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609B1 -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 Google Patents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609B1
KR100818609B1 KR1020060112365A KR20060112365A KR100818609B1 KR 100818609 B1 KR100818609 B1 KR 100818609B1 KR 1020060112365 A KR1020060112365 A KR 1020060112365A KR 20060112365 A KR20060112365 A KR 20060112365A KR 100818609 B1 KR100818609 B1 KR 100818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bar
formwork
support bar
wall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귀환
Original Assignee
(주)거혁건설
김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53349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1860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거혁건설, 김귀환 filed Critical (주)거혁건설
Priority to KR1020060112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스크류잭이나 유압실린더 등의 자동승하강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해체를 용이하게 한 슬라브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은, 두 벽체거푸집(11)의 각 상면에 적층되는 벽체거푸집연결바(21)와; 각 벽체거푸집연결바(21)에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다수의 연결편(22)과; 두 연결편(22)에 양 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굴곡 가능하며, 서로 평행한 다수의 데크지지바(23)와; 데크지지바(23)에 상면에 적층되는 데크(24)와; 바닥에 직립한 상태에서 데크지지바(23)의 저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서포터(25)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은, 데크의 해체가 간편하고 데크 해체에 따른 노동 부하가 현저히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60112365
거푸집, 서포터, 슬라브, 데크, 거푸집

Description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slab form being dismantled easily}
도 1은 종래 벽체 거푸집과 슬라브 데크의 결합 구조를 보인 것으로,
(가)는 사시도이고,
(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설치시 구조도.
도 3은 본발명 일실시예의 해체시 구조도.
도 4에 본 발명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벽체거푸집연결바와 연결편 및 데크지지바의 설치시 결합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벽체거푸집연결바와 연결편 및 데크지지바의 해체시 결합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데크지지바와 데크의 결합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벽체 거푸집 21. 벽체거푸집연결바 21A. 바닥판
21B. 배면판 21C. 상판 21D. 전면판
22. 연결편 22A. 고정부재 22A1,22B1. 연결재
22B. 회동부재 23. 데크지지바 23A. 중앙지지부재
23B. 단부지지부재 24. 데크 24A. 데크판넬
25. 서포터 25A. 자동승하강부재 25B. 고정부재
F. 고정재 H1. 결합공 H2. 장공
H3. 통공 H4. 고정공 L. 링크
본 발명은, 슬라브용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다수의 데크판넬을,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절곡 가능한 다수의 데크지지바에 올려 놓고, 각 지지바를 전동 스크류잭이나 유압실린더 등의 자동승하강부재로 지지함으로써, 슬라브 양생 후 슬라브 거푸집을 손쉽게 해체할 수 있도록 한,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다층 건축물은, 벽체 거푸집과 슬라브 거푸집의 설치로부터 시작되는 바, 내부 공간이 벽체의 형상을 하는 주형과 같은 벽체 거푸집을 먼저 만들고, 그 상단부에 슬라브 거푸집을 수평하도록 설치한 후, 벽체 거푸집 내부와 슬라브 거푸집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시공되며, 각 거푸집은 거푸집 판넬이라고 불리우는 사각 판상의 판넬들을 다수 연결하여 만들어진다. 이때, 슬라브 거푸집을 구성하는 거푸집 판넬은, 벽체 거푸집 판넬과 구분하기 위하여 데크판넬로도 불리우는 바, 이하에서는 슬라브 거푸집용 거푸집 판넬을 데크판넬이라 하기로 하며, 데크판넬 다수를 동일 평면 상에 밀집 배열한 것을 데크라 하기로 한다.
