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453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453B1
KR102358453B1 KR1020210129921A KR20210129921A KR102358453B1 KR 102358453 B1 KR102358453 B1 KR 102358453B1 KR 1020210129921 A KR1020210129921 A KR 1020210129921A KR 20210129921 A KR20210129921 A KR 20210129921A KR 102358453 B1 KR102358453 B1 KR 102358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reducing
reducing member
cross
construction target
targe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역
Original Assignee
김동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역 filed Critical 김동역
Priority to KR1020210129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453B1/ko
Priority to KR1020220004283A priority patent/KR20230046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시공대상 표면에 세워지고, 높이가 두께보다 더 큰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단면 감소부재(30);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상기 단면 감소부재(30)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단면 감소부재(30)를 덮는 방수지(50); 및 상기 방수지(50)가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단면 감소부재(30)에 덮인 상태에서,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대(1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A Section Reducing Member and a Fixing Frame for Concrete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면이 큰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하는 균열(crack)을 특정 위치에 발생하도록 유도하는 단면 감소부재와, 상기 단면 감소부재를 지지하는 고정대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의 중앙분리대, 옹벽, 지하차도 등에서 균열 유도 줄눈을 시공하지 않거나 이를 부실하게 시공하는 경우, 의도치 않은 개소에 다수의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다수의 균열은 보수 및 보강 작업이 곤란해질 경우가 많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킴은 물론, 미관 역시 매우 저급해진다.
등록특허공보 제2056025호에는, 큰 단면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유도 줄눈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균열 유도 줄눈 구조는 단면 감소부재의 높이가 낮고 폭이 그보다 더 커서 자립성이 좋지만,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가 상당히 두꺼워질 경우 그만큼 더 큰 단면 감소부재를 사용해야 하고, 이는 단면 감소부재가 차지하는 단면적을 증가시켜, 콘크리트 구조물 자체의 강도가 저하될 우려를 배제할 수 없다.
그렇다고 자립하기 어려운 단면 형상의 단면 감소부재를 사용하게 되면, 그 자체를 자립시키기가 어렵고, 또한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수평력 및 충격력 등의 영향을 받아 단면 감소부재가 쓰러지거나 기울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면 감소부재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면서도 균열 유도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단면 감소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단면 감소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단면 감소부재가 정 위치와 정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대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유도 줄눈의 구조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균열의 유도 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판재(板材) 형상의 단면 감소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단면 감소부재는 목재, 합판, 플라스틱, 고무, 강재 등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단면 감소부재는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에서 제 형상을 적정 수준에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재질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면 감소부재에는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끼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홀은 상기 단면 감소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면 감소부재를 정 위치에 정 자세로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해, 상기 단면 감소부재는 고정대를 통해 시공대상 표면에 고정된다.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거기에 설치되는 단면 감소부재는 방수지로 함께 덮일 수 있다.
상기 고정대는 상기 방수지가 덮인 상태에서, 상기 단면 감소부재를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견고하게 고정해준다.
상기 판재 형상의 단면 감소부재는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세워진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대는 세워진 상기 단면 감소부재의 측면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대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또한 그 반대편인 타측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단면 감소부재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고정대는 각각 상기 단면 감소부재에 마련된 복수 개의 상기 끼움홀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L"자 형태를 이루며 서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고정대는, 상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보강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는 강재, 목재, 수지재(플라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대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를 정위치에 정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재질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정대의 단면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이는 다각형 형상과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상기 고정대를 구성하는 수직부재, 수평부재 및/또는 보강부재의 단면은 다각형 형태의 일종인 직사각형 내지 사각 형태이거나 트랙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는 중공의 관 형태이거나 속이 꽉 찬 솔리드 형태일 수 있다. 가령 보강부재는 사각관 형태이거나 사각봉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상기 단면 감소부재가 정위치에 정자세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부재가 상기 단면 감소부재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부재가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고정된다.
상기 수직부재는 통상적인 고정부재(가령, 볼트, 너트, 나사, 못 등)를 통해 상기 단면 감소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직부재에는 감소부재 결합공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대신하거나 이러한 방식에 추가하여,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에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는 끼움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끼움고정부는,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 내지 그 부근에 마련되고, "ㄱ"자 형태로 연장된 제1끼움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끼움고정부는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부에 마련된 상부면과, 이에 연결되는 측면 상부에 걸쳐질 수 있다.
상기 제1끼움고정부의 폭은 상기 수직부재의 폭보다 더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제1끼움고정부의 폭이 크면, 그만큼 단면 감소부재의 상단부에 대한 고정력을 더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끼움고정부는,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선택된 위치에 마련되고 "ㄱ"자 형태로 연장된 제2끼움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끼움고정부는 하나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2 이상 마련될 수 있다. 가령 단면 감소부재의 높이와 이에 대응하는 고정대의 수직부재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2끼움고정부의 개수가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물론 이에 따라, 상기 단면 감소부재에도 하나의 고정대에 대응하여 2 이상의 끼움홀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고정부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에 마련된 끼움홀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끼움고정부는 끼움홀을 관통하고, 상기 끼움홀의 바닥부 및 이와 연결되는 단면 감소부재의 측면에 걸쳐질 수 있다.
