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513B1 -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4513B1
KR100484513B1 KR10-2002-0070149A KR20020070149A KR100484513B1 KR 100484513 B1 KR100484513 B1 KR 100484513B1 KR 20020070149 A KR20020070149 A KR 20020070149A KR 100484513 B1 KR100484513 B1 KR 100484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upport
formwork
ba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2029A (ko
Inventor
김귀환
강석환
Original Assignee
(주)거혁건설
김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혁건설, 김귀환 filed Critical (주)거혁건설
Priority to KR10-2002-0070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4513B1/ko
Publication of KR20040042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5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브 시공용 데크판넬들을 H-빔 형상을 하며 굴곡가능한 데크지지바로 지지하고, 상기 데크지지바의 양 단부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데크지지대로 지지하므로써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를 간편화하는 동시에 거푸집 설치 구조물들의 재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거푸집은 바닥(A)면에 설치되며 "ㄷ"자형 단면 형상으로 상·하부가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형 기초가름대(22)와; 대향하는 두 벽체의 각 좌·우 모서리부 및 각 두 모서리부 사이를 균등분할하는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중간부와 만나는 상기 기초가름대(22)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데크지지대(24)와; 벽체에 전면(FS)이 밀착되고, 상기 데크지지대(24)의 배면(RS)과 평탄면인 전면(FS)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좌·우로 밀착되어 상기 기초가름대(22)의 상면에 직립설치되는 내벽거푸집(21)과; 상기 데크지지대(24)의 돌출부(ET) 저면과 바닥면(A)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지지대받침구(23)와; 두 데크지지대(24)의 각 상단면에 양 단부가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중간부가 굴곡가능한 다수의 데크지지바(25)와; 상기 데크지지바(25)의 상면에 설치되는 데크(26)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거푸집 구조는 종래 데크판넬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많은 수가 설치되었던 지지대가 필요 없거나 그 수가 대폭적으로 감소되어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시간이 현저히 감소되는 동시에, 거푸집 구성물들의 재활용도가 높아 초기 제작비가 상승됨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경제성을 가질 뿐 아니라, 거푸집 설치 및 해체 시간의 단축과 용이성에 의해 전체 시공비와 인건비의 감소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The structure of concrete forms constructed for wall and slab}
본 발명은 다층 건물의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배면이 상호 대향하는 벽체용 두 내벽거푸집의 각 좌·우측 모서리와 두 모서리를 균등분할하는 다수 곳에, 상단부의 높이 조절과 회전이 가능하며 '기둥'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크지지대'를 거푸집판넬들과 함께 각각 직립설치하고, 전면이 상호 평행하며 대향하도록 직립한 각 쌍 데크지지대의 각 상단면에 굴곡가능하게 링크결합된 H-빔으로 이루어지며 '보'의 역할을 하는 '데크지지바'의 양 단부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한 후 서로 평행한 동시에 지면에 평행한 다수 데크지지바들의 상면에 다수 데크판넬들을 분리가능하게 연결하여 데크를 구성하므로써, 슬라브용 데크를 지지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직립설치해야 하는 다수의 지지대가 전혀 필요 없으며, 해체시에는 상기 데크지지바를 굴곡시켜 중간부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데크의 해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목재류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거푸집 설치 구조물들의 재활용성을 향상시킨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철근 구조의 다층 건축물은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로부터 시작되는 바, 내부 공간이 벽체의 형상을 하는 주형과 같은 틀을 먼저 만들고, 그 틀의 상단에 천정 슬라브 시공용 판재를 지면에 수평하도록 설치한 후, 상기 틀의 내부와 판재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되며, '거푸집'이라 불리우는 상기 '틀'과 '판재'는 일반적으로 거푸집판넬이라고 불리는 사각 판상의 판넬들을 다수 연결하여 만들어진다.
따라서, 벽체와 슬라브의 시공은 상기 다수의 거푸집판넬들을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채울 수 있는 내부 공간과 상면을 갖는 형틀인 거푸집을 설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본 발명과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거푸집의 용어에 대한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거푸집에 대한 용어를 정의한다.
벽체 시공용 거푸집은 각 벽체의 내·외측 두 면에 각각 밀착되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각 부분은 상·하단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상·하단은 다수의 단위 판넬로 분리되는 바, 상기 각 단위 판넬을 '거푸집판넬', 다수의 거푸집판넬들이 좌·우로 결합되어 상단에 위치하는 것을 '상단거푸집', 하단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하단거푸집', 상·하단거푸집을 구성하는 다수 거푸집판넬들의 전면들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거푸집판넬들이 각종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벽체의 일측 면 전체에 밀착되는 것을 '내벽거푸집'이라 한다.
따라서, 하나의 벽체는, 벽체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각 전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두 내벽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그리고, 천정이 되는 슬라브용 거푸집은, 다수의 거푸집판넬들의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대향하는 두 내벽거푸집 사이의 간격이 막히지 않도록 내벽 커푸집의 상단부에 바닥과 평행하도록 결합되고, 벽체가 되는 두 내벽거푸집 사이와 상기 슬라브용 거푸집의 상면에 코크리트가 함께 타설되는 바, 벽체용 거푸집과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브용 거푸집을 '데크'라 하고, 데크를 구성하는 거푸집판넬을 '데크판넬'이라 하며, 내벽거푸집과 데크 모두를 '거푸집'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거푸집의 기본 구성 요소이며, 콘크리트에 밀착되는 판재와 판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상기 거푸집 또는 데크판넬의 재료로서 종래에는 목재만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목재 판넬을 이용할 경우에는 판넬들간의 연결조립이 못질 또는 와이어의 조임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로 되며,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의 철거 작업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또한, 목재 판넬은 합판의 배면에 각형 목재 바가 보강되어 있기는 하나, 목재의 특성상 거푸집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압력으로 변형되기 쉬우며, 벽체의 규모가 클수록 그러한 경향은 더욱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벽체의 외면이 평탄면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재 판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만든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채우기전 별도의 보강재로 거푸집판넬들을 보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거푸집의 설치 및 철거 과정에서 목재 판넬들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많아서 반복하여 재사용되는 횟수가 극히 제한되어 그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파손되어 못쓰게 된 목재 판넬의 처리도 문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목재 판넬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판재는 목재로 하되 프레임을 철재나 알루미늄 합금(이하 '알루미늄'이라고만 함)과 같은 금속으로 사용한 목재-금속 판넬이 개발되어 각종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범위 및 규모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상기 철재 프레임 판넬의 경우에는 그 중량이 상당하기 때문에 핸들링이 어려워 거푸집 설치 작업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녹이 쉽게 발생되고 녹에 의한 내구성 저하가 크기 때문에 보관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철재 프레임 판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알루미늄 프레임 판넬으로써, 철재 프레임 판넬에 비하여 무게가 매우 가벼울 뿐 아니라, 자체 강성이 크기 때문에 콘크리트 압력에 의한 변형이 없어 양생되어 나오는 벽체의 품질이 우수하고 설치 및 철거 작업이 용이하고,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여 수명이 반영구적이라는 장점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각종 판넬들을 조립하여 콘크리트가 부어지는 일종의 형틀인 거푸집을 만들기 위해서는, 타설 후 양생되기전까지 상기 각 판넬들에 상당한 압력을 부여하게 되는 콘크리트의 중량에 의해 거푸집의 최초 설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즉 콘크리트의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각 판넬들의 배면에 각종 지지대들이 설치되어야 하며, 특히 양 단부만이 내벽거푸집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슬라브용 데크에는 과도한 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상당히 많은 수의 지지대들이 바닥면과 상기 데크판넬들의 저면 사이에 세워져야 하는 등 종래의 거푸집 구조는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는 바, 이를 종래의 거푸집 구조를 도시한 도 1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거푸집은 각 벽체(W)를 시공하기 위하여 바닥면(A)에 고정 설치된 목재 기초가름대(12)의 상면에 직립되며 상·하 2단으로 이루어진 벽체당 두 내벽거푸집(11)과, 이 내벽거푸집의 상단부에 바닥과 평행하게 데크(13)가 놓여진다.
