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550B1 -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지지프레임 - Google Patents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지지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550B1
KR102084550B1 KR1020190081905A KR20190081905A KR102084550B1 KR 102084550 B1 KR102084550 B1 KR 102084550B1 KR 1020190081905 A KR1020190081905 A KR 1020190081905A KR 20190081905 A KR20190081905 A KR 20190081905A KR 102084550 B1 KR102084550 B1 KR 102084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deck
variable
plat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환
김용회
최영복
박운용
유희성
변재우
최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Priority to KR1020190081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될 보의 폭과 높이를 맞춘 두 개 이상의 지지프레임의 내측 하면과 측면에 하면데크와 측면데크로 적층 지지시켜, 보의 폭과 높이에 따른 현장에서의 조립 시공이 간편할 뿐 아니라 보 시공 완료 후에도 탈형(해체)이 쉬운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 지지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지지프레임{variable support frame for variable type detachable beam deck}
본 발명은 시공될 보의 폭과 높이를 맞춘 두 개 이상의 지지프레임의 내측 하면과 측면에 하면데크와 측면데크로 적층 지지시켜, 보의 폭과 높이에 따른 현장에서의 조립 시공이 간편할 뿐 아니라 보 시공 완료 후에도 탈형(해체)이 쉬운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 지지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골조만 들어가도록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형성되는 천장보를 만들기 위한 거푸집은 목제판넬을 일일이 조합시켜 만드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작업시간의 소요와 인력낭비가 초래되었을 뿐 아니라 철사나 못과 같이 단 한 번만 쓰고 버리는 부재물 낭비가 초래되었고, 특히 목재 거푸집은 재질특성상 내구성이 약하기 때문에 비싼 목재로 만들어지고 있는 데 비해 수회(5~6회) 정도밖에 재사용할 수 없는 결점으로 인하여 낮은 경제가치를 가지게 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철근콘크리트 구조식 천장보 구조물 전용 조립식 철제 거푸집(특허문헌 1 참조)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D) 하측에 설치되는 천장보 거푸집을 구성함에 있어서, 데크플레이트(D) 저면에 부착되는 상부가이드(2)와 판넬받침대(4) 상에 받쳐지는 ㄴ형강부재(9)에 설치되는 하부가이드(8)에 의해 거푸집 하부 및 양측판넬을 잇는 철제판넬(1)이 조립 설치되는 판넬조립수단과, 높이조절바(5')를 가진 바지지구(5)를 구비한 바지지대(6)(6')가 양측에 설치되는 판넬받침대(4)가 공지의 받침강관(3)에 지지되어 철제판넬(1)을 지지하도록 하는 판넬지지수단에 의해 보구조물공간(P)을 가지는 철제 거푸집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단일의 철제 판넬(1)로 하면과 측면을 구성하기 때문에, 길이변화에 맞는 철제 판넬(1)을 구비해야 하고, 그 단일의 철제 판넬(1)을 바지지대(6)(6')에 설치하기가 매우 힘들어 크레인 등이 필요하다.
한편, 다른 종래의 가변형 보 거푸집(100)(특허문헌 2 참조)은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부재(102)와, 받침부재(102)의 상부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거푸집(120,130)과, 제1,2거푸집(120,130)의 하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가이드 너트(142,144)와, 양측에 가이드 너트(142,144)의 암나사부에 각각 체결되는 왼나사 구조의 수나사부(152) 및 오른나사 구조의 수나사부(154)가 형성된 작동 볼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포트(110)는 받침부재(102)와 결합되는 겉대(112)와, 겉대(112)의 하단에 연결되는 익스텐더(extender;112)와, 익스텐더(114)의 하단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익스텐더(114)와 핀(117)을 통해 고정되는 속대(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2거푸집(120,130)은 보의 하부면을 형성시키기 위한 하부판(122,132)과, 보의 양 측면을 형성시키기 위한 측면판(124,134)으로 구성되고, 하부판(122,132)과 측면판(124,134)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된다.
한편, 제1,2거푸집(120,130) 간의 폭 간격이 벌어져 양측 하부판(122,132)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면 그 틈새 사이로 빈공간이 발생하고, 빈공간에는 양측 하부판(122,132)과 함께 보의 하부 거푸집 면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양측 하부판(122,132)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가로 폭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인서트판(180)이 설치된다.
그런데, 인서트판(180)의 설치를 위한 빈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이 매우 복잡하다.
또한, 하부판(122,132)과 측면판(124,134)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서, 보의 측면 높이를 조절하려면 시공 현장마다 각기 다른 측면 길이를 갖는 제1,2거푸집(120,130)을 준비해야 하는데 이또한 비경제적이다.
