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434B1 -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434B1
KR101396434B1 KR1020130090533A KR20130090533A KR101396434B1 KR 101396434 B1 KR101396434 B1 KR 101396434B1 KR 1020130090533 A KR1020130090533 A KR 1020130090533A KR 20130090533 A KR20130090533 A KR 20130090533A KR 101396434 B1 KR101396434 B1 KR 101396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horizontal beam
panel
walls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효동개발 주식회사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동개발 주식회사, 김대현 filed Critical 효동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0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34Horizontally-travelling moulds for making walls blockwise or section-w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 및 그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벽체가 평행하게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복합 벽체의 동시 설치를 위한 거푸집 장치에 있어, 상기 벽체가 설치되는 위치에 폭방향으로 위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을 가지며 위치되는 수평빔; 상기 벽체를 각각 형성할 수 있도록 적어도 2조를 이루며 구성되고, 상단이 각각 길이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수평빔에 결합되는 거푸집 지지패널; 상기 벽체가 설치될 라인의 바닥면에 좌우 한 쌍으로 상기 벽체와 평행하게 위치되는 레일;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이 상기 수평빔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위치 고정되며, 하단이 바퀴를 통해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되고, 상기 하우징 상단의 핸들 회전시 높이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수평빔을 승하강 시키게 되는 높이조절체; 양단이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의 바깥면과 다른 거푸집 지지패널의 바깥면을 연결하여 중간 버클의 조임과 풀림에 따라 상기 거푸집 패널을 이동시켜 양생된 벽체 거푸집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MOVABLE MOLD DEVICE}
본 발명은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벽체를 갖는 복합 벽체의 거푸집 설치시 복합 벽체를 동시에 구간별로 이동하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거푸집 장비의 설치 간편화는 물론 연속 반복적 사용으로 공기 단축 및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원하는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거푸집의 골격을 형성하는 거푸집 패널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일정 시간후 경화되도록 하는 양생 과정을 거치게 된다.
거푸집 패널의 경우, 콘크리트 거푸집용 합판, 경질 섬유판, 합성수지판, 알루미늄 패널, 등의 소재가 제시된 바 있으며 이는 공사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높이가 높거나 너비가 긴 건축물을 축조하는 경우 지면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한 구조물을 성형한 후, 설치된 거푸집을 탈형하여 축조된 구조물과 연결되도록 다시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을 반복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경우 기 설치된 거푸집을 해체하고 이에 인접하도록 다시 거푸집을 설치해야 함에 따라,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 및 이로 인하여 전체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거푸집을 해체하고 이를 다시 이어지는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거푸집을 들어 올려주기 위한 크레인 등의 장비가 필요하게 되나, 이러한 중장비는 비교적 고가의 장비이므로 공사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공사현장에 중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이 확보되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터널 내에서 시공하는 경우,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중장비를 사용하기 힘든 문제점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시간 및 공사비용이 더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을 분리시키고 다음 시공장소로 이동시켜 재설치하는 과정에서, 거푸집의 위치를 항상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특허 공개 제10-2009-0033207호 "거푸집 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이동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구조물을 연속적으로 축조하기 위해 거푸집을 이동시키는 거푸집 이동장치에 있어서, 벽체 또는 천장을 따라 다수개가 나란히 구비되는 버팀보와, 상기 버팀보에 분리가능하도록 쌍을 이루어 연결되고 다수개의 버팀보가 설치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그 사이에 타설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조물을 연속적으로 축조하기 위해 거푸집을 순차적으로 이동
