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858B1 -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858B1
KR101586858B1 KR1020140181767A KR20140181767A KR101586858B1 KR 101586858 B1 KR101586858 B1 KR 101586858B1 KR 1020140181767 A KR1020140181767 A KR 1020140181767A KR 20140181767 A KR20140181767 A KR 20140181767A KR 101586858 B1 KR101586858 B1 KR 101586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support
reinforcing
clamp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1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과 보강대를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다양한 구조의 거푸집들을 단일 종류의 클램프로 연결하여 테이블 폼을 제작하며, 제작된 테이블 폼을 시공 현장에서 단일 종류의 서포트만을 사용하여 설치하여 슬래브와 보의 시공성을 향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은, 슬래브와 보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부재와 상기 거푸집부재를 보강하는 보강대를 클램프로 조립하여 테이블 폼을 제작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제작된 테이블 폼을 높이가 동일한 단일 종류의 서포트를 통해 슬래브의 시공 위치에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설치된 테이블 폼의 거푸집부재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슬래브와 보를 시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4단계에 의한 슬래브와 보의 양생 후 상기 테이블 폼을 탈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는 평평한 판상으로 이루진 거푸집, 모서리부의 타설을 위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타설면(4a)과 상기 타설면(4a)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클램프 연결부(4b)로 이루어진 인코너 조인트(4), 상호 간에 직각을 이루는 클램프 연결부(6a)를 갖는 아웃코너 조인트(6)를 슬래브와 보의 단면에 맞도록 선택한 후 클램프(10)로 연결하여 거푸집부재를 제작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에서 사용된 클램프와 동일한 구성의 클램프를 통해 상기 보강대를 조립하는 제1-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10)는 서로 모아지는 방향과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거푸집부재를 클램핑하는 제1,2조임구(1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2조임구는 단부에 각각 상기 거푸집부재에 형성되는 클램프 연결부에 끼움 결합되는 홈 또는 돌기 형태의 제1,2걸림부(13,14)를 포함하되, 상기 제1,2걸림부 중에서 일측 이상은 다양한 크기와 구조의 클램프 연결부에 공용되도록 2단 이상의 걸림부를 갖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METHOD FOR CONSTRUCTING SLAB AND GIRDER OF CONCRETE BUILDING}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과 보강대를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다양한 구조의 거푸집들을 단일 종류의 클램프로 연결하여 테이블 폼을 제작하며, 제작된 테이블 폼을 시공 현장에서 단일 종류의 서포트만을 사용하여 설치하여 슬래브와 보의 시공성을 향상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건축할 경우 층과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각형상의 거푸집을 다수개 연결하여 보와 플로우가 형성되도록 틀을 형성하고, 틀을 완성한 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며, 콘트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다수의 거푸집을 해체하게 되고, 이 해체된 거푸집을 수작업으로 상부층으로 운반하여 다시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여 콘트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즉, 층과 층 사이를 구축하는 방법은 거푸집을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건축물의 설계에 의해 결정된 높이)로 배치한 후 다수의 서포터들을 상기 거푸집과 바닥 사이에 세워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거푸집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상층 바닥의 틀을 구성한 후,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최근 들어 슬래브와 보를 함께 타설 시공하고 있으며, 이는 슬래브와 보를 함께 타설 시공하기 위한 테이블 폼에 의해 이루어진다.
종래 테이블 폼은 슬래브 거푸집, 보 거푸집, 상기 슬래브 거푸집과 보 거푸집을 저부에서 지지하는 보강재[슬래브 거푸집과 보 거푸집에 각각 일체로 구성]로 구성되며, 지면에 세워지는 높이조절형 서포트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테이블 폼은 상기 슬래브 거푸집과 보 거푸집 및 상기 보강재는 일체로 구성되어 시공성이 우수하므로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테이블 폼은 공장에서 제작된 후 운반되어 사용되기에는 부피가 너무 크기 때문에 물류비가 매우 비싸며 특히 해외 공사시 물류비의 부담이 매우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슬래브와 보는 높이차가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과 보 거푸집을 지지하는 서포트의 종류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서포트를 취급(보관, 운반)하는데 따르는 불편함이 있고, 시공 현장에서 작업자는 상기 슬래브 거푸집과 상기 보 거푸집에 맞는 서포트를 찾아야 하므로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특허문헌 1(등록특허 제10-0357488호)은 양측 구간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홀이 형성된 틀체 프레임과, 상기 틀체 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그 상,하부에 장공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틀체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된 합판으로 이루어진 슬래브 거푸집;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보 거푸집; 및 그 일측이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프레임 양측 홀에 결합되고, 그 타측이 바닥면에 지지되어 슬래브 거푸집을 받쳐주며, 소정 간격만큼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래브 거푸집 받침수단으로 구성되며, 슬래브 거푸집에 보 거푸집과, 동바리가 일체로 조립된 시스템 거푸집을 형성함으로써, 슬래브와, 보의 구축 작업을 신속히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반도 용이하며, 협소한 공간에서 슬래브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여 시공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건축물 공기를 단축시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재래식에 의한 전체 조립식이기 때문에 현장 적용성이 매우 좋지 않고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보 거푸집을 저부에서 서포트로 지지하기 않아 보의 품질 변화가 유발되고 서포트를 사용한다 하여도 슬래브 거푸집과 보 거푸집의 높이가 달라 2종류의 서포트를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테이블 폼은 다수의 거푸집으로 구성되며, 또한 단일 슬래브와 보의 단면에 따라 서로 다른 구조의 거푸집(평평한 판상의 거푸집, 인코터 조인트, 아웃코너 조인트 등)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거푸집은 클램프를 통해 조립된다.
특허문헌 2(등록특허 제10-0792031호)는 베이스 블록과 조이너가 이웃하는 2장의 거푸집의 테두리부를 감싸 고정하는 것일 뿐이며, 다양한 구조의 건축 자재를 클램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3(공개실용신안 제20-1998-038216호)은 C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연장부와 상기 절곡연장부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지지면을 구비한 지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절곡연장부와 동축선상에 형성된 중공의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암나사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암나사부에 치합되기 위하여 형성된 회전바아의 중앙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아의 하단에는 원판형의 가압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바아의 상단에는 수직으로 결합된 조작레버를 구비한 조작부로 구성되는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절곡연장부와 회전바아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대칭되게 단차가 형성된 공동부, 상기 공동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선단부에 가압부와 하부지지면이 일체로 형성된 안내바아, 상기 가압부와 회전바아 사이 및 하부지지면과 절곡연장부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완충수단을 통해 물체의 손괴를 방지하는 것일 뿐이며 다양한 구조의 물체를 클램핑하지 못한다.