따라서, 벽체와 슬라브의 시공은, 상기 다수의 판넬들을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채울 수 있는 내부 공간과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을 제공하게 되는 일종의 형틀인 거푸집을 설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 바, 벽체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벽체의 양 면에 각각의 전면이 밀착되도록 벽체 거푸집이 설치되고, 두 벽체의 대향면에 전면이 각각 밀착 설치되며 실내 공간만큼 떨어진 상태에서 배면이 서로 대향하게 되는 두 벽체 거푸집의 상단부에 데크의 양 단부가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종래 거푸집을 해체하는 경우, 해체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안전 사고의 위험이 높은 바, 종래 거푸집 구조를 도 1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거푸집은, 각 벽체(W)를 시공하기 위하여 바닥(A)에 고정 설치된 목재 기초가름대(12) 등의 상면에 전면이 대향하는 두 벽체 거푸집(11)이 직립하여 세워지고, 상기 두 벽체 거푸집(11) 중의 어느 일측 벽체 거푸집과 이의 배면과 대향하는 타벽체(도면 미도시)의 일측 벽체 거푸집의 각 상단부에 슬라브를 형성시키기 위한 데크(13)의 양 단부가 결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데크(13)의 저면에는 서로 평행하며 사각 단면을 갖는 다수의 장선(14)이 밀착되고, 장선(14)의 저면에는 이들과 직교하며 서로 평행한 다수의 멍에(15)가 밀착된 후, 각 멍에(15)의 저면을 따라 다수의 서포터(S3)가 바닥(A)까지 직립하여 데크(13)를 지지하게 되는 구조이며, 벽체 거푸집의 배면 상단부를 따라 상기 장선(14)과 평행한 각목(T)이 결합되어 데크(13)와 벽체 거푸집(11)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벽체(W)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각각의 전면이 서로 대향하게 되는 두 벽체 거푸집(11)은, 벽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 거푸집 연결편(C)의 각 양 단부에 결합되며, 벽체 거푸집(11) 해체 후 외부로 돌출되는 거푸집 연결편(C)의 양단부는 절단된다.
그리고, 벽체 거푸집(11)의 각 배면에는, 벽체(W) 시공용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압력으로 각 벽체 거푸집을 이루는 거푸집 판넬들이 처음의 조립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벽체수평지지대(S1)들과 벽체수직지지대(S2)들이 결합된다.
또한, 데크(13)는, 배면이 서로 대향하는 두 벽체 거푸집의 상단면에 양 단부가 각각 놓여져 두 교각에 걸쳐진 다리의 상판과 같은 형태가 되기 때문에, 데크의 상면으로 타설되는 전체 콘크리트의 하중이 두 벽체 거푸집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는 데크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을 견딜 수 없는 바, 데크(13)의 저면과 바닥(A) 사이에 수 많은 장선(14), 멍에(15) 및 서포 터(S3)들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거푸집 구조 중 데크의 경우, 종래에는 목재 합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합판의 재활용성이 극히 떨어질 뿐 아니라 구조적으로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벽체 거푸집을 구성하는 거푸집 판넬과 동일 내지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 데크판넬이 합판을 점차 대체해 나가고 있다.
상기 데크판넬의 경우 합판에 비하여 슬라브 거푸집의 시스템화가 가능하여 시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설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바, 슬라브 거푸집을 시스템적으로 구성한 거푸집 구조가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4-4202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구조는, "H"형강으로 만들어지며 굴곡 가능한 지지바로 데크판넬들을 지지함으로써 슬라브 거푸집의 해체를 손쉽게 한 특징이 있는 것이나, 슬라브 거푸집 해체시 서포터를 제거한 후 지지바를 하향 굴곡시키게 되면, 데크판넬들의 자중에 의한 지지바가 굴곡되면서 하강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하강 속도를 늦추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지 않으며,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데크판넬의 경우 데크판넬들을 배열하기 위하여, "H"형강이나 챤넬 등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지지바가 사용되기 때문에 이를 포함한 데크판넬들의 전체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슬라브 거푸집 해체시 장비를 사용하기는 하나, 부분적으로는 노동 부하가 증가될 수밖에 없을 뿐 아니라, 안전 사고 발생시 치명적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지지바를 지지한 상태에서 지지바의 하강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자 신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축소될 수 있도록 한 지지수단이 국내특허공개 제2006-95076호 및 국내등록실용신안 제384389호의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의 서포터는, 데크판넬들을 비롯한 지지바의 하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그 높이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으나, 하강 속도를 조절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하강하는 속도가 필요 이상 빨라 지지바의 하강 속도 감소 효가가 작으며, 슬라이딩 로드가 하강하면서 좌·우 방향 전환 시 발생되는 충격음, 즉, 슬라이딩 로드와 관통공 내주면 사이의 충돌음이 큰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해체 효율성이 낮고 안전 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종래 슬라브 거푸집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슬라브 거푸집 해체시 서포터의 하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라브 거푸집의 해체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줄 수 있는,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벽체거푸집의 상면에 적층되는 벽체거푸집연결바와, 데크판넬들의 저면을 밀착 지지하는 데크지지바와, 벽체거푸집연결바와 데크지지바를 연결하는 연결편 및 자동승하강부재 등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은, 해체시 인력이 아닌 자동으로 서포터가 하강되도록 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바, 본 발명의 슬라브 거푸집은,
대향하는 두 벽체거푸집의 각 상면에 적층되는 벽체거푸집연결바와;
상기 각 벽체거푸집연결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 벽체거푸집연결바에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다수의 연결편과;
양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두 연결편에 각각 결합되며, 다수의 데크판넬들이 놓여지는 다수의 데크지지바와;
바닥에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데크지지바의 저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서포터 등으로 구성되는 바,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벽체거푸집연결바는, 연결편을 매개로 하여 데크지지바의 양 단부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측 모서리부가 개방된 대략 "ㅁ"자형 단면을 가진 금속제 바로서, 저면, 배면, 상면 및 전면은, 각각, 벽체거푸집의 상면, 벽체, 슬라브 저면 및 데크판넬의 측면에 밀착되는 구조이다.