다른 한편, 특허문헌 1,2의 지주(동바리)는 통상의 것으로서, 거푸집의 폭에 맞게 기둥과 기둥 사이마다 일일이 수작업으로 지주(동바리)를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지주를 폭에 맞게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거푸집의 폭 센터와 지주의 폭 센터를 정확히 맞춰 보 거푸집을 거치하기가 매우 어렵다. 즉 지주의 폭 센서가 정확하더라도 들어올린 보 거푸집의 센서와 맞춰 거치하기가 매우 어려워서, 거치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1995-0011794호 특허문헌 2 : 한국등록특허 제10-174524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의 하면과 측면을 형성시키는 하면데크와 측면데크가 어떤 폭이나 높이더라도 조립 및 탈형(해체)가 쉬운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 지지프레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지지프레임은, 보 거푸집을 형성하는 하면데크(300)와 측면데크(500)를 지지하는 가변식 지지프레임(100)으로서, 하면데크(300)를 받쳐 지지하는 하부 지지프레임(110)과, 하부 지지프레임(110)의 좌우측에 배치되며 측면데크(500)를 받쳐 지지하는 측면 지지프레임(130)과, 하부 지지프레임(110)에 대해 측면 지지프레임(130)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부재(150)와, 측면 지지프레임(13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170)를 포함하되, 하부 지지프레임(110)은 양측판(111)과, 양측판(111)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판(113)과, 양측판(11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115)를 포함하며, 측면 지지프레임(130)은 전후판(131)과, 전후판(131)의 일측면을 연결하는 연결판(133)과, 전후판(131)의 상하단에서 외측을 향하는 제1플랜지(135)와, 전후판(131)의 타측면 가장자리에서 외측을 향하는 제2플랜지(137)를 포함하여, 제2플랜지(137)가 마주보게 하부 지지프레임(110)의 좌우에 배치되며, 폭조절부재(150)는 플랜지(115)의 횡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폭 조절용 체결공(151)과, 원하는 폭 조절용 체결공(151)과 마주하게 제1플랜지(135)에 형성되는 체결공(153)과, 폭 조절용 체결공(151)과 체결공(153)을 체결하는 폭조절용 체결부(155)를 포함하며, 높이조절부재(170)는 측면 지지프레임(130)이 높이에 따라 적어도 복수 이상으로 분할된 측면 지지프레임(130a~130d)과, 분할된 측면 지지프레임(130a~130d) 간의 접한 제1플랜지(135)를 체결하는 높이조절용 체결부(17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지지프레임에 있어서, 하부 지지프레임(110)의 양측판(111)의 두께(t1)는 하부 지지프레임(110)의 하판(113)의 두께(t2)와 플랜지(115)의 두께(t3)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부 지지프레임의 좌우측에 폭과 높이가 세팅된 측면 지지프레임을 설치한 후, 하부 지지프레임의 상면과 측면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다수의 하면패널과 측면패널을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적층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어떠한 보의 폭과 높이더라도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하부 지지프레임에 거치형 돌기를 설치함으로써, 가변식 서포트의 거치용 레일에 수용 거치하기만 하면 시공이 완료되기 때문에 시공성이 우수하다.
하부 지지프레임은 측판과 하판 및 플랜지로 이루어진 요(凹) 형상이면서도 하판과 플랜지의 두께가 측판의 두께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타설 시 휨 처짐에 대한 저항을 보다 확실히 제공할 수 있다.
제1접이체와 제2접이체를 이용해서 보 폭에 대해 지주의 폭 변화를 충분히 대응 가능하다.
제2접이체에 거치용 레일이 끼워질 홈을 둠으로써, 슬라이딩 방식으로 거치용 레일의 착탈이 손쉽게 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탈형 보 데크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3은 측면데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a)는 측면패널의 사시도와 정면도, (b)는 측면패널의 적층 사시도와 정면도.
도 4는 하면데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a)는 기준하면패널의 사시도와 정면도, (b)는 적층용 하면패널의 사시도와 정면도, (c)는 지준하면패널과 적층용 하면패널의 적층 사시도와 정면도.
도 5는 하면데크와 측면데크를 지지하는 가변식 지지프레임으로서, 보 폭 변화 대응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하부 지지프레임에 측면 지지프레임이 체결되는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하면데크와 측면데크가 하부 지지프레임과 측면 지지프레임에 직결되는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분할된 측면 지지프레임과 그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a)는 하부 지지프레임의 사시도, (b)는 평면도, (c)은 측면도.
