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002A -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 - Google Patents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002A
KR20190034002A KR1020170122836A KR20170122836A KR20190034002A KR 20190034002 A KR20190034002 A KR 20190034002A KR 1020170122836 A KR1020170122836 A KR 1020170122836A KR 20170122836 A KR20170122836 A KR 20170122836A KR 20190034002 A KR20190034002 A KR 20190034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modular
support
formwork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637B1 (ko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6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34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와 슬래브를 동시 타설 및 독립적 타설이 가능하고 보와 슬래브의 크기 변화에 쉽고 빠르게 대응하여 보와 슬래브를 시공할 수 있으며 슬래브 거푸집과 보 거푸집을 연결하여 콘크리트 압력을 슬래브 거푸집에서부터 보 거푸집을 통해 분산시키는 한편 슬래브 거푸집 아래에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 시공성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은, 틀(11,12), 상기 틀 위에 올려지는 슬래브 타설판(13), 상기 틀의 저부에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멍에재(14), 상기 장선재 또는 멍에재를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서포트(17)로 구성되는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과; 보 타설판, 상기 보 타설판의 둘레부에 설치되는 목심 지지바(29), 상기 보 타설판을 지지하는 멍에재(26), 상기 멍에재를 지지하는 서포트로 구성되는 모듈형 보 거푸집(20)과;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의 슬래브 타설판과 모듈형 보 거푸집의 보 타설판 사이의 빈 공간에 설치되는 필라 타설판(30)과; 상기 보 모듈의 멍에재 위에 올려지며 상기 멍에재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하는 슬래브거푸집 거치대(40)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과 모듈형 보 거푸집을 설계 간격으로 이동 및 상기 슬래브거푸집 거치대를 매개로 하여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을 거치하고 빈 공간에 맞는 필라 타설판을 설치하여 보와 슬래브를 콘크리트 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을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은,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의 모듈형 보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설치된 모듈형 보 슬래브 거푸집들의 사이에 상기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의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되,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의 멍에재를 상기 모듈형 보 거푸집에 설치된 슬래브거푸집 거치대에 올려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설치된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과 모듈형 보 거푸집 사이의 빈 공간에 필라 타설판을 설치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완성한 타설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와 슬래브를 동시에 시공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를 통해 콘크리트의 양생을 완료한 후 상기 모듈형 보 거푸집을 탈형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 이후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을 탈형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LARGE CONCRETE MOLD FOR CROSSBEAM AND SLAB,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ROSSBEAM AND SLAB USING THIS SAME}
본 발명은 보와 슬래브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와 슬래브를 동시 타설 및 독립적 타설이 가능하고 보와 슬래브의 크기 변화에 쉽고 빠르게 대응하여 보와 슬래브를 시공할 수 있으며 슬래브 거푸집과 보 거푸집을 연결하여 콘크리트 압력을 슬래브 거푸집에서부터 보 거푸집을 통해 분산시키는 한편 슬래브 거푸집 아래에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 시공성을 향상하는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건축할 경우 층과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각형상의 거푸집을 다수개 연결하여 보와 플로우가 형성되도록 틀을 형성하고, 틀을 완성한 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며, 콘트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다수의 거푸집을 해체하게 되고, 이 해체된 거푸집을 수작업으로 상부층으로 운반하여 다시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여 콘트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즉, 층과 층 사이를 구축하는 방법은 거푸집을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건축물의 설계에 의해 결정된 높이)로 배치한 후 다수의 서포터들을 상기 거푸집과 바닥 사이에 세워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거푸집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상층 바닥의 틀을 구성한 후,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최근 들어 슬래브와 보를 함께 타설 시공하고 있으며, 이는 슬래브와 보를 함께 타설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소위 "테이블 폼"이라 불림)에 의해 이루어진다.
종래 테이블 폼은 슬래브 거푸집, 보 거푸집, 상기 슬래브 거푸집과 보 거푸집을 저부에서 지지하는 보강재[슬래브 거푸집과 보 거푸집에 각각 일체로 구성]로 구성되며, 지면에 세워지는 높이조절형 서포트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테이블 폼은 상기 슬래브 거푸집과 보 거푸집 및 상기 보강재는 일체로 구성되어 시공성이 우수하므로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테이블 폼은 공장에서 제작된 후 운반되어 사용되기에는 부피가 너무 크기 때문에 물류비가 매우 비싸며 특히 해외 공사시 물류비의 부담이 매우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슬래브와 보는 높이차가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과 보 거푸집을 지지하는 서포트의 종류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서포트를 취급(보관, 운반)하는데 따르는 불편함이 있고, 시공 현장에서 작업자는 상기 슬래브 거푸집과 상기 보 거푸집에 맞는 서포트를 찾아야 하므로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586858호)은 슬래브와 보의 [0016]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부재와 상기 거푸집부재를 보강하는 보강대를 클램프로 조립하여 테이블 폼을 제작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제작된 테이블 폼을 높이가 동일한 단일 종류의 서포트를 통해 슬래브의 시공 위치에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설치된 테이블 폼의 거푸집부재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슬래브와 보를 시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4단계에 의한 슬래브와 보의 양생 후 상기 테이블 폼을 탈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는 평평한 판상으로 이루진 거푸집, 모서리부의 타설을 위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타설면과 상기 타설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클램프 연결부로 이루어진 인코너 조인트, 상호 간에 직각을 이루는 클램프 연결부를 갖는 아웃코너 조인트를 슬래브와 보의 단면에 맞도록 선택한 후 클램프로 연결하여 거푸집부재를 제작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에서 사용된 클램프와 동일한 구성의 클램프를 통해 상기 보강대를 조립하는 제1-2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거푸집부재가 분할식으로 구성되지만 보와 슬래브의 크기 변화에 쉽게 대응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한 현장은 물론 다양한 현장에서 공용하는 것이 어렵다.