시키는 거푸집 이동방법에 있어서, 벽체 또는 천장에 다수개가 나란히 설치된 버팀보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연결시키는 제1단계,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거푸집널을 이동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제2단계, 상기 거푸집널 사이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제3단계, 상기 거푸집널과 가이드레일로 구성되는 조립체를 상기 양생된 구조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4단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거푸집널을 이동시키는 제5단계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최근 터널거푸집의 하단부에 다수개의 이동바퀴를 구비시키고 터널의 저면에 상기 이동바퀴에 대응되도록 터널거푸집의 전진 방향으로 레일을 깔아 고정시키게 되고, 터널거푸집과 레일을 이동장치로 연결한 상태에서 이동장치를 구동시켜 터널거푸집이 레일을 따라 터널의 내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이동된다. 이때 레일은 터널거푸집이 이동된 직후에 철거하여 전진할 방향에 재차 설치할 수 있으며 터널거푸집의 이동이 종료된 상태에서 철거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터널거푸집은 그 터널거푸집을 굴착된 터널의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터널의 저면에 레일과 거푸집이동장치를 설치하고 해체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해 짐과 아울러 그 공정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터널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거푸집의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 등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장치 등을 설치하여 하는 번거로움 문제점이 있으며, 이동바퀴에 별도의 고정장치를 설치할 경우 무게 때문에 고정장치가 자주 파손되어 교체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 특허 제10-0807759호 "터널공사용 거푸집 이동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이는, 굴착된 터널의 내면에 지지고정되는 지지틀을 레일과 이송장치가 구비된 지지장치로 연결하여 그 지지장치에 거푸집장치가 레일에 안내되며 이동되도록 하여 터널에 별도의 레일을 설치하지 않아도 돼 작업공정이 간편해 짐과 아울러 공정시간이 짧아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지지틀 및 거푸집에 구비된 거푸집 지지틀이 다수개의 실린더에 의해 굴착된 터널의 내면에 밀착,고정되도록 하여 경사로에서도 지지틀, 지지장치 및 거푸집장치가 밀리지 않고 그 경사면을 따라 전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경우 유압 또는 공압의 실린더를 적용해야 함에 따라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설치의 불편함은 물론 조립 해체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4-025622호를 살펴보면, 거푸집 설치 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설치하고 또한 거푸집시 턴버클을 통해 패널이 안정되게 지지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거푸집 설치 장치는 수평한 평활면에서 수직 또는 경사각을 갖는 거푸집을 성형하고자 하는 것으로 경사지 등에서는 설치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어왔다.
다른 예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8-144513호를 살펴보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벽체를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한 거푸집 이동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472호를 살펴보면, 건축물의 슬라브를 구축 타설할 때 거푸집의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거푸집 높이 조절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건축물의 슬라브 형성시 거푸집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어서 일정길이 이상 연속 반복된 설치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문헌1: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4-025622호(1979.02.20.) 문헌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8-144513호(1996.06.04.) 문헌3: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472호(2006.02.09.) 문헌4: 국내 특허등록 제10-0807759호 문헌5: 국내 특허공개 제10-2009-0033207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터널 등과 같은 비교적 긴 복합 벽체의 설치시 복합 벽체를 동시에 구간마다 연속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둘째; 거푸집 형성 후 전체 구조물이 승강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재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개의 벽체가 평행하게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복합 벽체의 동시 설치를 위한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체가 설치되는 위치에 상기 벽체에 대해 폭방향으로 위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을 가지며 위치되는 수평빔; 상기 벽체가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2조를 이루며 구비되고, 상단이 각각 길이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수평빔에 결합되는 거푸집 지지패널; 상기 벽체가 설치될 라인의 바닥면에 좌우 한 쌍으로 상기 벽체와 평행하게 위치되는 레일;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이 상기 수평빔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위치 고정되며, 하단이 바퀴를 통해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하우징 상단의 핸들 회전시 높이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수평빔을 승하강 시키게 되는 높이조절체; 양단이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의 바깥면과 다른 거푸집 지지패널의 바깥면을 연결하여 중간 버클의 조임과 풀림에 따라 상기 거푸집 패널을 이동시켜 양생된 벽체 거푸집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구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수평빔에 하향 방향으로 통과되면서 그 하단이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의 상단에 고정되는 나사부재, 상기 나사부재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수평빔의 상하면에 밀착되어 조임과 풀림에 따라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의 상하 위치를 결정하는 잠금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며 하단이 상기 바퀴의 상단에 고정되고 수직한 상단에 나사홀을 갖는 고정체가 구비되는 파이프형상의 지지체와,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며 상단에 상기 핸들이 결합되고 하측이 상기 고정체의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지지체내에 위치되는 승강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핸들 회전시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나사홀을 따라 승하강 되면서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을 승하강 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리구는,