도 10은 하부 지지프레임에 거치용 돌기가 체결 설치되는 사시도.
도 11의 (a)는 가변식 지지프레임의 정면도, (b)는 측면도.
도 12는 도 1의 가변식 탈형 보 데크를 받치는 서포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제1접이체 및 제2접이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제2접이체에 거치용 레일이 조립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16은 거치용 레일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7은 서포트의 폭 조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8 및 18a는 도 17의 서포트에 도 1의 가변식 탈형 보 데크를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9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탈형 보 데크 시스템을 조립 시공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
도 26은 종래 조립식 철제 거푸집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다른 종래의 가변형 보 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도 28 및 도 29는 제1,2거푸집 사이에 인서트판이 설치되지 않거나 설치된 경우의 모습을 예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기둥과 기둥 사이에 설치되거나 평행한 보와 보 사이에 설치되는 가변식 탈형 보 데크 시스템은 단위 유닛의 가변식 탈형 보 데크와 단위 유닛의 단위 가변식 서포트가 다수개 조립되어 시공된 것으로서, 가변식 탈형 보 데크와 가변식 서포트라고 용어를 사용하여도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서도 단위 유닛 또는 다수의 단위 유닛의 개념이 포함한 것이라 정의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탈형 보 데크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3은 측면데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a)는 측면패널의 사시도와 정면도, (b)는 측면패널의 적층 사시도와 정면도이고, 도 4는 하면데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a)는 기준하면패널의 사시도와 정면도, (b)는 적층용 하면패널의 사시도와 정면도, (c)는 지준하면패널과 적층용 하면패널의 적층 사시도와 정면도이고, 도 5는 하면데크와 측면데크를 지지하는 가변식 지지프레임으로서, 보 폭 변화 대응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하부 지지프레임에 측면 지지프레임이 체결되는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하면데크와 측면데크가 하부 지지프레임과 측면 지지프레임에 직결되는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분할된 측면 지지프레임과 그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a)는 하부 지지프레임의 사시도, (b)는 평면도, (c)은 측면도이고, 도 10은 하부 지지프레임에 거치용 돌기가 체결 설치되는 사시도이고, 도 11의 (a)는 가변식 지지프레임의 정면도, (b)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의 가변식 탈형 보 데크를 받치는 서포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제1접이체 및 제2접이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제2접이체에 거치용 레일이 조립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6은 거치용 레일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17은 서포트의 폭 조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8 및 18a는 도 17의 서포트에 도 1의 가변식 탈형 보 데크를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19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탈형 보 데크 시스템을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탈형 보 데크 시스템(1)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과 기둥 사이에 배치되거나 평행한 보와 보 사이에 배치되는 가변식 탈형 보 데크(3)와, 가변식 탈형 보 데크(3)를 받쳐 지지하는 가변식 서포트(5)를 포함한다.
가변식 탈형 보 데크(3)는 도 1 및 도 2와 같은 단위 유닛의 탈형 보 데크가 필요한 길이만큼 연결된 구조이고, 가변식 서포트(5)는 적어도 단위 유닛의 가변식 탈형 보 데크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배치된 채 받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가변식 탈형 보 데크(3)
가변식 탈형 보 데크(3)는 탈형 보 데크의 다양한 폭 사이즈에 따라 가변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기둥과 기둥 사이의 길이방향 또는 평행한 보와 보 사이의 길이방향)를 따라 소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가변식 지지프레임(100)과, 가변식 지지프레임(100)의 하면에 설치되는 하면데크(300)와, 가변식 지지프레임(100)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데크(500)를 포함한다.
또한, 가변식 탈형 보 데크(3)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데크(500)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슬래브 데크플레이트 거치대(600)와, 가변식 지지프레임(100)의 밑면에 설치되어 가변식 서포트(5)에 거치되는 거치용 돌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변식 지지프레임(100)은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데크(300)와 측면테크(500)를 지지하는 역할과 측압 저항요소를 갖는 것으로서, 보의 폭(좌우)과 높이(상하) 조절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가변식 지지프레임(100) 각각은 보의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소정 길이를 갖는 하부 지지프레임(110)과, 하부 지지프레임(110)의 좌우측에 배치되는 측면 지지프레임(130)과, 하부 지지프레임(110)에 대해 측면 지지프레임(130)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부재(150)와, 측면 지지프레임(13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170)를 포함한다.
하부 지지프레임(11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판(111)과, 양측판(111)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판(113)과, 양측판(11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115)를 포함한다.
양측판(111)과 하판(113)은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凹)홈 형상이다.