등록특허 제10-1586858호 등록특허 제10-155998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과 모듈형 보 거푸집을 분리 제작하여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과 모듈형 보 거푸집의 간격을 보와 슬래브의 크기에 맞춰 자유롭게 조절하고 빈 공간을 저렴한 합판으로 마감하여 다양한 크기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슬래브 거푸집과 보 거푸집을 연결하여 콘크리트 압력을 슬래브 거푸집에서부터 보 거푸집을 통해 분산시키는 한편 슬래브 거푸집 아래에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 시공성을 향상하는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은, 틀, 상기 틀 위에 올려지는 슬래브 타설판, 상기 틀의 저부에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멍에재, 상기 장선재 또는 멍에재를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서포트로 구성되는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과; 보 타설판, 상기 보 타설판의 둘레부에 설치되는 목심 지지바, 상기 보 타설판을 지지하는 멍에재, 상기 멍에재를 지지하는 서포트로 구성되는 모듈형 보 거푸집과;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의 슬래브 타설판과 모듈형 보 거푸집의 보 타설판 사이의 빈 공간에 설치되는 필라 타설판과; 상기 보 모듈의 멍에재 위에 올려지며 상기 멍에재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하는 슬래브거푸집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과 모듈형 보 거푸집을 설계 간격으로 이동 및 상기 슬래브거푸집 거치대를 매개로 하여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을 거치하고 빈 공간에 맞는 필라 타설판을 설치하여 보와 슬래브를 콘크리트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을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은,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의 모듈형 보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설치된 모듈형 보 슬래브 거푸집들의 사이에 상기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의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되,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의 멍에재를 상기 모듈형 보 거푸집에 설치된 슬래브거푸집 거치대에 올려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설치된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과 모듈형 보 거푸집 사이의 빈 공간에 필라 타설판을 설치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완성한 타설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와 슬래브를 동시에 시공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를 통해 콘크리트의 양생을 완료한 후 상기 모듈형 보 거푸집을 탈형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 이후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을 탈형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에 의하면,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과 모듈형 보 거푸집이 서로 분리되어 건축 현장에서 여건에 맞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과 모듈형 보 거푸집을 설치하고 빈 공간을 필라 타설판으로 마감하는 것으로 콘크리트의 타설이 가능하므로 시공이 매우 우수하다.
특히,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과 모듈형 보 거푸집의 간격 조절을 통해 높은 층으로 가면서 보의 크기가 작아지는 건축물의 경우 보 거푸집만 현장에서 용이하게 제작하고 빈 공간을 마감하는 필라 타설판만을 재단함으로써 보와 슬래브의 시공이 가능하므로 현장 적용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과 모듈형 보 거푸집의 단독 사용은 물론 운반이 가능하여 해외 수출시 선적비용을 줄이는 것도 가능하고, 해외 현장에서 간단한 조립을 통해 사용이 가능하므로 해외 수출용으로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의 분해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에 적용된 슬래브 타설판 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에 적용된 슬래브 타설판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에 적용된 장선재와 목심 지지바의 조립 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에 적용된 실시예 1에 의한 모듈형 보 거푸집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에 적용된 실시예 1에 의한 모듈형 보 거푸집의 정면도.
도 8a와 도 8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에 적용된 실시예 1에 의한 모듈형 보 거푸집에 적용된 멍에재와 지지대의 결합을 보인 예시도.
도 9 내지 도 12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에 적용된 실시예 1에 의한 모듈형 보 거푸집에 적용된 턴버클형 조절구를 보인 정면도.
도 13과 도 14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에 적용된 실시예 1에 의한 모듈형 보 거푸집에 적용된 간격유지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와 도 16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에 적용된 실시예 2에 의한 모듈형 보 거푸집의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에 적용된 슬래브거푸집 거치대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에 적용된 슬래브거푸집 거치대의 다른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에 적용된 운반 겸용 서포트의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에 적용된 슬래브거푸집 거치대의 안전부재를 보인 도면.
도 21과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을 이용한 보와 슬래브의 시공 공정도로서,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의 설치 공정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의 탈형 공정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은,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과 모듈형 보 거푸집(2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과 모듈형 보 거푸집(20)은 각각 단품으로 운용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상호 간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이들 사이의 공간을 필라 거푸집(30)으로 마감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하고 여기서,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과 모듈형 보 거푸집(20)은 각각의 서포트를 통해 지면에 지지됨과 아울러 모듈형 보 거푸집(20)을 지지기반으로 하는 슬래브거푸집 지지대(40)를 통해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을 지지함으로써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과 모듈형 보 거푸집(20)의 각각의 운용이 가능하면서도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을 지지하는 서포트의 수량을 줄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넓은 작업 공간의 확보를 통해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은 다수의 장선재(11), 필라 거푸집(30)을 지지하기 위한 목심 지지바(12), 장선재(11)와 목심 지지바(12)에 올려지는 슬래브 타설판(13), 장선재(11)의 저부에 장선재(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멍에재(14), 서포트(15)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장선재(11)는 바람직하게 4각형의 각관으로 목심 지지바(12)와 조립, 멍에재(14)의 연결 등을 위한 구멍, 바람직하게 다수의 구멍이 4면에 구성된다.
다수의 장선재(11)는 슬래브 타설판(13)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콘크리트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적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또한, 구조검토없이 사용이 가능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수의 장선재(11)는 목심 지지바(12)를 통해 서로 일체화되는 것, 목심 지지바(12)를 통해 서로 일체화되면서 서로 연결되는 것 등이 가능하다.
장선재(11)는 길이방향의 양측이 목심 지지바(12)와 조립된다.
장선재(11)와 목심 지지바(12)의 조립을 위한 클램프(16)는 예를 들어 티형 너트(16a)와 볼트(16b)로 구성된다.
티형 너트(16a)는 장선재(11)의 구멍에 끼워지면서 길이방향의 일측 이상이 고정홈이나 고정턱 등을 통해 고정되고 볼트(16b)는 볼트부가 목심 지지바(12)의 구멍을 관통한 후 티형 너트(16a)에 나사 체결되며, 이를 통해 장선재(11)와 목심 지지바(12)가 조립된다.
목심 지지바(12)는 필라 거푸집(30)을 지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지지바 본체(12a) 및 지지목(12b)으로 구성된다.
지지바 본체(12a)는 장선재 고정부와 지지목(12b)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는 모든 형태가 가능하고, 예를 들어 장선재(11)에 고정되도록 클램프(16)의 볼트(16b)가 관통되는 제1수직부, 상기 제1수직부의 상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부, 상기 제1수평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2수직부, 상기 제2수직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부, 상기 제2수평부에서 상기 제2수직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수직부로 구성되며, 제2수직부와 제2수평부 및 제3수직부에 의해 지지목(12b)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한다.
제3수평부에는 지지목(12b)이 이탈되지 않도록 못 등으로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이 포함될 수 있다.
지지목(12b)은 필라 타설판(30)이 합판이므로 바람직하게 각목이다. 물론, 각목 대신 구멍이 있는 스틸 각재도 사용 가능하다.
다수의 장선재(11)들을 일체화하기 위하여 목심 지지바(12)는 장선재(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장선재(11)들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결합, 즉 2개가 사용된다(도 4 참고).
그러나, 필라 거푸집(30)이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의 3면이나 4면에 적용되는 경우 이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도 목심 지지바(12)(도 3 참고)가 적용된다. 이때는 목심 지지바(12)가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장선재(11)와 동일방향으로 배열되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장선재(11)와 목심 지지바(12)는 사각 틀을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사각틀을 사용하지 않는 점에서 구조를 단순화하는 이점이 있다.
