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538B1 - 레고형 대차 동바리 - Google Patents

레고형 대차 동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538B1
KR101798538B1 KR1020170039308A KR20170039308A KR101798538B1 KR 101798538 B1 KR101798538 B1 KR 101798538B1 KR 1020170039308 A KR1020170039308 A KR 1020170039308A KR 20170039308 A KR20170039308 A KR 20170039308A KR 101798538 B1 KR101798538 B1 KR 101798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le
moving
bloc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수
Original Assignee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9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2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rooms as a whole by which walls and floors are cast simultaneously, whole storeys, or whole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Abstract

본 발명은 레고형 대차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이동이 용이한 높이와 공간이 마련되도록 조립 되는 대차블록의 모서리 및 중앙 영역에 구비되는 대차이동장치와 대차받침장치로써 대차블록을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받치는 동시에, 대차이동장치와 대차받침장치가 임팩트공구의 사용이 가능한 이동체결너트 및 수직이동스크류의 승하강구조로 구성되어 작업가 적은 힘으로 단시간에 대차블록을 수평을 유지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편리함과 작업시간이 단축되었으며, 또한 대차블록이 수평이 유지되면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부에 연결되는 슬라브패널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대차블록에 탈형장치와 벽체지지수단으로써 벽체패널을 연결함에 따라 벽체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탈형이 용이하여 패널을 분리하지 않고 신속하게 이동시켜 연속적인 거푸집 시공을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레고형 대차 동바리{Lego Type Cart Supporting Post}
본 발명은 레고형 대차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작업장 바닥에 대차이동장치 및 대차받침장로서 안정되게 받쳐지는 대차블록을 임팩트공구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써 수평으로 안정되게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바리는 건설업에서 쓰는 용어로 건축 구조물을 지지하는 받침대로서, 건축공사 및 노후된 건축물을 철거 또는 리모델링하는 공사에 사용되며 주로 슬라브 구조를 받쳐주는 작업에 사용된다. 즉, 동바리는 슬라브 형틀 설치시 형틀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거나 구조물 철거시 하부 슬라브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가설재이며, 통상 철재로 이루어지고 슬라브의 높이에 따라 길이가 달라진다.
이와 같은 동바리에 대한 선행기술은 등록특허 10-1607890호(발명의 명칭 : 대차가 구비된 일체형 동바리)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경사진 작업장의 바닥면 및 슬라브에 상부판 및 하부판이 자연스럽게 밀착 가능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구비하여,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게 되었으며, 또한 복층구조의 대차를 이용하여 하부의 미세높이조절 및 전체적인 높이 조절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및 해체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장에 레일을 깔아 신속한 이동 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대차의 높이가 한정되어 있고, 자유롭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지 못하여, 정해진 높이의 상부슬라브만 지지할 수 있어 작업의 한계성을 갖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으며, 천정패널, 벽체패널 및 모서리패널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패널을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수단 및 천정패널, 벽체패널 및 모서리패널을 탈형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못하여 작업성이 저하되었으며, 또한 높이조절을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하여 진행하게 됨에 따라 작업자의 힘과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었으며, 또한 수평으로의 이동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어 지지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차이동장치와 대차받침장치로써 대차블록을 작업장 바닥에 안정되게 받치고, 임팩트공구를 사용하여 적은힘으로 대차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면서 슬라브패널을 지지하는 동시에 탈형장치 및 벽체지지수단으로써 벽체패널 및 모서리패널을 지지하여 상부슬라브 및 벽체의 시공 및 탈형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레고형 대차 동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차블록과 상부대차블록의 상하조립을 임팩트공구를 사용한 고정체결너트 및 수직체결스크류의 체결력으로 적은 힘으로써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은, 전후 및 중앙 영역에 조립통공이 형성된 하부세로프레임과, 하부세로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가로찬넬과, 하부세로프레임의 조립통공 영역에 설치된 수직보강프레임과, 수직보강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된 상부세로프레임과, 상부세로프레임 내측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가로찬넬로 이루어진 대차블록과; 상기 하부세로프레임 전후의 조립통공을 통하여 수직보강프레임 외측 영역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차블록을 이동시키기 위한 대차이동장치와; 상기 하부세로프레임 중앙의 조립통공을 통하여 수직보강프레임 외측 영역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차블록을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대차받침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가로찬넬 상부에 상부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한 슬라브패널이 체결수단으로써 연결지지되고, 상기 수직보강프레임의 양측에는 탈형장치 및 벽체지지수단으로써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슬라브패널과 모서리패널을 연결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이동이 용이한 높이와 공간이 마련되도록 조립 되는 대차블록의 모서리 및 중앙 영역에 구비되는 대차이동장치와 대차받침장치로써 대차블록을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받치는 동시에, 대차이동장치와 대차받침장치가 임팩트공구의 사용이 가능한 이동체결너트 및 수직이동스크류의 승하강구조로 구성되어 작업가 적은 힘으로 단시간에 대차블록을 수평을 유지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편리함과 작업시간이 단축되었으며, 또한 대차블록이 수평이 유지되면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부에 연결되는 슬라브패널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대차블록에 탈형장치와 벽체지지수단으로써 벽체패널을 연결함에 따라 벽체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탈형이 용이하여 패널을 분리하지 않고 신속하게 이동시켜 연속적인 거푸집 시공을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높이조절을 위해 대차블록 상부에 조립되는 상부대차블록의 상하조립을 임팩트공구를 이용한 수직체결스크류 및 고정체결너트의 체결력으로써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대차이동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도 2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대차받침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1실시예에 대한 대차이동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1실시예에 대한 슬라브패널이 설치된 상태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도로서, 상부슬라브와 벽체패널이 시공된 상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1실시예로서, 상부슬라브와 벽체패널이 탈형되는 상태의 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1실시예에 대한 슬라브패널 및 벽체패널의 구성도.
도 11은 도 7의 "C"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탈형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12는 도 7의 "D"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벽체지지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1실시예에 대한 대차이동장치의 동작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E"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대차이동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17은 도 15의 "F"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대차받침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18은 도 15의 "G"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슬라브패널이 설치된 상태의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2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도로서, 상부슬라브와 벽체패널이 시공된 상태의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2실시예로서, 상부슬라브와 벽체패널이 탈형되는 상태의 구성도.