한 쌍으로 안쪽 단부가 중간버클의 양쪽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상기 중간버클의 정역 회전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을 이동시키는 분리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특징에 따라 본 발명은 복합 벽체 설치를 위한 거푸집 설치 공법에 있어, 콘크리트 거푸집을 통해 상면이 평활한 바닥층을 형성하도록 하는 바닥층 형성단계; 상기 바닥층의 상면에 설치될 벽체 방향을 따라 레일을 설치하는 레일 설치단계; 상기 레일에 높이조절체의 바퀴를 안착시키는 바퀴 안착단계; 높이조절체가 결합되는 수평빔에 수직상태로 결합되는 거푸집 지지패널을 상기 바닥층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를 교정하는 거푸집 지지패널 설치단계;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과 다른 거푸집 지지패널 사이 사이에 콘크리트를 채움시키는 콘크리트 타설단계; 거푸집 양생 완료후 분리구를 통해 거푸집 지지패널을 당기도록 하여 콘크리트로부터 거푸집 지지패널이 분리되도록 하는 거푸집 지지패널 분리단계; 핸들을 회전시켜 수평빔을 승강시키는 거푸집 지지패널 승강단계; 해체후 승강된 수평빔을 밀어 상기 바퀴가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여 다음 콘크리트 타설 위치에 셋팅 되도록 하는 위치 이동단계;를 수행하고 상기와 같은 벽체 설치 과정의 순서로 연속 반복적으로 재설치하면 된다.
본 발명은, 승하강 또는 이동 가능한 다수의 거푸집 지지패널을 통해 다수의 벽체를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하여 벽체 거푸집을 시공할 수 있고 또한 설치될 벽체의 길이가 긴 경우에도 레일을 따라 구간 구간마다 연속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첫째; 터널 등과 같은 비교적 긴 복합 벽체의 설치시 복합 벽체를 동시에 구간마다 연속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거푸집 형성후 전체 구조물이 승강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재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 연속 반복적 작업이 가능하여 공정 시스템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넷째; 작업 편리성으로 공기 및 경제적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의 설치 과정 요부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벽체로부터 거푸집 지지패널을 분리시키는 과정을 보인 요부 상세도,
도 3은 도 2에서 분리된 거푸집 지지패널을 승강시킨 상태를 보인 요부 상세도,
도 4는 도 3에서 거푸집 지지패널을 포함하여 거푸집 장치를 해체시킨 상태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평면 개략도,
도 6은 도 1 내지 3에서 평면을 도시한 요부 개략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도 7에서 길이조절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높이조절수단 및 각도 표시부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를 통한 복합 벽체 시공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0의 도시에 의하여 배수로 및 공동구 등과 같이 비교적 길이가 긴 벽체의 설치시 구간 구간 이동하면서 벽체(B)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벽체(B)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세워져 형성되는 것이며, 높이 및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서로 평행하게 다수개 배열되는 경우 복합 벽체(HB)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은, 벽체(B)에 대해 폭방향으로 위치되며 적어도 한쌍으로 위치되는 수평빔(100)과, 상기 수평빔(100)에 대해 수직하게 배열되며 길이조절수단을 통해 길이가 조절되는 거푸집 지지패널(200)과, 벽체가 설치될 평활면에서 설치될 상기 벽체와 평행하게 배열되는 적어도 한 쌍의 레일(300)과, 상기 레일(3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수평빔(10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높이조절체(400)와,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이 벽체(B)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빔(10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가 가능하며, 상기 벽체(B)가 설치되는 위치에 폭방향으로 위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을 가지며 위치된다.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은, 상기 벽체(B)를 각각 형성할 수 있도록 다수조를 이루며 구성되고, 상단이 각각 길이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수평빔(100)에 결합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수평빔(100)에 하향 방향으로 통과되면서 그 하단이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의 상단에 고정되는 나사부재(210), 상기 나사부재(210)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수평빔(100)의 상하면에 밀착되어 조임과 풀림에 따라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의 상하 위치를 결정하는 잠금너트(220)(222)로 구성된다.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은, 한 쌍이 서로 마주보며 내측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공간을 이루게 되고, 상단에 힌지구(224)가 구비되어 상기 나사부재(210)의 하단에 구비되는 힌지구(212)와 힌지핀(230)을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즉,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면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20)을 수직 상태에서 힌지핀(230)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동시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이 상기 나사부재(210)의 단부와 힌지구(212)(224)로 연결되어 힌지핀(23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힌지구에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의 회전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부(900)가 구비된다.