슬래브 타설판(13)은 가격이 저렴하고 수급이 용이한 합판이 바람직하고,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멍에재(14)는 장선재(11)들의 저부에 조립되면서 서포트(15) 위에 지지되며, 콘크리트 하중이 장선재(11) - 멍에재(14) - 서포트(15)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멍에재(14)는 사각형의 각관으로서 장선재(11)와 직교하는 방향이면서 다수개가 상호 간에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공지의 다양한 클램프, 볼트와 너트 등을 통해 조립되며, 조립을 위하여 4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멍에재(14)는 저면이 서포트(15)의 상면에 안착되고, 이 때, 서포트(15)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서포트(15)와 고정되는 고정부재(17)(도 5 참고)가 적용될 수 있다.
고정부재(17)는 예를 들어 볼트(17a)로서 상부가 멍에재(14)의 구멍에 고정되어 하부가 멍에재(14)의 저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하부가 서포트(15) 안에 끼워진다. 여기서 볼트(17a)는 장선재(11)의 구멍에 고정되는 티형 너트(17b)에 나사 체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볼트(17a)의 고정을 위하여 멍에재(14)를 저부에서 감싸며 볼트(17a)가 관통되는 구멍을 갖는 새들(17c), 티형 너트(17b)의 반대쪽인 새들(17c)의 저부에서 볼트(17a)에 체결되는 조임 너트(17c)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볼트(17a)의 둘레부에는 간격재(17e)가 적용될 수 있다. 간격재(17e)는 원통형으로서 새들(17c) 위에 배치되며 내부에 볼트(17a)가 관통 수용된다.
서포트(15)는 하부가 지면 위에 안착되고 상부가 멍에재(14) 밑에서 멍에재(14)를 지지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이다. 서포트(15)의 높이 조절은 다단의 높이조절공이 있는 외통, 상기 외통 안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높이조절공과 연통하는 고정공이 구비된 내통, 상기 내통의 고정공과 상기 외통의 높이조절공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체결구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높이 조절 방식이 적용된다.
모듈형 보 거푸집(20)은 합판을 이용하면서 크기 가변이 용이한 모듈형 보 거푸집(20-1)(실시예 1), 폼패널을 이용한 모듈형 보 거푸집(20-2)(실시예 2)가 가능하다.
<실시예 1>
도 6과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실시예 1의 모듈형 보 거푸집(20-1)은 보 타설판{거더(21), 보강재(22), 앵글(23), 바닥측 거푸집(24), 벽체측 거푸집(25)}, 상기 보 타설판을 지지하는 멍에재(26), 멍에재(26)를 지지하는 서포트(27)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거더(21)는 좌우의 보강재(22)와 연결되어 보강재(22)를 지지하고 또한 보강재(22) 및 앵글(23)과 함께 고정되어 보강재(22)와 앵글(23)을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며, 후자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한다.
거더(21)는 보강재(22)의 연결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하중을 받는 것이므로 큰 강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 스틸(steel)의 박스, 각관의 형태이다.
또한, 합판의 바닥측 거푸집(24)을 거더(21)에 고정할 수 있도록 거더(21)는 지지목(21a)을 수용하는 구조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거더(21)는 내부에 바닥측 거푸집(24)을 향해 개방되는 홈이 구비되어 이 홈에 지지목(21a)이 삽입된다. 물론, 거더(21)가 각관 형태인 경우 내부와 외부가 통하는 구멍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내부에 지지목(21a)이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상기 구멍을 통해 못을 박아 합판과 지지목 고정). 지지목(21a)은 목재가 바람직할 뿐이며 합판을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이 사용 가능하다.
거더(21)는 보 거푸집의 크기에 맞춰 2개 이상이 상호 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사용된다.
거더(21)는 보강재(22)와 앵글(2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적용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예를 들어 볼트(21b)와 너트(21c)로서, 너트(21c)는 거더(21)에 용접되며 볼트(21b)는 앵글(23)과 보강재(22)를 관통한 후 너트(21c)에 체결됨으로써 앵글(23)과 보강재(22) 및 거더(21)를 결합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르면, 거더(21) 옆에 보강재(22)와 앵글(23)을 놓고 볼트(21b)를 끼워 체결할 때 간섭이 없고 반대로 보강재(22)와 앵글(23)을 거더(21)로부터 분리할 때도 볼트(21b)만 풀어 빼내는 것으로 분리가 가능하므로 조립과 분해 작업 모두가 매우 용이하다.
다른 방법으로 볼트를 거더(21)에 미리 용접하여 보강재(22)와 앵글(23)을 볼트가 관통되도록 끼우고 앵글(23)의 외부쪽에서 너트를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볼트(21b)의 체결을 위하여 와셔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볼트(21b)와 너트(21c)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핀, 클램프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거더(21)는 보강재(22) 또는 보강재(22)와 앵글(23)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부(21d)를 포함한다.
지지부(21d)는 거더(21)의 좌우 양측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서 보강재(22)와 앵글(23)을 저부에서 지지한다.
지지부(21d)는 거더(21)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로 제작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횡방향의 지지부 상부에 벽을 형성하여 이 벽을 볼트(21b)가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거더(21)에 조립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보강재(장선재)(22)는 거더(21)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결합되며 바닥측 거푸집(24)의 좌우 양쪽 저부에서 바닥측 거푸집(24)을 직접 지지함과 아울러 멍에재(26)에 지지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압력을 멍에재(26)로 분산시킨다.
보강재(22)는 거더(21) 및 앵글(23)과 함께 조립식 보 거푸집을 구성하는 자재로서 보 거푸집 자체 강성을 증대한다.
보강재(22)는 바람직하게 사각형의 각관(스틸 등)으로 4면에 내부와 외부가 통하는 구멍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멍은 원형, 장공형 모두가 가능하지만 장공형은 볼트 등을 여유 있게 설치할 수 있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좌우 한 쌍의 보강재(22)는 거더(21)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거더(21)를 통해 서로 조립되며, 이 조립 구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거더(21)와 보강재(22) 등의 조립 구성을 통해 바닥측 거푸집(24)을 합판으로 사용하여도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대한 버팀이 가능하다.
한편, 2개 이상의 보강재(22)는 조인트를 매개로 하여 연결한다. 상기 조인트는 보강재(22) 안에 삽입되는 크기와 형태이며 둘레부에 다수의 연결구멍이 구비되고, 마찰저항을 줄이면서도 휨강성이 크도록 사각 단면이면서 둘레부에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형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인트는 이웃하는 보강재(22) 안에 절반씩 삽입된 후 상기 연결구멍에 체결구(볼트와 너트, 핀 등)가 체결됨으로써 이웃하는 보강재(22)들을 연결한다.