상기 종래의 데크(13)로는 보통 목재 합판이 사용되는 바, 슬라브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탱하기 위하여 상기 합판으로 이루어진 데크(13)의 저면에는 다수의 평행한 가로바(14)(장선,長線)들이 밀착되고, 이 가로바(14)들의 저면에는 이들과 직교하며 평행한 다수의 세로바(15)(멍에)들이 밀착된 후 각 세로바(15)들의 저면을 따라 다수의 지지대(S3)들이 바닥면(A)까지 직립하여 상기 데크(13)를 지지하게 되는 구조이며, 내벽거푸집 배면 상단부를 따라 상기 가로바(14)와 평행한 각목(T)이 결합되어 데크(13)와 내벽거푸집(11)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평탄한 전면이 벽체(W)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대향하는 두 내벽거푸집(11)은 벽체를 두께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되는 다수의 연결편(C)으로 결합되며, 벽체 시공 완료 후 상기 각 연결편(C)의 양단부를 절단하여 내벽거푸집을 해체하게 되고, 각 연결편(C)의 중간부는 벽체 콘크리트속에 매몰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내벽거푸집(11)의 각 배면에는, 벽체(W) 시공용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압력으로 각 내벽거푸집을 이루는 거푸집판넬들이 처음의 조립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수직지지대(S1)들과 수평지지대(S2)들이 결합된다.
또한, 슬라브용 거푸집인 상기 데크(13)는, 서로 대향하는 두 측벽의 두 대향면에 각각의 전면이 밀착되며 바닥(A)면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각각의 배면이 서로 대향하게 되는 두 내벽거푸집의 각 전면측 상단부로부터 배면측으로 양 단부가 각각 놓여져 두 교각에 걸쳐진 다리의 상판과 같은 형태가 되기 때문에,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하여 합판 데크 상면으로 타설되는 전체 콘크리트의 하중이 데크의 양 단부에 상단부가 결합된 두 내벽거푸집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합판으로 이루어진 데크가 콘크리트의 하중을 견딜 수 없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데크(13)의 저면과 바닥면(A) 사이에 수 많은 가로바(14), 세로바(15) 및 지지대(S3)들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종래의 거푸집은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갖게 된다.
첫째, 내벽거푸집의 각 하단부에 설치되는 기초가름대는 통상 다수의 목재를 적층한 것이기 때문에 벽체와 밀착하게 되는 측면과 그 높이를 평탄하게 맞추기 어렵고, 따라서 거푸집판넬들 간의 수평도와 수직도를 맞추기가 쉽지 않아 거푸집 설치 작업성이 떨어진다.
둘째, 합판으로 이루어진 데크의 단부만이 내벽거푸집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내벽거푸집에 큰 하중이 걸리게 되어 내벽거푸집의 형상이 뒤틀리기 쉬우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를 내벽거푸집의 배면에 결합시켜야 하는 바, 거푸집 설치 시간이 길어져 시공 기간이 연장된다.
세째, 내벽거푸집에 의해 지지되는 데크의 양 단부 이외의 중간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가로바, 세로바, 각목, 지지대 등과 같은 지지수단들이 과다하게 필요하고, 그 지지수단들을 설치하고 해체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길어질 뿐 아니라, 특히 바닥면에 직립하는 다수의 밀집된 지지대들에 의하여 시람의 동작이 제한되기 때문에 내벽거푸집과 데크의 배면과 저면에서 벽체와 슬라브의 타설 상태를 검사하거나 별도의 부수적인 바닥 공사를 실시하기가 어렵다.
네째,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한 각종 부자재, 즉 데크, 수평지지대, 수직지지대, 가로바, 세로바, 지지대, 기초가름대, 각목 등은 주로 합판, 각목 내지는 파이프 등이 주로 사용되며, 각 목재들은 못 등으로 결합되는 바,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시 상기 각종 부자재의 파손율이 높아 재활용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초기 거푸집 비용은 저렴하나 결과적으로는 시공비가 증가하게 되고, 폐자재 처리를 위한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건축물의 기둥과 보의 형식을 취하는 데크지지대와 데크지지바를 사용하고, 데크지지바에 설치되는 데크 및 슬라브용 콘크리트의 하중을 상기 데크지지대가 감당하도록 하므로써, 데크 지지용 수많은 각종 지지수단들이 필요 없도록 하면서 내벽거푸집에 부여되는 하중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상기 데크지지대의 상단부 높이를 조절하고 데크지지바를 굴곡가능한 구조로 하여 데크 해체시 데크지지바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그 상면에 설치된 데크를 손쉽게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목재의 사용을 배재함으로써,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시간과 노동력을 최소화하고, 거푸집 구조에 사용되는 각종 자재들의 재활용성을 향상시켜 최초 투자비가 상승됨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는 시공비의 절감이 가능한 거푸집의 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턴버클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초가름대와, 상·하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부위가 상단부에 결합된 바(bar)형 데크지지대 및 굴곡가능한 데크지지바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는 건축물의 기둥과 두 기둥에 얹혀지는 보의 형식을 적용하여 데크와 데크 상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을 상기 기둥과 보의 역할을 수행하는 두 구성부들이 지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설치와 해체가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거푸집 구조는 크게, 벽체 시공용 내벽거푸집, 슬라브 시공용 데크, 기초가름대, 데크지지대 및 데크지지바로 구성되고, 상기 기둥의 역할을 하는 데크지지대의 상부가 상·하 이동 및 회전가능한 2중 구조인 동시에, 상기 보의 역할을 하는 데크지지바가 굴곡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그 구조적 특징이 있다.