도 21은 도 19의 "H"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탈형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2는 도 19의 "I"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벽체지지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23은 도 15의 "J"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블록조립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대차이동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대차받침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1실시예에 대한 대차이동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1실시예는 전후 및 중앙 영역에 조립통공(11a)(11b)이 형성되고, 좌우측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 하부세로프레임(11)과, 하부세로프레임(11) 내측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가로찬넬(13)과, 하부세로프레임(11)의 조립통공(11a)(11b) 영역에 동일 높이로 하단이 설치된 다수의 수직보강프레임(15)과, 수직보강프레임(15)의 상단에 하단이 설치된 상부세로프레임(17)과, 상부세로프레임(17) 내측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가로찬넬(19)로 이루어진 대차블록(10)과; 하부세로프레임(11) 전후의 조립통공(11a)을 통하여 수직보강프레임(15) 외측 영역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차블록(10)을 이동시키기 위한 대차이동장치(20)와; 하부세로프레임(11) 중앙의 조립통공(11b)을 통하여 수직보강프레임(15) 외측 영역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차블록(10)을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대차받침장치(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차이동장치(20)는 하부세로프레임(11) 전후의 조립통공(11a) 외주면에 고정되고, 조립통공(11a)과 대응되게 통공(22a)이 형성된 양측보강편(22)과; 조립통공(11a)과 통공(22a)을 통하여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 작업장 바닥면(1)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부재(30)가 구비되며, 상부 외주면에 차단편(23)이 구비된 수직안내봉(24)과; 수직안내봉(24)의 상부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수직보강프레임(15) 외측에 구비되어 대차블록(10)을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부재(30)는 수직안내봉(24)의 하단에 고정되는 수평마감편(31)과; 수평마감판(31)과 나사 체결 고정되는 수평고정편(33)과; 수평고정편(33) 하단에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되는 한쌍의 수직편(35)과; 수직판(35) 사이에 회전핀(37)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롤러(39)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이동수단(40)은 수직보강프레임(15) 외측에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고정되고, 수직안내봉(24)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이동공(41a)이 형성된 하부고정판(41)과; 하부고정판(41)의 하부이동공(41a)과 연통되게 하부고정판(41) 상부에 하단이 수직으로 고정되고, 수직안내공(43a)이 형성된 수직안내파이프(43)와; 수직안내파이프(43)의 상단이 연통되게 고정되고, 수직보강프레임(15)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이동공(45a)이 형성된 상부고정판(45)과; 상부고정판(45)의 상부에 상부이동공(45a)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이동나사공(47a)가 형성된 이동체결너트(47)와; 이동체결너트(47)의 이동나사공(47a)에 체결되는 대차블록(10)을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동스크류(49)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이동스크류(49)의 상단에는 임팩공구(미도시)가 결합되는 공구결합돌부(49a)가 형성된다.
상기 대차받침장치(50)는 하부세로프레임(11) 중앙의 조립통공(11b) 외주면에 고정되고, 조립통공(11b)과 대응되게 통공(52a)이 형성된 중앙보강편(52)과; 조립통공(11b)과 통공(52a)을 통하여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외주면에 차단편(53)이 구비된 수직안내봉(54)과; 수직안내봉(54)의 하단에 고정되어 바닥면(1)에 밀착되어 대차블록(10)을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수평마감받침대(56)와; 수직안내봉(54)의 상부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수직보강프레임(15) 외측에 구비되어 대차블록(10)을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수단(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이동수단(60)은 수직보강프레임(15) 외측에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고정되고, 수직안내봉(54)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이동공(61a)이 형성된 하부고정판(61)과; 하부고정판(61)의 하부이동공(61a)과 연통되게 하부고정판(61) 상부에 하단이 수직으로 고정되고, 수직안내공(63a)이 형성된 수직안내파이프(63)와; 수직안내파이프(63)의 상단이 연통되게 고정되고, 수직보강프레임(15)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이동공(65a)이 형성된 상부고정판(65)과; 상부고정판(65)의 상부에 상부이동공(65a)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이동나사공(67a)가 형성된 이동체결너트(67)와;이동체결너트(67)의 이동나사공(67a)에 체결되는 대차블록(10)을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동스크류(69)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이동스크류(69)의 상단에는 임팩공구(미도시)가 결합되는 공구결합돌부(69a)가 구비된다.
한편, 상부세로프레임(17) 및 상부가로찬넬(19) 상부에는 상부슬라브(3)를 시공하기 위한 슬라브패널(70)이 연결지지되는 체결수단(85)이 구비되고, 수직보강프레임(15)의 양측에는 탈형장치(90) 및 벽체지지수단(100)으로써 벽체패널(71)이 연결지지되어 벽체(5)를 시공하게 되며, 슬라브패널(70)과 벽체패널(71)의 상부 모서리 영역에는 모서리패널(72)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양생작업 완료후 탈형장치(90)의 동작으로 슬라브패널(70), 벽체패널(71) 및 모서리패널(72)이 쉽게 탈형된다.