앵글(23)은 보강재(22)의 외측에 조립되어 벽체측 거푸집(25)을 설치하는 기능을 하며, 보강재측 고정부(23a)와 거푸집 받침부(23b)로 구성된다.
보강재측 고정부(23a)는 상하 종방향으로 이루어져 보강재(22)의 측벽에 밀착되어 보강재(22)를 지지하고, 거푸집 받침부(23b)는 보강재측 고정부(23a)의 상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벽체측 거푸집(25)을 저부에서 지지한다.
보강재측 고정부(23a)와 거푸집 받침부(23b)는 각각 다수의 구멍이 있으며, 보강재측 고정부(23a)의 구멍은 전술한 것처럼 거더(21)와 조립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거푸집 받침부(23b)의 구멍은 벽체측 거푸집(25)의 조립을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거푸집 받침부(23b) 상면에 안착된 벽체측 거푸집(25)의 위치를 정렬하고 이탈하지 못하도록 지지턱(23c)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턱(23c)은 거푸집 받침부(23b)의 외측 가장자리에 상부로 돌출되어 벽체측 거푸집(25)의 저부를 덮는 형태이다.
바닥측 거푸집(24)은 바람직하게 합판이며, 왜냐하면 합판은 유로폼 등 폼 패널과 다르게 보의 크기에 맞는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고 저렴하기 때문이다.
바닥측 거푸집(24)은 좌우의 보강재(22) 위에 올려져 보강재(22)를 통해 지지되고, 앵글(23) 위에 올려지는 좌우의 벽체측 거푸집(25)들 사이의 바닥을 형성한다.
이 때, 보강재(22)가 거더(21)보다 높아 보강재(22)들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바닥측 거푸집(24)의 중앙부가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해 처질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지대(28)가 적용된다.
지지대(28)는 각관, 각목 등 각재가 바람직하고, 거더(21)와 직교하는 방향[보강재(22)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거더(21) 상부에 올려지면서 바닥측 거푸집(24)을 저부에서 지지한다.
보강재(22)의 상면과 앵글(23)의 거푸집 지지부(23a)는 동일 높이로서 일렬로 배열될 수 있고, 또는 보강재(22)와 앵글(23) 사이에 턱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바닥측 거푸집(24)은 이와 같은 조건에 맞춰 자유롭게 재단되어 사용된다.
벽체측 거푸집(25)은 앵글(23)의 거푸집 지지부(23b) 상부에 세워져 타설 공간을 마련하며, 유로폼, 알폼 등의 폼패널이 가능하다. 물론, 벽체측 거푸집(25)은 합판도 가능하다.
벽체측 거푸집(25)은 유로폼의 경우 프로파일에 다수의 구멍(사각형)이 마련되어 있으며, 앵글(23)과 벽체측 거푸집(25)은 벽체측 거푸집(25)의 구멍과 거푸집 지지부(23b)에 형성된 구멍 및 이들 구멍에 체결되는 체결구(볼트와 너트, 핀, 클램프 등)를 통해 조립된다.
본 발명의 보 거푸집을 콘크리트 타설 위치로 운반할 수 있도록 인양고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인양고리는 벽체측 거푸집 등에 적용된다.
멍에재(26)는 바람직하게 각관으로서 상기 보 타설판의 조립체를 저부에서 지지하여 콘크리트의 하중을 서포트(27)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또한 슬래브거푸집 지지대(40)의 설치를 위한 기반으로 사용된다.
멍에재(26)는 슬래브거푸집 지지대(40)의 고정을 위하여 구멍 등이 구성될 수 있다.
멍에재(26)는 보강재(2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개가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구, 클램프 등을 통해 보강재(22)에 조립될 수 있다.
서포트(27)는 하부가 지면 위에 안착되고 상부가 멍에재(26) 밑에서 멍에재(26)를 지지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이다. 서포트(27)의 높이 조절은 다단의 높이조절공이 있는 외통, 상기 외통 안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높이조절공과 연통하는 고정공이 구비된 내통, 상기 내통의 고정공과 상기 외통의 높이조절공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체결구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높이 조절 방식이 적용된다.
모듈형 보 거푸집(20)은 필라 타설판(30)의 고정을 위하여 목심 지지바(29)가 갖추어진다.
모듈형 보 거푸집(20)의 목심 지지바는 벽체측 거푸집(25)에 직접 고정되는 방식, 멍에재(26)에 세워지는 방식, 벽체측 거푸집(25)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대를 통해 설치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고, 지지대를 이용한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목심 지지바(29)는 필라 거푸집(30)을 지지[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의 목심 지지바(12)와 함께]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지지바 본체(29a) 및 지지목(29b)으로 구성된다.
지지바 본체(29a)는 지지목(29b)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는 모든 형태가 가능하고, 예를 들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공간을 갖도록 구성된다.
지지바 본체(29a)에는 지지목(29b)을 흔들림없이 고정하기 위하여 못을 정착할 수 있는 구멍이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나사 체결을 통해 지지목(29b)을 눌러 지지하는 조임구가 구성될 수 있다.
지지목(29b)은 슬래브 타설판(30)이 합판이므로 바람직하게 각목이다. 물론, 각목 대신 구멍이 있는 스틸 각재도 사용 가능하다.
목심 지지바(29)는 벽체측 거푸집(25)이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대(50)에 고정된다.
지지대(50)는 예를 들어 각관으로서 벽체측 거푸집(25)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벽체측 거푸집(25)이 콘크리트압에 의해 밀리지 않도록 하며, 멍에재(26)에 고정되어 사용된다.
도 8a에서 보이는 것처럼, 예를 들어 지지대(50)는 고정브래킷(51)을 매개로 하여 멍에재(26)에 고정된다.
지지대(50)는 멍에재(26)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고, 멍에재(26)에 고정된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높이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예를 들어 지지대(50)는 2중관에 의한 신축형으로 구성된다.
고정브래킷(51)은 멍에재 고정부(51a) 및 지지대 고정부(51b)로 구성된다.
