko)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552343B1 (ko) 기둥 폼 지지 장치
KR101652943B1 (ko) 고층 건축물의 철근 콘크리트 기둥 제조 공법
KR101305918B1 (ko) 프리캐스트 거더용 거푸집장치
KR101641339B1 (ko)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264501B1 (ko) 헤드 커플러 폼타이 거푸집 및 상기 거푸집이 적용된 기둥 시공 방법
KR101428539B1 (ko) 중심부재가 구비된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및 이의 시공방법
JP6387247B2 (ja) コンクリート造の梁又はスラブの構築方法及び型枠支保工
KR20200061685A (ko)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
KR101859398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1518034B1 (ko) 자기구속 기능을 가지는 콘크리트 기둥 형성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22021B1 (ko) 시스템 거푸집
KR100904387B1 (ko) 교각 기초용 앵커볼트 위치고정구
KR200478228Y1 (ko) 기둥 거푸집 밴드
KR101696028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의 거푸집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859406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1641334B1 (ko) 조립식 라운드 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공법
KR20120020648A (ko) 가변형 기둥폼
KR101859408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
JP6247951B2 (ja) 周方向プレストレス導入方法及び装置、並びに鉄筋コンクリー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