상기 슬라브패널(70) 및 벽체패널(71)은 직사각으로 이루어진 후면판(73)과; 후면판(73)의 좌우측 양단에 동일 높이로 고정된 측면판(74)과; 후면판(73)과 측면판(74) 사이의 상하부에 고정된 상부판(75) 및 하부판(76)과; 측면판(74) 사이의 후면판(73) 전면에 등간격으로 수평으로 고정되고, 조립공(77a)이 형성된 다수의 수평연결판(77)과; 상,하부판(75)(76), 수평연결판(77) 및 후면판(73)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된 수직연결판(78)과; 상,하부판(75)(76) 사이에 상하면이 고정되고, 후면판(73) 전면에 후면이 고정되며, 수평연결판(76)에 수직으로 교차되고, 좌우 간격을 유지하여 결합 고정되며, 대응되게 체결공(79a)이 형성된 된 한쌍의 수직보강판(79)과; 상,하부판(75)(76) 및 측면판(74), 상,하부판(75)(76) 및 수직연결판(78), 측면판(74) 및 수평연결판(77)의 모서리 영역에 설치되어 수직 및 수평강도를 보강시키기 위한 강도보강재(8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강도보강재(80)는 상,하부판(75)(76) 및 측면판(74), 상,하부판(75)(76) 및 수직연결판(78), 측면판(74) 및 수평연결판(77)의 모서리 영역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고정편(81)(82)과; 밀착고정편(81)(82) 사이에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는 경사마감편(8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85)은 슬라브패널(70)을 구성하는 수직보강판(79) 사이의 수평연결판(77)의 조립공(77a)에 상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가 상부가로찬넬(19) 사이를 통과하여 하부로 위치된 걸림장볼트(86)와; 걸림장볼트(86)의 하부가 결합되는 결합통공(87a)이 형성되고, 상부가로찬넬(19) 하단에 마감 고정되는 하부마감판(87)과; 걸림장볼트(86)에 체결되어 하부마감판(87)의 결합통공(87a) 하부 외주면에 밀착되는 고정너트(88)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형장치(90)는 수직보강프레임(15) 내측과 벽체패널(71)를 구성하는 수직보강판(79) 사이의 체결공(79a)에 연결핀(91)으로써 회동 가능하고 연결된 제1,2이동볼트(92)(93)와; 상기 제1,2이동볼트(92)(93) 사이에 체결되는 나사공(94a)이 형성되어, 제1,2하부이동볼트(92)(93)가 나사공(94a)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되는 조절봉(9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지지수단(100)은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 벽체패널(71)을 구성하는 수직보강판(79) 사이의 후면판(73)에 형성된 파이프끼움공(101)(102)과; 파이프끼움공(101)(102) 사이에 결합되는 중공의 매설파이프(103)와; 매설파이프(103) 내경을 통과하여 양단이 돌출되게 결합되는 보강장볼트(104)와; 보강장볼트(104)에 결합되어 수직보강판(79) 단부에 밀착되는 사각와셔(105)와; 보강장볼트(104)에 체결되고 사각와셔(105)에 밀착되는 고정너트(106)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4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에 대한 제2실시예는 전후 및 중앙 영역에 조립통공(11a)(11b)이 형성되고, 전후방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 하부세로프레임(11)과, 하부세로프레임(11) 내측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가로찬넬(13)과, 하부세로프레임(13)의 조립통공(11a)(11b) 영역에 동일 높이로 하단이 설치된 다수의 수직보강프레임(15)과, 수직보강프레임(15)의 상단에 하단이 설치된 상부세로프레임(17)과, 상부세로프레임(17) 내측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가로찬넬(19)로 이루어진 대차블록(10)과; 하부세로프레임(11) 전후의 조립통공(11a)을 통하여 수직보강프레임(15) 외측 영역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차블록(10)을 이동시키기 위한 대차이동장치(20)와; 하부세로프레임(11) 중앙의 조립통공(11b)을 통하여 수직보강프레임(15) 외측 영역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차블록(10)을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대차받침장치(50)와; 대차블록(10)의 상부세로프레임(17) 전후 및 중앙 영역에 형성된 상부조립통공(110)과; 상부조립통공(110)과 대응되게 중앙조립통공(121) 형성된 중앙세로프레임(120)과, 중앙세로프레임(120) 내측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중앙가로찬넬(130)과, 중앙세로프레임(120)의 중앙조립통공(121) 영역에 동일 높이로 하단이 설치된 다수의 상부수직보강프레임(140)과, 상부수직보강프레임(140)의 상단에 하단이 설치된 상단세로프레임(150)과, 상단세로프레임(150) 내측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상단가로찬넬(16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세로프레임(17)의 상부조립통공(110)과 중앙세로프레임(120)의 중앙조립통공(121)을 통해 체결되는 블록조립장치(180)로써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대차블록(1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차이동장치(20)는 하부세로프레임(11) 전후의 조립통공(11a) 외주면에 고정되고, 조립통공(11a)과 대응되게 통공(22a)이 형성된 양측보강편(22)과; 조립통공(11a)과 통공(22a)을 통하여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 작업장 바닥면(1)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부재(30)가 구비되며, 상부 외주면에 차단편(23)이 구비된 수직안내봉(24)과; 수직안내봉(24)의 상부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수직보강프레임(15) 외측에 구비되어 대차블록(15)을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부재(30)는 수직안내봉(24)의 하단에 고정되는 수평마감편(31)과;
수평마감판(31)과 나사 체결 고정되는 수평고정편(33)과; 수평고정편(33) 하단에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되는 한쌍의 수직편(35)과; 수직판(35) 사이에 회전핀(37)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롤러(39)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이동수단(40)은 수직보강프레임(15) 외측에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고정되고, 수직안내봉(24)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이동공(41a)이 형성된 하부고정판(41)과; 하부고정판(41)의 하부이동공(41a)과 연통되게 하부고정판(41) 상부에 하단이 수직으로 고정되고, 수직안내공(43a)이 형성된 수직안내파이프(43)와; 수직안내파이프(43)의 상단이 연통되게 고정되고, 수직보강프레임(15)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이동공(45a)이 형성된 상부고정판(45)과; 상부고정판(45)의 상부에 상부이동공(45a)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이동나사공(47a)가 형성된 이동체결너트(47)와; 이동체결너트(47)의 이동나사공(47a)에 체결되는 대차블록(10)을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동스크류(49)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이동스크류(49)의 상단에는 임팩공구(미도시)가 결합되는 공구결합돌부(49a)가 구비된다.