가로대 고정부(51a)는 멍에재(26)의 상면과 전후면을 감싸도록 3면을 갖는 형태이며, 좌우 양쪽 2개소에 체결구(볼트와 너트, 핀 등)가 체결됨으로써 멍에재(26)에 고정된다. 2개의 체결구는 지지대 고정부(51b)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에 각각 배치되며, 왜냐하면, 하나의 체결구만 체결하면 체결구가 힌지 기능을 하여 고정브래킷(51)이 체결구의 안내를 받아 회전하므로 지지대(50)를 벽체측 거푸집(25)으로부터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지지대 고정부(51b)는 가로대 고정부(51a)의 전후방 중 일측 이상에 형성되며 지지대(50)의 둘레부를 감싸는 형태(사각형, 사각형 중에서 일면이 없는 형태)이며, 상하 2개의 체결구를 통해 지지대(50)를 고정하여 지지대(5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목심 지지바(29)는 지지대 고정부(51b)의 상단부에 고정(용접, 체결구 등)된다.
도 8b는 고정브래킷(51-1)의 다른 예시도로서, 전술한 고정브래킷(51)은 멍에재(26)에 고정되는 것인데 반해, 본 실시예의 고정브래킷(51-1)은 앵글(23)에 고정되면서 지지대(50)를 지지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고정브래킷(51-1)은 지지대 고정부(51b)가 지지대(50)의 서로 대향되는 양쪽면 이상을 덮으면서 핀 등을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지지대 고정부(51b)의 옆에 앵글 고정부(51c)가 형성된다.
앵글 고정부(51c)는 앵글(23)의 보강재측 고정부(23a)와 거푸집 받침부(23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지지대 고정부(51b)에서 돌출 형성된다.
고정브래킷(51-1)은 자신이 체결구(볼트와 너트, 핀 등)를 통해 앵글(23)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지지대 고정부(51b)를 통해 지지대(50)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은 앵글(23)에 고정되지 아니하고 지지대(50)를 앵글(23)에 체결구(볼트와 너트, 핀 등)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앵글 고정부(51c)는 앵글(23)에 턱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턱에 걸려지도록 턱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지지대(50)는 멍에재(26)에 고정되는 것만으로는 지지력이 약할 수 있으므로 턴버클형의 조절구(60)가 적용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은 턴버클형의 조절구(60)의 적용 예를 도시한 것이며, 턴버클형의 조절구(60)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된 한 쌍의 볼트(61,62) 및 이들 볼트 사이에 체결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 볼트들을 벌리거나 모으는 너트(63)로 구성되며, 도 9는 턴버클형의 조절구(60)가 지지대(50) 사이로서 지지대(50)의 저부[바닥측 거푸집의 아래]에 연결되어 지지대(50)를 체결구(2개의 체결구 중 하나만 체결)를 통해 회전시켜 벌리거나 모으는 구성이며, 도 10는 2개의 조절구(60-1,60-2)를 지지대(50)에 각각 적용한 것으로 하나의 볼트(61)는 멍에재(26)에 다른 볼트(62)는 지지대(50)의 저부[바닥측 거푸집 아래]에 연결한 것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도 11은 2개의 조절구가 적용되는 것으로 하나의 조절구(60-1)는 볼트가 멍에재(26) 및 지지대(50)의 저부에 연결되고 다른 조절구(60-2)는 볼트가 지지대(50)의 상부와 멍에재(26)에 연결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이고, 도 12는 2개의 조절구(60-1,60-2)가 지지대(50)의 외측에서 멍에재(26)와 지지대(50)의 저부에 연결되어 지지대(50)의 저부를 당기거나 미는 방식이고, 도 1은 2개의 턴버클형 조절구(60)가 멍에재(26)의 상부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방식이다.
한편, 건물 안에서 지하에서부터 지상으로 가면서 보의 단면적이 작아지며, 따라서, 보 거푸집의 크기가 변경되어야 한다. 다양한 단면적의 보 거푸집을 제작하는 것은 제작과 보관에 따른 많은 비용과 작업을 필요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폭 조절을 위하여 간격재(70)가 적용된다.
간격재(70)는 모듈형 보 거푸집(20)의 좌우 폭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거더(21)와 보강재(22) 사이에 추가로 개재되어 폭을 넓히며, 각관이 바람직하고 특히 넓은 면(예를 들어 100mm 길이)과 좁은 면(예를 들어 50mm 길이)을 갖는 각관(멍에를 절단한 형태)이다.
즉, 하나의 간격재(70)로 2가지의 폭을 맞출 수 있으며, 도 13은 넓은 면을 이용한 것이고 도 14는 좁은 면을 이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아래층의 보를 시공할 때에는 도 13처럼 넓은 면을 이용하여 간격재(70)를 설치하고, 위층의 보를 시공할 때에는 도 14의 상태에서 간격재(70)를 분리한 후 방향을 돌려 좁은 면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간격재(70)는 거더(21)와 보강재(22) 및 앵글(23)의 조립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기 위하여 각 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볼트{앵글(23)을 고정하는 볼트}에 의해 설치된다.
<실시예 2>
도 15와 도 16에서 보이는 것처럼, 실시예 2의 모듈형 보 거푸집(20-2)은, 실시예 1과 비교하면 바닥측 거푸집(24-1)과 벽체측 거푸집(25-1) 모두가 폼패널인 유로폼, 알루미늄폼으로 구성되고, 앵글(23-1)이 바닥측 거푸집(24-1)과 벽체측 거푸집(25-1)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실시예 1의 거더(21)와 보강재(22)가 사용되지 않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고, 멍에재(26), 목심 지지바(29), 서포트(27), 지지대(50) 등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앵글(23-1)의 저부에는 장선재(28)가 멍에재(26)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추가될 수 있다.
앵글(23-1)은 바닥측 거푸집(24-1)과 벽체측 거푸집(25-1) 모두를 지지하는 특징이 있으며, 바닥측 거푸집(24-1)의 저면의 좌우 양쪽을 저부에서 지지하는 제1받침부(23-1a), 제1받침부(23-1a)에서 상부(수직)로 형성되어 바닥측 거푸집(24-1)의 측면을 지지하는 정렬부(23-1b), 정렬부(23-1b)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벽체측 거푸집(25-1)을 저부에서 지지하는 제2받침부(23-1c)로 구성되며, 알루미늄, 철 등 다양한 재질과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다.
제1받침부(23-1a)와 정렬부(23-1b) 및 제2받침부(23-1c)는 각각 바닥측 거푸집(24-1)과 벽체측 거푸집(25-1)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구멍이 구비된다. 상기 구멍을 이용한 조립수단은 볼트와 너트, 핀, 클램프 등이 사용된다.
제1받침부(23-1a)는 바닥측 거푸집(24-1)의 저면을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며, 볼트와 너트, 핀, 클램프 등의 조립수단을 통해 바닥측 거푸집(24-1a)과 조립된다.