벽체의 하단부를 따라 바닥면에 설치되며 턴버클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기 기초가름대는 각각 "ㄱ"자 및 "ㄴ"자형 단면을 갖는 바 형상을 하는 한 쌍의 부분 가름대로 구성되어 "ㄷ"형 단면을 갖도록 두 가름대가 유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시 내부 바닥면과 천정면 사이에 두 가름대의 높이를 나사식으로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구가 결합되므로써, 기초가름대의 상면에 놓여지는 내벽거푸집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데크지지대는, 데크지지대의 배면이 벽체면과 밀착되는 내벽거푸집을 구성하는 장척거푸집판넬들 사이에서 내벽거푸집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한 칸의 공간에서 대향하는 두 내벽거푸집 각 내부에서 서로 대향하게 각각 다수가 바닥면에 직립하도록 설치되며, 각 데크지지대는 고정지지대와 유동지지대로 구성되어 거푸집의 해체시에는 상기 유동지지대를 하강 및 전방하향으로 회전시키므로써 유동지지대가 상승되었던 설치시의 데크지지대 높이를 축소시킬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데크지지대 상단의 상기 유동지지대 상면에 양 단부 저면이 결합된 데크지지바를 굴곡시켜 양 단부 사이의 중간부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벽체면에 밀착되는 판재(PL)와 이 판재(PL)를 보강하기 위한 프레임(F)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거푸집판넬(20)의 상·하 길이(L1)는 대략 벽체 높이의 반에 해당하게 되는 바, 상기 거푸집판넬(20)을 상·하단 하나로 일체화하여 벽체의 높이와 대략 비슷한 길이(L2)로 만든 것을 '장척거푸집판넬(20')'이라 하였으며, 기초가름대의 높이와 장척거푸집판넬(20')의 길이 및 데크판넬의 높이를 합한 것이 벽체의 높이가 된다.
즉, 장척거푸집의 길이(또는 높이)는 데크지지대의 최대 길이와 데크지지바의 높이를 합한 것과 같다.
그리고, 상기 각 데크지지대는 내벽거푸집과 함께 기초가름대 상면에 놓여지나, 데크 지지대의 두께가 내벽거푸집의 두께와 달리 상기 기초가름대의 두께보다 크기 때문에, 데크지지대의 배면은 장척거푸집판넬의 전면과 함께 벽체면에 밀착되나, 그 전방은 내벽거푸집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이 돌출부의 저면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기초가름대의 높이만큼 허공에 떠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데크지지바의 돌출부 저면을 지지하고 그 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지지대받침구가 상기 데크지지대의 돌출부 저면과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는 바, 상기 지지대받침구는 상부받침대와 하부받침대로 구성되며, 두 받침대를 적층하면 상부받침대의 상면과 하부받침대의 하면은 서로 평행하나, 두 받침대의 접촉면인 상부받침대의 저면과 하부받침대의 상면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구조로서, 상부받침대를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면을 따라 이동시킴에 따라 지지대받침구의 돌출부측 높이 즉, 상기 기초가름대와의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하여 데크지지바의 직립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배면이 대향하는 두 내벽거푸집 내부에 직립하여 대향하는 각 쌍의 데크지지대 상단면에 보와 같이 양 단부 저면이 놓여져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데크지지바는, 다수의 단척 H-빔(beam)들이 다관절 링크에 의해 결합되어 하나의 장척 H-빔을 이루며 절곡가능한 구조이며, 상기 기초가름대, 데크지지대, 데크지지바 및 거푸집판넬과 데크판넬의 프레임 등은 금속재질 특히 경량의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거푸집의 재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거푸집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층 건물에서 거푸집은 각 층당 설치되며, 다수 벽체를 구축하기 위한 다수의 내벽 또는 측면거푸집(건물 외면)들과 데크가 연결되는 상태이며 이때, 상기 각 내벽거푸집은 벽체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평탄한 전면이 상호 대향하는, 즉 벽체를 격하여 인접한 방의 벽체면에 밀착되는 내벽거푸집과 서로 연결편(C)에 의해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구조로서 한 층을 이루게 되나, 설명의 편의상 한 칸의 방을 대상으로 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지는 않았으나 가상의 벽체가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네 벽체면을 이루도록 평면 4각형의 형상으로 내벽거푸집이 설치되고, 네 내벽거푸집들 중 각 배면이 대향하는 일측 두 내벽거푸집의 각 배면 좌·우측 두 모서리부와 중앙부에 서로 대향하는 3쌍의 데크지지대가 직립하며, 대향하는 각 쌍의 데크지지대 상단부에 각각 1본씩 총 3본의 데크지지바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즉, 방의 벽체 하단부 바닥을 따라 기초가름대를 4각형으로 놓고, 두 대향 벽체의 각 좌·우 모서리 및 두 모서리의 중앙에 위치한 기초가름대의 각 상면에 한 본씩 데크지지바 6본을 직립설치하되, 일측 벽체측의 세 데크지지대의 전면과 대향하는 타측 벽체측 세 데크지지대의 전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벽체면을 따라 다수 장척거푸집판넬들의 모든 전면들이 벽체면에 밀착되어 동일평면을 이루면서 인접 장척거푸집판넬들 각각의 측면이 밀착되도록 상기 기초가름대의 상면에 장척거푸집판넬들의 저면을 올려놓고, 기초가름대와 장척거푸집판넬들의 저면, 좌·우로 인접한 장척거푸집판넬들 사이 및 장척거푸집판넬과 데크지지대를 핀으로 연결한 후, 상기 대향하는 세 쌍의 두 데크지지대 상단마다 데크지지바를 각각 올려놓고, 각 데크 지지대의 상단면과 데크지지바의 각 단부 저면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3본의 데크지지바들은 데크지지대가 설치된 벽체에 직교하는 타측 두 대향 벽체의 각 상단부 두 곳과 데크지지대가 설치된 두 벽체의 중앙 상단부를 연결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되며, 일측 상단부에 설치된 데크지지바와 상단부 중앙에 위치한 데크지지바 및 이 상단부 중앙에 위치한 데크지지바와 타측 상단부의 데크지지바의 각 상면에 양단부 저면이 놓여져 침목이 놓여진 레일을 뒤집은 형태가 되나 서로 측면이 밀착되고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다수의 데크판넬들을 상기 데크지지바의 상면에 밀착배열하므로써 데크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거푸집의 해체시에는 상기 데크지지대의 높이를 축소시킨 후 데크지지바를 굴곡시켜 데크를 낮추어 데크판넬들을 손쉽게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과 4에 본 발명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구조의 정면도를, 도 5에 측면도를, 도 6에 부분 평단면도를, 도 7에 평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는, 내벽거푸집(2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벽체(W)의 하단부를 따라 바닥(A)면에 설치되며, 턴버클식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ㄷ"자형 단면 형상으로 상·하부가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형 기초가름대(22)와;
대향하는 두 벽체의 각 좌·우 모서리부 및 각 두 모서리부 사이를 균등분할하는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중간부와 만나는 상기 기초가름대(22)의 상면에 각각 직립하여 전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바형 데크지지대(24)와;