상기 대차받침장치(50)는 하부세로프레임(11) 중앙의 조립통공(11b) 외주면에 고정되고, 조립통공(11b)과 대응되게 통공(52a)이 형성된 중앙보강편(52)과; 조립통공(11b)과 통공(52a)을 통하여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외주면에 차단편(53)이 구비된 수직안내봉(54)과; 수직안내봉(54)의 하단에 고정되어 바닥면(1)에 밀착되어 대차블록(10)을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수평마감받침대(56)와; 수직안내봉(54)의 상부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수직보강프레임(15) 외측에 구비되어 대차블록(10)을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수단(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이동수단(60)은 수직보강프레임(15) 외측에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고정되고, 수직안내봉(54)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이동공(61a)이 형성된 하부고정판(61)과; 하부고정판(61)의 하부이동공(61a)과 연통되게 하부고정판(61) 상부에 하단이 수직으로 고정되고, 수직안내공(63a)이 형성된 수직안내파이프(63)와; 수직안내파이프(63)의 상단이 연통되게 고정되고, 수직보강프레임(15)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이동공(65a)이 형성된 상부고정판(65)과; 상부고정판(65)의 상부에 상부이동공(65a)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이동나사공(67a)가 형성된 이동체결너트(67)와; 이동체결너트(67)의 이동나사공(67a)에 체결되는 대차블록(10)을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동스크류(69)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이동스크류(69)의 상단에는 임팩공구(미도시)가 결합되는 공구결합돌부(69a)가 형성된다.
상기 블록조립장치(180)는 상부세로프레임(17)의 상부조립통공(110) 및 중앙세로프레임(120)의 중앙조립통공(121)과 연통되게 삽입공(181)이 형성되고, 상부세로프레임(17)의 하부와 중앙세로프레임(120) 상부에 고정된 하부마감판(182) 및 상부마감판(183)과;
하부마감판(182) 하부에 삽입공(181)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나사공(184a)이 형성된 고정체결너트(184)와;
상부조립통공(110), 중앙조립통공(121) 및 삽입공(120)을 통하여 결합되고, 고정체결너트(184)에 나사공(184a)에 체결되어 대차블록(10)과 상부대차블록(170)을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는 수직체결스크류(186)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체결스크류(186)는 상부조립통공(110), 중앙조립통공(121) 및 삽입공(181)을 통해 결합되어 고정체결너트(184)의 나사공(184a)에 체결되는 나사체결부(186a)와; 나사체결부(186a)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마감판(183) 상부에 밀착되고, 상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임팩공구(미도시)가 결합되는 공구결합돌부(186b-1)가 형성된 밀착와셔(186b)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단세로프레임(150) 상부에는 상부슬라브(3)를 시공하기 위한 슬라브패널(70)이 연결지지되는 체결수단(80)이 구비되고, 수직보강프레임(15) 및 상부수직보강프레임(140)의 양측에는 탈형장치(90) 및 벽체지지수단(100)으로써 벽체패널(71)이 연결지지되어 벽체(5)를 시공하게 되며, 슬라브패널(70)과 벽체패널(71)의 상부 모서리 영역에는 모서리패널(72)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양생작업 완료후 탈형장치(90)의 동작으로 슬라브패널(70), 벽체패널(71) 및 모서리패널(72)이 쉽게 탈형된다.
상기 슬라브패널(70) 및 벽체패널(71)은 직사각으로 이루어진 후면판(73)과; 후면판(73)의 좌우측 양단에 동일 높이로 고정된 측면판(74)과; 상기 후면판(73)과 측면판(74) 사이에 고정된 상,하부판(75)(76)과; 상기 측면판(74) 사이의 후면판(73) 전면에 수평으로 고정되고, 조립공(77a)이 형성된 다수의 수평연결판(77)과; 상기 상,하부판(75)(76), 수평연결판(77) 및 후면판(73)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된 수직연결판(78)과; 상기 상,하부판(75)(76) 사이에 상하면이 고정되고, 후면판(73) 전면에 후면이 고정되며, 수평연결판(77)에 수직으로 교차되고, 좌우 간격을 유지하여 결합 고정되며, 대응되게 체결공(79a)이 형성된 한쌍의 수직보강판(79)과; 상,하부판(75)(76) 및 측면판(74), 상,하부판(75)(76) 및 수직연결판(78), 측면판(74) 및 수평연결판(77)의 모서리 영역에 설치되어 수직 및 수평강도를 보강시키기 위한 강도보강재(8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강도보강재(80)는 상,하부판(74)(75) 및 측면판(73), 상,하부판(74)(75) 및 수직연결판(77), 측면판(73) 및 수평연결판(76)의 모서리 영역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고정편(81)(82)과; 밀착고정편(81)(82) 사이에 경사지게 일체로 마감되는 경사마감편(8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85)은 슬라브패널(70)을 구성하는 수직보강판(79) 사이의 수평연결판(77)의 조립공(77a)에 상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가 상단가로찬넬(160) 사이를 통과하여 하부로 위치된 걸림장볼트(86)와; 걸림장볼트(86)의 하부가 결합되는 결합통공(87a)이 형성되고, 상단가로찬넬(150) 하단에 마감 고정되는 하부마감판(87)과; 걸림장볼트(86)에 체결되어 하부마감판(87)의 결합통공(87a) 하부 외주면에 밀착되는 고정너트(88)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형장치(90)는 수직보강프레임(15) 및 상부수직보강프레임(140) 내측과 벽체패널(71)를 구성하는 수직보강판(79) 사이의 체결공(79a)에 연결핀(91)으로써 회동 가능하고 연결된 제1,2이동볼트(92)(93)와; 상기 제1,2이동볼트(92)(93) 사이에 체결되는 나사공(94a)이 형성되어, 제1,2하부이동볼트(92)(93)가 나사공(94a)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되는 조절봉(9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지지수단(100)은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 벽체패널(71)을 구성하는 수직보강판(79) 사이의 후면판(73)에 형성된 파이프끼움공(101)(102)과; 파이프끼움공(101)(102) 사이에 결합되는 중공의 매설파이프(103)와; 매설파이프(103) 내경을 통과하여 양단이 돌출되게 결합되는 보강장볼트(104)와; 보강장볼트(104)에 결합되어 수직보강판(79) 단부에 밀착되는 사각와셔(105)와; 보강장볼트(104)에 체결되고 사각와셔(105)에 밀착되는 고정너트(106)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1실시예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하부세로프레임(11), 하부가로찬넬(13), 수직보강프레임(15), 상부세로프레임(17) 및 상부가로찬넬(19)로 이루어지고, 작업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높이와 공간이 마련되게 제작된 대차블록(10) 하부의 대차이동장치(20)를 구성하는 롤러부재(30)의 이동롤러(39)를 작업장 바닥면에 내려 놓은 다음, 대차블록을 작업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대차블록(10)을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대차받침장치(50)는 하부세로프레임(11) 중앙의 조립통공(11b)과 중앙보강편(52)의 통공(52a)에, 차단편(53)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도록 수직안내봉(54)으로 결합된 상태, 수직이동스크류(69)를 상방으로 분리시켜 대차블록(10)을 받치기 위한 힘을 해제시키게 된다.(도 4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에서와 같이 상부세로프레임(17) 및 상부가로찬넬(19) 상부에 상부슬라브(3)를 시공하기 위한 슬라브패널(70)을 체결수단(85)으로써 연결지지하게 된다.