이 때, 제1받침부(23-1a)와 바닥측 거푸집(24-1a)만 조립될 수 있고, 또는, 멍에재(26)와 제1받침부(23-1a) 및 바닥측 거푸집(24-1a)가 하나의 조립수단을 통해 조립될 수도 있다.
또한, 앵글(23-1)은 벽체측 거푸집(30)이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제2받침부(23-1c)에 지지턱이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턱은 제2받침부(23-1c)의 외측 가장자리에 상부로 돌출되어 벽체측 거푸집(25-1)의 저부를 덮는 형태이고, 제2받침부(23-1c)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앵글(23-1)은 멍에재(26)와 고정하기 위한 보강재 조립부(23-1d)가 구성된다.
보강재 조립부(23-1d)는 정렬부(23-1b)를 기준으로 제1받침부(23-1a)의 반대쪽에 제1받침부(23-1a)와 횡방향의 일렬로 형성되며 멍에재(26) 위에 올려진다. 물론, 보강재 조립부(23-1d)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여 멍에재(26)와 조립수단을 통해 조립된다.
이상의 구조를 통해 한 쌍의 앵글(23-1)만으로 바닥측 거푸집(24-1)과 벽체측 거푸집(25-1)을 함께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한 쌍의 앵글(23-1)은 연결대를 통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필라 타설판(30)은 통상의 합판이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과 모듈형 보 거푸집(20)의 간격에 맞도록 재단되어 사용된다.
도 1과 도 17에서 보이는 것처럼, 슬래브거푸집 거치대(40)는, 거치대 본체(41), 거치대 본체(41)의 저부에 형성되며 모듈형 보 거푸집(20)의 멍에재(26) 위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판(42), 거치대 본체(41)의 상부에 형성되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의 멍에재(14)를 지지하는 홀더(43)로 구성된다.
거치대 본체(41)는 각관, 봉 등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형태와 재질로 이루어진다.
고정판(42)은 거치대 본체(41)의 하단에 거치대 본체(41)보다 큰 단면적의 판형으로 형성(용접 고정)되며, 모듈형 보 거푸집(20)의 멍에재(26)에 고정된다.
고정판(42)의 고정은 영구 고정식, 이동 고정식이 가능하다.
영구 고정식은 고정판(42)을 멍에재(26)에 용접 고정하는 것이다.
이동 고정식은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과 모듈형 보 거푸집(20)의 거리 변화에 따라 슬래브거푸집 지지대(4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며, 슬래브거푸집 거치대(40)는 거치대 본체(41)의 저부에 이동안내판(44)이 구성되고, 이 이동안내판(44)은 멍에재(26)를 레일로 하여 멍에재(26)를 따라 이동한다. 여기서, 슬래브거푸집 거치대(40)가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나사식의 조임구(45)를 이동안내판(44)에 나사 체결하여 조임구(45)의 회전을 통해 이동안내판(44)을 멍에재(26)에 고정하는 방법, 멍에재(26)에 다단의 위치조정공을 천공하는 한편 이동안내판(44)에 상기 위치조정공과 통하는 정렬공을 천공하여 이들 위치조정공과 정렬공에 체결구(핀, 볼트와 너트 등)을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이동안내판(44)은 멍에재(26)의 상면과 전후 양쪽 면 총 3면을 감싸는 개방형, 멍에재(26)의 모든 둘레면을 감싸는 폐쇄형 모두가 가능하다. 폐쇄형(예를 들어 사각 틀)의 경우 작업자가 지면에서 조임구(45)의 조임 작업이 가능하도록 조임구(45)는 폐쇄형 이동안내판(44)의 저부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래브거푸집 거치대(40)는 보와 슬래브의 높이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다른 것으로 교체되지 않고 사용되도록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슬래브거푸집 거치대(40)는 2중 관식으로 상대적으로 큰 외통, 상기 외통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외통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통, 상기 내통을 높이 조절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구로 구성되며, 상기 외통에는 다단의 높이조절공이, 상기 내통에는 상기 다단의 높이조절공과 통하여 상기 고정구가 체결되도록 하는 정렬공이 구성될 수 있다.
슬래브거푸집 거치대(40)는 일정 높이로 세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큰 하중에 의해 휨 변형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안전부재(46)(도 20에 도시됨)를 추가로 적용할 수 있다.
안전부재(46)는 판형, 띠형, 앵글형, 관형 등 다양한 형상의 제품이 사용 가능하고 양측이 모듈형 보 거푸집(20){예를 들어 지지대(50)}와 슬래브거푸집 거치대(40)에 클램프(또는 볼트와 너트 또는 핀 등)를 통해 고정된다.
또한, 안전부재(40)는 슬래브거푸집 거치대(40)의 위치 변화를 감안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턴버클 형태이다. 턴버클 형태의 안전부재(40)는 자신의 길이조절을 통해 슬래브거푸집 거치대(40)를 움직일 수 있으므로 슬래브거푸집 거치대(40)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도 겸한다.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과 모듈형 보 거푸집(20)은 각각 서포트를 통해 설치되어 슬래브와 보의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들 서포트는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과 모듈형 보 거푸집(20)을 지지하는 기능만 할 수 있고 또는 운반도 겸할 수 있는 운반 겸용 서포트(80)(도 19 참고)가 적용될 수도 있다.
운반 겸용 서포트(80)는 각각 저부에 바퀴(83,84)와 주행 액추에이터의 조립체가 구성된 2개 이상의 서포트(81,82), 서포트(81,82)를 연결하는 연결대(85)로 구성된다.
서포트(81,82)는 각각 높이 조절되도록 외통과 내통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통이 지면에 지지되고 상기 외통이 상기 내통의 외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모듈형 보 거푸집(20) 등에 지지되고, 상기 외통과 내통의 높이조절은 유압실린더(81a,82a)에 의해 이루어진다. 유압실린더(81a,82a)는 상기 내통과 외통에 지지되며 작동유에 의해 외통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상기 주행 액추에이터는 유압모터, 전기모터 등 바퀴(83,84)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 가능하고, 서포트(81,82)에 장착되는 소형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바퀴(83,84)가 지면 위에 떠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도 19는 운반 겸용 서포트(80)가 바퀴에 의해 움직이지 않는 상태 즉 콘크리트 타설 - 양생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운반시에는 지면에 닿도록 하강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바퀴(83,84)와 주행 액추에이터를 상기 외통의 하단 둘레부에 설치하고 운반시 바퀴(83,84)가 지면에 닿도록 상기 외통을 하강시킨다.
유압실린더(81a,82a)와 상기 주행 액추에이터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하며, 상기 조작은 유선과 무선 방식 모두가 가능하다.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의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1. 모듈형 보 거푸집 설치.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과 모듈형 보 거푸집(20) 중에서 먼저 모듈형 보 거푸집(20)을 설치한다.