즉 종래 클램프는 단일 종류의 거푸집만을 클램핑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수 종류의 거푸집 등 테이블 폼의 제작을 위해서는 많은 종류의 클램프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경제성과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357488호 등록특허 제10-0792031호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3821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푸집과 보강대를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다양한 구조의 거푸집들을 단일 종류의 클램프로 연결하여 테이블 폼을 제작하며, 제작된 테이블 폼을 시공 현장에서 단일 종류의 서포트만을 사용하여 설치하여 슬래브와 보의 시공성을 향상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 종류의 클램프를 통해 테이블 폼을 구성하는 동일 종류의 자재(거푸집, 인코너 조인트, 아웃코너 조인트, 보강대, 서포트 등)를 클램핑함은 물론 서로 다른 구조의 자재들도 클램핑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은, 슬래브와 보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부재와 상기 거푸집부재를 보강하는 보강대를 클램프로 조립하여 테이블 폼을 제작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제작된 테이블 폼을 높이가 동일한 단일 종류의 서포트를 통해 슬래브의 시공 위치에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설치된 테이블 폼의 거푸집부재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슬래브와 보를 시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4단계에 의한 슬래브와 보의 양생 후 상기 테이블 폼을 탈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는 평평한 판상으로 이루진 거푸집, 모서리부의 타설을 위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타설면과 상기 타설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클램프 연결부로 이루어진 인코너 조인트, 상호 간에 직각을 이루는 클램프 연결부를 갖는 아웃코너 조인트를 슬래브와 보의 단면에 맞도록 선택한 후 클램프로 연결하여 거푸집부재를 제작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에서 사용된 클램프와 동일한 구성의 클램프를 통해 상기 보강대를 조립하는 제1-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는 서로 모아지는 방향과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거푸집부재를 클램핑하는 제1,2조임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2조임구는 단부에 각각 상기 거푸집부재에 형성되는 클램프 연결부에 끼움 결합되는 홈 또는 돌기 형태의 제1,2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2걸림부 중에서 일측 이상은 다양한 크기와 구조의 클램프 연결부에 공용되도록 2단 이상의 걸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에 의하면, 다수의 거푸집부재(거푸집, 인코너 조인트, 아웃코너 조인트)와 보강대를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부피를 최소로 축소한 단품들의 상태로 보관과 운반이 가능함으로써 물류비를 절감하고 시공 현장에서 신속하게 조립이 가능하여 시공성을 향상한다.
그리고, 단일 종류의 서포트만을 사용하여 테이블 폼을 설치함으로써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강재의 높이 조절을 통해 층고 변화시에도 사용이 가능하여 다수 종류의 테이블 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비와 시공비를 절감한다.
또한, 단일 종류의 클램프만을 통해 거푸집들, 거푸집과 인코너 조인트, 아웃코너 조인트, 보강대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클램프의 제조와 관리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다수 종류의 클램프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조립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공기를 단축하고 작업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의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을 위해 적용된 클램프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을 위해 적용된 클램프에 의한 연결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은 거푸집과 거푸집을 연결한 정면도이며,
도 4는 거푸집과 인코너 조인트를 연결한 정면도이고,
도 5는 거푸집가 아웃코너 조인트를 연결한 정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을 위해 적용된 클램프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와 사용 상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을 위해 적용된 보강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을 위해 적용된 제1보강틀의 분해 사시도.
도 10a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을 위해 적용된 제1보강틀의 정면도.
도 10b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을 위해 적용된 제1보강틀에 보 바닥측 보강부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을 위해 적용되니 제2보강틀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을 위해 제작된 테이블 폼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을 위해 적용된 제1,2테이블 폼의 설치 상태 정면도.
도 14a와 도 14b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을 위해 적용된 서포트의 연결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와 조립 상태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을 위해 적용된 서포트의 연결 상태의 다른 예를 보인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을 위해 적용된 자키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에 처마를 함께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의 설치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을 위해 적용된 브레이싱의 정면도와 분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의 공정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에 적용된 테이블 폼에 바퀴와 3중 서포트가 적용된 예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에 적용된 테이블 폼의 탈형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2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 방법은 거푸집 제작 - 거푸집 설치 - 콘크리트 타설 - 거푸집 탈형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인 공정은 다음과 같다.
1. 테이블 폼 제작.
슬래브와 보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한 1장 이상의 슬래브용 거푸집, 슬래브의 저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슬래브용 거푸집에 연결되는 보용 거푸집을 필요로 하며, 여기서, 슬래브와 보의 사이인 2개소의 인코너에는 인코너 조인트가, 보의 각진 2개소의 아웃코너에는 아웃코너 조인트가 사용된다.
슬래브용 거푸집과 보용 거푸집, 보용 거푸집의 아웃코너 조인트, 슬래브용 거푸집과 보용 거푸집을 연결하는 인코너 조인트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클램프를 통해 서로 조립된다.
즉 슬래브와 보의 형태를 따라 다수의 거푸집과 인코너 조인트 및 아웃코너 조인트가 배열되면서 클램프를 통해 서로 결속되어 테이블 폼을 구성하는 것이다.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2장의 제1,2거푸집(1,2)을 일렬로 배열하면서 제1클램프(10-1)로 연결하여 슬래브 구간을 형성하고 제1거푸집(1)과 직각으로 제3거푸집(3)으로 배열하되 이들(1,3) 사이에 인코너 조인트(4)를 개재하여 각각 제2,3클램프(10-1,10-2)로 결속하며 제3거푸집(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4거푸집(5)을 배열하되 이들(3,5) 사이에 아웃코너 조인트(9)를 개재하여 각각 제4,5클램프(10-4,10-5)로 결속하는 방법으로 슬래브와 보를 시공할 수 있는 구조의 테이블 폼을 제작한다.