또한 양측판(111)의 두께(t1)는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판(113)의 두께(t2)와 플랜지(115)의 두께(t3) 보다 작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지지프레임(110)의 횡방향 길이는 860mm로 할 때 t1은 2mm, t2와 t3은 4mm로 하여, 하중 처짐량에 따른 두께 변화를 줄 수 있다.
물론, 양측판(111)의 두께(t1), 하판(113)의 두께(t2) 및 플랜지(115)의 두께(t3) 모두를 같게 구현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하부 지지프레임(110)의 횡단면은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115)의 좌우 양단을 기준으로 100mm(폭)*100mm(높이)로 단면계수를 높게 구현시키고 있다.
측면 지지프레임(13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판(131)과, 전후판(131)의 일측면을 연결하는 연결판(133)과, 전후판(131)의 상하단에서 외측을 향하는 제1플랜지(135)와, 전후판(131)의 타측면 가장자리에서 외측을 향하는 제2플랜지(137)를 포함한다.
즉, 측면 지지프레임(13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플랜지(137)가 마주보게 하부 지지프레임(110)의 좌우에 배치되어 있다.
폭조절부재(150)는 도 5, 도 6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115)의 횡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예컨대 50mm 단위) 형성되는 폭 조절용 체결공(151)과, 원하는 폭 조절용 체결공(151)과 마주하게 제1플랜지(135)에 형성되는 체결공(153)과, 폭 조절용 체결공(151)과 체결공(153)을 체결하는 폭조절용 체결부(155)를 포함한다.
체결공(153)은 복수로 형성되어 2개의 체결공(151)과 맞대어 체결되는 게 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폭조절용 체결부(155)는 도 6과 같이 고력 볼트(155a)와 고력 너트(155b)로 구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높이조절부재(17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지지프레임(130)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분할된 제1~4측면 지지프레임(130a~130d)과, 분할된 제1~4측면 지지프레임(130a~130d) 간의 접한 제1플랜지(135)를 체결하는 높이조절용 체결부(175)를 포함한다.
제1~4측면 지지프레임(130a~130d)은 그 높이가 330mm(a1), 150mm(a2), 100mm(a3) 3종류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측면 지지프레임(130a)은 높이(a1)가 330mm, 제2,3측면 지지프레임 (130b)(130c)의 높이(a2)는 150mm, 제4지지프레임(130d)의 높이(a3)는 100mm이다.
제1측면 지지프레임(130a)은 도 7과 같이 폭조절용 체결부(155)에 의해 하부 지지프레임(110)에 체결 고정되고, 그 위에 제2~4측면 지지프레임(130b~130d)이 높이조절용 체결부(175)에 의해 순차적으로 적층지지된다.
이와 같은 3종류의 측면 지지프레임(130)의 적층을 통해 보 높이 변화에 대응하고, 높이 조절이 된 측면 지지프레임(130) 간의 사이를 조절하여 보 폭 변화에 대응하기가 매우 쉽다.
하면데크(300)와 측면데크(500)는 보의 거푸집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하면데크(3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지지프레임(110)의 맨 좌측, 맨 우측 또는 그 중간에 놓이는 기준하면패널(310)과, 기준하면패널(310)의 좌측 또는 우측과 겹치면서 수평방향을 따라 직렬로 적층되는 적층용 하면패널(330)을 포함한다.
기준하면패널(310)은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311), 상판(311)의 좌우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측판(313)(314), 측판(313)(314)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외측절곡바닥판(315)(316)으로 구성된다.
기준하면패널(310)의 전후 길이는 4000mm, 상판(311)의 폭(b1)은 100mm, 150mm 2종류로 해서, 측면 지지프레임(130) 사이의 거리인 보 폭의 변화에 대응하게 구현되어 있다.
외측 절곡 바닥판(315)(316)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지지프레임(110)의 플랜지(115) 상에 놓이게 된다.
또한, 플랜지(115)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결피스(117)로 외측 절곡 바닥판(315)(316)과 체결되어 지지시키는 체결공(116)이 형성되어 있다.
적층용 하면패널(330)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311)과 같은 높이를 이루는 상판(331), 상판(331)의 좌우에서 아래로 절곡되는 측판(333)(334), 측판(333)(334)의 하단에서 내측 및 외측으로 절곡되는 내외측 절곡 바닥판(335)(336)을 포함한다.
내외측 절곡 바닥판(335)(336)도 하부 지지프레임(110)의 플랜지(115) 상에 놓이고, 체결공(116)을 통해 직결피스(117)로 내외측 절곡 바닥판(335)(336)과 체결되어 지지시킨다.
