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076Y1 - 크기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량 거푸집 장치 - Google Patents

크기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량 거푸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076Y1
KR200366076Y1 KR20-2004-0022966U KR20040022966U KR200366076Y1 KR 200366076 Y1 KR200366076 Y1 KR 200366076Y1 KR 20040022966 U KR20040022966 U KR 20040022966U KR 200366076 Y1 KR200366076 Y1 KR 200366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upper plate
horizontal frame
plat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철
김원근
손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기술건설
김원근
강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기술건설, 김원근, 강영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기술건설
Priority to KR20-2004-0022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0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0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 장치로서, 거푸집 장치가 횡방향으로 그리고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에 맞추어 자유롭게 거푸집 장치의 크기와 높이를 변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경량의 소재로 제작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신축형 경량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 장치로서,
콘크리트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한 상부 거푸집(10)과, 구조물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벽체 거푸집(20)과, 상기 상부 거푸집(1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17)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거푸집(10)은, 마주 보는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판 사이에 슬립홈(13)을 형성하게 되는 제1상부판(11)과, 상기 제1상부판(11)의 슬립홈(13)에 그 일측이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상부판(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상부판(11) 및 제2상부판(13)의 각각의 하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수평프레임(14)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수평프레임(14)은 상기 제1상부판(11)과 결합되는 제1수평프레임(15) 및 제2상부판(12)과 결합되는 제2수평프레임(16)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수평프레임(15)과 제2수평프레임(16)의 신축에 의하여 상기 제2상부판(12)이 수평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거푸집(10)이 콘크리트 슬래브의 크기에 맞추어 신축되며; 상기 상부 거푸집(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지지대(17)는 신축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벽체 거푸집(20)은, 마주 보는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판 사이에 슬립홈(23)을 형성하게 되는 제1수직판(21)과, 상기 제1상부판(21)의 슬립홈(23)에 그 일측이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수직판(22)으로 구성되어 구조물의 벽체에 높이에 맞추어 제2수직판(21)이 이동하여 신축되어, 전체 거푸집 장치가 확장 또는 축소되어 시공대상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에 맞추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크기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량 거푸집 장치{Extensible Light Form for Concrete Structure}
본 고안은 크기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형 경량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 장치로서, 횡방향으로 그리고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신축되어 그 크기가 변화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에 맞추어 자유롭게 거푸집 장치의 크기와 높이를 변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경량의 소재로 제작하여 취급성을 향상시킨 신축형 경량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이나 박스 암거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거푸집은 주로 목재를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목재 거푸집은 콘크리트 타설시의 변형 우려도 높을 뿐만 아니라, 여러 차례 반복사용하게 되면 거푸집 자체도 열화되거나 변형되어 사용횟수에도 제한이 있다.
특히, 목재 거푸집은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에 맞추어 각각 제작하여 사용하는데, 실제 시공 현장에서 사용할 때,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와 일치하지 않게 되면, 또다시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시공 대상이 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달라지면, 그 때마다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에 맞는 거푸집을 새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라 시공현장에 따라 반복하여 거푸집 제작비용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목재 거푸집은 사용한 거푸집을 폐기하는 데에도 비용이 소요되며, 매번 작업자가 번거로운 조립 및 해체를 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작업 시간의 소모 및 인건비의 소모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목재 거푸집이 가지는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거푸집의 재질을 내구성이 있는 강재와 무게가 가벼운 합성수지 판재로 제작하여 전체 중량을 줄여 설치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취급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거푸집의 크기를 자유롭게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에 맞추어 자유롭게 거푸집의 크기를 조절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는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거푸집 장치를 설치한 정단면도이다.
도 2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본 고안의 거푸집 장치(1)를 설치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장치(1)에서 상부 거푸집(10)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고안의 거푸집 장치(1)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14)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장치(1)에서 벽체 거푸집(20)의 분해도이다.