상기 데크지지대(24)가 설치된 대향하는 두 벽체 및 타 벽체에 전면(FS)이 밀착되고, 상기 데크지지대(24)의 배면(RS)과 평탄면인 전면(FS)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좌·우로 밀착결합되어 상기 기초가름대(22)의 상면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내벽거푸집(21)과;
상기 기초가름대(22)의 상면에서 벽체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데크지지대(24)의 돌출부(ET) 저면을 지지하고, 상기 기초가름대(22)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하여 데크지지대(24)의 직립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데크지지대 돌출부(ET) 저면과 바닥면(A)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지지대받침구(23)와;
한 쌍씩 서로 대향하는 상기 두 데크지지대(24)의 각 상단면에 양 단부가 각각 놓여져 타 쌍의 두 데크지지대(24)에 놓여진 것들과 서로 평행하며,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중간부가 굴곡가능한 H-빔인 다수의 데크지지바(25)와;
상기 평행한 두 데크지지바(25) 각 상면에 배면의 양 단부가 각각 놓여져 평탄한 상면들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밀착배열되어 결합된 다수의 데크판넬들이 연결된 데크(26) 등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이때 배면이 대향하는 두 내벽거푸집 각각은 장척거푸집판넬들과 데크지지바들로 구성되고, 타측 대향 두 내벽거푸집은 장척거푸집판넬들로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를 이루는 각 구성분들 중 종래의 거푸집 구조에 사용되지 않았던 본 발명만의 독창적인 구성분들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초가름대(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A)면에 저면이 밀착되는 밴드형 하판(L)의 폭 방향 일측단부와 이에 근접한 상면에 각각 상향 직립하는 외측 리브(L1)와 내측 리브(L2)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판(L)의 중앙부 상면에는 볼트의 헤드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단부가 상대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볼트걸림편(L3)(L3')이 길이 방향을 따라 직립형성되며, 전체적인 단면 외형이 "ㄴ"자형을 하는 바형 하부가름대(22A)와;
밴드형 상판(U)의 폭 방향 일측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외측 리브(L1)와 내측 리브(L2) 사이에 유동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삽입리브(L4)가 하향 직립하여 연장형성되고, 상기 상판(U)의 중앙부 저면에 또 다른 한 쌍의 볼트걸림편(L3)(L3')이 길이 방향을 따라 하향 직립형성되며, 전체적인 단면 외형이 역"ㄱ"자형을 하는 바형 유동가름대(22B)와;
원통형 너트(N)의 양 측 내주면에 나사결합하며, 각 헤드부가 상기 하부 및 유동가름대(22A)(22B)의 각 볼트걸림편(L3)(L3') 사이의 내부에 삽입결합되는 한 쌍의 볼트(B)로 이루어진 다수의 높이조절구(22C)로 구성되므로써, 바닥면에 고정된 하부가름대(22A)에 대하여 상기 유동가름대(22B)는 높이조절구(22C)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그 위치가 조절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리브(L2)와 삽입리브(L4)의 각 상단부에는 외측리브(L1)와 타측단부측을 향하는 절곡부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바, 하부가름대에(22A)에 대하여 유동가름대(22B)를 상향으로 움직여 분리하거나 하향으로 삽입하여서는 결합할 수 없으며, 두 가름대를 결합시키거나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외측 리브(L1)와 내측 리브(L2)의 일측단부 사이를 통하여 삽입리브(L4)의 일측단부를 길이 방향으로 밀어 슬라이딩식으로 삽입결합시켜야 한다.
지지대받침구(2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과 높이 방향으로 직각사각형 단면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두 내각이 각각 90°인 마름모형 사각 단면을 하며, 상·하로 적층되는 한 쌍의 비대칭 쐐기형 육면체인 상부받침대(23A)와 하부받침대(23B)로 구성되며, 상부받침대(23A)는 저면이, 하부받침대(23B)는 상면이 경사면을 이루는 바, 두 받침대를 적층하면 상부받침대(23A)의 상면과 하부받침대(23B)의 저면은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된다.
즉, 바닥면(A)과 이에 밀착되는 하부받침대(23B)의 저면 및 상부받침대(23A)의 상면은 모두 평행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두 받침대(23A)(23B)의 밀착면인 각 저면과 상면의 경사각(θ)(θ')은 서로 엇각의 관계가 되며, 두 받침대(23A)(23B)의 각 마름모형 단면에서 각기 90°인 두 내각과 상기 경사각(θ)(θ')을 제외한 다른 한 내각(θ1)(θ1')은 상기 경사각(θ)(θ')과의 사이에서 다음 식 1을 만족시켜야 한다.
또한, 상부받침대(23A)의 길이(L1)는 하부받침대(23B)의 길이(L4)보다 짧기 때문에, 상기 상부받침대는 그 저면에 밀착되는 하부받침대의 상면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하부받침대 저면과 상부받침대 상면 사이의 높이, 즉 지지대받침구(23)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되며, 높이가 조절된 후에는 두 받침대 사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구(도면 미도시)를 사용하여 두 받침대 사이의 움직임을 방지하게 된다.
데크지지대(24)는, 도 10과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ㄷ"자형 평단면을 갖는 바형 포스트(P)와, 이 포스트의 하단면에 부착되어 저면이 상기 기초가름대(22) 및 지지대받침구(23)의 각 상면에 밀착되는 하판(L')과, 상기 포스트(P)의 두 대향 측벽 상부 외면에 판상의 가이드브라케트(BK)로 이루어진 바형 고정지지대(24A)와;
데크지지바(25)의 저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h)들이 구비된 사각형상의 상판(24B1)과, 상판(24B1) 저면의 두 대향 단부측 전길이에 걸쳐 하향직립하여 부착되며 하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여 상·하 동일측 두 내각이 90°인 사다리꼴 형상을 하고 각 외면의 상·하부에 가이드바(GB)(GB')가 각각 분리가능하게 직립 결합되는 두 측판(24B2)과, 대향하는 두 측판(24B2) 내면의 후방단부측 각 중앙부에 양 선단면 전체가 각각 부착되는 사각형상의 후(後)판(24B3)과, 후판(24B3) 전방의 두 측판(24B2) 대향면에 상기 후판(24B3)과 평행하게 양 선단면 전체가 각각 부착되는 사각형상의 전(前)판(24B3)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지지대(24A)의 상부 내면에 상·하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지지대(24B)와;
상기 각 가이드브라케트(BK)의 외면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동지지대(24B)를 이동 또는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사각 판상의 다수 걸림편(24C)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가이드브라케트(BK)의 상·하부에는 상·하 일자형 관통공(H1)(H2)들이 일직선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각 관통공(H1)(H 2)을 중심으로 그 상·하 단부에 인접하면서 서로 대향하며 대칭되는 한 쌍씩의 걸림편가이드(G1,G1')(G2,G2')들이 전·후 방향으로 부착되고, 각 가이드브라케트(BK)가 부착되는 상기 고정지지대(24A)의 두 대향 측벽에도 상기 두 관통공(H1)(H2)들과 각각 일치하는 통과공(H1')(H2')들이 형성된다.