즉, 상부가로찬넬(19) 하단에 마감 고정되는 하부마감판(87)의 결합통공(87a)에 결합되고, 고정너트(88)로써 체결된 걸림장볼트(86) 상부에, 수직보강판(79) 사이의 수평연결판(77)의 조립공(77a)을 결합하여 슬라브패널(70)을 연결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도 13a 및 도 13b에서와 같이 대차이동장치(20)를 구성하는 상하이동수단(40)의 수직이동스크류(49) 상단의 공구결합돌기(49a)에, 임팩트공구(미도시: 에어로 동작됨)를 결합하여 시계방향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부고정판(45) 상부에 고정된 이동체결너트(47)의 이동나사공(47a)에 나사 체결되는 수직이동스크류(40)가 이동나사공(47a)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하부고정판(41)과 상부고정판(45)에 연통되게 고정된 수직안내파이프(43)의 수직안내공(43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바닥면에 안착된 롤러부재(30)가 하단에 구비되고, 수직안내파이프(43)의 수직안내공(43a)에 결합되며, 상단이 수직이동스크류(40) 하단에 맞닿은 상태의 수직안내봉(24)이 수직안내파이프(43)의 수직안내공(43a)을 따라 하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하단의 롤러부재(30)가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수직이동스크류(40)의 하방으로의 이동길이 만큼, 하부세로프레임(11)의 조립통공(11a)과 양측보강편(22)의 통공(22a)이, 수직안내봉(24)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대차블록(10) 전체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대차블록(10) 모서리 영역 4곳의 상하이동수단(40)을 순차로 이동하여 대차블록(10)을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대차블록(10)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부세로프레임(17) 및 상부가로찬넬(19) 상부에 체결수단(85)으로써 연결된 슬라브패널(70)이 상승하여 상부슬라브(3) 시공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세로프레임(11) 중앙의 조립통공(11b)을 통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대차받침장치(50)를 동작시켜 대차블록(10)의 중앙 영역을 안정되게 받치게 된다.
이에 대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서와 같이 대차받침장치(50)를 구성하는 상하이동수단(60)의 수직이동스크류(69) 상단의 공구결합돌기(69a)에, 임팩트공구(미도시)를 결합하여 시계방향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부고정판(65) 상부에 고정된 이동체결너트(67)의 이동나사공(67a)에 나사 체결되는 수직이동스크류(69)가 이동나사공(67a)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하부고정판(61)과 상부고정판(65)에 연통되게 고정된 수직안내파이프(63)의 수직안내공(63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직이동스크류(69)의 하단이, 수직안내파이프(63)의 수직안내공(63a)에 결합된 수직안내봉(54)의 상단에 맞닿게 되어 하방으로 밀리게 되어 수직안내봉(54) 하단의 수평마감받침대(56)가 바닥면에 밀착되어 대차블록(10)을 안정되게 받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대차블록(10)의 수직보강프레임(15) 양측에 탈형장치(90) 및 벽체지지수단(100)으로써 벽체패널(71)이 연결지지하여 벽체(5)를 시공하게 된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대차블록(10)의 수직보강프레임(15) 양측에 탈형장치(90)의 일측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타측에는 벽체지지수단(100)으로써 간격을 유지하여 조립된 내측의 벽체패널(71)을 지지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슬라브패널(70)과 벽체패널(71) 사이에 모서리패널(7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다음, 슬라브패널(70), 벽체패널(71) 및 모서리패널(72)에 콘트리를 타설한 다음, 이를 적정기간 동안 양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도 8에서와 같이 벽체패널(71) 사이를 연결지지하는 벽체지지수단(100)을 해체하게 된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벽체패널(71)을 구성하는 수직보강판(79) 사이의 후면판(7)에 형성되는 파이프끼움공(101)(102)에 결합된 매설파이프(103) 내경에, 양단이 돌출되게 결합되는 보강장볼트(104)로부터 고정너트(106)의 체결력을 순차적으로 해제한 다음, 매설파이프(103) 내경으로부터 보강장볼트(104)를 순차적으로 분리시키게 된다.(도 12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도 13a, 도 13b에서와 같이 대차이동장치(20) 및 대차받침장치(50)의 상하이동수단(40)(60)을 구성하는 수직이동스크류(49)(69)를 임팩트공구(미도시)로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반대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회전시켜 대차블록(10)을 수평을 유지하여 하방으로 이동시켜, 양생된 상부슬라브(3)로부터 슬라브패널(70)을 분리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도 11에서와 같이, 대차블록(10)의 수직보강프레임(15) 양측과 벽체패널(71)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탈형장치(90)를 동작시켜, 양생이 완료된 내측의 벽체패널(71)과 모서리패널(72)을 탈형시키게 된다.(도 8참조)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탈형장치(90)를 구성하는 조절봉(94)를 회전시켜 제1,2이동볼트(92)(93)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양생된 벽체(5)로부터 내측의 벽체패널(71)을 탈형시키고 모서리패널(72)를 탈형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대차받침장치(50)를 구성하는 상하이동수단(60)의 수직이동스크류(69) 하단을 수직안내봉(54) 상단으로부터 분리시켜 대차블록(10)을 받치기 위한 힘을 해제시킨 다음, 대차블록(10)의 수직보강프레임(15)에 탈형수단(90)에 의해 고정된 내측 벽체패널(71)과 상부가로찬넬(19) 상부에 체결수단(85)으로써 연결지지된 슬라브패널(70) 및 모서리패널(72)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대차블록(10)을 작업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거푸집 조립작업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4내지 도 23에서와 같이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2실시예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및 도 15에서와 같이 하부세로프레임(11), 하부가로찬넬(13), 수직보강프레임(15), 상부세로프레임(17) 및 상부가로찬넬(19)로 이루어지고, 하부 모서리 영역과 중앙 영역에 대차이동장치(20)와 대차받침장치(50)가 구비된 대차블록(10)를 롤러부재(30)를 바닥면에 내려 놓은 다음, 대차블록을 작업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대차블록(10)의 상부세로프레임(17) 상부에, 중앙세로프레임(120), 중앙가로찬넬(130), 상부수직보강프레임(140), 상단세로프레임(150) 및 상단가로찬넬(160)로 이루어진 상부대차블록(170)을 블록조립장치(180)로써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게 된다.