즉, 벽체거푸집연결바는, 수평한 바닥판과; 바닥판의 후방단부에서 직립한 배면판과; 배면판의 상단부에서 바닥판과 평행하도록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바닥판보다 폭이 큰 상판과; 하단부가 바닥판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상판의 전방단부에서 수직하게 하향 연장된 전면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후방"은, 단면도 상에서, 서로 마주하는 두 벽체를 대상으로 하여 각 벽체에서 타측 벽체를 향한 방향을 "전방", 두 벽체 사이의 중간이전 각 벽체의 전방에서 자신을 향한 방향을 "후방"이라 하였다.
연결편은, 상기 벽체거푸집연결바에 데크지지바를 유동 가능하게 결합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벽체거푸집연결바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로 구성되며, 고정부재와 회동부재는 핀 등의 고정재를 사용하여 필요시 서로 상대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도 있는 구조이다.
데크지지바는, 다수의 데크판넬을 동일 평면 상에서 밀집 배열된 상태의 데크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하는 바, "H"형강 등으로 제작되며, 마주하는 두 벽체에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슬라브 시공을 위한 다수의 데크판넬이 적층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두 벽체가 평행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두 벽체 모두와 데크지지바가 직각을 이루지는 않는다.
즉, 데크판넬은 서로 평행한 두 데크지지바의 상면에 적층되는 바, 데크판넬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 양 단부 저면이 두 데크지지바의 상면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데크판넬을 적층 설치하기 위한 선반의 역할을 하는 각 데크지지바는, 바 형상의 중앙지지부재와; 일측단부가 중앙지지부재의 길이 방향 각 단부에 결합되며 타측단부가 연결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단부지지부재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각 지지부재는 굴곡 가능한 링크에 의해 결합된다.
즉, 양 측 단부지지부재의 외측단부는 서로 배면을 마주하는 두 벽체의 각 벽체거푸집연결바에 연결된 각 연결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두 단부지지부재의 각 내측단부는 링크를 매개로 하여 중앙지지부재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서포터는, 바닥에 직립한 상태로 데크지지바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각 데크지지바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바, 바닥에 직립하는 자동승하강부재와, 자동승하강부재의 상면과 데크지지바의 저면에 직립 개재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자동승하강부재는 전동 유압 실린더, 전동 스크류잭(screw jack) 등과 같이 전기의 힘에 의해 그 높이가 조절 가능한 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마주하는 두 벽체 거푸집의 상면 각각에 벽체거푸집연결바를 적층 결합시키며, 각 벽체거푸집연결바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부재를 고정 결합시킨 후 각 고정부재에 회동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핀 등의 고정재를 사용하여 회동부재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3 본의 지지부재가 링크에 의해 연결된 각 데크지지바를 직선화한 상태에서 각 데크지지바의 양 단부를 서로 마주하는 양 벽체측의 회동부재에 각각 고정 결합한 후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각 데크지지바의 지면과 그 직하 바닥 사이에 하나 이상의 서포터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서포터에 의해 각 데크지지바를 지지한 상태에서 다수 데크지지바의 상면에 데크판넬 다수를 밀집 배열 상태로 적층함으로써, 슬라브 거푸집의 설 치가 완료되는 바, 밀집 배열되어 동일 평면을 이루는 다수 데크판넬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연결편을 구성하는 고정부재와 회동부재를 고정시키고 있는 고정재를 분리하게 되면, 회동부재에 하중이 부여되는 경우 