이때, 도 4(c)와 같이 기준하면패널(310)과 적층용 하면패널(330)을 나란히 놓으면, 외측 절곡 바닥판(316) 위에 내측 절곡 바닥판(335)이 겹치게 놓인 채 측판(314)과 측판(334)이 밀착되어 체결되기 때문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누수도 방지할 수 있다.
측면데크(500)는 다수의 측면패널(530)들이 병렬로 적층되어 있다.
즉, 적층용 측면패널(530)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531)과 하판(533), 상판(531)과 하판(533)의 내측단을 연결하는 수직연결판(535), 상판(531)의 외측단에서 위로 절곡되는 상측 수직판(537), 하판(533)의 외측단에서 위로 절곡되는 하측 수직판(539)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측 수직판(537)과 하측 수직판(539)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렬피스(138)을 통해 제2플랜지(137)에 체결 지지된다.
또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패널(530)과 측면패널(530)이 병렬로 수직하게 적층될 때, 상측 수직판(537)과 상판(531) 사이로 하측 수직판(539)과 하판(533)이 삽입되어 서로 겹치게 적층되게 된다.
또한, 수직연결판(535)의 높이(c)가 100mm, 150mm, 200mm 3종류로 보 높이 변화에 대응시킬 수 있다.
수직연결판(535)의 높이(c)가 200mm인 측면패널(530)의 경우 측압이 낮을 경우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한편, 적층용 측면패널(530)은 적층용 하면패널(330)과 그 형상이 동일하여, 적층용 측면패널(530)의 높이와 적층용 하면패널(330)의 폭이 같은 경우 예컨대 100mm 또는 150mm 2종에 대해서는 하면패널(330)과 측면패널(530)을 구별함이 없이 보의 하면이나 측면 어디에도 조립 시공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적층용 하면패널(330)의 상판(311)과 적층용 측면패널(530)의 수직연결판(535)이 보 거푸집의 틀을 형성하고, 지지프레임(100)은 패널들의 틀을 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슬래브 데크플레이트 거치대(6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맨 위쪽의 측면패널(530)의 상측 수직판(537)과 상판(531) 사이에 설치한 각목(600)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목(600)은 나무 재질로서,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의 강판이 놓고 못이나 스태이플러 등으로 때려박아 고정하거나 탈형 시 편리하다.
거치용 돌기(7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지지프레임(130)과 마찬가지로 보의 폭 조절에 따라 좌우에 배치 설치되게 된다.
거치용 돌기(700)는 후술되는 거치용 레일(900)의 내부에 놓이는 돌부(710)와, 돌부(710)의 상면에 고정되는 수나사봉(730)으로 이루어진다.
돌부(710)는 높이가 낮은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다.
수나사봉(730)은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판(113)에 횡방향으로 소정간격마다 형성되는 체결공(750) 중 원하는 곳에 체결 지지되게 된다.
가변식 서포트(5)
가변식 서포트(5)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식 지주부(800)와, 가변식 지주부(800)의 상단에 조립된 채 가변식 탈형 보 데크(3)가 수용 거치되는 거치용 레일부(900)를 포함한다.
가변식 지주부(800)는 책상다리와 같이 4개의 지주(810a~810d)와, 지주(810a~810d)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접이체(830)와, 지주(810a~810d)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2접이체(850)를 포함한다.
지주(810a~810d)는 통상의 동바리와 같은 구성으로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형상이고, 하단에는 플랜지(미도시)가 있어 바닥에 되게 된다.
제1접이체(830)는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각선의 지주(810a)와 지주(810c) 사이를 연결하는 제1a연결바(831)와, 다른 대각선의 지주(810b)와 지주(810d) 사이를 연결하는 제1b연결바(833)와, 제1a연결바(831)와 제1b연결바(833)의 X자형 교차점에 설치되는 힌지부(835)를 포함한다.
제1a,1b연결바(831)(833)의 외곽에는 지주(810a~810d)의 외면에 끼워지는 끼움관(832a,832b)(834a,834b)이 설치되어 있다.
끼움관(832a,832b)(834a,834b)은 상하로 관통된 원통 형상이다.
힌지부(835)는 힌지볼트(835a)와 힌지너트(835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접이체(830)는 도 13(b)와 같이 접힌 상태에서 도 13(c)와 같이 보 폭에 따른 조절 가능하게 펼칠 수 있다.
제2접이체(85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각선의 지주(810a)와 지주(810c) 사이를 연결하는 제2a연결바(851)와, 다른 대각선의 지주(810b)와 지주(810d) 사이를 연결하는 제2b연결바(853)와, 제2a연결바(851)와 제2b연결바(853)의 X자형 교차점에 설치되는 힌지부(855)를 포함한다.