도 6은 상기 벽체 거푸집(20)의 설치를 위하여 수평설치부재(43)를 강재 주형(41)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강재 주형(41)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 거푸집 20 : 벽체 거푸집
14 : 수평프레임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 장치로서, 콘크리트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한 상부 거푸집과, 구조물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벽체 거푸집과, 상기 상부 거푸집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거푸집은, 마주 보는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판 사이에 슬립홈을 형성하게 되는 제1상부판과, 상기 제1상부판의 슬립홈에 그 일측이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상부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상부판 및 제2상부판의 각각의 하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수평프레임이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제1상부판과 결합되는 제1수평프레임 및 제2상부판과 결합되는 제2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수평프레임과 제2수평프레임의 신축에 의하여 상기 제2상부판이 수평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거푸집이 콘크리트 슬래브의 크기에 맞추어 신축되며; 상기 상부 거푸집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지지대는 신축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벽체 거푸집은, 마주 보는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판 사이에 슬립홈을 형성하게 되는 제1수직판과, 상기 제1상부판의 슬립홈에 그 일측이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수직판으로 구성되어 구조물의 벽체에 높이에 맞추어 제2수직판이 이동하여 신축되어, 전체 거푸집 장치가 확장 또는 축소되어 시공대상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에 맞추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서 있어서, 상기 상부 거푸집의 제1상부판과 상기 벽체 거푸집의 제1수직판은 강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거푸집의 제2상부판과 상기 벽체 거푸집의 제2수직판은 합성수지제 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거푸집과 벽체 거푸집 사이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헌치부를 시공하기 위한 헌치부 거푸집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봄으로써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거푸집 장치(1)를 설치한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예시로서 강재 주형(41)이 콘크리트 내부에 합성되어 있는 거더(40)와, 상기 거더(40) 사이의 상부 슬래브(42)를 시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장치(1)를 설치한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거더(40)의 하부 플랜지 위쪽으로 아직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본 고안의 거푸집 장치(1)를 설치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장치(1)에서 상부 거푸집(10)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에는 본 고안의 거푸집 장치(1)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14)의 실시예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장치(1)에서 벽체 거푸집(20)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상기 벽체 거푸집(20)의 설치를 위하여 수평설치부재(43)를 강재 주형(41)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강재 주형(4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교량의 시공에 본 고안의 거푸집 장치(1)가 적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거푸집 장치(1)를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위와 같은 교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박스 암거 등 다양한 콘크리트 구조물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장치(1)는 콘크리트 상부 슬래브(42)를 시공하기 위한 상부 거푸집(10)과, 구조물의 벽체(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거더의 웨브)를 시공하기 위한 벽체 거푸집(20)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부 슬래브(42)의 헌치부 시공을 위한 헌치부 거푸집(3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거푸집(10)은 상부 슬래브(42)의 횡방향 폭(거더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수평방향(횡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에는 상기 상부 거푸집(10)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 거푸집(10)은, 마주 보는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판 사이에 슬립홈(13)을 형성하게 되는 제1상부판(11)과, 일측이 상기 슬립홈(13)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상부판(12)을 구비한다. 상기 제1상부판(11) 및 제2상부판(12)의 하면에는 상기 제1상부판(11) 및 제2상부판(12)을 지지하며 수평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수평프레임(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14)은 상기 제1상부판(11) 및 제2상부판(12)의 종방향(도면의 앞뒤 방향) 폭에 따라,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14)은 상기 제1상부판(11)과 결합되어 있는 제1수평프레임(15)과, 상기 제2상부판(12)과 결합되어 있는 제2수평프레임(16)으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1상부판(11)과 제1수평프레임(15)을 결합하는 구조의 일예를 살펴보면, 제1상부판(11)의 단부에는 종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고정용 부재(111)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용 부재(111)와 상기 제1수평프레임(15)을 결합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1상부판(11)과 제1수평프레임(15)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간격유지용 부재(112)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제2상부판(12)과 제2수평프레임(16)도 위와 유사하게 결합할 수 있는데, 종방향(도면의 앞에서 뒤쪽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고정용 부재(121)를 L-형강(124)을 이용하여 제2상부판(12)의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고정용 부재(121)와 제2수평프레임(16)을 결합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2상부판(12)과 