또한, 중앙부에 "ㄱ"자형 걸림공(H3)이 관통형성된 상기 걸림편(24C)은 상기 각 걸림편가이드(G1,G1')(G2,G2')들 사이에 조립되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편(24C)들이 각 걸림편가이드(G1,G1')(G2,G2')들에 각각 조립된 고정지지대(24A)의 상부 내면측에 유동지지대(24B)를 넣고, 상기 걸림공(H3)과 관통공(H1)(H2) 및 통과공(H1')(H2')을 통하여 상·하부 가이드바(GB)(GB')들을 상기 유동지지대(24B)의 두 측벽 상·하부에 각각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림편들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각 걸림공(H3)의 수직부가 상기 관통공(H1)(H2)들과 일치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바(GB)(GB')들이 관통공(H1)(H2)들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여 유동지지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나 그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지지대를 상향이동시킨 후 걸림편들을 이동시켜 상기 각 걸림공(H3)의 수직부가 상기 관통공(H1)(H2)과 일치되지 않도록 하면 가이드바들이 상기 걸림공의 수평부에 걸리게 되므로써 유동지지대는 상승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유동지지대의 상판(24B1)은 결합공(h)을 통하여 데크지지바(25) 저면의 일측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유동지지대(24B)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유동지지대의 두 측판(24B2) 외면에 각각 결합된 상부 가이드바(GB)들을 분리하면 상기 유동지지대(24)는 두 하부 가이드바(GB')들을 회전축으로 하여 전방하향측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데크지지대(24)를, 타설되는 벽체에 고정시켜 테크 및 슬라브용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데크지지대(24)의 전방으로부터 배면(RS)을 관통하는 매입볼트(B')가 결합되며, 이 매입볼트(B')는 타설되는 벽체 콘크리트에 매입되어 고정된다.
데크지지바(25)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척의 H-빔 한 본을 단척의 세 본으로 절단한 후 절단된 단척 H-빔들을 링크 결합시킨 것으로, 대향한 두 데크지지바(25)의 각 유동지지대(24B) 상단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본의 지지부(25A)와, 두 지지부(25A) 저면의 각 일측 단부에 저면의 양 단부가 다관절 링크(LK)에 의해 결합되는 중간부(25B)로 구성된다.
따라서, 벽체와 슬라브 큰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어 거푸집을 해체시 대향하는 두 데크지지대 상부의 각 유동지지대(24B)를 상기 데크지지바(25)와 함께 하강시켜 데크지지바(25)와 슬라브측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킨 후 각 유동지지대의 상부 가이드바(GB)들을 분리하면, 상기 각 유동지지대가 하부 가이드바(GB')들을 회전축으로 하여 그 상면에 결합된 데크지지바의 양측 지지부(25A)와 함께 전방하향측으로 회전하면서 데크지지바 저면의 다관절의 링크가 펼쳐져 두 데크 지지부(25A) 사이에 개재된 중간부(25B)가 바닥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높이가 낮아져 상면에 설치된 데크를 쉽게 해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거푸집 구조에 사용되는 데크판넬(26A) 배면의 길이 방향 양 단부 인접한 각 부위에는, 데크판넬 배면의 전 폭을 따라 배면에 직립하는 조립리브(L5)가 구비되며, 이 조립리브(L5)의 외면측 데크판넬 배면은 데크지지바(25) 상면에 밀착되고, 조립리브(L5)의 내면은 상기 데크지지바(25) 상면의 폭 방향 단부측 측면에 걸리게 되어 그 설치 상태가 안정화된다.
이때, 평행한 두 조립리브(L5) 사이의 데크판넬(26A) 배면은 바닥면을 향하여 허공에 떠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시공 방법에 의해 설치되는 거푸집의 적층구조를 살펴보면, 장척거푸집판넬의 측면에서는 바닥-기초가름대-장척거푸집판넬-데크판넬의 순이 되고, 데크지지대의 측면에서는 바닥-기초가름대-데크지지대-데크지지바-데크판넬의 순이 되는 바, 데크지지바의 상면은 장척거푸집판넬의 상단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데크의 저면이 상기 데크지지바의 상면과 장척거푸집판넬의 상단면에 함께 밀착되는 동시에, 벽체면에 밀착되는 장척거푸집판넬의 전면과 데크판넬의 일측 선단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된다.이때, 데크지지대 상단부의 평단면에서 유동지지대가 결합되는 부위는 고정지지대의 전체 단면에 해당되지 않고 유동지지대 배면측 후방부에 유동지지대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고정지지대의 배면과 두 측벽으로 이루어진 'ㄷ'자형 잔여 단면부가 있으며, 이 부분의 상단면은 유동지지대의 상단면보다 낮기 때문에, 유동지지대가 최고 높이에 있을 때, 고정지지대의 상기 'ㄷ'자형 잔여 단면부의 상단면으로부터 유동지지대의 상단에 놓여진 데크지지바의 상단면 사이의 벽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바, 상기 공간, 즉 고정지지대의 'ㄷ'자형 잔여 단면부 상단면에, 데크지지대의 배면폭과 장척거푸집판넬의 두께 및 'ㄷ'자형 잔여 단면부 상단면으로부터 데크지지바 상면까지의 길이를 갖는 별도의 거푸집판넬이 결합되어야 한다.따라서, 상기와 같은 별도의 거푸집판넬 대신, 고정지지대의 'ㄷ'자형 잔여 단면부를 상기 별도의 거푸집판넬의 높이만큼 연장형성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즉, 고정지지대 포스트에서 유동지지대의 배면 후방측 'ㄷ'자형 상단면을 장척거푸집판넬의 상단면 높이까지 상향 연장시키게 되면, 상기 별도의 거푸집판넬이 필요 없게 되며, 이때 고정지지대 포스트의 높이는 장척거푸집판넬의 높이와 같고, 최고 높이에 위치한 유동지지대의 상단면 높이에 데크지지바의 높이를 더한 것과 같게 된다.
그리고, 평행한 두 데크지지바의 각 길이 방향 중심선 사이의 거리는 데크판넬의 길이와 동일한 바, 데크판넬의 길이 방향 양 선단부는 두 데크지지바 상면의 각 길이 방향 중심선과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벽체의 좌·우 양 측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두 데크지지바의 상면 중심선까지 놓여진 데크판넬의 길이 방향 선단면과 두 데크지지바의 측면에 밀착되는 장척거푸집판넬의 배면 사이에는 틈새(R)가 형성되고, 이 틈새에는 폭이 좁은 데크판넬인 쪽판넬(26Aa)이 결합된다.
또한, 데크지지대가 설치되는 두 대향 내벽거푸집의 상단면에도 또 다른 데크판넬인 데크지지대측 쪽판넬(26Aaa)이 일렬로 결합되는 바, 내벽거푸집이 해체되지 않은 상태에서 데크지지바를 굴곡시키는 경우 장척거푸집판넬의 상단면과 슬라브 저면 사이에 밀착된 데크판넬은 데크지지바와 함께 하강될 수 없기 때문에 폭이 좁은 상기 데크지지대측 쪽판넬(26Aaa)을 데크판넬로 사용한다.