제2a,2b연결바(851)(853)의 외곽에는 지주(810a~810d)의 상단에 끼워 걸리는 끼움걸림관(852a,852b)(854a,854b)이 설치되어 있다.
끼움걸림관(852a,852b)(854a,854b)은 상단이 막힌 캡(cap) 형상이다.
끼움걸림관(852a,852b)(854a,854b)의 외주면에는 거치용 레일부(9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홈(854)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855)는 힌지볼트(855a)와 힌지너트(855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접이체(850)는 제1접이체(830)와 함께 도 17과 같이 보 폭에 따른 접힘과 펼침을 가능하게 한다.
거치용 레일(900)은 도 15와 같이, 끼움걸림관(852a)(854a)에 끼워지는 제1거치용 레일(900a)과, 끼움걸림관(852b)(854b)에 끼워지는 제2거치용 레일(900b)로 이루어진다.
거치용 레일(900) 각각은 도 16 및 도 1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용 돌기(700)가 수용 거치되는 수용 거치 레일부(910)와, 끼움걸림관(852a,852b)(854a,854b)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받치는 조립 받침 레일부(930)를 포함한다.
수용 거치 레일부(910)는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용 돌기(700)의 하면이 놓이는 베이스판(911)과, 베이스판(911)의 좌우 양측에서 위로 돌출하여 거치용 돌기(700)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측판(913)을 포함하는, 횡단면이 요(凹)홈 형상이다.
조립 받침 레일부(930)는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911)의 좌우 양측에서 아래로 돌출한 하측판(915)과, 하측판(915)의 하단에서 서로 내측을 향하는 내측 플랜지(917)와, 내측 플랜지(917)의 좌우 사이로 홈(85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개구(919)를 포함한다.
가변식 탈형 보 데크 시스템(1)의 시공방법
가변식 탈형 보 데크 시스템(1)의 시공방법은 도 19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가변식 탈형 보 데크(3)와 가변식 서포트(5)는 둘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조립하거나 동시에 조립할 수 있지만, 도 19 내지 도 25의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하부 거푸집(하부 지지프레임+하면데크)의 조립과정
도 19는 하부 거푸집인 하부 지지프레임(110)과 하면데크(300)를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a)는 하면데크(300)인 기준하면패널(310)과 적층용 하면패널들(330)을 조립되기 전의 사시도로서, 하면데크(300)를 측면 지지프레임(130) 사이의 폭(보 폭)만큼에 해당되는 개수를 준비한다. 즉, 1개의 지준하면패널(310)과 다수의 하면패널(330)을 준비한다.
준비된 하면데크(300)는 도 19(b)와 같이 상판(311)(331)의 상면이 바닥에 놓이게 수평방향으로 일부 겹치게 직렬 적층시킨 하면데크(300) 위에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하부 지지프레임(110)을 도 19(c)와 같이 놓는다.
그 다음 도 19(d)와 같이 직렬 피스(117)로 플랜지(115)의 체결공(116)을 통해 외측절곡바닥판(315)(316)과 내외측 절곡 바닥판(335)(336)에 체결 지지시킨다.
하부 지지프레임(110)과 하면데크(300)가 체결 지지된 후 도 19(e)와 같이 거치용 돌기(700)로 하판(113)의 원하는 체결공(750)에 체결 지지한 후, 도 19(f)와 같이 뒤집어서 하부 거푸집의 조립을 완성한다.
측면 지지프레임의 조립과정
도 20은 보 높이에 따른 제1~4측면 지지프레임(130a~130d)을 직립으로 적층 조립해서 측면 지지프레임(130)을 완성하는 순서 사시도이다.
도 20(a)은 높이가 다른 3종 중 제일 높은 제1측면 지지프레임(130a)을 세운 사시도이다.
도 20(b)(c)은 제2측면 지지프레임(130b)이 제1측면 지지프레임(130a)과 적층되기 전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c)은 제1측면 지지프레임(130a)과 제2측면 지지프레임(130b)이 고력 체결부(175)에 의해 체결 고정된 사시도이다.
도 20의 (e) 내지 (j)는 제3측면 지지프레임(130c)과 제4측면 지지프레임(130d)이 제2측면 지지프레임(130b)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면서 고력체결부(175)에 의해 고정되는 사시도이다.