전술한 거푸집(1,2,3,5)은 타설판, 상기 타설판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테두리부재를 갖는 구조이며 재질은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인코너 조인트(4)는 모서리부의 타설을 위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타설면(4a)을 포함하며, 타설면(4a)의 양측 단부에는 클램핑을 위한 클램프 연결부(4b)가 갖추어진다. 클램프 연결부(4b)는 클램프의 결속을 위한 턱을 갖는 홈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인코너 조인트(4)는 두께가 일정한 알루미늄판, 스틸판 등이 가능하다.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아웃코너 조인트(6)는 타설면을 형성하지 않고 서로 직각으로 배열되는 거푸집(3,5)들 사이에 설치되어 이웃하는 거푸집(3,5)과 각각 클램프로 클램핑되며, 서로 직각으로 벌어진 2개의 클램프 연결부(6a)를 갖는 알루미늄판, 스틸판 등이 가능하고 클램프 연결부(6a)는 턱을 갖는 홈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5클램프(10-1,10-2,10-3,10-4,10-5)는 서로 다른 자재를 결속하는 것이지만 구조 개선을 통해 단일 제품이 사용되는데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램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클램프(10)는 서로 모아지는 방향과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건축 자재[거푸집과 거푸집(도 3참고), 거푸집과 인코너 조인트(도 4참고), 거푸집과 아웃코너 조인트(도 5참고), 거푸집과 보강대 등]를 클램핑하는 제1,2조임구(11,12), 제1,2조임구(11,12)의 마주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며 건축 자재를 클램핑하는 제1,2걸림부(13,14)로 구성된다.
제1,2걸림부(13,14)는 각각 건축 자재(거푸집, 인코너 조인트, 아웃코너 조인트 등)에 형성되는 클램프 연결부(홈, 구멍, 턱, 돌기)의 크기와 구조가 다르더라도 건축 자재를 클램핑하도록 다시 말하면 서로 다른 크기의 클램프 연결부(홈, 구멍, 턱, 돌기)를 갖는 서로 다른 건축 자재를 클램핑하도록 서로 단차지는 2개 이상의 걸림부로서 걸림턱(13a,13b, 14a,14b)(2개를 예로 도시하고 설명함)이 구성된다.
즉 작은 크기의 클램프 연결부인 경우 제1걸림턱(13a,14a)에 걸리게 되어 건축 자재가 견고하게 클램핑되고, 큰 크기의 클램프 연결부인 경우 제2걸림턱(13b,14b)에 걸리게 되어 건축 자재가 견고하게 클램핑된다.
제1조임구(11)는 판재의 형태이며 저부에서 일측을 향해 연장되는 판형 또는 박스형 또는 앵글형(역 T형 단면)의 연결부(15)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연결부(15)에는 제2조임구(12)가 제1조임구(11)를 향해 전진 또는 반대로 후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부(15)에는 제2조임구(12)의 전후진을 위한 너트형 소켓(16)이 형성된다.
제2조임구(12)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볼트 형태의 전후진 조작봉(17)이 고정되며, 전후진 조작봉(17)은 연결부(15)의 너트형 소켓(16)에 나사 체결되어 제2조임구(12)를 전후진시킨다. 전후진 조작봉(17)에는 편리한 조작감을 위하여 파지용 헤드가 구성되며 따라서 전후진 조작봉(17)은 기성품인 볼트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전후진 조작봉(17)이 나사 체결에 의해 전후진하면 회전력이 가해지기 전까지는 제2조임구(12)의 위치가 변하지 않아 건축 자재를 견고하게 클램핑한다.
제1,2조임구(11,12)는 도면에 도시된 판형과 원통형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모두 판형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판형은 건축 자재의 클램프 연결부가 판형의 홈이나 구멍인 경우, 원형이나 사각형의 홈이나 구멍인 경우 모두에 끼워질 수 있고, 원통형은 건축 자재의 클램프 연결부가 원형이나 각형의 홈이나 구멍인 경우 모두에 끼워져 건축 자재를 고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클램프(10)에 의한 건축 자재의 클램핑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4는 제1,2거푸집(1,2)을 클램핑한 상태도로서, 제1,2조임구(11,12)가 이웃하는 제1,2거푸집(1,2)의 테두리부재(1a,2a)(각관, 프로파일 등 다양한 자재의 사용이 가능하며, 단 견고한 클램핑을 위하여 각관의 경우 홈을 갖는 단면으로 형성된다)를 서로 모아지는 방향으로 클램핑하며 제1,2걸림부(13,14)가 테두리부재(1a,2a)의 홈에 삽입되어 결속된다. 이때, 테두리부재(1a,2a)의 턱이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진다 하여도 제1,2걸림부(13,14)가 다단의 걸림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견고한 클램핑이 가능하다.
도 5는 제1거푸집(1)과 인코너 조인트(4)를 클램핑한 상태도이며, 클램프(10)의 제1,2조임구(11,12)는 제1거푸집(1)의 테두리부재(1a)와 인코너 조인트(4)의 일측의 클램프 연결부(4b)를 서로 모아지는 방향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이 제1거푸집(1)과 인코너 조인트(4)가 서로 다른 구조이지만, 클램프(10)의 제1,2조임구(11,12)와 제1,2걸림부(13,14)의 구조를 통해 서로 결속이 가능하다.
도 6은 제3거푸집(3)과 아웃코너 조인트(6)를 결속한 상태의 도면이며, 클램프(10)의 제1,2조임구(11,12)가 제3거푸집(3)의 테두리부재(3a)와 아웃코너 조인트(6)의 일측의 클램프 연결부(6a)를 감싸 모아지는 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클램핑이 이루어진다. 역시 제3거푸집(3)과 아웃코너 조인트(6)의 구조가 상이하지만 클램프(10)의 구조에 의해 상호 클램핑이 가능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제1,2조임구(11,12)에 의해 클램프(10)를 건축 자재에 고정하거나 2개 이상의 건축 자재를 클램핑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며, 여기에 부가적으로 다른 건축 자재를 더 결속할 수 있도록 너트 또는 볼트가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너트(18)만 도시되었으며, 클램프(10)의 어느 곳에든 예를 들어 저부, 좌우 측벽부에 너트(18)가 형성된다. 너트(18)는 보강대를 고정하는 새들을 고정하는 용도 등으로 사용된다.
제1,제2조임구(11,12)는 나사 체결 등을 통해 각각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며, 따라서 건축 자재의 형태에 맞는 것으로 교체함으로써 단일 종류의 클램프를 통해 다양한 건축 자재를 클램핑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램프(10)는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목재형 건축 자재(테두리부재)를 목재형 건축 자재의 구조 변경없이 즉 모든 구조의 목재형 건축 자재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제2조임구가 목침(19)으로 구성되는데 특징이 있다.
물론, 목침(19)은 전후진되지 않는 제1조임구에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시예 1의 제1조임구(11)와 다른 구조의 조임구와도 조합 가능하다.