제2수평프레임(16)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간격유지용 부재(122)를 상기 L-형강(124)에 함께 결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본고안에 있어서, 상기한 제1상부판(11)과 제1수평프레임(15)의 결합구조, 그리고 제2상부판(12)과 제2수평프레임(16)의 결합구조는 단지 일 실시예로서, 위에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구조에 의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상부판(11) 및 제2상부판(12)의 최외측 단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헌치부 거푸집(30) 설치를 위한 모서리 고정용 부재(113, 123)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상기 제1수평프레임(15)과 제2수평프레임(16)으로 구성된 수평프레임(14)의 신축구조를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에는 각각 수평프레임(14)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양측의 제1수평프레임(15)과 제2수평프레임(16)은 슬라이딩 되어 전체 프레임의 길이가 변화되어 신축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예와 같이, 양측 제1수평프레임(15)과 제2수평프레임(16)을 관부재로 제작하되, 제1수평프레임(15)의 단면이 제2수평프레임(16)의 단면보다 크게 제작되어 제2수평프레임(16)이 제1수평프레임(15)의 내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예시한 슬라이딩 방식의 결합을 위한 구체적인 형상은 단지 하나의 예일 뿐이며, 다른 여러 가지 구성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수평프레임(15, 16)이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제1수평프레임(15)의 가장자리에 오목한 레일부를 형성하고, 제2수평프레임(16)이 그 레일부에 끼워지도록 하여 슬라이딩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절곡된 형태의 프레임을 서로 겹치게 배치하여 슬라이딩되도록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슬라이딩 가능하여 신축될 수 있는 수평프레임(14)은, 거푸집 장치(1)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에 맞추어 확장 또는 신축된 상태에서는 더 이상 신축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수평프레임(14)의 길이 고정을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로서는 도 4a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수평프레임(15)과 제2수평프레임(16)에 각각 관통공(151)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51)에 체결고정수단(152)를 삽입하는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고, 도 4b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수평프레임(15)에는 슬롯(153)을 형성하고, 제2수평프레임(16)에는 상기 슬롯(153)에 끼워져 고정되는 체결고정수단(152)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고정수단(152)의 예로는 볼트와 너트, 핀 등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슬롯(153)이 상기 제2수평프레임(16)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4b의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고정수단(152)이 슬롯(153)에 끼워진 상태로 견고히 체결되면 체결고정수단(152)이 더 이상 슬롯(153)내에서 이동할 수 없게 되므로, 수평프레임(14)의 신축이 방지되어, 거푸집 장치(1)의 수평방향 크기가 고정된다.
제1수평프레임(15)과 제1상부판(11)이 결합되고, 제2수평프레임(16)과 제2상부판(12)이 결합되며, 제2상부판(12)의 일측이 제1상부판(11)의 슬립폼(13)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수평프레임(15)과 제2수평프레임(16)이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서로 슬라이딩 되어 소정 길이로 신축하게 되면, 그에 따라 제1상부판(11)과 제2상부판(12)도 서로 신축하여 상부 거푸집(10)의 크기가 시공하고자 하는 상부 슬래브(40)의 폭에 자유롭게 맞추어 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슬래브의 폭이 상이한 구조물에도 자유롭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상부 거푸집(10)은 신축가능한 수직 지지대(17)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상기 수직 지지대(17)는 상기 수평프레임(14)의 양측 하부에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수직 지지대(17)의 상단부는 상기 수평프레임(14)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수직 지지대(17) 역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부 거푸집(10)의 설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지지대(17)의 하단부는 거더(40)의 하부 플랜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17)를 신축 가능하게 구성하는 구체적인 예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수평프레임(14)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처럼 상기 수직 지지대(17)의 하단부에는 나사형 잭 장치를 설치하여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잭 장치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서는 위와 같이 상부 거푸집(1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구조물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벽체 거푸집(20)도 그 크기가 변화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본 고안의 거푸집 장치는 구조물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벽체 거푸집(20)이 수직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높이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그에 맞추어 거푸집 장치의 수직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벽체 거푸집(2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장치(1)에서 벽체 거푸집(20)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상기 벽체 거푸집(20)의 설치를 위하여 수평이격부재(43)를 강재 주형(41)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강재 주형(4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벽체 거푸집(20)은, 마주 보는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판 사이에 슬립홈(23)을 형성하게 되는 제1수직판(21)과, 상기 제1수직판(21)의 슬립홈(23)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수직판(22)을 구비한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거더(40)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벽체 거푸집(20)이 강재 주형(41)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강재 주형(41)의 복부에 스터드 볼트 등과 같은 부재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간격유지부재(43)를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고정시켜 설치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43)의 단부에 상기 벽체 거푸집(20)의 제1수직판(21)과 제2수직판(22)을 결합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수직판(21)과 제2수직판(22)을 수평이격부재(43)와 결합함에 있어서, 제1수직판(21)과 제2수직판(22) 각각의 외측에 종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고정용 부재(211, 221)를 설치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43)의 단부가 제1수직판(21)과 제2수직판(22), 그리고 고정용 부재(211, 221)를 관통하도록 한 후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44)를 결합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222는 상기 고정용 부재(221)를 제2수직판(22)에 결합하기 위한 L-형강(222)이다. 