이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23에서와 같이 상부대차블록(170)을 들어올려 중앙세로프레임(120)의 중앙조립통공(121)과 상부세로프레임(17)의 상부조립통공(110)을 일치시키고, 상부마감판(183)의 삽입공(181), 중앙조립통공(121), 하부마감판(182)의 삽입공(181), 상부조립통공(110)을 통해 수직체결스크류(186)의 나사체결부(186a)를 결합한 다음, 밀착와셔(186b) 상부의 공구결합돌부(186b-1)에 임팩공구(미도시)를 결합하여 체결하면, 수직체결스크류(186)의 나사체결부(186a)가, 하부마감판(182) 하부에 삽입공(181)과 연통되게 고정된 고정체결너트(184)의 나사공(184a)에 체결되어 대차블록(10) 상부에 상부대차블록(170)가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때, 대차블록(10)을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대차받침장치(50)는 하부세로프레임(11) 중앙의 조립통공(11b)과 중앙보강편(52)의 통공(52a)에, 차단편(53)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도록 수직안내봉(54)으로 결합된 상태, 수직이동스크류(69)를 상방으로 분리시켜 대차블록(10)을 받치기 위한 힘을 해제시키게 된다.(도 17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도 18에서와 같이 상단세로프레임(150) 및 상단가로찬넬(160) 상부에 상부슬라브(3)를 시공하기 위한 슬라브패널(70)을 체결수단(85)으로써 연결지지하게 된다.
즉, 상단가로찬넬(160) 하단에 마감 고정되는 하부마감판(87)의 결합통공(87a)에 결합되고, 고정너트(88)로써 체결된 걸림장볼트(86) 상부에, 수직보강판(79) 사이의 수평연결판(77)의 조립공(77a)을 결합하여 슬라브패널(70)을 연결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도 13a 및 도 13b에서와 같이, 대차이동장치(20)를 구성하는 상하이동수단(40)의 수직이동스크류(49) 상단의 공구결합돌기(49a)에, 임팩트공구(미도시)를 결합하여 시계방향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부고정판(45) 상부에 고정된 이동체결너트(47)의 이동나사공(47a)에 나사 체결되는 수직이동스크류(40)가 이동나사공(47a)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하부고정판(41)과 상부고정판(45)에 연통되게 고정된 수직안내파이프(43)의 수직안내공(43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바닥면에 안착된 롤러부재(30)가 하단에 구비되고, 수직안내파이프(43)의 수직안내공(43a)에 결합되며, 상단이 수직이동스크류(40) 하단에 맞닿은 상태의 수직안내봉(24)이 수직안내파이프(43)의 수직안내공(43a)을 따라 하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하단의 롤러부재(30)가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수직이동스크류(40)의 이동길이 만큼, 하부세로프레임(11)의 조립통공(11a)과 양측보강편(22)의 통공(22a)이, 수직안내봉(24)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대차블록(10)과 상부대차블록(170) 전체의 높이가 조절된다.(도 13b참조)
이와 같은 동작으로 대차블록(10) 모서리 영역 4곳의 상하이동수단(40)을 순차로 이동하여 대차블록(10)과 상부대차블록(170)을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대차블록(10)과 상부대차블록(170)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단세로프레임(150) 및 상단가로찬넬(160) 상부에 체결수단(85)으로써 연결된 슬라브패널(70)이 상승하여 상부슬라브(3) 시공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세로프레임(11) 중앙의 조립통공(11b)을 통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대차받침장치(50)를 동작시켜 대차블록(10)의 중앙 영역을 안정되게 받치게 된다.
이에 대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17에서와 같이 대차받침장치(50)를 구성하는 상하이동수단(60)의 수직이동스크류(69) 상단의 공구결합돌기(69a)에, 임팩트공구(미도시)를 결합하여 시계방향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부고정판(65) 상부에 고정된 이동체결너트(67)의 이동나사공(67a)에 나사 체결되는 수직이동스크류(69)가 이동나사공(67a)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하부고정판(61)과 상부고정판(65)에 연통되게 고정된 수직안내파이프(63)의 수직안내공(63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직이동스크류(69)의 하단이, 수직안내파이프(63)의 수직안내공(63a)에 결합된 수직안내봉(54)의 상단에 맞닿게 되어 하방으로 밀리게 되어 수직안내봉(54) 하단의 수평마감받침대(56)가 바닥면에 밀착되어 대차블록(10)과 상부대차블록(170)을 안정되게 받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대차블록(10)의 수직보강프레임(15) 양측에 탈형장치(90) 및 벽체지지수단(100)으로써 벽체패널(71)이 연결지지하여 벽체(5)를 시공하게 된다.