상기 제2끼움고정부의 폭은 상기 수직부재의 폭보다 더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제2끼움고정부의 폭이 작으면, 그만큼 제2끼움고정부가 관통해야 하는 방수지의 대응홀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방수지의 대응홀은 방수지를 씌운 상태에서 상기 단면 감소부재의 끼움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아직 대응홀을 형성하지 아니한 방수지를 단면 감소부재에 씌운 상태에서 천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의 수평부재와 상기 시공대상 표면 사이에는 간격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그러면 고정대의 수평부재가 시공대상 표면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가 채워져, 수평부재가 시공대상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고 콘크리트 내부에 숨게 된다. 상기 간격부재는 방수지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간격부재는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방수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간격부재는 약간의 압축성을 가지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앵커볼트, 나사, 못 등의 파스너 형태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수평부재를 시공대상 표면에 고정할 때, 간격부재가 어느 정도 압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직부재가 단면 감소부재를 지긋이 눌러주게 된다.
이에 따라, 수직부재의 끼움고정부로 단면 감소부재를 고정할 때 제조 공차나 시공 오차 등으로 끼움고정부가 단면 감소부재에 타이트하게 걸쳐지지 못할 우려가 사라지게 된다. 즉, 수직부재의 끼움고정부를 단면 감소부재에 걸친 상태에서, 수평부재를 시공대상 표면에 조여 고정하되, 간격부재가 어느 정도 압축성을 가지면, 고정대와 단면 감소부재의 제조 공차 내지 시공 오차를 모두 흡수하며, 수직부재와 단면 감소부재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간격부재는 비압축성 재질인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가령 상기 간격부재는, 목재, 플라스틱, 고무 등일 수도 있고, 강재일 수도 있다.
상기 수평부재를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는 상기 수평부재와 간격부재를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시공대상 표면을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평부재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바닥결합공이 마련되고, 상기 간격부재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시공대상 표면은, 이미 타설 양생된 콘크리트의 표면이거나, 지반, 암반이거나, 거푸집의 내면일 수 있다.
이러한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를 이용한 단면 감소부재 시공 및 이를 적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공대상 표면을 정리한다.
그리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의 시공영역의 치수에 맞게 상기 단면 감소부재를 재단한다. 필요 시 상기 단면 감소부재에 끼움홀을 가공한다.
그리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시공하고자 하는 줄눈의 간격에 대응하도록, 단면 감소부재를 배치한다. 이때 상기 단면 감소부재는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세워질 수 있다.
그리고, 방수지를 이용하여 상기 단면 감소부재와 시공대상 표면을 덮는다. 방수지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의 상부면과 양측면, 그리고 이와 연결되는 시공대상 표면에 실질적으로 밀착되는 형태로 이들을 덮을 수 있다.
그리고, 고정대가 설치될 위치에서, 상기 방수지의 표면에 간격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고정대의 수직부재를 상기 단면 감소부재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의 끼움고정부를 이용하여 고정대를 단면 감소부재의 측면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볼트 등의 파스너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상기 수직부재와 단면 감소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영역의 방수지는 수직부재와 단면 감소부재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간격부재와 방수지를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대의 수평부재를 시공대상 표면에 고정한다. 이때 앵커볼트나 못 등의 파스너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부재, 고정대, 단면 감소부재가 매립되도록, 상기 시공대상 표면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철근을 배근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이, 이와 같이 한번의 콘크리트 타설로 마무리될 경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서 상기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기 전에 단면 감소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먹줄을 이용하여 줄눈부를 표시하고 콘크리트 컷팅기를 이용하여 해당 부위를 컷팅함으로써 줄눈홈을 형성하거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서 상기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기 전에 단면 감소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줄눈홈과 대응하는 형상(가령, 상광하협의 역사다리꼴 형상)의 임시부재(플라스틱, 목재 등)를 끼워 넣은 뒤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이를 제거하여 줄눈홈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줄눈홈에 줄눈부재(백업재, 실란트, 아스팔트 등)를 메워 마감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이, 콘크리트 타설을 2회 이상 나누어서 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줄눈홈 시공과 줄눈부재 시공을 하지 않고 콘크리트 양생을 완료한 뒤, 위 작업(단면 감소부재 설치, 방수지 설치, 고정대 설치 및 콘크리트 타설)을 반복하고, 마지막 콘크리트 타설 단계에서 상기 줄눈홈 시공과 줄눈부재 시공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은, 바닥뿐만 벽체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벽체를 시공할 때에, 한쪽 거푸집은 시공대상 표면이 되어 위와 같이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를 설치하고, 이와 마주하는 반대편 거푸집에는 미리 줄눈홈을 위한 임시부재를 고정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할 수 있다. 물론 방수지도 마찬가지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벽체를 시공할 때, 양쪽 거푸집을 모두 시공대상 표면으로 하여 위와 같이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할 수 있다. 물론 방수지도 마찬가지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 설치 구조는, 시공대상 표면에 세워지고, 높이가 두께보다 더 큰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단면 감소부재(30);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상기 단면 감소부재(30)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단면 감소부재(30)를 덮는 방수지(50); 및 상기 방수지(50)가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단면 감소부재(30)에 덮인 상태에서,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대(1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대(10)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설치되되,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교호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끼움홀(3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홀(31)은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수지(50)가 상기 끼움홀(31)과 마주하는 부위에는 상기 끼움홀(31)과 매칭되는 대응홀(5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10)는: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마주하는 수평부재(12); 상기 수평부재(12)의 단부에 연결되고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측면과 마주하는 수직부재(14); 및 일측 단부가 상기 수평부재(12)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수직부재(14)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14)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와 마주하며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12)는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마주하며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14)의 