목침(19)은 전후진 조작봉(17)의 단부에 고정 내지 분리(교체) 가능하게 구성되어 회전 및 전진에 의해 목재형 건축 자재(1)에 박혀 목재형 건축 자재(1)를 클램핑한다.
목침(19)은 목재형 건축 자재(3)의 면에 지지되는 지지판(19a)의 중심에 형성됨으로써 지지판(19a)에 의한 지지력 증대를 통해 클램프(10)가 흔들림없이 목재형 건축 자재(3)를 클램핑하는 효과가 있다.
지지판(19a)은 단부로 가면서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램프(10)를 이용하여 슬래브와 보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테이블 폼을 제작한다.
단, 판재 형태의 테이블폼만으로는 콘크리트 타설 압력을 견디지 못하므로 테이블 폼의 휨 변형을 막기 위한 보강대가 적용된다.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보강대(100)는 슬래브 타설 구간과 보 타설 구간 모두를 견고하게 보강하는 구조이며 특히 단일 종류(높이가 동일한)의 서포트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높이가 동일하고 서포트가 저부에 지지되는 하부 수평부(110), 하부 수평부(110)의 상부에 보의 높이만큼 세워지는 박스부(120)로 구성된다.
2개 이상의 보가 일정 거리를 두고 시공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며, 따라서 보강대(100)는 하부 수평부(110)에 일정 거리(보의 폭)를 두고 다수의 박스부(120)가 형성된 구조이다. 하부 수평부(110)에는 보 거푸집이 직접 설치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보측 보강대가 높게 형성되어 보 거푸집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보강대(100)는 제조와 시공성을 위해 다수개로 분할되어 사용되며, 예를 들어 제1,2보강틀(200,300)가 교대로 반복 배치되어 사용된다.
제1보강틀(200)은 직선형의 제1보강재(210), 제1보강재(210)의 상부에 제1보강재(210) 보다 높게 배치되는 입체형의 제2보강재(220)로 구성된다.
도 9와 도 10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1보강재(210)는 각관, 원형관, 앵글, 빔 등 다양한 자재의 사용이 가능하고 2개가 1개의 제2보강재(220)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장선재의 기능을 한다.
제2보강재(220)는 각관, 원형관, 앵글, 빔 등 다양한 자재의 사용이 가능하고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며 하부가 제1보강재(210)에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구(230)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한 쌍 이상(도면에는 3개로 도시됨)의 수직부(221), 수직부(221)들의 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222)로 구성된다. 또한 부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경사형 보강부(223)가 포함될 수 있다.
제2보강재(220)는 이와 같은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사각 틀의 형태도 가능하다.
제1보강재(210)와 제2보강재(220)의 조립을 위하여 제1,2보강재(210,220)에 각각 체결공(211,224)이 형성되는데, 슬래브와 보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2보강재(220)의 체결공(224)은 높이 조절을 위하여 2개 이상이 일정 높이차를 두고 형성된다.
제1보강재(210)와 제2보강재(220)로 이루어진 제1보강틀(200)은 보의 저부와 일측 벽 그리고 슬래브의 일부 구간을 보강하는 구조이며, 즉, 제1보강재(210)는 제2보강재(220)보다 보의 폭만큼 더 길게 형성되어 보의 저부를 보강하는 보 바닥측 보강부를 형성하고, 제2보강재(220)는 보의 일측벽과 슬래브의 일부 구간을 보강하는 슬래브측 보강부를 형성한다.
제1보강틀(200)은 슬래브 구간과 보 구간을 보강하기 위한 구조인 것이며, 따라서 전술한 제1,2보강재(210,220)로 한정되지 않고 4개의 부재가 틀의 형태로 조립되는 것도 포함된다.
제1보강틀(200)에는 거푸집이 조립되어 함께 시공 사용된다.
또한 도 10b에서 보이는 것처럼, 하부 수평부(110)에는 보의 바닥측을 지지하는 별도의 보 바닥측 보강부(111)가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 바닥측 보강부(111)는 하부 수평부(110)의 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세워지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보 바닥측 거푸집을 보강하는 수평부로 구성된다.
도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2보강틀(300)은 직선형의 제1보강재(310), 제1보강재(310)에 결합되는 제2보강재(320)로 구성되며 제1보강틀(200)과 동일한 자재의 사용이 가능하다.
제2보강틀(300)은 제1보강틀(200)의 옆에 설치되어 슬래브의 일부 구간과 보의 다른 측벽 구간을 보강한다.
제1보강재(310)와 제2보강재(320)는 제1보강틀(200)의 제1,2보강재(210,220)와 동일한 구조[한 쌍 이상의 수직부(321), 수직부(321)들의 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322), 하나 이상의 경사부(323)]로 이루어지며, 체결구(330)를 통해 서로 조립된다. 또한 제2보강틀(3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2보강재(320)는 2단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된다.
도 12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2보강틀(200,300) 테이블 폼의 크기에 따라 2개 이상이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이때, 제1,2보강틀(200,300)들 사이를 보강함과 아울러 제1,2보강틀(200,300)들을 결속하기 위하여 제1,2보강틀(200,30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멍에재(240)[도면에는 제1보강틀(200)에만 적용된 것으로 도시됨]가 적용된다. 멍에재는 각관, 각목 등 다양한 자재의 사용이 가능하고 새들과 체결구(볼트와 너트)를 통해 조립된다. 멍에재(240)에는 서포트(40)가 연결될 수 있고 물론 서포트(40)와 연결되지 않는 것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2보강틀(200,300)은 각각 거푸집이 조립되어 함께 시공 사용된다.
제1보강틀(200)의 저부에서는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절곡되는 형태의 새들(20)이 결합되고 볼트(30)가 새들(20)을 관통하여 클램프(10)의 너트(18)에 체결됨으로써 제1보강틀(200)과 거푸집(1)이 결속된다.
즉, 거푸집을 연결하는 클램프(10)를 이용하여 제1보강틀(200)을 조립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하고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공정을 통해 제1테이블 폼[제1보강틀(200)과 거푸집이 조립된 것]과 제2테이블 폼[제2보강틀(300)과 거푸집이 조립된 것]을 제작하고, 서포트를 통해 설치한다.
상기 제1,2테이블 폼은 각각 인양 등을 통해 설치되거나 서로 결속된 후 함께 인양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1에서 보이는 것처럼, 서포트(40)는 3중 구조 즉 서로 다른 관경의 외관(41), 외관(41) 내부에 출몰 및 복수단의 높이조절공을 통해 높이조절되는 제1내관(42), 제1내관(42)에 출몰 및 복수단의 높이조절공을 통해 높이조절되는 제2내관(43)으로도 구성 가능하다.