모듈형 보 거푸집(20)들은 설계 위치에 맞춰 설치되며, 따라서, 이웃하는 모듈형 보 거푸집(20)들은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두고 설치된다.
모듈형 보 거푸집(20)은 서포트(27)를 통해 바닥면에 일정 높이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모듈형 보 거푸집(20)은 크레인에 의해 인양되어 설치될 수 있고 또는 운반 겸용 서포트(80)를 적용한 경우 바닥을 따라 주행하는 운반 겸용 서포트(80)에 의해 운반된 후 설치된다.
2.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 설치.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을 모듈형 보 거푸집(20)을 간섭을 받지 않도록 모듈형 보 거푸집(20)들 사이로 운반하고 멍에재(14)를 슬래브거푸집 거치대(40)의 홀더(43) 안에 삽입한다.
이 때, 서포트(17)는 선 조립된 상태로 운반되어 설치되는 것, 슬래브 타설판(13) 조립체의 설치 후 후속 공정으로 설치되는 것 모두가 가능하다.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도 모듈형 보 거푸집(20)과 마찬가지로 크레인에 의해 인양되어 설치될 수 있고 또는 운반 겸용 서포트(80)를 적용한 경우 바닥을 따라 주행하는 운반 겸용 서포트(80)에 의해 운반된 후 설치된다.
3. 필라 타설판 설치.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의 목심 지지바(12)와 모듈형 보 거푸집(20)의 목심 지지바(29) 사이에는 빈 공간이 있으며, 이 빈 공간의 크기에 맞는 필라 타설판(30)을 재단(1개 이상의 합판)하고, 이 필라 타설판(30)의 둘레부가 목심 지지바(12,29) 위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 때, 필라 타설판(30)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못 등을 박는 것도 가능하다.
4. 콘크리트 타설.
전 공정을 통해 보와 슬래브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타설면(보 타설판 - 필라 타설판 - 슬래브 타설판)이 형성되고, 이 타설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과 슬래브거푸집 거치대(40) 및 모듈형 보 거푸집(20)의 설치 구조에 따르면, 콘크리트의 압력은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을 통해 슬래브거푸집 거치대(40)에 전달되고 이어서 슬래브거푸집 거치대(40)에서 다시 모듈형 보 거푸집(20)을 거쳐 바닥의 슬래브로 전달된다.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이 자신의 서포트(17)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모듈형 보 거푸집(20)의 지지를 받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존치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의 서포트(17)의 수량을 줄일 수 있고 모듈형 보 거푸집(20) 만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할 때에는 모든 서포트(17)를 철거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
이와 같이 서포트(17)를 철거함으로써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의 아래에는 넓은 공간이 마련되므로 작업자의 이동과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장비를 사용한 작업도 매우 용이하다.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의 탈형 방법을 설명한다.
1. 모듈형 보 거푸집 탈형.
모듈형 보 거푸집(20)의 서포트(27)의 높이를 낮춰 보 타설판을 콘크리트의 보(1)로부터 이격시킨다.
모듈형 보 거푸집(20)이 탈형되면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을 지지하는 슬래브거푸집 거치대(40)가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으로부터 이격되므로 만약,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의 저부에 서포트(17)가 없다면 모듈형 보 거푸집(20)의 탈형 전에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을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17)를 설치한다.
2. 모듈형 보 거푸집 운반.
탈형된 모듈형 보 거푸집(20)을 다른 곳으로 운반한다.
3.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 탈형.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의 서포트(17)의 높이를 낮춰 슬래브 타설판(13)을 콘크리트의 슬래브(2)로부터 이격시켜 탈형한다.
4. 탈형된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을 다른 곳으로 운반한다.
탈형된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과 탈형된 모듈형 보 거푸집(20)의 운반은 운반 겸용 서포트(80) 또는 다른 운반 장비에 의해 이루어진다.
지금까지는 보와 슬래브를 동시에 타설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10)과 모듈형 보 거푸집(20)이 단품이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즉 슬래브와 보를 독립적으로 콘크리트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 11 : 장선재
12,29 : 목심 지지대, 13 : 슬래브 타설판
14,26 : 멍에재, 15,27 : 서포트
20 : 모듈형 보 거푸집, 21 : 거더
22 : 보강재, 23 : 앵글
24 : 바닥측 거푸집, 25 : 벽체측 거푸집
30 : 필라 타설판, 40 : 슬래브거푸집 거치대

Claims (13)

  1. 틀, 상기 틀 위에 올려지는 슬래브 타설판, 상기 틀의 저부에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멍에재, 상기 장선재 또는 멍에재를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서포트로 구성되는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과;
    보 타설판, 상기 보 타설판을 지지하는 멍에재, 상기 멍에재를 지지하는 서포트로 구성되는 모듈형 보 거푸집과;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의 슬래브 타설판과 모듈형 보 거푸집의 보 타설판 사이의 빈 공간에 설치되는 필라 타설판과;
    상기 보 모듈의 멍에재 위에 올려지며 상기 멍에재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하는 슬래브거푸집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과 모듈형 보 거푸집을 설계 간격으로 이동 및 상기 슬래브거푸집 거치대를 매개로 하여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을 거치하고 빈 공간에 맞는 필라 타설판을 설치하여 보와 슬래브를 콘크리트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틀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장선재, 상기 장선재의 가장자리에 조립되는 목심 지지바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거푸집 거치대는, 거치대 본체, 상기 거치대 본체의 저부에 상기 거치대보다 큰 단면적의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모듈형 보 거푸집의 멍에재 위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거치대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의 멍에재의 양쪽을 감싸는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거푸집 거치대는 거치대 본체, 상기 거치대 본체의 저부에 상기 모듈형 보 거푸집의 멍에재의 양쪽을 감싸 상기 모듈형 보 거푸집의 멍에재를 레일로 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안내판, 상기 거치대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의 멍에재의 양쪽을 감싸는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거푸집 거치대는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과 모듈형 보 거푸집 중 하나 이상과 함께 사용되는 운반 겸용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 겸용 서포트는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과 모듈형 보 거푸집의 저부에 연결되며 저부에 바퀴가 포함된 2개 이상의 서포트, 상기 서포트를 연결하는 연결대, 상기 서포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액추에이터, 상기 서포트를 주행하는 주행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보 거푸집의 상기 보 타설판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 이상의 거더,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 양측에 2개 이상의 거더들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거더에 각각 고정되는 멍에, 상기 멍에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멍에와 거더에 고정되는 앵글, 상기 거더와 상기 멍에의 상부에 올려지는 바닥측 거푸집, 상기 앵글을 통해 상기 타설판의 좌우측에 각각 세워지는 벽체측 거푸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벽체측 거푸집이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고정브래킷을 매개로 하여 상기 멍에재와 앵글 중 일측 이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보 거푸집의 멍에재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턴버클형의 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보 거푸집의 보 타설판은, 좌우 폭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앵글, 상기 앵글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바닥측 거푸집, 상기 앵글에 각각 세워지는 벽체측 거푸집을 포함하며, 상기 앵글은 상기 바닥측 거푸집의 저면을 저부에서 지지하는 제1받침부, 상기 제1받침부에서 상부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측 거푸집의 측면을 지지하는 정렬부, 상기 정렬부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측 거푸집을 저부에서 지지하는 제2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거푸집 거치대를 상기 모듈형 보 거푸집에 연결하여 상기 모듈형 보 거푸집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지지하는 안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13. 청구항 1에 의한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을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으로서,