상기 각도 표시부(900)는, 상기 나사부재(210)의 힌지구(212)에 표시되는 화살표와,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의 힌지구(224)에 표시되는 눈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10 참조)
이에따라 거푸집을 경사지게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을 눈금에 표시되는 지시에 따라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켜 고정하면 된다.
상기 레일(300)은, 기차레일 또는 금속판이 역삼각 형태로 절곡 형성된 레일이 가능하며, 상기 벽체(B)가 설치될 라인의 바닥면에 상기 벽체(B)와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적어도 한 쌍을 가지며 위치된다.
상기 높이조절체(400)는,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410)이 상기 수평빔(10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위치 고정되며, 하단이 바퀴(420)를 통해 상기 레일(30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되고, 상기 하우징(410) 상단의 핸들(430) 회전시 높이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수평빔(100)을 승강 또는 하강 시키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하우징(410)의 내측에 위치되며 하단이 상기 바퀴(420)의 상단에 고정되고 수직한 상단에 나사홀을 갖는 고정체(440)가 구비되는 파이프형상의 지지체(450)와, 상기 하우징(4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며 상단에 상기 핸들(430)이 결합되고 하측이 상기 고정체(440)의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지지체(450)내에 위치되는 승강부재(460)로 구성되어 상기 핸들(430) 회전시 상기 승강부재(460)가 상기 고정체(440)의 나사홀을 따라 승하강 되면서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을 승강 또는 하강 시키도록 하게 된다.(도 8 참조)
상기 하우징(410)은 금속 소재가 바람직하며, 원형 또는 사각의 파이프 형상을 취한다.
상기 고정체(440)는 상기 하우징(410)에 회전 방지상태로 고정되고, 중심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상기 승강부재(460)의 나사부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홀이 형성된다.
상기 핸들(430)은 상기 승강부재(46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460)의 상단에 연결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편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손잡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460)의 상단은 상기 하우징(410)의 상단에 베어링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리구(500)는, 양단이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의 바깥면과 다른 거푸집 지지패널의 바깥면을 연결하여 중간 버클(510)의 조임과 풀림에 따라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을 이동시켜 양생된 벽체(B) 거푸집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다시말해,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외측에 나사부가 형성된 분리부재(520)(530)가 서로 나선방향을 대칭되게 형성하며, 상기 분리부재(520)(530)의 안쪽 단부가 상기 중간버클(510)의 양쪽에 각각 나사 결합되고 바깥쪽 단부가 서로 대응되는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의 바깥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중간버클(510)의 정역 회전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을 벽체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도면중 부호 600은 연결빔이며. 상기 연결빔(600)은 상기 벽체(B)가 설치될 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수평빔(100)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빔(600)은 한번에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길이로 구성 가능하며 상기 연결빔(600) 사이에 다수의 수평빔(100)을 설치할 수 있다.
도면중 부호 700은 지지구이며, 상기 지지구(700)는 벽체(B)가 설치될 위치에 지지되어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이 안정되게 위치 고정 및 상기 분리구(500)의 설치가 힘든 최외측에 위치시켜 회전시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이 벽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용된다.