회동부재는 공정부재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다수의 데크판넬 하중은 데크지지바에 부여되고, 서포터에는 데크판넬 하중에 데크지지바의 하중이 더해진 하중이 부여되고 있는 상태인 바, 서포터를 구성하는 자동승하강부재에 전원을 인가하여 그 높이가 축소되도록 하면, 데크판넬들이 적층된 데크지지바의 양 단부가 회동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데크지지바 전체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때, 데크지지바는 3본의 지지부재가 링크에 의해 굴곡 가능한 구조인 바, 데크지지바가 하강함에 따라, 두 벽체측의 회동부재에 일단부가 각각 연결된 양 단부지지부재는 상대 벽체측을 향하여 즉, 중앙지지부재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면서 중앙지지부재는 수평한 상태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서포터의 높이가 점차 축소됨에 따라 양 단부지지부재의 하향 경사도가 증가하면서 수평한 중앙지지부재의 높이 역시 점차 낮아지면서 지지부재들 사이가 이격되면서 전체 데크지지바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는 바, 지지부재들 사이의 꺽임 및 증가된 길이를 보상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지지부재들을 연결하는 링크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데크지지바의 하강이 완료된 후 데크지지바에 적층된 데크판넬들을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에 본 발명 일실시예의 설치시 구조도를, 도 3에 본발명 일실시예의 해체시 구조도를, 도 4에 본 발명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벽체거푸집연결바와 연결편 및 데크지지바의 설치시 결합 구조도를, 도 5에 본 발명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벽체거푸집연결바와 연결편 및 데크지지바의 해체시 결합 구조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은,
배면이 서로 마주하는 두 벽체거푸집(11)의 각 상면에 적층되는 벽체거푸집연결바(21)와;
상기 각 벽체거푸집연결바(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 벽체거푸집연결바(21)에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다수의 연결편(22)과;
양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두 연결편(22)에 양 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두 곳이 반복하여 절곡 가능하며, 서로 평행한 다수의 데크지지바(23)와;
상기 각 두 데크지지바(23)에 상면에 양 단부 저면이 적층되는 데크판넬(24A) 다수가 서로 밀집 배열된 데크(24)와;
바닥에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데크지지바(23)의 저면을 지지하는 서포터(25)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벽체거푸집연결바(21)는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로서, 벽체거푸 집(11)의 상면에 적층되는 바닥판(21A)과; 바닥판(21A)의 후방단부에서 직립하는 배면판(21B)과; 배면판(21B)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상판(21C)과; 상판(21C)의 전방단부에서 수직하게 하향 연장된 전면판(21D)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벽체거푸집연결바(21)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가 결합되는 각 연결편(22)은, 바닥판(21A) 상면과 배면판(21B)의 전면에 후단면과 하단면이 밀착 결합되는 고정부재(22A)와; 후방단부가 고정부재(22A)의 전방단부에 유동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핀 등의 고정재(F)에 의해 일시적으로 고정도 가능한 회동부재(22B)로 구성된다.
이때, 고정부재(22A)의 전방단부에는 핀 등의 연결재(22A1)가 결합되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결합공(H1)이 관통 형성되며, 연결부재(22B)의 후방단부에는 상기 연결재(22A1)가 관통하는 일자형 장공(H2) 및 고정부재(22A)의 각 결합공(H1)과 일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H1)이 구비되는 동시에 그 전방단부에는, 고정부재(22A)와 같이, 핀 등의 연결재(22B1)가 결합된 구조이다.