측면 거푸집(측면 지지프레임+측면데크)의 조립과정
도 21은 측면 거푸집인 측면 지지프레임(130)과 측면데크(500)를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a)은 측면데크(500)인 적층용 측면패널들(530)이 조립되기 전의 사시도로서, 측면 지지프레임(130)의 높이 만큼에 해당되는 개수를 준비한다. 이때 슬래브 데크플레이트 거치대(600)도 함께 준비한다.
준비된 측면데크(500)와 슬래브 데크플레이트 거치대(600)는 도 21(b)와 같이 수직연결판(535)의 내측이 바닥에 놓이게 수평방향으로 직렬 적층시킨 측면데크(500)에 소정 간격마다 측면 지지프레임(130)을 도 21(c)와 같이 놓는다. 이때 슬래브 데크플레이트 거치대(600)도 함께 설치된 상태가 바람직하다.
그 다음 도 21(d)과 같이 직렬 피스(138)로 제2플랜지(137)의 체결공(137a)을 통해 상측 수직판(537)과 하측 수직판(539)에 체결 지지시킨다.
도 21(e)과 같이 측면 지지프레임(130)과 측면데크(500)가 체결 지지된 후, 도 21(f)와 같이 세워서 측면 거푸집의 조립을 완성한다.
보 거푸집(하부 거푸집+측면 거푸집)의 조립과정
도 22는 하면 거푸집과 측면 거푸집을 조립하여 보 거푸집인 가변식 탈형 보 데크(3)를 완성하는 사시도이다.
도 21(a)은 도 19(f)의 하부 거푸집의 좌측에 도 21(f)의 측면 거푸집에 놓기 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1(b)은 놓은 후 고력체결부(155)로 체결하기 전의 사시도이다.
도 21(c)은 다른 측면 거푸집을 하부 거푸집의 우측에 놓기 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1(d)은 놓은 후 고력체결부(155)로 체결해서 가변식 탈형 보 데크(3)를 완성한다.
가변식 서포트(5)의 조립 과정
도 23은 가변식 서포트(5)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a)은 제1접이체와 제2접이체가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23(b)은 힌지에 의해 제1접이체와 제2접이체가 조립된 사시도이다.
도 23(c)은 지주에 제1접이체와 제2접이체를 조립한 후 거치용 레일을 제2접이체에 슬라이딩 조립하여 도 23(d)과 같이 폭과 높이가 미설정된 가변식 서포트의 조립이 완성된다.
미설정된 가변식 서포트는 도 23(e)과 같이 세우고 나서 보 폭에 맞춘 거치용 돌기(700)가 거치될 폭으로 넓혀 조정한 후, 도 23(f)과 같이 높이도 맞추면 가변식 서포트(5)가 완성된다.
가변식 탈형 보 데크 시스템(1)의 조립 과정
가변식 서포트(5)는 도 24(a)와 같이 기둥과 기둥 사이의 소정 간격마다 놓인 상태에서 도 24(b)와 같이 보 거푸집인 가변식 탈형 보 데크(5)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가변식 서포트(5) 위에 거치시킨 후, 도 24(c)와 같이 거치형 돌기(700)가 거치형 레일(900)에 수용 거치되면 조립이 완성된다.
즉,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과 기둥 사이에 배치된 가변식 서포트(5)에 가변식 탈형 보 데크(3)가 놓임으로써 완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 가변식 탈형 보 데크 시스템 3 : 가변식 탈형 보 데크
5 : 가변식 서포트 100 : 가변식 지지프레임
110 : 하부 지지프레임 130 : 측면 지지프레임
300 : 하면데크 500 : 측면데크
600 : 슬래브 데크플레이트 거치대 700 : 거치용 돌기
800 : 가변식 지주부 830,850 : 제1,2접이체
900 : 거치용 레일

Claims (2)

  1. 보 거푸집의 틀을 형성하는 하면데크(300)와 측면데크(500)를 지지하는 가변식 지지프레임(100)으로서,
    하면데크(300)를 받쳐 지지하는 하부 지지프레임(110)과, 하부 지지프레임(110)의 좌우측에 배치되며 측면데크(500)를 받쳐 지지하는 측면 지지프레임(130)과, 하부 지지프레임(110)에 대해 측면 지지프레임(130)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부재(150)와, 측면 지지프레임(13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170)를 포함하되,
    하부 지지프레임(110)은 양측판(111)과, 양측판(111)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판(113)과, 양측판(11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115)를 포함하며,
    측면 지지프레임(130)은 전후판(131)과, 전후판(131)의 일측면을 연결하는 연결판(133)과, 전후판(131)의 상하단에서 외측을 향하는 제1플랜지(135)와, 전후판(131)의 타측면 가장자리에서 외측을 향하는 제2플랜지(137)를 포함하여, 제2플랜지(137)가 마주보게 하부 지지프레임(110)의 좌우에 배치되며,
    폭조절부재(150)는 플랜지(115)의 횡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폭 조절용 체결공(151)과, 원하는 폭 조절용 체결공(151)과 마주하게 제1플랜지(135)에 형성되는 체결공(153)과, 폭 조절용 체결공(151)과 체결공(153)을 체결하는 폭조절용 체결부(155)를 포함하며,
    높이조절부재(170)는 측면 지지프레임(130)이 높이에 따라 적어도 복수 이상으로 분할된 측면 지지프레임(130a~130d)과, 분할된 측면 지지프레임(130a~130d) 간의 접한 제1플랜지(135)를 체결하는 높이조절용 체결부(175)를 포함하는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지지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 지지프레임(110)의 양측판(111)의 두께(t1)는 하부 지지프레임(110)의 하판(113)의 두께(t2)와 플랜지(115)의 두께(t3) 보다 작은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지지프레임.