즉,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의 하단에 위치단 절곡부재(710)와, 상기 절곡부재(710)에 형성된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면서 그 단부가 벽체(B)에 직접 지지 또는 로울러(720) 등을 통해 지지되어 회전시 상기 벽체(B)로부터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이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바(7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를 통해 복합 벽체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의 바닥층(T)과 같이 콘크리트 거푸집을 통해 상면이 평활한 바닥층(T)을 형성하는 바닥층 형성단계를 수행한다. 그런다음 상기 바닥층(T)의 상면에 벽체(B)가 설치될 라인과 동일한 방향으로 레일(300)을 설치하는 레일 설치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레일(300)에 높이조절체(400)의 바퀴(420)를 안착시키는 바퀴 안착단계를 수행한다. 이후, 높이조절체(400)가 결합된 수평빔(100)에 수직상태로 결합되는 거푸집 지지패널(200)을 상기 바닥층(T)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를 교정하는 거푸집 지지패널 설치단계를 수행한다. 연속해서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과 다른 거푸집 지지패널(200) 사이 사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크리트를 채움시키는 콘크리트 타설단계를 수행하면 된다. 이후, 거푸집 양생이 완료되면 분리구(500)를 통해 거푸집 지지패널(200)을 당기도록 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크리트로부터 거푸집 지지패널(200)이 분리되도록 하는 거푸집 지지패널 분리단계를 수행하고, 연속해서 핸들(430)을 회전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빔(100)을 승강시키는 거푸집 지지패널 승강단계를 수행한다.
그러면, 벽체(B)만이 남고 거푸집 지지패널(200)은 상기 벽체(B)로부터 분리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측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벽체(B) 만이 남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해체 작업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빔(100)을 밀어 상기 바퀴(420)가 레일(30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여 다음 콘크리트 타설 위치에 셋팅 되도록 하는 위치 이동단계를 수행하면 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평빔(100)을 밀어 연속 반복적으로 재설치 하는 과정을 수행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된다.
B: 벽체 HB: 복합 벽체
T: 바닥층
100: 수평빔
200: 거푸집 지지패널
210: 나사부재 220,222: 잠금너트
230: 힌지구
300: 레일
400: 높이조절체
410: 하우징 420: 바퀴
430: 핸들 440: 고정체
450: 지지체 460: 승강부재
500: 분리구
510: 중간버클 520,530: 분리부재

Claims (3)

  1. 다수개의 벽체(B)가 평행하게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복합 벽체(HB)의 동시 설치를 위한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체(B)가 설치되는 위치에 상기 벽체(B)에 대해 폭방향으로 위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을 가지며 위치되는 수평빔(100); 상기 벽체(B)가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2조를 이루며 구비되고, 상단이 각각 길이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수평빔(100)에 결합되는 거푸집 지지패널(200); 상기 벽체(B)가 설치될 라인의 바닥면에 좌우 한 쌍으로 상기 벽체(B)와 평행하게 위치되는 레일(300);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410)이 상기 수평빔(10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위치 고정되며, 하단이 바퀴(420)를 통해 상기 레일(30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되고, 상기 하우징(410) 상단의 핸들(430) 회전시 높이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수평빔(100)을 승하강 시키게 되는 높이조절체(400); 양단이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의 바깥면과 다른 거푸집 지지패널의 바깥면을 연결하여 중간 버클(510)의 조임과 풀림에 따라 상기 거푸집 패널(200)을 이동시켜 양생된 벽체 거푸집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구(500)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수평빔(100)에 하향 방향으로 통과되면서 그 하단이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의 상단에 고정되는 나사부재(210), 상기 나사부재(210)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수평빔(100)의 상하면에 밀착되어 조임과 풀림에 따라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의 상하 위치를 결정하는 잠금너트(220)(222)로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하우징(410)의 내측에 위치되며 하단이 상기 바퀴(420)의 상단에 고정되고 수직한 상단에 나사홀을 갖는 고정체(440)가 구비되는 파이프형상의 지지체(450)와, 상기 하우징(4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며 상단에 상기 핸들(430)이 결합되고 하측이 상기 고정체(440)의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지지체(450)내에 위치되는 승강부재(460)로 구성되어 상기 핸들(430) 회전시 상기 승강부재(460)가 상기 나사홀을 따라 승하강 되면서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을 승하강 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리구(500)는,