상기의 예와 달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설치된 기초가름대(22)와 지지대받침구(23)의 상면에 직립하는 상기 데크지지대(24)의 고정지지대(24A)와 달리, 그 길이를 줄인 단축고정지지대(24A')에 유동지지대(24B)가 결합된 단축데크지지대(24')를 생각할 수도 있다.
상기의 경우에는, 데크지지바(25)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대(S3)들이 필요로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 거푸집 구조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그 설치와 해체가 이루어진다.
바닥면과 벽체면의 경계를 따라 기초가름대를 바닥면에 설치하는 단계와; 대향하는 두 벽체의 각 좌·우 모서리부 및 두 모서리부를 균등분할하는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중간부와 만나는 상기 기초가름대의 상면에 데크지지대를 직립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데크지지대의 돌출부 저면과 바닥면 사이에 지지대받침구를 개재시키고 데크지지대의 직립도를 조정하는 단계와; 벽체면을 따라 다수 장척거푸집판넬들의 모든 전면들이 벽체면에 밀착되어 동일평면을 이루면서 인접 장척거푸집판넬들 각각의 측면이 밀착되도록 상기 기초가름대의 상면에 장척거푸집판넬들의 저면을 올려놓고, 기초가름대와 장척거푸집판넬들의 저면, 좌·우로 인접한 장척거푸집판넬들 사이 및 장척거푸집판넬과 데크지지대를 핀들로 연결하여 내벽거푸집(21)을 구성하는 단계와; 데크지지대 상부의 유동지지대를 최고 높이로 상승시켜 고정하는 단계와; 장척거푸집판넬들이 좌·우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내벽거푸집의 상단면을 따라 두 종류 쪽판넬의 저면을 밀착결합시키는 단계와; 두 대향 내벽거푸집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씩 서로 대향하는 상기 두 유동지지대의 각 상면에 양 단부 저면이 밀착되도록 데크지지바를 올려놓고, 유동지지대와 데크지지바의 각 단부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단계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다수의 데크지지바 상면에 다수의 데크판넬들을 올려놓고 상호간 및 상기 두 종류 쪽판넬들과 연결하여 슬라브 시공용 데크를 형성하는 단계 등으로 이루어진 설치 과정과;
타설된 콘크리트 양생 후, 장척거푸집판넬들의 연결을 풀어 내벽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와; 상기 각 데크지지대의 유동지지대를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유동지지대에 결합된 상부 가이드바들을 분리하여 유동지지대를 전방하향측으로 데크지지바의 지지부와 함께 회전시켜 데크지지바의 지지부를 경사지게 함과 동시에 중간부의 높이를 낮추는 단계와; 상기 데크지지바의 상면에 놓여진 데크판넬들과 이에 연결된 두 종류 쪽판넬들의 연결을 풀어 데크를 해체하는 단계와; 상기 데크지지바를 유동지지대의 상면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데크지지대와 기초가름대 및 지지대받침구를 해체하는 단계 등으로 이루어진 해체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 거푸집 구조의 설치와 해체가 이루어진다.
이때, 벽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며 평탄한 전면이 대향하는 두 내벽거푸집의 다수 연결편(C)들과 데크지지대(24) 고정용 매입볼트(B')들은 벽체속에 매입된 상태에서 장척거푸집판넬 및 데크지지대측과의 연결측 단부를 절단하므로써, 양생된 벽체로부터 장척거푸집판넬 및 데크지지대를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내벽거푸집과 데크지지대는 교대로 함께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한 모서리의 기초가름대 상면에 데크지지대를 세운 후 다음 데크지지대 설치 위치까지 장척거푸집을 세운고, 다시 데크지지대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내벽거푸집과 데크지지대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기초가름대(22)의 상면에 직립하는 데크지지대(24)가 아닌 길이가 짧은 단축데크지지대(24')가 사용될 경우에는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 과정이 다소 다르게 된다.
즉, 단축데크지지대(24')의 하단부가 허공에 뜬 상태에서 내벽거푸집에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단축데크지지대가 설치될 두 대향 벽체의 상부 다수 곳을 제외한 벽체면에 밀착되는 내벽거푸집을 우선 설치한 후, 장척거푸집판넬이 없는 상기 두 대향 벽체의 상부 다수 곳에 상기 단축데크지지대를 결합하며, 단축데크지지대 하단부 직하와 기초가름대 상면 사이의 벽체면에는 상기 장척거푸집판넬보다 폭과 길이가 작은 소형거푸집판넬(도면 미도시)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소형거푸집판넬의 길이와 상기 단축데크지지대의 길이를 합하면 원래 데크지지대(24)의 길이와 같으며, 소형거푸집판넬의 폭은 단축데크지지대의 폭과 같다.
그리고, 데크지지대(24)의 돌출부(ET) 저면에 밀착되는 지지대받침구(23)의 설치 과정이 생략되며, 매입볼트(B')와 인접한 장척거푸집판넬들과의 연결핀과 상기 매입볼트(B')의 힘만으로 상기 단축데크지지대(24')가 데크 및 슬라브용 콘크리트에 의해 부여되는 하중을 견딜 수 없기 때문에, 데크지지바(25) 설치 후 데크지지바를 지지하기 위하여 데크지지바 저면과 바닥면 사이에 다수의 지지대(S3)들을 설치하는 단계가 추가된다.
그리고, 해체시에는 상기 다수의 지지대들을 해체하는 단계가 추가되나, 설리시와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대받침구의 해체 단계는 생략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한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장척거푸집판넬 대신에 종래 상·하단으로 적층되는 거푸집판넬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일련의 순서도 시공 여건에 따라 바뀔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데크판넬들은 강성이 뛰어난 데크지지바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종래 데크판넬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많은 수가 설치되었던 지지대가 필요 없거나 그 수가 대폭적으로 감소되어 거푸집의 설치 시간이 현저히 감소되는 동시에, 높이가 낮아지는 데크지지대와 굴곡되는 데크지지바에 의해 데크의 해체도 매우 손쉽고 간편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데크지지대와 데크지지바는 금속 재질로서, 볼트-너트 등의 결합 수단으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재활용도가 높아 초기 제작비가 상승됨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경제성을 가지며, 거푸집 설치 및 해체 시간의 단축과 용이성에 의해 전체 시공비와 인건비의 감소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가)는 사시도이고,
(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거푸집판넬을 보인 것으로,
(가)는 거푸집판넬의 배면 사시도이고,
(나)는 장척거푸집판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 거푸집 구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 거푸집 구조를 구성하는 데크지지바의 굴곡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 거푸집 구조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 거푸집 구조의 부분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 거푸집 구조의 평면도.