또한, 테이블 폼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서포트(40)에는 바퀴(44)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퀴(44)는 바퀴 프레임을 통해 제작되고 클램프를 통해 서포트(40)에 장착된다.
2. 테이블 폼 설치.
제1,2테이블 폼의 제1,2보강틀(200,300)에는 하나 이상의 서포트(40)가 연결되어 서포트(40)를 통해 상기 제1,2테이블 폼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된다.
서포트(40)와 제1,2보강틀(200,300)의 연결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14a와 도 14b에서 보이는 것처럼, 서포트(40)의 상부에는 소켓(50)이 결합되고, 제1보강틀(200)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소켓(50)은 2중 볼트식 서포트 결속구(60)를 통해 제1보강틀(200)의 제1보강재(210)에 결합된다.
소켓(50)은 내부에 서포트(40)가 삽입되는 관형의 소켓 본체(51), 소켓 본체(51)의 상부에 외향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며 서포트 결속구(60)에 조립되는 결속판(52), 소켓 본체(51)에 나사 체결되며 소켓 본체(51) 내부에 삽입되는 서포트(40)의 체결공이나 체결홈에 체결 또는 외주면에 지지되어 서포트(40)를 결속하는 하나 이상의 조임구(53)로 구성된다.
2중 볼트식 서포트 결속구(60)는 제1보강재(210)[또는 제1보강재(210) 하부에 설치되는 멍에재]에 지지되면서 서포트(40)의 소켓(50)과 결속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예컨대 각관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제1보강재(210)의 사이에 개재되는 결속구 몸체(61), 결속구 몸체(61)와 제1보강재(210)를 새들(250)과 함께 고정하는 제1볼트(62), 소켓(50)과 결속구 몸체(61)를 체결하는 제2볼트(63)로 구성된다.
제1볼트(62)는 머리부가 새들(250)의 상부에 지지되면서 결속구 몸체(61)를 관통한 후 결속구 몸체(61)의 저부에서 너트(62a)가 체결되어 지지됨으로써 새들(250)과 결속구 몸체(61)를 결합한다.
제2볼트(63)는 소켓(50)의 결속판(52)의 저부에서부터 체결되어 머리부가 결속판(52)의 저부에 지지되면서 나사부가 결속구 몸체(61)의 내부에 고정된 너트(64)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소켓(50)과 결속구 몸체(61)를 결합한다.
도 15는 서포트 결속구(60)의 다른 예시도로서, 멍에재(240)의 상부에 설치되어 멍에재(24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새들(250), 멍에재(240)의 하부에 설치되어 멍에재(240)의 하부를 지지하며 너트(261)가 결합된 하부 새들(260), 머리부가 상부 새들(250)의 상부에 지지되면서 나사부가 하부 새들(260)의 너트(261)에 나사 체결되어 상하부 새들(250,260)을 결합하는 제1볼트(65), 하부 새들(260)의 너트(261)에 하부에서부터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며 서포트(40)의 체결공에 끼워 고정되는 제2볼트(66)로 구성된다.
도 16에서 보이는 것처럼, 서포트(40)의 저부에는 높이조절을 위한 자키(70)가 결합되어 사용된다.
자키(70)는 지면에 지지되는 바닥판(71), 바닥판(71) 위에 세워지는 볼트봉(72), 볼트봉(72)에 나사 체결되는 높이조절구(73), 높이조절구(73)에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높이조절구(73)에 의해 지지되며 내부에 서포트(40)가 삽입되는 소켓부(74), 소켓부(74)에 서포트(40)를 향해 전후진 가능하게 나사 체결되어 소켓부(74)에 삽입된 서포트(40)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조임구(75), 볼트봉(72)의 상부에 볼트봉(72)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볼트봉(72)과 높이조절구(73)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커버(7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자키(70)는 소켓부(74) 안에 서포트(40)를 삽입한 후 조임구(75)로 조여 고정함으로써 서포트(40)와 자키(70)가 결합되며 높이조절구(73)와 소켓부(74)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높이조절구(73)가 볼트봉(72)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자키(70)를 서포트(40)에 결합하여 인양 운반하는 과정에서 자키(70)가 떨어지지 않으며 따라서 인양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참고로 종래 자키는 일정 높이만큼 떨어지도록 서포트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자키가 떨어지는 만큼 더 높게 인양하여야 한다.
서포트(40)의 설치시 서포트(40) 자체의 높이조절 구조를 통해 높이를 조절하고 또는 자키(70)의 높이조절구(73)를 돌려 서포트(40)의 높이를 조절하여 테이블 폼을 슬래브의 위치에 설치한다.
상기 테이블 폼(제1,2테이블 폼)과 서포트(40) 및 자키(70)는 시공 현장에서 조립된 후 단일 인양과 운반을 통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자키(70)가 결합된 서포트(40)를 세워 설치한 후 여기에 테이블 폼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건축물의 디자인성을 위하여 도 17에서 보이는 것처럼, 건축물의 외부로 돌출되는 처마를 시공하거나 면적이 넓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보와 연계하여 처마가 돌출 시공된다. 이때, 전술한 구성의 제2테이블 폼(또는 제1테이블 폼)을 이용함으로써 처마의 시공이 가능하다.
거푸집은 보와 처마를 함께 시공을 위하여 직선형의 거푸집와 인코너 조인트 및 아웃코너 조인트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테이블 폼은 아래 층의 슬래브보다 돌출된 형태이기 때문에 경사형 브레이싱(40)을 이용한다.
도 17에 도시된 브레이싱(40)은 전술한 서포트(40)와 동일한 제품이며, 단, 경사지게 설치하기 위하여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경사형 받침대(예컨대 삼각 단면)를 사용한다.
또는 기성품인 파이프를 이용한 브레싱(80)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과 도 19에서 보이는 것처럼, 브레이싱(80)은 파이프(81), 파이프(81)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2소켓(82,83), 제1,2소켓(82,83)에 각각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길이조정볼트(84,85)로 구성된다.