즉, 도 19에서와 같이 대차블록(10)의 수직보강프레임(15) 양측에 탈형장치(90)의 일측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타측에는 벽체지지수단(100)으로써 간격을 유지하여 조립된 벽체패널(71)을 지지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슬라브패널(70)과 벽체패널(71) 사이에 모서리패널(7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다음, 슬라브패널(70), 벽체패널(71) 및 모서리패널(72)에 콘트리를 타설한 다음, 이를 적정기간 동안 양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도 20에서와 같이 벽체패널(71) 사이를 연결지지하는 벽체지지수단(100)을 해체하게 된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벽체패널(71)을 구성하는 수직보강판(79) 사이의 후면판(73)에 형성되는 파이프끼움공(101)(102)에 결합된 매설파이프(103) 내경에, 양단이 돌출되게 결합되는 보강장볼트(104)로부터 고정너트(106)의 체결력을 순차적으로 해제한 다음, 매설파이프(103) 내경으로부터 보강장볼트(104)를 순차적으로 분리시키게 된다.(도 22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대차이동장치(20) 및 대차받침장치(50)의 상하이동수단(40)(60)을 구성하는 수직이동스크류(49)(69)를 임팩트공구(미도시)로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반대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회전시켜 대차블록(10)을 수평을 유지하여 하방으로 이동시켜, 양생된 상부슬라브(3)로부터 슬라브패널(70)을 분리시키게 된다.(도 13a 및 도 13b참조)
그 다음으로 도 21에서와 같이, 대차블록(10)의 수직보강프레임(15) 양측과 벽체패널(71)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탈형장치(90)를 동작시켜, 양생이 완료된 내측의 벽체패널(71)과 모서리패널(72)을 탈형시키게 된다.
즉, 탈형장치(90)를 구성하는 조절봉(94)을 회전시켜 제1,2이동볼트(92)(93)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양생된 벽체(5)로부터 내측의 벽체패널(71)을 탈형시키고 모서리패널(72)를 탈형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대차받침장치(50)를 구성하는 상하이동수단(60)의 수직이동스크류(69) 하단을 수직안내봉(54) 상단으로부터 분리시켜 대차블록(10)을 받치기 위한 힘을 해제시킨 다음, 대차블록(10)의 수직보강프레임(15)에 탈형수단(90)에 의해 고정된 내측 벽체패널(71)과 상단가로찬넬(160) 상부에 체결수단(85)으로써 연결지지된 슬라브패널(70) 및 모서리패널(72)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대차블록(10)과 상부대차블록(170)을 작업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거푸집 조립작업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도 20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 가능한 범위까지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3 : 상부슬라브 5 : 벽체
10 : 대차블록 11 : 하부세로프레임
11a,11b : 조립통공 13 : 하부가로찬넬
15 : 수직보강프레임 17 : 상부세로프레임
19 : 상부가로찬넬 20 : 대차이동장치
22 : 양측보강편 22a : 통공
23,53 : 차단편 24,54 : 수직안내봉
30 : 롤러부재 40,60: 상하이동수단
41,61 : 하부고정판 41a,61a : 하부이동공
43,63 : 수직안내파이프 43a,63a : 수직안내공
45,65 : 상부고정판 45a,65a : 상부이동공
47,67 : 이동체결너트 47a,67a : 이동나사공
49,69 : 수직이동스크류 50 : 대차받침장치
52 : 중앙보강편 52a : 통공
56 : 수평마감받침대 70 : 슬라브패널
71 : 벽체패널 72 : 모서리패널
73 : 후면판 74 : 측면판
75,76 : 상,하부판 77 : 수평연결판
77a : 조립공 78 : 수직연결판
79 : 수직보강판 79a : 체결공
80 : 강도보강재 81,82 : 밀착편
83 : 경사마감편 90 : 탈형장치
100 : 벽체지지수단 101,102 : 파이프끼움공
103 : 매설파이프 104 : 보강장볼트
15 : 사각와셔 106 : 고정너트
110 : 상부조립통공 120 : 중앙세로프레임
121 : 중앙조립통공 130 : 중앙가로찬넬
140 : 상부수직보강프레임 150 : 상단세로프레임
160 : 상단가로찬넬 170 : 상부대차블록
180 : 블록조립장치 181 : 삽입공
182 : 하부마감판 183 : 상부마감판
184 : 고정체결너트 184a : 나사공
186 : 수직체결스크류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전후 및 중앙 영역에 조립통공(11a)(11b)이 형성된 하부세로프레임(11)과, 하부세로프레임(11)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가로찬넬(13)과, 하부세로프레임(11)의 조립통공(11a)(11b) 영역에 설치된 수직보강프레임(15)과, 수직보강프레임(15)의 상단에 설치되고, 전후 및 중앙 영역에 상부조립통공(110)이 형성된 상부세로프레임(17)과, 상부세로프레임(17) 내측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가로찬넬(19)로 이루어진 대차블록(10)과; 하부세로프레임(11) 전후의 조립통공(11a)을 통하여 수직보강프레임(15) 외측 영역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차블록(10)을 이동시키기 위한 대차이동장치(20)와; 하부세로프레임(11) 중앙의 조립통공(11b)을 통하여 수직보강프레임(15) 외측 영역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차블록(10)을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대차받침장치(50)와; 상부조립통공(110)과 대응되게 중앙조립통공(121) 형성된 중앙세로프레임(120)과, 중앙세로프레임(120) 내측 사이에 설치되는 중앙가로찬넬(130)과, 중앙세로프레임(120)의 중앙조립통공(121) 영역에 설치된 상부수직보강프레임(140)과, 상부수직보강프레임(140)의 상단에 설치된 상단세로프레임(150)과, 상단세로프레임(150) 내측 사이에 설치되는 상단가로찬넬(16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세로프레임(17)의 상부조립통공(110)과 중앙세로프레임(120)의 중앙조립통공(121)을 통해 체결되는 블록조립장치(180)로써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대차블록(170)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단가로찬넬(160) 상부에 상부슬라브(3)를 시공하기 위한 슬라브패널(70)이 체결수단(85)으로써 연결지지되고, 상기 상부수직보강프레임(140)의 양측에는 탈형장치(90) 및 벽체지지수단(100)로써 벽체(5)를 시공하기 위한 벽체패널(71)과 모서리패널(72)을 연결지지하도록 구성된 레고형 대차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대차이동장치(20)는
    상기 하부세로프레임(11) 전후의 조립통공(11a) 외주면에 고정되고, 조립통공(11a)과 대응되게 통공(22a)이 형성된 양측보강편(22)과;
    상기 조립통공(11a)과 통공(22a)을 통하여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 작업장 바닥면(1)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부재(30)가 구비되며, 상부 외주면에 차단편(23)이 구비된 수직안내봉(24)과;