그러나, 상기 제1수직판(21)과 제2수직판(22)을 간격유지부재(43)와 결합하는 구성은 반드시 위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결합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벽체 거푸집(20)도 그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신축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시공하려는 구조물의 높이에 맞추어 자유롭게 거푸집 장치(1)의 높이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또다른 높이의 거더(40)를 가진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 수직 지지대(17)를 신축하여 상부 거푸집(10)의 높이를 조정함과 동시에, 제2수직판(22)을 아래로 당겨 전체 벽체 거푸집(20)의 높이를 구조물의 높이에 용이하게 맞추면 된다. 이와 같이, 거더(40)의 높이가 달라지더라도 본 고안의 거푸집 장치(1)는 용이하게 그 변화된 높이에 맞추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슬래브(42)와 거더(40) 사이에 헌치부가 형성되는 경우, 상부 거푸집(10)과 벽체 거푸집(20) 사이에 헌치부 거푸집(30)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거푸집(10)의 제1 및 제2상부판(11, 12), 그리고 벽체 거푸집(20)의 제1 및 제2수직판(21, 22)은 모두 강재판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러나, 장치의 전체 중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제2상부판(12) 및 제2수직판(22)은 예를 들어 "유로 폼"이라는 명칭으로 시판되는 합성수지제 판이나 합판, 또는 코팅 합판 등의 경량 재질의 판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제1상부판(11) 및 제1수직판(21)도 합성수지제 판이나 합판, 또는 코팅 합판 등의 경량 재질의 판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거푸집 장치에서는, 상부 거푸집(10)이 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신축가능하게 구성되고, 벽체 거푸집(20) 역시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신축가능하게 구성되므로, 거푸집 장치가 각각의 시공대상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에 맞추어 자유롭게 그 크기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상부 거푸집(10) 및 벽체 거푸집(20)의 제2상부판(12) 및 제2수직판(22)이 각각 제1상부판(11) 및 제1수직판(21)의 슬립홈(13, 23)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되므로, 제1상부판(11)과 제2상부판(12) 사이, 그리고 제1수직판(21)과 제2수직판(22) 사이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거푸집 장치는, 종래의 목재 거푸집의 경우와는 달리, 현장시공상황에 맞추어 거푸집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다른 크기의 구조물을 시공할 때에서 손쉽게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거푸집 시공에 따른 제반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거푸집 장치를 용이하게 구조물로부터 떼어낼 수 있으므로, 거푸집 장치의 탈형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서는 상부 거푸집(10)의 제2상부판(12)과 벽체 거푸집(20)의 제2수직판(22)을 합성수지제 판이나 합판 또는 코팅 합판 등의 경량 재질의 판으로 구성하게 됨으로써 장치의 무게를 경감시켜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 장치로서,
    콘크리트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한 상부 거푸집(10)과, 구조물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벽체 거푸집(20)과, 상기 상부 거푸집(1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17)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거푸집(10)은, 마주 보는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판 사이에 슬립홈(13)을 형성하게 되는 제1상부판(11)과, 상기 제1상부판(11)의 슬립홈(13)에 그 일측이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상부판(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상부판(11) 및 제2상부판(13)의 각각의 하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수평프레임(14)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수평프레임(14)은 상기 제1상부판(11)과 결합되는 제1수평프레임(15) 및 제2상부판(12)과 결합되는 제2수평프레임(16)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수평프레임(15)과 제2수평프레임(16)의 신축에 의하여 상기 제2상부판(12)이 수평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거푸집(10)이 콘크리트 슬래브의 크기에 맞추어 신축되며;
    상기 상부 거푸집(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지지대(17)는 신축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벽체 거푸집(20)은, 마주 보는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판 사이에 슬립홈(23)을 형성하게 되는 제1수직판(21)과, 상기 제1상부판(21)의 슬립홈(23)에 그 일측이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수직판(22)으로 구성되어 구조물의 벽체에 높이에 맞추어 제2수직판(22)이 이동하여 신축되어, 전체 거푸집 장치가 확장 또는 축소됨으로써 시공대상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에 맞추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거푸집(10)의 제1상부판(11)과 상기 벽체 거푸집(20)의 제1수직판(21)은 강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거푸집(10)의 제2상부판(12)과 상기 벽체 거푸집(20)의 제2수직판(22)은 합성수지제 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거푸집(10)과 벽체 거푸집(20) 사이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헌치부를 시공하기 위한 헌치부 거푸집(3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장치.