    상기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의 모듈형 보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설치된 모듈형 보 슬래브 거푸집들의 사이에 상기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의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되,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의 멍에재를 상기 모듈형 보 거푸집에 설치된 슬래브거푸집 거치대에 올려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설치된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과 모듈형 보 거푸집 사이의 빈 공간에 필라 타설판을 설치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완성한 타설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와 슬래브를 동시에 시공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를 통해 콘크리트의 양생을 완료한 후 상기 모듈형 보 거푸집을 탈형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 이후 상기 모듈형 슬래브 거푸집을 탈형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을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
KR1020170122836A 2017-09-22 2017-09-22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 KR102143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836A KR102143637B1 (ko) 2017-09-22 2017-09-22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836A KR102143637B1 (ko) 2017-09-22 2017-09-22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002A true KR20190034002A (ko) 2019-04-01
KR102143637B1 KR102143637B1 (ko) 2020-08-11

Family

ID=6610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836A KR102143637B1 (ko) 2017-09-22 2017-09-22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63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550B1 (ko) * 2019-07-08 2020-03-04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지지프레임
CN111502262A (zh) * 2020-04-15 2020-08-07 广西建工集团第五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装配式横梁浇筑模板组件、混凝土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191394B1 (ko) * 2020-03-18 2020-12-15 주식회사 케이엘디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KR102445486B1 (ko) * 2021-10-19 2022-09-20 송현수 천장 슬래브 보의 타설을 위한 시스템 서포트
CN115323858A (zh) * 2022-08-30 2022-11-11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型钢结合盘扣架地库顶板行车道路加固施工方法
FR3135291A1 (fr) * 2022-05-06 2023-11-10 Leonel Das Neves Pataco Dispositif de coffrage pour linteaux et poteaux
KR102676926B1 (ko) * 2023-09-14 2024-06-20 케이스텍 주식회사 길이 가변형 거푸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097B1 (ko) 2020-10-23 2022-12-12 최형만 멍에재 장치
KR102461341B1 (ko) 2020-10-23 2022-11-04 최형만 동바리 체결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41U (ja) * 1993-07-01 1995-02-14 ホリー株式会社 型枠支持装置
KR200378317Y1 (ko) * 2004-12-20 2005-03-14 홍창모 슬라브테이블거푸집
KR101451877B1 (ko) * 2013-05-03 2014-10-16 주식회사 지에스코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구조물
KR101539447B1 (ko) * 2014-09-30 2015-08-06 서보산업 주식회사 탈형이 용이한 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
KR101559988B1 (ko) 2014-07-29 2015-10-14 서보산업 주식회사 조기 탈형이 가능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1586858B1 (ko) 2014-12-16 2016-01-19 서보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41U (ja) * 1993-07-01 1995-02-14 ホリー株式会社 型枠支持装置
KR200378317Y1 (ko) * 2004-12-20 2005-03-14 홍창모 슬라브테이블거푸집
KR101451877B1 (ko) * 2013-05-03 2014-10-16 주식회사 지에스코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구조물
KR101559988B1 (ko) 2014-07-29 2015-10-14 서보산업 주식회사 조기 탈형이 가능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1539447B1 (ko) * 2014-09-30 2015-08-06 서보산업 주식회사 탈형이 용이한 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
KR101586858B1 (ko) 2014-12-16 2016-01-19 서보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550B1 (ko) * 2019-07-08 2020-03-04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지지프레임
KR102191394B1 (ko) * 2020-03-18 2020-12-15 주식회사 케이엘디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CN111502262A (zh) * 2020-04-15 2020-08-07 广西建工集团第五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装配式横梁浇筑模板组件、混凝土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445486B1 (ko) * 2021-10-19 2022-09-20 송현수 천장 슬래브 보의 타설을 위한 시스템 서포트
FR3135291A1 (fr) * 2022-05-06 2023-11-10 Leonel Das Neves Pataco Dispositif de coffrage pour linteaux et poteaux
CN115323858A (zh) * 2022-08-30 2022-11-11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型钢结合盘扣架地库顶板行车道路加固施工方法
KR102676926B1 (ko) * 2023-09-14 2024-06-20 케이스텍 주식회사 길이 가변형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637B1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4002A (ko)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102038061B1 (ko) 가변형 조립식 보 거푸집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346986B1 (ko) 콘크리트제 가대의 제조 방법, 콘크리트제 가대 및 이음재
CN109537811B (zh) 预制柱的制作方法、柱梁的装配方法
KR101586858B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KR20180045140A (ko) 고정작업이 필요없는 무해체 보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KR102044791B1 (ko) 개량형 보거푸집
JP2016198909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JP6032625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杭頭部接合方法及び杭頭部支持構造
KR100891347B1 (ko)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KR101557388B1 (ko) 전단보강용 철근조립 유닛
CN209799386U (zh) 一种施工现场辅助预制大型钢筋骨架用的装配式型钢挂架
JP6083655B2 (ja) 吊り枠及びそれを使用した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683846B1 (ko) 철근을 이용한 현장 제작 철근 절곡기
KR101360287B1 (ko) 조립식 갱폼
KR100786144B1 (ko)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에 적합한보강받침대
KR101641334B1 (ko) 조립식 라운드 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공법
KR200430300Y1 (ko)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에 적합한보강받침대
KR20010099532A (ko) 철근콘크리트 벽체 구축용 시스템 거푸집 및 시공방법
KR101201215B1 (ko)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의 운반 장치
KR20010054437A (ko)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경량형강을 이용한 슬래브거푸집
KR20130081172A (ko) 복부파형강판 콘크리트 합성아이빔 제작용 거푸집
JPH0681463A (ja) 階段の構築方法
KR102437398B1 (ko) 시공성이 용이한 일체형 슬라브 유로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