파이프(81)는 건축 현장 등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원형이나 각형의 자재이며, 현장 여건(거푸집의 크기 등)에 적합한 길이의 자재가 선택되어 사용된다. 즉, 브레이싱을 위하여 생산된 것이 아니라 건축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자재를 이용하는 것이고, 따라서, 거푸집의 크기에 맞는 길이의 제품을 별도로 생산하지 않고 다양한 길이로 제작되고 길이의 절단이 용이한 자재를 이용하는데 특징이 있다. 도 19에서 보이는 것처럼 파이프(81)는 다양한 길이의 제품이 선택 사용된다. 즉 제1,2길이조절볼트(84,85)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지만 길이 조절에 한계가 있으며 처음 제작시 적합한 길이의 파이프(81)를 선택함으로써 길이 조절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파이프(81)의 길이방향 양측의 내부에는 제1,2소켓(82,8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81a,81b)이 각각 파이프(81)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고정된다.
제1,2소켓(82,83)은 파이프(81)와 제1,2길이조정볼트(84,85)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며, 브레이싱으로 제작된 기성품은 파이프의 본체에 제1,2길이조정볼트가 직접 연결된 구조이지만 본 고안은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파이프(81)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1,2길이조정볼트(84,85)를 연결하기 위한 제1,2소켓(82,83)을 필요로 한다.
제1,2소켓(82,83)은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1소켓(82)을 예로 들어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제1소켓(82)은 일측이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측에 제1길이조정볼트(84)가 신축 가능하도록 나사 체결되는 관형의 제1소켓 본체(82a), 제1소켓 본체(82a)의 일측에 형성되며 파이프(81)의 고정핀(81a)이 끼워지는 핀결합부(82b)로 구성된다.
제1소켓 본체(82)는 원형, 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사용 가능하며, 단 제1길이조정볼트(84)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내부에는 너트가 결합되거나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핀결합부(82b)는 제1소켓 본체(82a)의 일측에 외부와 연통하도록 단부에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삽입부(82b-1) 및 삽입부(82b-1)의 내측 단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고정핀(81a)이 끼워지는 키부(82b-2)로 이루어지며, 고정핀(81a)의 양측이 끼워지도록 제1소켓 본체(82a)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키부(82b-2)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파이프(81)와 제1소켓(82)이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제2소켓(83)은 제1소켓(82)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제1,2길이조정볼트(84,85)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볼트이며 제1,2소켓(82,83)의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어 브레이싱(80)의 길이를 조정하고, 단부에는 지면과 보강대에 고정되도록 핀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2길이조정볼트(84,85)를 지면과 거푸집(1)에 고정하는 방법은 브래킷 방식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파이프(81)와 제1,2소켓(82,83)은 고정핀(81a,81b)과 핀결합부(82b)를 통해결합 상태를 유지하고 필요시 분리가 가능하지만, 브레이싱(81)의 길이조정을 위한 작업시 즉 파이프(81)를 돌릴 때 파이프(81)가 공회전하지 않고 파이프(81)와 제1,2소켓(82,83)이 함께 회전하도록 제1,2클램프(86,87)가 적용될 수 있다.
제1,2클램프(86,87)는 파이프(81)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기성품이며 예를 들어, 파이프(81)와 제1,2소켓(82,83)을 감싸 고정하는 2개의 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편은 일측이 힌지로 결합되고 타측이 체결구(볼트와 너트일 수 있음)를 통해 조임된다. 제1,2클램프(86,87)는 취급이 용이하도록 2개의 편 중 어느 하나의 편이 제1,2소켓(82,83)에 용접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81)는 거푸집의 크기 등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되지만 제1,2소켓(82,83)은 다양한 길이의 파이프(81)에 공용되는 것이므로 제1,2클램프(86,87)는 제1,2소켓(82,83)에 고정된다.
제1,2클램프(86,87)는 파이프(81)와 제1,2소켓(82,83)을 함께 고정할 수 있도록 핀결합부를 간섭하지 않는 곳에 결합되고, 제1,2소켓(82,83)과의 사이에 파이프(81)가 삽입되는 간격이 형성되도록 결합된다.
브레이싱(80)은 처마의 시공을 위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슬래브와 보의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브레이싱(80)에 따르면, 건축 현장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저렴한 파이프를 이용 또는 파이프의 절단을 통해 원하는 길이의 파이프를 제작하여 이용함으로써 건축물의 크기 변화에 대하여 저렴하고 용이하게 대응하므로 다양한 길이의 브레이싱을 구입하는데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취급(보관)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그리고, 파이프, 소켓, 길이조정볼트 중에서 교체가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여 교체함으로써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3. 콘크리트 타설.
전 공정을 통해 테이블 폼을 슬래브와 보의 시공 위치에 설치한 후 테이블 폼의 타설 구간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다.
4. 탈형.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테이블 폼을 탈형하며, 예를 들어 존치기간에 따라 일부 서포트를 먼저 제거할 수 있고, 서포트(40)의 상부에 연결된 소켓(50)으로부터 서포트(40)의 구속을 해제[조임구(53)를 풀어 서포트(40)가 소켓(50)에서 빠지도록 해제]하거나 서포트 결속구의 해체를 통해 서포트(40)를 제거한다.
제1,2테이블 폼(거푸집과 보강대가 결합된 상태)을 각각 탈형하고, 사용이 완료되면 거푸집과 보강대(제1,2보강틀)을 분리하며, 또한 제1,2보강재의 분리를 통해 제1,2보강틀을 각각 분리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테이블 폼은 보와 슬래브가 연계하는 부분에서 탈형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도 2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2보강재(220)의 수직부(221)의 상부와 상부 수평부(222)의 도면 기준 좌측 단부의 사이에 인코너 조인트(4)가 적용되고, 여기서 수직부(221)와 인코너 조인트(4)의 마주하는 단부에는 각각 도면 기준 우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면서 서로 슬라이딩 가능한 경사부(221a,4a)가 형성되고, 인코너 조인트(4)의 경사부(4a)에는 경사방향으로 탈형유도장공(4b)이 형성되는 한편 수직부(221)의 경사부(221a)에는 장공 또는 원형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탈형유도장공(4b)과 상기 체결공에는 연결구(221b)(볼트와 너트, 핀 등)가 체결된다.
인코너 조인트(4)의 타측과 상부 수평부(222)는 클램프를 통해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테이블 폼의 타설시 결합되고 탈형시 분리된다.