상단부에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제1끼움고정부(14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끼움고정부(141)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상단부와 접하도록, 상기 수직부재(14)의 상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평부(142); 및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반대편 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제1수평부(142)의 단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1수직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길이방향과 대응하는 상기 제1끼움고정부(141)의 폭은, 상기 수직부재(14)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14)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어느 지점에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높이방향 중간 부위를 지지하는 제2끼움고정부(146)가 하나 또는 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고정부(146)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 마련된 끼움홀(31)의 바닥부분과 접하도록, 상기 수직부재(14)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2수평부(147); 및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반대편 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제2수평부(147)의 단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2수직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홀(31)의 단면은 상기 제2수직부(148)의 단면 형상과 같거나 그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12)와 상기 시공대상 표면 사이에는 상기 수평부재(12)와 시공대상 표면 사이에 간격을 부여하는 간격부재(70)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12)를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80)는 상기 간격부재(70)를 관통하며 상기 수평부재(12)와 상기 시공대상 표면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간격부재(70)는 압축성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은, 시공대상 표면에 높이가 두께보다 더 큰 단면을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단면 감소부재(30)를 세우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단면 감소부재(30)를 방수지(50)로 덮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 이어서, 상기 방수지(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와 고정대(10)를 연결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 이어서, 상기 방수지(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상기 고정대(10)를 고정하는 제3단계; 및 제3단계에 이어서, 상기 고정대(10)가 매립된 상태로 상기 시공대상 표면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고정대(10)의 상단부에 마련된 제1끼움고정부(141)를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상단부에 걸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고정대(10)에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마련된 제2끼움고정부(146)를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 마련된 끼움홀(31)에 삽입한 후 걸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끼움고정부(141)와 제2끼움고정부(146)를 단면 감소부재(30)에 걸치는 과정은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방수지(50)와 상기 고정대(10) 사이에 간격부재(70)를 개재한 상태에서 고정부재(80)로 상기 고정대(10)와 상기 시공대상표면을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는 1회로 마무리되거나, 2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즉, 후술할 제5단계를 진행하기 전에, 상기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2회 이상 반복할 수 있다.
제4단계에 이어서, 타설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기 전 타설된 콘크리트 상부에서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설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줄눈홈(99)을 형성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줄눈홈(99)을 형성하는 공정은, 줄눈홈(99)을 컷팅한 뒤 줄눈부재를 채워 마감하는 제1공정, 또는 줄눈홈(99)이 형성되어야 할 위치에 임시부재(90)를 삽입한 상태로 콘크리트를 양생한 뒤 상기 임시부재(90)를 제거하고 채움부재를 채워 마감하는 제2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시공대상 표면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고, 상기 각각의 시공대상 표면에 상기 제1단계 내지 제3단계의 공정을 진행한 뒤 제4단계의 공정을 일거에 진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공 방법은 벽체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은 거푸집 내면일 수 있다.
벽체를 시공할 때, 서로 마주하는 두 거푸집의 내면 중 한쪽 내면은 시공대상 표면이 되어 위 제1단계 내지 제3단계의 공정을 진행할 수 있고, 다른 쪽 내면에는 줄눈홈(99)을 위한 임시부재(90)를 미리 고정할 수 있으며, 이어서 제4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물론 콘크리트를 양생하고 거푸집을 제거한 뒤, 임시부재(90)가 제거된 줄눈홈(99)에 채움부재를 채워 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면 감소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적 감소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율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도 단면 감소부재를 정위치와 정자세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균열 유도 줄눈 구조를 설계된 위치에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대의 사용 개수를 최소화하여 시공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고 경제성을 더 확보하면서도 균열 유도 효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이 의도한 개소에 발생하도록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이 균열 유도 줄눈으로 집중적으로 발생되므로 균열 보수가 경제적이고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균열 유도 줄눈 구조를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균열 유도 효과가 커서, 큰 단면적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설 높이를 종전에 비해 더 높게 할 수 있어, 구조물을 분할 타설하는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시공비를 절약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 가능하다. 가령 항만의 방파제 및 안벽의 상치 콘크리트, 도로의 포장 콘크리트, 건물, 교량, 터널, 박스 등의 슬라브 및 벽체 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시공대상 표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공대상 표면에 단면 감소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시공대상 표면과 단면 감소부재에 방수지를 덮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고정대의 제1사시도, 도 5는 고정대의 제2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시공대상 표면에 간격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고정대를 단면 감소부재에 연결하고 시공대상 표면 상에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고정대를 시공대상 표면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내지 도 11은 고정대를 단면 감소부재에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 12는 상기 고정대를 시공대상 표면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단면 감소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고정대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제1사시도와 제2사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의 고정대를 시공대상 표면과 단면 감소부재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과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고정대의 제1사시도 및 제2사시도이다.