따라서, 고정부재(22A)의 연결재(22A1)를 회동부재(22B)의 장공(H2)에 관통 결합시킨 후 고정부재(22A)와 회동부재(22B)의 각 결합공(H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결합공(H1)에 고정재(F)를 관통 결합시키게 되면, 고정부재(22A)와 회동부재(22B)가 고정 결합되며, 일치된 결합공(H1)에서 고정재(F)를 분리하게 되면, 고정부재(22A)의 연결재(22A1)에 대하여 장공(H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동부재(22B)가 슬라이딩 가능한 동시에 연결재(22A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데크지지바(23)는, 바형 중앙지지부재(23A)와, 한 쌍의 바형 단부지지부 재(23B)로 구성되며, 중앙지지부재(23A)의 양 단부는 각 단부지지부재(23B)의 전방단부와 링크(L)에 의해 굴곡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각 단부지지부재(23B)의 후방단부는, 연결편(22)을 구성하는 회동부재(22B)의 전방단부에 결합된 연결재(22B1)에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각 단부지지부재(23B)의 후방단부에는 회동부재(22B)의 연결재(22B1)가 관통 결합되는 "ㄱ"자형 통공(H3)이 구비된다. 이때, 통공(H3)의 수직부는 수평부의 전방단부에서 하향 연장된다.
즉, 연결편(22)의 고정부재(22A)에 회동부재(22B)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동부재(22B)의 연결재(22B1)는 각 단부지지부재(13B)에 관통 형성된 통공(H3) 수평부의 전방단부에 위치하게 되며, 고정부재(22A)와 회동부재(22B)를 고정시키고 있는 고정재(F)를 분리한 후 서포터(25)의 높이를 축소하게 하면, 데크(24)의 하중과 데크지지바(23)의 자중에 의해 회동부재(22B)가 고정부재(22A)의 연결재(22A1)를 중심으로 회전과 동시에 장공(H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된다.
그리고, 회동부재(22B)의 연결재(22B1)에 의해 통공(H3)이 관통된 각 단부지지부재(23B) 역시 연결재(22B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하향 경사지게 되는데, 이때, 통공(H3) 수평부의 전방단부에 위치하였던 연결재(22B1)는, 회동에 의해 상단부로 위치가 변한 통공(H3) 수평부의 후방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데크(24)는, 다수의 데크판넬(24A)이 밀집 배열된 것으로, 그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두 데크지지바(23)의 상 면에 데크판넬(24A)의 양 단부 저면이 적층되는 방법으로 설치된다.
서포터(25)는, 데크(24)와 데크지지바(23)를 지지하고, 데크를 해체시에는 데크(24)와 데크지지바(23)를 서서히 하강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바닥에 직립하는 자동승하강부재(25A)와, 자동승하강부재(25A)의 상면에 직립하며 상면이 데크지지바(23)의 저면에 밀착되는 고정부재(25B)로 구성된다.
상기 자동승하강부재(25A)로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바, 유압펌프가 결합된 유압실린더, 회전 기어에 의해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한 스크류가 결합된 스크류잭 등을 그 예로 들 수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전기의 힘으로 작동된다.
그리고, 고정부재(25B)의 경우 슬라이딩 가능한 다단 구조가 바람직한 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형 제1고정부재(25B1)와, 제1고정부재(25B1)의 내경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관체형 제2고정부재(25B1)로 구성하고, 제1·2고정부재(25B1)(25B2)에 축 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공(H4)을 구비하며, 제1·2고정부재(25B1)(25B2)의 일치된 고정공(H4)에 핀 등의 고정재(F)를 관통 결합시켜 고정부재(25B)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고정부재(25B1)는 다시 다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고정부재(25B)는 필요에 따라 3단 이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은, 데크와 데크지지바 등이 자동승하강부재가 결합된 서포터에 의해 서서히 자동으로 낮 아짐으로써, 데크의 해체가 간편하고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거의 없을 뿐 아니라, 데크 해체에 따른 노동 부하가 감소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삭제
  2. 배면이 서로 마주하는 두 벽체거푸집(11)의 각 상면에 적층되는 벽체거푸집연결바(21)와; 상기 각 벽체거푸집연결바(21)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다수의 연결편(22)과; 서로 마주보는 두 연결편(22)에 양 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두 곳이 굴곡 가능하며, 서로 평행한 다수의 데크지지바(23)와; 상기 각 두 데크지지바(23)에 상면에 적층되는 데크(24)와; 바닥에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데크지지바(23)의 저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서포터(2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벽체거푸집연결바(21)는, 벽체거푸집(11)의 상면에 적층되는 바닥판(21A)과; 상기 바닥판(21A)의 후방단부에서 직립하는 배면판(21B)과; 상기 배면판(21B)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상판(21C)과; 상기 상판(21C)의 전방단부에서 수직하게 하향 연장된 전면판(21D)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22)은, 벽체거푸집연결바(21)에 고정 결합되며, 전방단부에 연결재(22A1)가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결합공(H1)이 관통 형성된 고정부재(22A)와; 상기 연결재(22A1)에 관통 결합되는 일자형 장공(H2) 및 고정부재(22A)의 각 결합공(H1)과 일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H1)이 후방단부에 구비되고, 전방단부에 연결재(22B1)가 결합된 회동부재(22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지지바(23)는, 바형 중앙지지부재(23A)와; 상기 중앙지지부재(23A)의 양 단부에 전방단부가 각각 링크(L)에 의해 절곡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방단부에 연결편(22)에 회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ㄱ"자형 통공(H3)이 구비된 한 쌍의 단부지지부재(23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5. 삭제