도 8은 기초가름대를 보인 것으로,
(가)는 결합 상태의 사시도이고,
(나)는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지지대받침구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데크지지대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테크 지지대의 분리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데크지지바를 보인 것으로,
(가)는 사시도이고,
(나)는 굴곡되지 않은 상태의 측면도이며,
(다)는 굴곡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3은 데크판넬의 배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 거푸집 구조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 내벽거푸집 12,22. 기초가름대 13,26. 데크
14. 가로바(장선) 15. 세로바(멍에) 20. 거푸집판넬
20'. 장척거푸집판넬 23. 지지대받침구 24. 데크지지대
24'.단축데크지지대 25. 데크지지바 22A. 하부가름대
22B. 유동가름대 22C. 높이조절구 23A. 상부받침대
23B. 하부받침대 24A. 고정지지대 24B. 유동지지대
24C. 걸림편 24A'. 단축고정지지대 25A. 지지부
25B.중간부 26A. 데크판넬 26Aa,26Aaa. 쪽판넬
A. 바닥면 B. 볼트 B'. 매입볼트
BK. 가이드브라케트 C. 연결편 ET. 데크지지대 돌출부
F. 프레임 FS. (데크지지대)전면 G. 걸림편가이드
GB. 상부 가이드바 GB'. 하부 가이드바 H1,H2. 관통공
H1',H2'. 통과공 H3. 걸림공 h. 결합공
L,L'. 하판 L1. 외측리브 L2. 내측리브
L3,L3'. 볼트걸림편 L4. 삽입리브 L5. 조립리브
L1. 거푸집판넬의 길이 L2. 장척거푸집판넬의 길이 L1. 상부받침대의 길이
L2. 하부받침대의 길이 LK. 링크 P. 포스트
PL. 판재 R. 틈새 RS. (내벽거푸집)전면
S1. 수평지지대 S2. 수직지지대 S3. 지지대
T. 각목 W. 벽체 U. 상판

Claims (8)

  1.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구조에 있어서, 벽체(W)의 하단부를 따라 바닥(A)면에 설치되며, 상·하부가 유동가능하게 결합된 바형 기초가름대(22)와;
    대향하는 두 벽체의 각 좌·우 모서리부 및 각 두 모서리부 사이를 균등분할하는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중간부와 만나는 상기 기초가름대(22)의 상면에 각각 직립하여 전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바형 데크지지대(24)와;
    상기 데크지지대(24)가 설치된 두 벽체 및 타 벽체에 전면(FS)이 밀착되고, 상기 데크지지대(24)의 배면(RS)과 평탄면인 전면(FS)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좌·우로 밀착되어 상기 기초가름대(22)의 상면에 직립설치되는 내벽거푸집(21)과;
    상기 기초가름대(22)의 상면에서 벽체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데크지지대(24)의 돌출부(ET) 저면과 바닥면(A)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지지대받침구(23)와;
    한 쌍씩 서로 대향하는 상기 두 데크지지대(24)의 각 상단면에 양 단부가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중간부가 굴곡가능한 H-빔인 다수의 데크지지바(25)와;
    상기 평행한 두 데크지지바(25) 각 상면에 배면의 양 단부가 각각 놓여져 평탄한 상면들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밀착배열되어 결합된 다수의 데크판넬(26A)들 과 두 종류의 쪽판넬(26Aa,26Aaa)들이 연결된 데크(2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가름대(22)는, 밴드형 하판(L)의 폭 방향 일측단부와 이에 근접한 상면에 각각 상향 직립하는 외측 리브(L1)와 내측 리브(L2)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판(L)의 중앙부 상면에 상단부가 상대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볼트걸림편(L3)(L3')이 길이 방향을 따라 직립형성된 바형 하부가름대(22A)와;
    밴드형 상판(U)의 폭 방향 일측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외측 리브(L1)와 내측 리브(L2) 사이에 유동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삽입리브(L4)가 하향 직립하여 연장형성되고, 상기 상판(U)의 중앙부 저면에 또 다른 한 쌍의 볼트걸림편(L3)(L3')이 길이 방향을 따라 하향 직립형성된 바형 유동가름대(22B)와;
    원통형 너트(N)의 양 측 내주면에 나사결합하며, 각 헤드부가 상기 하부 및 유동가름대(22A)(22B)의 각 볼트걸림편(L3)(L3') 사이의 내부에 삽입결합되는 한 쌍의 볼트(B)로 이루어진 다수의 높이조절구(22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받침구(23)는, 폭과 높이 방향으로 직각사각형 단면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두 내각이 각각 90°인 마름모형 사각 단면을 하며, 상·하로 적층되는 한 쌍의 비대칭 쐐기형 육면체인 상부받침대(23A)와 하부받침대(23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받침대(23A)의 저면이 하부받침대(23B)의 상면에 밀착하도록 적층시 상기 상부받침대(23A)의 상면과 하부받침대(23B)의 저면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지지대(24)는, 전체적으로 "ㄷ"자형 평단면을 하며 두 대향 측벽 상부에 일자형 통과공(H1')(H2')들이 상·하 일직선상에 형성된 바형 포스트(P)와, 포스트(P)의 하단면에 부착되어 저면이 상기 기초가름대(22) 및 지지대받침구(23)의 상면에 동시 밀착되는 하판(L')과, 상기 포스트(P)의 두 대향 측벽 상부 외면에 상단부측 두 측벽의 외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통과공(H1')(H2')들과 일치하는 관통공(H1)(H2)들이 형성되고 각 관통공(H1)(H2)을 중심으로 그 상·하 단부에 인접하면서 서로 대향하며 대칭되는 한 쌍씩의 걸림편가이드(G1,G1')(G2 ,G2')들이 부착된 판상의 가이드브라케트(BK)로 이루어진 바형 고정지지대(24A)와;
    다수의 결합공(h)들이 구비된 사각형상의 상판(24B1)과, 상판(24B1) 저면의 두 대향 단부측 전길이에 걸쳐 하향직립하여 부착되며 하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사다리꼴 형상을 하고 각 외면의 상·하부에 가이드바(GB)(GB')가 각각 분리가능하게 직립 결합되는 두 측판(24B2)과, 대향하는 두 측판(24B2) 내면의 후방단부측 각 중앙부에 양 선단면 전체가 각각 부착되는 사각형상의 후판(24B3)과, 상기 후판(24B3) 전방의 두 측판(24B2) 대향면에 상기 후판(24B3)과 평행하게 양 선단면 전체가 각각 부착되는 사각형상의 전판(24B3)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지지대(24A)의 상부 내면에 상·하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지지대(24B)와;
    상기 각 가이드브라케트(BK)의 외면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에 "ㄱ"자형 걸림공(H3)이 관통형성된 사각 판상의 다수 걸림편(24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지지바(25)는 대향하여 직립한 상기 두 데크지지바(25)의 각 유동지지대(24B) 상단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H-빔 형상을 하는 두 본의 지지부(25A)와, 두 지지부(25A) 저면의 각 일측 단부에 저면의 양 단부가 다관절 링크(LK)에 의해 결합되며 H-빔 형상을 하는 중간부(25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판넬(26A) 배면의 길이 방향 양 단부 인접한 각 부위에 데크판넬(26A) 배면의 전 폭을 따라 배면에 직립하는 조립리브(L5)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8.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구조에 있어서, 벽체(W)의 하단부를 따라 바닥(A)면에 설치되며, 상·하부가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형 기초가름대(22)와;
    대향하는 두 벽체의 각 좌·우 모서리부 및 각 두 모서리부 사이를 균등분할하는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중간부와 만나는 각 벽체의 상부에 직립하며 각 하단면이 허공에 뜬 상태에서 전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바형 단축데크지지대(24')와;
    상기 데크지지대(24)가 설치된 두 벽체 및 타 벽체에 전면(FS)이 밀착되고, 상기 데크지지대(24)의 배면(RS)과 평탄면인 전면(FS)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좌·우로 밀착되는 다수의 장척거푸집판넬(30')들과 상기 단축데크지지대(24') 저면 직하에 위치하는 소형거푸집판넬들어 상기 기초가름대(22)의 상면에 직립설치되는 내벽거푸집(21)과;
    한 쌍씩 서로 대향하는 상기 두 단축데크지지대(24')의 각 상단면에 양 단부가 각각 놓여져 타 쌍의 두 단축데크지지대(24')에 놓여진 것들과 서로 평행하며,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중간부가 굴곡가능한 다수의 데크지지바(25)와;
    상기 평행한 다수의 데크지지바(25) 상면에 배면 양 단부가 놓여져 평탄한 상면들이 동일 평면을 이루는 다수의 데크판넬(26A)들과 두 종류 쪽판넬(26Aa,26Aaa)들이 연결된 데크(26)와;