도 18은 시공대상 표면에 단면 감소부재, 고정대, 방수지를 시공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시공을 2회 반복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9는 1회 콘크리트를 타설한 뒤, 또는 2회 이상 콘크리트를 타설한 뒤 최상단에 줄눈홈을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벽체의 거푸집 양측에 본 발명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를 시공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은 벽체의 거푸집 일측에 본 발명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를 시공하고, 타측에 임시부재를 고정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는 다양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은, 해양 구조물인 항만의 방파제나 안벽의 상치 콘크리트, 건물, 교량, 터널 등의 박스 슬라브, 벽체 등 다양한 구조물일 수 있으며, 그 적용 분야는 열거된 사항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단면 감소부재와 그 고정대, 그리고 이를 적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와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의 단면 감소부재는, 시공대상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시공대상 표면(C)은 기 조성된 콘크리트일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시공대상 표면은 지반, 암반, 벽체, 거푸집 표면일 수 있으며, 시공대상 표면은 열거된 사항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시공대상 표면(C)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감소부재(30)가 세워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면 감소부재(30)는 강재, 목재, 합판, 플라스틱이나 고무와 같은 수지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단면 감소부재(30)는 상기 시공대상 표면(C) 상에서 균열이 유도되어야 할 위치에 대략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는 후술할 고정대(10)를 고정하기 위해 끼움홀(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홀(31)은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단면 감소부재(30)를 관통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끼움홀(31)의 단면 형상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후술할 제2끼움고정부(146)의 제2수직부(148)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거나 그보다 약간 더 큰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홀(31)의 바닥의 형상은, 제2끼움고정부(146)의 제2수평부(147)의 저면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끼움홀(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감소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하방향으로 하나의 끼움홀(31)이 형성된 형태가 예시되어 있으나, 단면 감소부재(30)의 높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제2끼움고정부(146)의 제2수직부(148)의 개수와 그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2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단면 감소부재(30)를 세워 놓은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지(50)가 씌워질 수 있다. 방수지(50)는 세워져 있는 단면 감소부재(30)의 상부면, 양측면 및 상기 단면 감소부재(30)가 세워진 시공대상 표면(C)에 실질적으로 밀착되는 형태로 씌워질 수 있다.
상기 방수지(50)가 씌워진 상태에서 상기 방수지(50)에는 대응홀(55)이 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수지(50)를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 씌운 상태에서 상기 대응홀(55)을 형성하면, 상기 대응홀(55)의 위치와 상기 끼움홀(31)의 위치를 쉽게 매칭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대응홀(55)을 방수지(50)에 미리 천공하고 이를 단면 감소부재(30)에 씌우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대응홀(55)은 상기 끼움홀(31)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방수지(50) 위치에 모두 마련될 수 있다(도 13 및 도 14 참조).
상기 방수지(50)는 P.E.필름 또는 아스팔트 시트로 제작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기능을 담당한다. 즉 본 발명의 단면 감소부재(30)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균열이 유도되었을 때, 그 틈으로 스며든 수분은 상기 방수지(50)에 의해 더 이상 스며들지 않게 된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 부위로 균열의 유도가 가능하도록 단면 감소부재(30)를 설치할 때, 콘크리트 1회 타설 두께(대략 30cm이상)가 두꺼울 경우, 콘크리트 타설 시 단면 감소부재 양측의 콘크리트 높이 차이로 편측압이 작용하는 경우, 펌프카 호스에서 떨어지는 콘크리트가 단면 감소부재(30)를 직접적으로 타격하여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및 타설한 콘크리트가 유동하여 단면 감소부재가 밀릴 경우, 설치된 단면 감소부재(30)가 기울어지거나 파손되어 단면 감소 부위로 균열이 유도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방수지(50)가 씌워진 상태에서, 상기 단면 감소부재(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10)를 통해 상기 시공대상 표면(C)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고정대(10)를 적용하면, 판재(板材) 형태의 재료도 단면 감소부재(30)로 사용이 가능하고, 시공 속도가 빠르고, 균열 유도성이 향상되고, 공사비용이 절감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고정대의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고정대(10)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고정대(10)는 상기 시공대상 표면(C)을 따라 상기 단면 감소부재(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12)와, 상기 수평부재(12)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측면을 따라 상기 시공대상 표면(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높이방향(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14)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부재(12)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두께방향과 대응한다. 상기 수평부재(12)는 상기 시공대상 표면(C)과 마주하게 된다.
상기 수직부재(14)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높이방향과 대응한다. 상기 수직부재(14)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측면과 마주하게 된다.