    한 쌍으로 안쪽 단부가 상기 중간 버클(510)의 양쪽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상기 중간버클(510)의 정역 회전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을 이동시키는 분리부재(520)(530)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이 상기 나사부재(210)의 단부와 힌지구(212)(224)로 연결되어 힌지핀(23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힌지구에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의 회전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부(900)가 구비되며;
    상기 각도 표시부(900)는,
    상기 나사부재(210)의 힌지구(212)에 표시되는 화살표와,
    상기 거푸집 지지패널(200)의 힌지구(224)에 표시되는 눈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
  3. 삭제
KR1020130090533A 2013-07-30 2013-07-30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 KR101396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533A KR101396434B1 (ko) 2013-07-30 2013-07-30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533A KR101396434B1 (ko) 2013-07-30 2013-07-30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434B1 true KR101396434B1 (ko) 2014-05-20

Family

ID=50894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533A KR101396434B1 (ko) 2013-07-30 2013-07-30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4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2307A (zh) * 2017-03-31 2017-06-09 中国化学工程第七建设有限公司 一种钢筋混凝土结构的施工装置
KR102002829B1 (ko) 2018-11-27 2019-07-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한 벽체구조
KR102109340B1 (ko) * 2019-11-18 2020-05-12 (주)태현엔지니어링 터널 공동구 시공용 이동식 거푸집 장치
CN112160586A (zh) * 2020-09-29 2021-01-01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剪力墙定型钢模的安装装置及其安装方法
CN114856167A (zh) * 2022-03-14 2022-08-05 广东天凛高新科技有限公司 建筑外墙现浇模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3207A (ko) * 2009-03-13 2009-04-01 진성토건 주식회사 거푸집 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이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3207A (ko) * 2009-03-13 2009-04-01 진성토건 주식회사 거푸집 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이동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2307A (zh) * 2017-03-31 2017-06-09 中国化学工程第七建设有限公司 一种钢筋混凝土结构的施工装置
KR102002829B1 (ko) 2018-11-27 2019-07-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한 벽체구조
KR102109340B1 (ko) * 2019-11-18 2020-05-12 (주)태현엔지니어링 터널 공동구 시공용 이동식 거푸집 장치
CN112160586A (zh) * 2020-09-29 2021-01-01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剪力墙定型钢模的安装装置及其安装方法
CN114856167A (zh) * 2022-03-14 2022-08-05 广东天凛高新科技有限公司 建筑外墙现浇模具
CN114856167B (zh) * 2022-03-14 2024-04-23 广东天凛高新科技有限公司 建筑外墙现浇模具的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447B1 (ko) 탈형이 용이한 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
KR101396434B1 (ko)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
CN106812120B (zh) 液压自升桁架式悬臂重型拱坝模板系统
KR101514395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장치
KR101081791B1 (ko) 측면거푸집 잭장치와 단부거푸집 회전설치장치를 이용한 빔 제작장치
KR101657994B1 (ko)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1540406B1 (ko) 암거제작용 거푸집장치
CN107795120B (zh) 多曲面自由伸缩建筑模架系统设备
KR101586858B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와 보 시공 공법
CN110513126A (zh) 一种可循环使用截面可变的隧道二衬台车
KR20060112505A (ko) 거더용 거푸집장치
JP7213136B2 (ja) 箱桁の施工方法および施工システム
KR101647347B1 (ko) 슬라브시공용 슬라브패널 전동서포터
KR101832183B1 (ko) 슬라브시공용 슬라브패널 서포터
KR20020089689A (ko) 복합부재 판넬과 유압 잭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법
CN106284989B (zh) 双轨滑移式模板支撑体系及成套施工方法
WO2020134239A1 (zh) 一种用于生产预制构件的侧模固定方法
CN108005684B (zh) 分离式钢模台车及其施工方法
KR20170028779A (ko) 복부 파형강판 박스거더 시공용 거푸집 프레임 및 복부 파형강판 박스거더 시공용 이동식 작업차
KR20190066754A (ko) 기둥단위 지지구조를 가진 역타공법용 거푸집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542045B1 (ko) 교각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CN200942556Y (zh) 预制钢筋混凝土涵洞门框状构件模具
KR101124692B1 (ko) 조립식 반력프레임을 이용한 빔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빔 제작방법
KR20050091252A (ko) 지그대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798538B1 (ko) 레고형 대차 동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