    상기 데크지지바(25)를 지지하기 위하여 그 저면과 바닥면(A) 사이에 직립하는 다수의 지지대(S3)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KR10-2002-0070149A 2002-11-12 2002-11-12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KR100484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149A KR100484513B1 (ko) 2002-11-12 2002-11-12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149A KR100484513B1 (ko) 2002-11-12 2002-11-12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810U Division KR200303948Y1 (ko) 2002-11-12 2002-11-12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029A KR20040042029A (ko) 2004-05-20
KR100484513B1 true KR100484513B1 (ko) 2005-04-20

Family

ID=3733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149A KR100484513B1 (ko) 2002-11-12 2002-11-12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45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514B1 (ko) 2009-09-14 2011-10-17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코너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해체 방법
KR101101115B1 (ko) 2009-08-25 2011-12-30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512B1 (ko) * 2002-11-12 2005-04-20 (주)거혁건설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KR100818609B1 (ko) * 2006-11-14 2008-04-02 (주)거혁건설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KR100812551B1 (ko) * 2007-07-04 2008-03-13 (주)거혁건설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
KR101029829B1 (ko) * 2009-05-01 2011-04-18 김시영 거푸집용 멍에재 지지장치
CN104264981B (zh) * 2014-09-12 2016-08-24 深圳汇林达科技有限公司 一种散拼早拆建筑模板体系及其搭建方法
CN105604314B (zh) * 2016-01-25 2017-10-31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工具式快拆模架组合体系
KR102102037B1 (ko) * 2018-06-29 2020-04-17 삼성물산 주식회사 기존 철근망과 틸팅형 거푸집을 이용한 더블월 피씨판넬 제작방법
KR102237734B1 (ko) 2019-02-27 2021-04-07 성인석 다단계 해수여과 및 살균 정수장치
CN115492372A (zh) * 2022-09-03 2022-12-20 东晟兴诚集团有限公司 装配式叠合板现浇带吊模施工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3764A (en) * 1976-07-06 1977-05-17 Clements Arthur C Apparatus for producing monolithic cast concrete structures
JPH0676522U (ja) * 1993-04-09 1994-10-28 岩崎 行弘 建築用高さ調整具
KR19980024135A (ko) * 1996-09-30 1998-07-06 신이찌 노가미 수직형틀이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 및 수평이 되도록 하는 공법
KR19980044194A (ko) * 1996-12-06 1998-09-05 문정환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20000043527A (ko) * 1998-12-29 2000-07-15 정순착 벽체/슬라브 구축용 거푸집
KR20010099532A (ko) * 2000-04-27 2001-11-09 정순착 철근콘크리트 벽체 구축용 시스템 거푸집 및 시공방법
KR200303949Y1 (ko) * 2002-11-12 2003-02-11 주식회사 거혁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데크지지대
KR200303775Y1 (ko) * 2002-11-12 2003-02-12 주식회사 거혁 내벽거푸집 설치용 기초가름대
KR20040042027A (ko) * 2002-11-12 2004-05-20 주식회사 거혁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3764A (en) * 1976-07-06 1977-05-17 Clements Arthur C Apparatus for producing monolithic cast concrete structures
JPH0676522U (ja) * 1993-04-09 1994-10-28 岩崎 行弘 建築用高さ調整具
KR19980024135A (ko) * 1996-09-30 1998-07-06 신이찌 노가미 수직형틀이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 및 수평이 되도록 하는 공법
KR19980044194A (ko) * 1996-12-06 1998-09-05 문정환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20000043527A (ko) * 1998-12-29 2000-07-15 정순착 벽체/슬라브 구축용 거푸집
KR20010099532A (ko) * 2000-04-27 2001-11-09 정순착 철근콘크리트 벽체 구축용 시스템 거푸집 및 시공방법
KR200303949Y1 (ko) * 2002-11-12 2003-02-11 주식회사 거혁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데크지지대
KR200303775Y1 (ko) * 2002-11-12 2003-02-12 주식회사 거혁 내벽거푸집 설치용 기초가름대
KR20040042027A (ko) * 2002-11-12 2004-05-20 주식회사 거혁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115B1 (ko) 2009-08-25 2011-12-30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KR101073514B1 (ko) 2009-09-14 2011-10-17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코너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해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029A (ko)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4513B1 (ko)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KR100484512B1 (ko)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US3917214A (en) Flying form
KR101451877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구조물
KR100818609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US20090165408A1 (en) Construction elements and methods of construction
KR100750997B1 (ko) 슬라브보 시공용 거푸집 설치부재
KR200384389Y1 (ko)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
JPH08284439A (ja) 重荷重形型枠支保工ならびにその部材
JP4516585B2 (ja) 建物用内部階段およびその建造方法
KR200303949Y1 (ko)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데크지지대
US3826460A (en) Monolithic structure forming means with metal tubular bracing
KR200303948Y1 (ko)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KR10235845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3137448B2 (ja) コンクリート主塔の築造方法
KR200380884Y1 (ko) 데크판넬 연결용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KR100557334B1 (ko) 무해체 계단 거푸집
KR20060041382A (ko) 목재 데크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 설치 구조
KR100723542B1 (ko)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
KR200375081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거푸집 설치 구조
JP2001254495A (ja) 建物用内部階段およびその建造方法
KR102491586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
CA2165239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crete floor of a structure and apparatus used therein
KR20060041384A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거푸집 설치 구조
KR200375079Y1 (ko) 목재 데크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