상기 수직부재(14)와 수평부재(12)는 서로 직교하는 "L"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12)와 수직부재(14)는 이를 사선으로 연결하는 보강부재(16)의 의해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6)는 상기 수평부재(12)와 수직부재(14)를 지지한다. 상기 수직부재(14)가 상기 수평부재(12) 쪽으로 기울어지는 힘을 받을 때, 상기 보강부재(16)는 압축 저항을 한다. 상기 수직부재(14)가 상기 수평부재(12)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기울어지는 힘을 받을 때, 상기 보강부재(16)는 인장 저항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보강부재(16)는, 고정대(10)가 단면 감소부재(30)를 시공대상 표면(C)에 고정한 상태에서, 단면 감소부재(30)가 일측 및 타측으로 전도되는 것에 모두 저항하여 상기 단면 감소부재(3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6)는 1개 또는 2 이상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보강부재(16)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12)에는 상기 수평부재를 관통하는 바닥결합공(12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닥결합공(122)은 수평부재(12)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 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결합공(122)은 상기 보강부재(16)와의 연결부위를 회피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12)에 바닥결합공(122)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시공 과정에서 시공대상 표면(C)과 수평부재(12)를 파스너 등의 고정부재(80)로 고정하는 과정에서 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바닥결합공(122)의 개수는 상기 수평부재(12)의 연장 길이 등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14)에는 상기 수직부재를 관통하는 감소부재결합공(149)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감소부재결합공(149)은 수직부재(14)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 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소부재결합공(149)은 상기 보강부재(16)와의 연결부위를 회피하여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에 대응하여,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대응 부위에도 체결홀(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14)에 감소부재결합공(149)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도 체결홀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시공 과정에서 단면 감소부재(30)와 수직부재(14)를 고정부재(80)로 고정하는 과정에서 천공될 수도 있으며, 단면 감소부재(30)와 수직부재(14)를 못 또는 볼트/너트 등의 고정부재(80)로 연결하는 공정 자체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감소부재결합공(149) 및/또는 체결홀의 개수는 상기 수직부재(14)의 연장 길이 등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10)는 소정의 강도가 확보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은 강재, 목재, 플라스틱이나 고무와 같은 수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12), 수직부재(14) 및 보강부재(16)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원형, 타원형, 트랙형 등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중공의 관 형태이거나, 속이 꽉 찬 기둥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14)의 상단부에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제1끼움고정부(14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끼움고정부(141)는 대략 "ㄱ"자 형태의 후크 내지 갈고리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끼움고정부(141)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상단부와 접하도록 상기 수직부재(14)의 상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부(142)와,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반대편 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제1수평부(142)의 단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1수직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끼움고정부(141)의 폭이 상기 수직부재(14)의 폭과 대응하는 형상의 고정대(10)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제1끼움고정부(141)의 폭은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14)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제1끼움고정부(141)가 단면 감소부재(30)를 더 넓게 고정시켜 단면 감소부재(30)를 더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고정대(10)의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시공이 더 간편해지고 경제적일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14)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어느 지점에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높이방향 중간 부위를 지지하는 제2끼움고정부(146)가 하나 또는 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고정부(146)는 상기 감소부재결합공(149)의 위치를 회피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고정부(146)가 복수 개 마련될 때에는 이들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끼움고정부(146)의 개수는 상기 수직부재(14)의 연장 길이 등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고정부(146)는 대략 "ㄱ"자 형태의 후크 내지 갈고리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끼움고정부(146)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 마련된 끼움홀(31)의 바닥부분과 접하도록 상기 수직부재(14)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2수평부(147)와,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반대편 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제2수평부(147)의 단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2수직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홀(31)의 단면은 상기 제2수직부(148)의 단면 형상과 같거나 그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2끼움고정부(146)의 폭은 상기 수직부재(14)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2끼움고정부(146)의 폭이 수직부재(14)의 폭보다 작도록 하여 단면 감소부재(30)의 끼움홀(31) 및 이와 대응하는 방수지(50)의 대응홀(55)의 단면적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방수지(50)의 기능이 대응홀(55)로 인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였다.
상기 제2끼움고정부(146)는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서는 제1끼움고정부(141)만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상기 제1끼움고정부(141)가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필요에 따라서는 제2끼움고정부(146)만 적용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상기 고정대(10)는, 상기 수직부재(14)를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 끼워 연결하고, 이어서 수평부재(12)를 상기 시공대상 표면(C)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단면 감소부재(30)를 상기 시공대상 표면(C)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단면 감소부재(30)의 측방으로부터 상기 고정대(10)를 접근시켜, 상기 제2끼움고정부(146)가 단면 감소부재(30)의 끼움홀(31)을 관통하고 상기 제1끼움고정부(141)가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위를 가로지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대(10)를 하강시켜 상기 제1끼움고정부(141)와 제2끼움고정부(146)가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에 따라 단면 감소부재(30)에 고정대(1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공정을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6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10)의 수평부재(12)와 방수지(50) 사이에는 간격부재(70)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간격부재(70)는 상기 수평부재(12)와 상기 시공대상 표면 사이에서 상기 수평부재(12)와 시공대상 표면 사이에 간격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간격부재(70)에는 관통홀(7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12)를 상기 시공대상 표면(C)에 고정하는 앵커볼트, 못 등의 파스너 형태의 고정부재(80)는 상기 관통홀(77)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간격부재(70)는 압축성 재질일 수 있다. 상기 간격부재(70)를 개재한 상태에서 고정부재(80)로 상기 수평부재(12)를 상기 시공대상 표면(C) 쪽으로 조여 밀착시킴에 따라, 상기 수직부재(14)의 제1끼움고정부(141)와 제2끼움고정부(146)는 단면 감소부재(30)를 시공대상 표면(C)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간격부재(70)에 약간의 압축성이 부여되면, 수평부재(12)를 조이는 과정에서 수직부재(14)의 끼움고정부와 단면 감소부재 간의 제조 공차와 시공 오차가 모두 흡수될 수 있다.