도 22에서처럼, (A)는 콘크리트 타설시의 상태이며, 수직부(221)와 인코너 조인트(4) 및 상부 수평부(222)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형태로 결합된다.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탈형을 위하여 (B)와 같이 테이블 폼을 하부로 내리면, 수직부(221)와 인코너 밴드(4)의 경사부(221a,4a)의 경사에 의해 인코너 조인트(4)가 보와 슬래브의 모서리부에 붙은 상태에서 나머지 제2보강재(220)(거푸집이 조립된 상태)이 떨어지며[상부 수평부(222)와 인코너 조인트(4)가 연결된 부분은 미리 분리 상태로 함], 연결구(221b)를 통해 수직부(221)와 인코너 조인트(4)는 분리되지 않으며 수직부(221)가 자연스럽게 경사를 타고 미끄러지면서 탈형된다.
따라서, 인코너 조인트(4)를 제외한 부분을 쉽게 탈형한다.
이어서, 제2보강재(220)를 더 내리면 인코너 조인트(4)가 탈형된다.
경사부(111a,142a)는 도 22의 방향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탈형이 용이한 다양한 각도가 가능하다.
콘크리트 타설 공정과 탈형 공정은 전술한 구성 설명과 공지 기술을 통해 실시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1,2,3 : 거푸집, 4 : 인코너 조인트
5 : 아웃코너 조인트, 10 : 클램프
11,12 : 제1,2조임구, 13,14 : 제1,2걸림부
13a,13b,14a,14b : 걸림턱, 15 : 연결부
16 : 너트형 소켓, 17 ; 전후진 조작봉
18 : 너트, 19 : 목침
20 : 새들, 30 : 볼트
40 : 서포트, 50 : 소켓
60 : 서포트 결속구, 70 : 자키
80 : 브레이싱, 100 : 보강대
200 : 제1보강틀, 300 : 제2보강틀

Claims (15)

  1. 슬래브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부재와 상기 거푸집부재를 보강하는 보강대를 클램프로 조립하여 테이블 폼을 제작하되, 상기 보강대의 저부가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테이블 폼을 제작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제작된 테이블 폼을 높이가 동일한 단일 종류의 서포트를 통해 슬래브의 시공 위치에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설치된 테이블 폼의 거푸집부재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슬래브와 보를 시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 의한 슬래브와 보의 양생 후 상기 테이블 폼을 탈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는 평평한 판상으로 이루진 거푸집, 모서리부의 타설을 위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타설면(4a)과 상기 타설면(4a)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클램프 연결부(4b)로 이루어진 인코너 조인트(4), 상호 간에 직각을 이루는 클램프 연결부(6a)를 갖는 아웃코너 조인트(6)를 슬래브와 보의 단면에 맞도록 선택한 후 클램프(10)로 연결하여 거푸집부재를 제작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에서 사용된 클램프와 동일한 구성의 클램프를 통해 상기 보강대를 상기 거푸집부재와 조립하는 제1-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10)는 서로 모아지는 방향과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거푸집부재를 클램핑하는 제1,2조임구(1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2조임구는 단부에 각각 상기 거푸집부재에 형성되는 클램프 연결부에 끼움 결합되는 홈 또는 돌기 형태의 제1,2걸림부(13,14)를 포함하되, 상기 제1,2걸림부 중에서 일측 이상은 다양한 크기와 구조의 클램프 연결부에 공용되도록 2단 이상의 걸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높이의 변화가 없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서포트의 상부에 하부 수평부(110)와 상기 하부 수평부에 상기 하부 수평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슬래브와 보 타설구간을 보강하는 박스부(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 수평부와 박스부는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보강대의 하부 수평부를 소켓(50)과 2중 볼트식 서포트 결속구(60)를 통해 상기 서포트에 연결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 수평부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제1보강재, 상기 제1보강재에 연결되어 상기 박스부를 형성하는 입체형의 제2보강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또는 제2보강재는 2단 이상의 높이조절공이 형성되어 슬래브와 보의 높이에 맞춰 상기 제1,2보강재를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2중 볼트식 서포트 결속구는 새들(250)을 통해 제1보강재(210)와 함께 연결되며 내부에 너트(64)가 형성된 결속구 몸체(61), 제1볼트(62)는 머리부가 상기 새들(250)의 상부에 지지되면서 결속구 몸체(61)를 관통한 후 상기 결속구 몸체(61)의 저부에서 너트(62a)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새들(250)과 상기 결속구 몸체(61)를 결합하는 제1볼트(62), 제2볼트(63)는 상기 소켓(50)의 결속판(52)의 저부에서부터 체결되어 머리부가 상기 결속판(52)의 저부에 지지되면서 나사부가 상기 결속구 몸체(61)의 너트(64)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소켓(50)과 결속구 몸체(61)를 결합하는 제2볼트(6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2중 볼트식 서포트 결속구는, 상기 제1보강재 또는 상기 제1보강재 하부의 멍에재(24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새들(250), 상기 제1보강재 또는 상기 멍에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너트(261)가 결합된 하부 새들(260), 머리부가 상기 상부 새들(250)의 상부에 지지되면서 나사부가 상기 하부 새들(260)의 너트(261)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상하부 새들(250,260)을 결합하는 제1볼트(64), 상기 하부 새들(260)의 너트(261)에 하부에서부터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며 서포트(40)의 체결공에 끼워 고정되는 제2볼트(6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거푸집부재와 상기 보강대를 조립한 테이블 폼을 보의 바닥측과 일측벽 및 슬래브의 일부 구간을 타설하도록 하는 제1테이블 폼,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테이블 폼과 나란하게 배열되어 슬래브의 나머지 구간과 보의 타측벽을 타설하도록 하는 제2테이블 폼으로 분할하여 테이블 폼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서포트의 저부에 자키(70)를 결합하여 상기 자키를 통해 상기 테이블 폼의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자키(70)는 지면에 지지되는 바닥판(71), 상기 바닥판 위에 세워지는 볼트봉(72), 상기 볼트봉에 나사 체결되는 높이조절구(73), 상기 높이조절구에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서포트(40)가 삽입되는 소켓부(74), 상기 소켓부에 상기 서포트를 향해 전후진 가능하게 나사 체결되어 소켓부(74)에 삽입된 서포트(40)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조임구(75)로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조절구의 회전 조작을 통해 상기 소켓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서포트와 상기 테이블 폼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테이블 폼을 아래층보다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하부가 아래층 슬래브에 지지되면서 상부가 상기 테이블 폼의 저부에 지지되도록 브레이싱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처마를 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싱(80)은 파이프(81),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2소켓(82,83), 상기 제1,2소켓에 각각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길이조정볼트(84,85), 상기 제1,2소켓의 둘레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1,2소켓과의 사이에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와 상기 제1,2소켓의 이음부를 분리 가능하게 클램핑하는 제1,2클램프(86,8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단계는 상기 보강대의 상부를 저부에서 감싸도록 새들(20)을 결합하고, 볼트를 상기 새들과 상기 클램프의 너트에 체결하여 상기 보강대를 상기 거푸집부재와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거푸집부재에 다수의 상기 보강대를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결합하고, 상기 다수의 보강대에 상기 보강대들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멍에재를 조립하여 보강하고, 상기 서포트를 상기 멍에재의 저부에 연결하여 상기 테이블 폼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외관, 상기 외관에 순차적으로 출몰에 의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 이상의 내관으로 이루어진 서포트를 사용하여 상기 테이블 