    상기 수직보강프레임(15) 외측에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고정되고, 수직안내봉(24)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이동공(41a)이 형성된 하부고정판(41)과, 하부고정판(41)의 하부이동공(41a)과 연통되게 하부고정판(41) 상부에 하단이 수직으로 고정되고, 수직안내공(43a)이 형성된 수직안내파이프(43)와, 수직안내파이프(43)의 상단이 연통되게 고정되고, 수직보강프레임(15)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이동공(45a)이 형성된 상부고정판(45)과, 상기 상부고정판(45)의 상부에 상부이동공(45a)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이동나사공(47a)가 형성된 이동체결너트(47)와, 상기 이동체결너트(47)의 이동나사공(47a)에 체결되는 대차블록(10)을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동스크류(49)로 이루어진 상하이동수단(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대차 동바리.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받침장치(50)는
    상기 하부세로프레임(11) 중앙의 조립통공(11b) 외주면에 고정되고, 조립통공(11b)과 대응되게 통공(52a)이 형성된 중앙보강편(52)과;
    상기 조립통공(11b)과 통공(52a)을 통하여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외주면에 차단편(53)이 구비된 수직안내봉(54)과;
    상기 수직안내봉(54)의 하단에 고정되고, 바닥면(1)에 밀착되어 대차블록(10)을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수평마감받침대(56)와;
    상기 수직안내봉(54)의 상부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수직보강프레임(15) 외측에 구비되어 대차블록(10)을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수단(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대차 동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수단(60)은
    상기 수직보강프레임(15) 외측에 동일 높이로 고정되고, 수직안내봉(54)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이동공(61a)이 형성된 하부고정판(61)과;
    상기 하부고정판(61)의 하부이동공(61a)과 연통되게 하부고정판(61) 상부에 하단이 수직으로 고정되고, 수직안내공(63a)이 형성된 수직안내파이프(63)와;
    상기 수직안내파이프(63)의 상단이 연통되게 고정되고, 수직보강프레임(15)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이동공(65a)이 형성된 상부고정판(65)과;
    상기 상부고정판(65)의 상부에 상부이동공(65a)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이동나사공(67a)가 형성된 이동체결너트(67)와;
    상기 이동체결너트(67)의 이동나사공(67a)에 체결되는 대차블록(10)을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동스크류(6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대차 동바리.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조립장치(180)는
    상부세로프레임(17)의 상부조립통공(110) 및 중앙세로프레임(120)의 중앙조립통공(121)과 연통되게 삽입공(181)이 형성되고, 상부세로프레임(17) 하부와 중앙세로프레임(120) 상부에 고정된 하부마감판(182) 및 상부마감판(183)과;
    상기 하부마감판(182) 하부에 삽입공(181)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나사공(184a)이 형성된 고정체결너트(184)와;
    상기 상부조립통공(110), 중앙조립통공(121) 및 삽입공(120)을 통하여 결합되고, 고정체결너트(184)에 나사공(184a)에 체결되어 대차블록(10)과 상부대차블록(170)을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는 수직체결스크류(18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대차 동바리.
KR1020170039308A 2017-03-28 2017-03-28 레고형 대차 동바리 KR101798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308A KR101798538B1 (ko) 2017-03-28 2017-03-28 레고형 대차 동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308A KR101798538B1 (ko) 2017-03-28 2017-03-28 레고형 대차 동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538B1 true KR101798538B1 (ko) 2017-11-16

Family

ID=6080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308A KR101798538B1 (ko) 2017-03-28 2017-03-28 레고형 대차 동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987A (ko) * 2019-09-23 2021-03-3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농기계 보호구조물 시험용 지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874Y1 (ko) * 2001-06-19 2001-12-01 김주만 도로 횡단 지하통로용 강재 거푸집
KR101430922B1 (ko) * 2014-03-31 2014-08-18 박순덕 U형측구시공용 이동식 거푸집조립체
KR101691525B1 (ko) * 2016-04-22 2017-01-09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레고형 대차 동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874Y1 (ko) * 2001-06-19 2001-12-01 김주만 도로 횡단 지하통로용 강재 거푸집
KR101430922B1 (ko) * 2014-03-31 2014-08-18 박순덕 U형측구시공용 이동식 거푸집조립체
KR101691525B1 (ko) * 2016-04-22 2017-01-09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레고형 대차 동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987A (ko) * 2019-09-23 2021-03-3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농기계 보호구조물 시험용 지그
KR102292704B1 (ko) 2019-09-23 2021-08-23 대한민국 농기계 보호구조물 시험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447B1 (ko) 탈형이 용이한 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
KR101691525B1 (ko) 레고형 대차 동바리
KR101898166B1 (ko) 레고형 대차 동바리
KR200475021Y1 (ko) 이동식 거푸집 조립체
KR101396434B1 (ko)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
US4667923A (en) Molding device for modular concrete unit
KR101798538B1 (ko) 레고형 대차 동바리
US4650150A (en) Mold apparatus for vertical elements of concrete
KR101732681B1 (ko) 교량 캔틸레버부의 슬래브타설용 거푸집
WO2020134239A1 (zh) 一种用于生产预制构件的侧模固定方法
KR102124031B1 (ko) 유압식 코어 탈형 장치
KR102471695B1 (ko)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KR101798539B1 (ko) 고 교각 시공장치
KR101393726B1 (ko) 운반 및 설치가 가능한 시스템 서포트
JPH03194062A (ja) 走行式型枠支保工
JP2623200B2 (ja) 型枠装置
JPH03107098A (ja) 走行式型枠支保工
KR20000017809A (ko) 교량의 보도(步道)블럭시공용 거푸집장치.
JP2992882B2 (ja) 梁型枠装置
JPH045646Y2 (ko)
KR200378317Y1 (ko) 슬라브테이블거푸집
KR200378383Y1 (ko) 보거푸집 및 슬라브테이블 서포터
JP2691554B2 (ja) 柱のユニット型枠装置
JPH05311874A (ja) 型枠の水平伸縮装置
JP2713635B2 (ja) スライド式梁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