상기 간격부재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간격부재는 강재, 목재, 수지재(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격부재(70)가 설치되면, 시공대상 표면(C) 또는 방수지 특히 거푸집에서 수평부재를 일정 높이만큼 이격시키고, 이 이격 공간으로 콘크리트, 모르타르, 시멘트 풀 등이 채워지므로, 거푸집 해체 후에도 방수지와 간격부재만 노출되고 수평부재가 노출되지 않아서 수평부재의 부식이 예방되고 미관이 양호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정리하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대상 표면(C) 상에 간격부재(70)를 두고, 고정대(10)의 수직부재(14)를 단면 감소부재(30)에 결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대(10)의 수평부재(12)를 시공대상 표면(C)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10)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설치되되,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교호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단면 감소부재(30)가 어느 일측으로 전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고정대(10)의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대상 표면(C)을 정리한다.
그리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C)의 시공영역의 치수에 맞게 상기 단면 감소부재(30)를 재단한다. 필요 시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 끼움홀(31)을 가공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공대상 표면(C)에서, 시공하고자 하는 줄눈의 간격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단면 감소부재(30)를 배치한다. 이때 상기 단면 감소부재(30)는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세워질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지(50)를 이용하여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와 시공대상 표면(C)을 덮는다. 방수지(50)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상부면과 양측면, 그리고 이와 연결되는 시공대상 표면에 실질적으로 밀착되는 형태로 이들을 덮을 수 있다.
그리고, 고정대(10)가 설치될 위치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지(50)의 표면에 간격부재(70)를 배치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10)의 수직부재(14)를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 고정한다. 이때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14)의 끼움고정부를 이용하여 고정대(10)를 단면 감소부재(30)의 측면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볼트/너트, 못 등의 파스너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상기 수직부재(14)와 단면 감소부재(30)를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영역의 방수지(50)는 수직부재(14)와 단면 감소부재(30)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간격부재(70)와 방수지(50)가 개재된 상태에서, 도 8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10)의 수평부재(12)를 시공대상 표면(C)에 고정한다. 이때 앵커볼트나 못 등의 파스너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10)는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감소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 감소부재(3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상기 고정대(10)를 교호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간격부재(70), 고정대(10), 단면 감소부재(30)가 매립되도록, 상기 시공대상 표면(C) 상에 콘크리트(I)를 타설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이때 필요에 따라 철근을 배근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단면 감소부재(30)와 고정대(10)를 매립하며 콘크리트(I)를 타설하는 과정을 1회 거쳐 완성될 수도 있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회 이상 거쳐 완성될 수도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회 이상 걸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시공 과정에서는, 먼저 타설하여 양생한 콘크리트의 표면이 다음 시공 과정에서 시공대상 표면이 된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번의 콘크리트 타설로 마무리될 경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서 상기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기 전에 단면 감소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먹줄을 이용하여 줄눈부를 표시하고 콘크리트 컷팅기를 이용하여 해당 부위를 컷팅함으로써 줄눈홈(99)을 형성하거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서 상기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기 전에 단면 감소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줄눈홈과 대응하는 형상(가령, 상광하협의 역사다리꼴 형상)의 임시부재(90)(플라스틱, 목재 등)를 끼워 넣은 뒤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이를 제거하여 줄눈홈(99)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줄눈홈에 줄눈부재(미도시)(백업재, 실란트, 아스팔트 등)를 메워 마감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을 2회 이상 나누어서 해야 하는 경우에는, 최종 콘크리트 타설 전의 콘크리트 타설 단계에서는 줄눈홈 시공과 줄눈부재 시공을 하지 않고 콘크리트 양생을 완료하며, 최종 콘크리트 타설 단계에서 줄눈홈 시공과 줄눈부재 시공을 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은, 바닥뿐만 벽체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벽체를 시공할 때에,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거푸집은 시공대상 표면(C)이 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면 감소부재(30)와 고정대(10)를 설치하고, 이와 마주하는 반대편 거푸집에는 미리 줄눈홈을 위한 임시부재(90)를 고정한 뒤 콘크리트(I)를 타설 양생할 수 있다. 물론 방수지(50) 및 줄눈 부재 시공도 마찬가지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거푸집을 모두 시공대상 표면(C)으로 하여 위와 같이 단면 감소부재(30)와 고정대(1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I)를 타설 양생할 수 있다. 물론 방수지(50)도 마찬가지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고정대
12: 수평부재
122: 바닥결합공
14: 수직부재
141: 제1끼움고정부
142: 제1수평부
143: 제1수직부
146: 제2끼움고정부
147: 제2수평부
148: 제2수직부
149: 감소부재결합공
16: 보강부재
30: 단면감소부재
31: 끼움홀
50: 방수지
55: 대응홀
70: 간격부재
77: 관통홀
C: 시공대상 표면
80: 고정부재
90: 임시부재
I: 타설 콘크리트
99: 줄눈홈

Claims (20)

  1. 시공대상 표면에 세워지고, 높이가 두께보다 더 큰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단면 감소부재(30);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상기 단면 감소부재(30)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단면 감소부재(30)를 덮는 방수지(50); 및
    상기 방수지(50)가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단면 감소부재(30)에 덮인 상태에서,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대(1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10)는: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마주하는 수평부재(12);
    상기 수평부재(12)의 단부에 연결되고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측면과 마주하는 수직부재(14); 및
    일측 단부가 상기 수평부재(12)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수직부재(14)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16);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14)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와 마주하며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부재(12)는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마주하며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부재(14)의 상단부에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제1끼움고정부(141)가 마련되고,
    상기 제1끼움고정부(141)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상단부와 접하도록, 상기 수직부재(14)의 상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평부(142); 및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반대편 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제1수평부(142)의 단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1수직부(143);를 포함하고,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길이방향과 대응하는 상기 제1끼움고정부(141)의 폭은, 상기 수직부재(14)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더 큰,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 설치 구조.