KR1020190081905A 2019-07-08 2019-07-08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지지프레임 KR102084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905A KR102084550B1 (ko) 2019-07-08 2019-07-08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지지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905A KR102084550B1 (ko) 2019-07-08 2019-07-08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지지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550B1 true KR102084550B1 (ko) 2020-03-04

Family

ID=69783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905A KR102084550B1 (ko) 2019-07-08 2019-07-08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지지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029A (ko) *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가변식 탈형 보 데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794A (ko) 1993-10-11 1995-05-16 하정훈 철근콘크리트 구조식 천장보 구조물 전용 조립식 철제 거푸집
KR20060060999A (ko) * 2004-12-01 2006-06-07 다산건설(주) 거푸집용 지지구
KR101451877B1 (ko) * 2013-05-03 2014-10-16 주식회사 지에스코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구조물
KR101501693B1 (ko) * 2014-04-16 2015-03-11 (주)화인폼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
KR101745242B1 (ko) 2016-01-22 2017-06-20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가변형 보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08054A (ko) * 2017-07-14 2019-01-23 서보산업 주식회사 가변형 조립식 보 거푸집 및 이의 시공 공법
KR20190034002A (ko) * 2017-09-22 2019-04-01 서보산업 주식회사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794A (ko) 1993-10-11 1995-05-16 하정훈 철근콘크리트 구조식 천장보 구조물 전용 조립식 철제 거푸집
KR20060060999A (ko) * 2004-12-01 2006-06-07 다산건설(주) 거푸집용 지지구
KR101451877B1 (ko) * 2013-05-03 2014-10-16 주식회사 지에스코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구조물
KR101501693B1 (ko) * 2014-04-16 2015-03-11 (주)화인폼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
KR101745242B1 (ko) 2016-01-22 2017-06-20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가변형 보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08054A (ko) * 2017-07-14 2019-01-23 서보산업 주식회사 가변형 조립식 보 거푸집 및 이의 시공 공법
KR20190034002A (ko) * 2017-09-22 2019-04-01 서보산업 주식회사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029A (ko) *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가변식 탈형 보 데크
KR102491586B1 (ko) 2021-01-28 2023-01-26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가변식 탈형 보 데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100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
RU2504617C2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бетонной платформы, бетонная платформа и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деталь
US10655346B2 (en) Method for erecting a shuttering framework
CN101949212B (zh) 楼板可拆模板支撑系统及其施工方法
KR100812551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
JP2017031647A (ja) 支保部材、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建造方法
JP6557497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KR100908266B1 (ko) 핸들이 구비된 거푸집용 높이 조절장치
KR102084550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지지프레임
KR10217929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및 벽체의 제작 방법
KR101451877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구조물
JP6860167B2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構築方法、及びボックスカルバート
KR101962788B1 (ko) 강거더와 강합성복공판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가설교량
KR102128099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 시스템
KR102128101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서포트
KR100484513B1 (ko)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KR100845459B1 (ko) 콘크리트 보 패널의 지지장치
KR20040042027A (ko)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KR100786144B1 (ko)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에 적합한보강받침대
KR200366076Y1 (ko) 크기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량 거푸집 장치
KR100750718B1 (ko) 크기 가변형 기둥폼
KR101108283B1 (ko) 판넬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보 거푸집 지지시스템
KR20080087196A (ko) 슬래브 및 보의 구축용 테이블 폼
KR102491586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
JP2010216196A (ja) 布基礎のアンカーボルト設置方法およびアンカーボルト・治具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