폼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에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를 설치하여 상기 바퀴에 의해 상기 테이블 폼을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폼은 상기 보강대 중에서 상기 인코너 조인트(4)와 연결되는 수직부(221)와 상기 인코너 조인트의 마주하는 단부에 일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면서 서로 슬라이딩 가능한 경사부(221a,4a)가 형성되고, 상기 인코너 조인트의 경사부(4a)에는 경사방향으로 탈형유도장공(4b)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직부(221)의 경사부(221a)에는 장공 또는 원형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탈형유도장공(4b)과 상기 체결공에는 상기 수직부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연결구(221b)가 체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4단계에서는 상기 인코너 조인트 및 상기 인코너 조인트와 연결되는 부분의 슬라이딩에 의한 하강을 통해 상기 테이블 폼을 탈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KR1020140181767A 2014-12-16 2014-12-16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KR101586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767A KR101586858B1 (ko) 2014-12-16 2014-12-16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767A KR101586858B1 (ko) 2014-12-16 2014-12-16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858B1 true KR101586858B1 (ko) 2016-01-19

Family

ID=5530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767A KR101586858B1 (ko) 2014-12-16 2014-12-16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85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242B1 (ko) * 2016-01-22 2017-06-20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가변형 보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CN107090977A (zh) * 2017-06-05 2017-08-25 江苏旺材科技有限公司 一种撬扛式墙柱端模板紧固锁具
KR20190034002A (ko) 2017-09-22 2019-04-01 서보산업 주식회사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
CN110005194A (zh) * 2019-04-19 2019-07-12 中铁十六局集团城市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替代穿模对拉螺栓及步步紧加固的模板夹具
KR20200046261A (ko) * 2018-10-24 2020-05-07 김상모 와플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KR20200095659A (ko) * 2019-02-01 2020-08-11 장윤근 슬래브폼 서포트장치
CN112942826A (zh) * 2021-02-28 2021-06-11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拼接夹具及模板框架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8216A (ko) 1996-11-25 1998-08-05 씨 고 존 버섯균사체 또는 자실체가 함유된 음용수 첨가용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
KR100357488B1 (ko) 1999-12-28 2002-10-19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슬래브 및 보 동시 구축용 테이블 폼
KR100695877B1 (ko) * 2005-11-15 2007-03-19 이병영 탈착형 코너폼이 장착된 거푸집 및 그 사용공법
KR100792031B1 (ko) 2006-10-23 2008-01-04 서보산업 주식회사 거푸집 테두리 결속용 클램프
KR100802165B1 (ko) * 2007-06-29 2008-02-12 서보산업 주식회사 자키 베이스
KR20110106216A (ko) * 2010-03-22 2011-09-28 서갑수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
KR20110135259A (ko) * 2010-06-10 2011-12-16 (주)거혁산업 서포터의 드럽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8216A (ko) 1996-11-25 1998-08-05 씨 고 존 버섯균사체 또는 자실체가 함유된 음용수 첨가용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
KR100357488B1 (ko) 1999-12-28 2002-10-19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슬래브 및 보 동시 구축용 테이블 폼
KR100695877B1 (ko) * 2005-11-15 2007-03-19 이병영 탈착형 코너폼이 장착된 거푸집 및 그 사용공법
KR100792031B1 (ko) 2006-10-23 2008-01-04 서보산업 주식회사 거푸집 테두리 결속용 클램프
KR100802165B1 (ko) * 2007-06-29 2008-02-12 서보산업 주식회사 자키 베이스
KR20110106216A (ko) * 2010-03-22 2011-09-28 서갑수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
KR20110135259A (ko) * 2010-06-10 2011-12-16 (주)거혁산업 서포터의 드럽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242B1 (ko) * 2016-01-22 2017-06-20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가변형 보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CN107090977A (zh) * 2017-06-05 2017-08-25 江苏旺材科技有限公司 一种撬扛式墙柱端模板紧固锁具
KR20190034002A (ko) 2017-09-22 2019-04-01 서보산업 주식회사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
KR20200046261A (ko) * 2018-10-24 2020-05-07 김상모 와플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KR102177979B1 (ko) * 2018-10-24 2020-11-12 김상모 와플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KR20200095659A (ko) * 2019-02-01 2020-08-11 장윤근 슬래브폼 서포트장치
KR102191860B1 (ko) 2019-02-01 2020-12-16 장윤근 슬래브폼 서포트장치
CN110005194A (zh) * 2019-04-19 2019-07-12 中铁十六局集团城市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替代穿模对拉螺栓及步步紧加固的模板夹具
CN112942826A (zh) * 2021-02-28 2021-06-11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拼接夹具及模板框架
CN112942826B (zh) * 2021-02-28 2023-08-15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拼接夹具及模板框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858B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KR101539447B1 (ko) 탈형이 용이한 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
KR101514395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장치
CN102510927B (zh) 混凝土结构的可调节金属模板系统
KR102143637B1 (ko)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101745242B1 (ko) 가변형 보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200438331Y1 (ko) 보거푸집 지지대
KR102038061B1 (ko) 가변형 조립식 보 거푸집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237333B1 (ko)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KR101396434B1 (ko)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
KR101310844B1 (ko) 보 시공용 거푸집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JP5278982B1 (ja) 角柱状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の型枠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構築方法
KR101832183B1 (ko) 슬라브시공용 슬라브패널 서포터
KR101616867B1 (ko) 벽체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200375723Y1 (ko) 공동구용 덮개 거푸집 구조
CN109514709B (zh) 一种异形梁组合模板的调节系统
KR20170050143A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101859398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20180012535A (ko) 각도조절용 타이
KR101859406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CN217998947U (zh) 降板施工装置
KR101586855B1 (ko) 조립식 테이블 폼
KR101806000B1 (ko) 서포트 길이 연장용 익스텐더
US20230364827A1 (en) Mold for precast reinforced concrete heavy duty retaining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