  2. 시공대상 표면에 세워지고, 높이가 두께보다 더 큰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단면 감소부재(30);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상기 단면 감소부재(30)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단면 감소부재(30)를 덮는 방수지(50); 및
    상기 방수지(50)가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단면 감소부재(30)에 덮인 상태에서,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대(1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10)는: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마주하는 수평부재(12);
    상기 수평부재(12)의 단부에 연결되고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측면과 마주하는 수직부재(14); 및
    일측 단부가 상기 수평부재(12)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수직부재(14)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16);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14)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와 마주하며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부재(12)는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마주하며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부재(14)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어느 지점에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높이방향 중간 부위를 지지하는 제2끼움고정부(146)가 하나 또는 둘 이상 마련되고,
    상기 제2끼움고정부(146)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 마련된 끼움홀(31)의 바닥부분과 접하도록, 상기 수직부재(14)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2수평부(147); 및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반대편 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제2수평부(147)의 단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2수직부(148);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홀(31)의 단면이 상기 제2수직부(148)의 단면 형상과 같거나 그보다 더 큰,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 설치 구조.
  3. 시공대상 표면에 세워지고, 높이가 두께보다 더 큰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단면 감소부재(30);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상기 단면 감소부재(30)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단면 감소부재(30)를 덮는 방수지(50); 및
    상기 방수지(50)가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단면 감소부재(30)에 덮인 상태에서,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대(1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10)는: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마주하는 수평부재(12);
    상기 수평부재(12)의 단부에 연결되고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측면과 마주하는 수직부재(14); 및
    일측 단부가 상기 수평부재(12)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수직부재(14)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16);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14)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와 마주하며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부재(12)는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마주하며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부재(12)와 상기 시공대상 표면 사이에는 상기 수평부재(12)와 시공대상 표면 사이에 간격을 부여하는 간격부재(70)가 개재되고,
    상기 수평부재(12)를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80)는 상기 간격부재(70)를 관통하며 상기 수평부재(12)와 상기 시공대상 표면을 연결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 설치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간격부재(70)는 압축성 재질을 포함하고 다각형 형상의 단면 형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 설치 구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10)는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설치되되,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교호로 배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 설치 구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끼움홀(31)이 마련되고,
    상기 끼움홀(31)은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며,
    상기 방수지(50)가 상기 끼움홀(31)과 마주하는 부위에는 상기 끼움홀(31)과 매칭되는 대응홀(55)이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 설치 구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14)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감소부재결합공(149)이 형성되고,
    상기 단면 감소부재(30) 영역에는 이와 대응하여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감소부재결합공(149)과 체결홀을 관통하는 고정부재(80)에 의해 상기 수직부재(14)가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와 연결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 설치 구조.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 수평부재 또는 보강부재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트랙형이고,
    상기 수직부재, 수평부재 또는 보강부재는 속이 꽉찬 기둥 형태이거나 속이 빈 관 형태이며,
    상기 수직부재, 수평부재 또는 보강부재의 재질은 강재, 목재, 수지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 설치 구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감소부재(30)는 판재 형상이며, 재질은 목재, 합판, 플라스틱, 고무, 강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 설치 구조.
  12. 시공대상 표면에 높이가 두께보다 더 큰 단면을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단면 감소부재(30)를 세우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단면 감소부재(30)를 방수지(50)로 덮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 이어서, 상기 방수지(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와 고정대(10)를 연결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 이어서, 상기 방수지(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상기 고정대(10)를 고정하는 제3단계; 및
    제3단계에 이어서, 상기 고정대(10)가 매립된 상태로 상기 시공대상 표면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고정대(10)의 상단부에 마련된 제1끼움고정부(141)를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상단부에 걸치는 공정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13. 시공대상 표면에 높이가 두께보다 더 큰 단면을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단면 감소부재(30)를 세우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단면 감소부재(30)를 방수지(50)로 덮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 이어서, 상기 방수지(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와 고정대(10)를 연결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 이어서, 상기 방수지(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상기 고정대(10)를 고정하는 제3단계; 및
    제3단계에 이어서, 상기 고정대(10)가 매립된 상태로 상기 시공대상 표면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고정대(10)에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마련된 제2끼움고정부(146)를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에 마련된 끼움홀(31)에 삽입한 후 걸치는 공정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14. 시공대상 표면에 높이가 두께보다 더 큰 단면을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단면 감소부재(30)를 세우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단면 감소부재(30)를 방수지(50)로 덮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 이어서, 상기 방수지(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와 고정대(10)를 연결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 이어서, 상기 방수지(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상기 고정대(10)를 고정하는 제3단계; 및