KR20-2004-0022966U 2004-08-11 2004-08-11 크기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량 거푸집 장치 KR200366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966U KR200366076Y1 (ko) 2004-08-11 2004-08-11 크기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량 거푸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966U KR200366076Y1 (ko) 2004-08-11 2004-08-11 크기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량 거푸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076Y1 true KR200366076Y1 (ko) 2004-10-28

Family

ID=49440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966U KR200366076Y1 (ko) 2004-08-11 2004-08-11 크기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량 거푸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07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266B1 (ko) 2009-02-12 2009-07-20 주식회사 공간이동 핸들이 구비된 거푸집용 높이 조절장치
KR101151635B1 (ko) 2010-11-24 2012-06-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 형성용 신축가능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부재에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방법
KR101531329B1 (ko) * 2014-10-14 2015-06-24 피씨에스솔루션 주식회사 신축 가능한 철제 거푸집
KR20160004473A (ko) * 2014-07-02 2016-01-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량 슬래브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슬래브거푸집 공사방법
KR102430438B1 (ko) * 2022-03-23 2022-08-08 주식회사 누리플랜 교량 슬래브 타설용 가설작업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266B1 (ko) 2009-02-12 2009-07-20 주식회사 공간이동 핸들이 구비된 거푸집용 높이 조절장치
KR101151635B1 (ko) 2010-11-24 2012-06-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 형성용 신축가능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부재에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방법
KR20160004473A (ko) * 2014-07-02 2016-01-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량 슬래브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슬래브거푸집 공사방법
KR101712634B1 (ko) * 2014-07-02 2017-03-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량 슬래브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슬래브거푸집 공사방법
KR101531329B1 (ko) * 2014-10-14 2015-06-24 피씨에스솔루션 주식회사 신축 가능한 철제 거푸집
KR102430438B1 (ko) * 2022-03-23 2022-08-08 주식회사 누리플랜 교량 슬래브 타설용 가설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791B1 (ko) 측면거푸집 잭장치와 단부거푸집 회전설치장치를 이용한 빔 제작장치
US20090266950A1 (en) Modular Shoring Assembly with Length Adjustable Support
KR102128100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
US20130283724A1 (en) Utility dowel bracket
KR101305918B1 (ko) 프리캐스트 거더용 거푸집장치
KR200366076Y1 (ko) 크기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량 거푸집 장치
CN215907389U (zh) 用于清水混凝土施工的模板结构
KR20080004835U (ko) 조립식 콘크리트 암거
KR200253874Y1 (ko) 도로 횡단 지하통로용 강재 거푸집
KR20040042029A (ko)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KR20090070852A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방법 및 장치
KR102084550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지지프레임
KR100778139B1 (ko) 거푸집 수평 받침대 길이조절 프레임
KR102128099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 시스템
KR100786144B1 (ko)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에 적합한보강받침대
KR101124692B1 (ko) 조립식 반력프레임을 이용한 빔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빔 제작방법
KR200345073Y1 (ko) 신축형 강재 거푸집장치
KR102128101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서포트
KR20070074261A (ko) 접이형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거푸집
KR20180136749A (ko) 슬라브 패널 시스템
KR200458490Y1 (ko) 콘크리트 측구 시공용 거푸집 프레임
KR101702957B1 (ko) 테이블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1053994B1 (ko)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물
KR200351989Y1 (ko)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KR20150089381A (ko) 가변가능한 거푸집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암거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