  6. 삭제
KR1020060112365A 2006-11-14 2006-11-14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KR100818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365A KR100818609B1 (ko) 2006-11-14 2006-11-14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365A KR100818609B1 (ko) 2006-11-14 2006-11-14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8609B1 true KR100818609B1 (ko) 2008-04-02

Family

ID=3953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365A KR100818609B1 (ko) 2006-11-14 2006-11-14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60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008B1 (ko) 2010-05-24 2012-03-26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1379897B1 (ko) 2012-04-20 2014-04-01 금강공업 주식회사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폼 지지장치
KR20180033669A (ko) 2016-09-26 2018-04-04 김성기 서포터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설치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101875578B1 (ko) * 2016-09-29 2018-07-09 (주)지비텍이엔씨 슬레이브 실린더를 이용하여 균형을 유지하는 유압식 시스템거푸집의 리프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6433B1 (ko) 2020-09-14 2021-03-11 미래테크(주) 슬라브형틀용 안전클립 및 슬라브형틀 분리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029A (ko) * 2002-11-12 2004-05-20 주식회사 거혁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KR20060101825A (ko) * 2005-03-21 2006-09-26 (주)거혁건설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시공 데크의 설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029A (ko) * 2002-11-12 2004-05-20 주식회사 거혁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KR20060101825A (ko) * 2005-03-21 2006-09-26 (주)거혁건설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시공 데크의 설치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008B1 (ko) 2010-05-24 2012-03-26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1379897B1 (ko) 2012-04-20 2014-04-01 금강공업 주식회사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폼 지지장치
KR20180033669A (ko) 2016-09-26 2018-04-04 김성기 서포터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설치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101875578B1 (ko) * 2016-09-29 2018-07-09 (주)지비텍이엔씨 슬레이브 실린더를 이용하여 균형을 유지하는 유압식 시스템거푸집의 리프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6433B1 (ko) 2020-09-14 2021-03-11 미래테크(주) 슬라브형틀용 안전클립 및 슬라브형틀 분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551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
KR200437465Y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
KR100818609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KR100924652B1 (ko) 허니콤부재를 이용한 토건용 거푸집 패널
CN105220792A (zh) 一种预制暗支撑耗能剪力墙及其组装方法
KR102059552B1 (ko)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KR100484512B1 (ko)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KR100484513B1 (ko)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KR101832183B1 (ko) 슬라브시공용 슬라브패널 서포터
KR200384389Y1 (ko)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
KR200439291Y1 (ko) 벽체 거푸집과 데크 지지바 연결용 연결구
US2916245A (en) Adjustable scaffold bracket
KR101215384B1 (ko) 플라잉 테이블 폼
KR101630760B1 (ko) 슬라브시공용 슬라브패널 서포터
JP4516585B2 (ja) 建物用内部階段およびその建造方法
KR100878357B1 (ko) 테이블폼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용 거푸집 시스템
KR100817883B1 (ko) 슬래브 거푸집 설치구조
JP2013014944A (ja) 建屋の建設方法
KR100723542B1 (ko)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
CN114837404A (zh) 一种下沉式降板浇筑模具及浇筑方法
KR200303949Y1 (ko)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데크지지대
CN114412169A (zh) 一种后浇带施工方法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CN102587404B (zh) 大型高炉基础的施工方法
KR100885662B1 (ko) 중간 지지대의 최소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