    제3단계에 이어서, 상기 고정대(10)가 매립된 상태로 상기 시공대상 표면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방수지(50)와 상기 고정대(10) 사이에 간격부재(70)를 개재한 상태에서 고정부재(80)로 상기 고정대(10)와 상기 시공대상표면을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15. 시공대상 표면에 높이가 두께보다 더 큰 단면을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단면 감소부재(30)를 세우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단면 감소부재(30)를 방수지(50)로 덮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 이어서, 상기 방수지(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와 고정대(10)를 연결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 이어서, 상기 방수지(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상기 고정대(10)를 고정하는 제3단계; 및
    제3단계에 이어서, 상기 고정대(10)가 매립된 상태로 상기 시공대상 표면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시공대상 표면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고,
    상기 각각의 시공대상 표면에 상기 제1단계 내지 제4단계의 공정을 진행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16. 시공대상 표면에 높이가 두께보다 더 큰 단면을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단면 감소부재(30)를 세우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단면 감소부재(30)를 방수지(50)로 덮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 이어서, 상기 방수지(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와 고정대(10)를 연결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 이어서, 상기 방수지(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에 상기 고정대(10)를 고정하는 제3단계; 및
    제3단계에 이어서, 상기 고정대(10)가 매립된 상태로 상기 시공대상 표면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공대상 표면과 이격하여 거푸집을 배치하고 상기 거푸집에 임시부재(90)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4단계의 공정을 진행하고,
    콘크리트를 양생하고 상기 거푸집을 제거한 뒤 상기 임시부재(90)가 제거된 줄눈홈(99)에 채움부재를 채워 마감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17.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4단계에 이어서, 타설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기 전 타설된 콘크리트 상부에서 상기 단면 감소부재(30)의 설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줄눈홈(99)을 형성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줄눈홈(99)을 형성하는 공정은, 줄눈홈(99)을 컷팅한 뒤 줄눈부재를 채워 마감하는 제1공정, 또는 줄눈홈(99)이 형성되어야 할 위치에 임시부재(90)를 삽입한 상태로 콘크리트를 양생한 뒤 상기 임시부재(90)를 제거하고 채움부재를 채워 마감하는 제2공정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를 진행하기 전에, 상기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2회 이상 반복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20. 삭제
KR1020210129921A 2021-09-30 2021-09-30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358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921A KR102358453B1 (ko) 2021-09-30 2021-09-30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220004283A KR20230046923A (ko) 2021-09-30 2022-01-11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921A KR102358453B1 (ko) 2021-09-30 2021-09-30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283A Division KR20230046923A (ko) 2021-09-30 2022-01-11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453B1 true KR102358453B1 (ko) 2022-02-08

Family

ID=802522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921A KR102358453B1 (ko) 2021-09-30 2021-09-30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220004283A KR20230046923A (ko) 2021-09-30 2022-01-11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283A KR20230046923A (ko) 2021-09-30 2022-01-11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584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523B1 (ko) * 2023-05-08 2023-11-10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합벽 지지장치 및 그 합벽 지지장치를 이용한 합벽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7704A (ja) * 2002-06-27 2004-01-29 Kajima Corp コンクリート版のひび割れ防止スリット及びその形成方法
JP2006057394A (ja) * 2004-08-23 2006-03-02 Maeda Corp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誘発目地構造
KR102056025B1 (ko) * 2019-05-07 2019-12-13 김동역 대형 단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유도 줄눈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39555B1 (ko) * 2019-10-30 2020-08-12 성도건설산업 주식회사 팽창줄눈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7704A (ja) * 2002-06-27 2004-01-29 Kajima Corp コンクリート版のひび割れ防止スリット及びその形成方法
JP2006057394A (ja) * 2004-08-23 2006-03-02 Maeda Corp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誘発目地構造
KR102056025B1 (ko) * 2019-05-07 2019-12-13 김동역 대형 단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유도 줄눈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39555B1 (ko) * 2019-10-30 2020-08-12 성도건설산업 주식회사 팽창줄눈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523B1 (ko) * 2023-05-08 2023-11-10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합벽 지지장치 및 그 합벽 지지장치를 이용한 합벽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923A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4036B2 (en) Prefabricated, deconstructable, multistory building construction
WO2006038620A1 (ja) 脚柱の接合部構造および接合方法
JP5273556B2 (ja) 道路橋の拡幅構造及び道路橋の拡幅工法
CN110396919B (zh) 一种装配式钢结构-混凝土组合桥梁及其施工方法
KR10235845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484513B1 (ko)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KR100484512B1 (ko)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JP4093428B2 (ja) 高強度鉄筋コンクリートプレキャスト版
JP3752999B2 (ja) 上下部一体構造の橋梁及びその施工方法
JP3999931B2 (ja) 塔状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518210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콘크리트 인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118508B1 (ko) 콘크리트 표면 정착판석 설치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609500B1 (ko) 철근을 이용한 가설재 고정장치
CN111155365A (zh) 拼装式浮置单元板及拼装连接施工方法
KR101056395B1 (ko)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및 상기 저류조 구조물의 시공방법
JP2006348480A (ja) 建築物及び建築物形成方法
JP2006283317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を使用した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床板及びその構築方法
KR102299137B1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다용도 마감부재
KR101531839B1 (ko) 아치형 라멘구조타입 터널 시공 방법
JP3114141B2 (ja) 地下室
JP5034991B2 (ja) 目地部材及び建築物
JP7270412B2 (ja) 組積造建物の補強構造
US20220403641A1 (en) Method for using aerated autoclaved concrete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nstruction
JP7288390B2 (ja) 基礎の施工方法及び基礎
RU110765U1 (ru) Фундамент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форма для укладки фундамен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