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124Y1 - 케이블츄레이 고정구 - Google Patents

케이블츄레이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124Y1
KR200236124Y1 KR2020010006748U KR20010006748U KR200236124Y1 KR 200236124 Y1 KR200236124 Y1 KR 200236124Y1 KR 2020010006748 U KR2020010006748 U KR 2020010006748U KR 20010006748 U KR20010006748 U KR 20010006748U KR 200236124 Y1 KR200236124 Y1 KR 200236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able
bolt
fastener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7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산
Original Assignee
김영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산 filed Critical 김영산
Priority to KR20200100067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1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124Y1/ko

Link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을 배선할 때 사용되어지는 케이블츄레이(cable turnery)를 찬넬(Channel)에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츄레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고정쇠를 영어 대문자 I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일측단과 타측단이 사이의 목부분은 경사지도록 경사목을 형성하고, 상단은 누름부를 형성하며, 하단에는 너트부를 형성하여 고정부를 형성하고, 볼트의 하측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지지봉을 형성하여, 고정쇠의 고정부를 찬넬에 삽입시키고, 볼트를 상기 고정쇠의 너트부에 체결하며, 고정쇠의 누름부는 빔의 윙(wing)부를 누르도록 하여 볼트를 죄어줌으로써 케이블츄레이를 찬넬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츄레이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츄레이 고정구 {The fixer for cable turnery}
본 고안은 전선을 배선할 때 사용되어지는 케이블츄레이(cable turnery)를 찬넬(Channel)에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츄레이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선케이블 등을 건물의 천장에 배선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츄레이나 덕트를 천장에 설치하고 츄레이나 덕트의 내에 전선케이블을 배선하게 되고, 츄레이나 덕트는 다수개의 찬넬을 천장에 장착하여 찬넬 위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인바 본 고안은 츄레이를 찬넬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고정쇠를 영어 대문자 I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일측단과 타측단이 사이의 목부분은 경사지도록 경사목을 형성하고, 상측의 일측단은 누름부를 형성하며, 하측의 타측단에는 너트부를 형성하여 고정부를 형성하고, 볼트의 하측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지지봉을 형성하여, 고정쇠의 고정부를 찬넬에 삽입시키고, 볼트를 상기 고정쇠의 너트부에 체결하며, 고정쇠의 누름부는 빔의 윙(wing)부를 누르도록 하여 볼트를 죄어줌으로써 케이블츄레이를 찬넬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츄레이(1)는 2개의 ㄷ자 형상의 빔(2)을 마주보도록 배열하고 하측의 윙부(3) 상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대(4)를 고정하여서 구성되어진다.
또한, 찬넬(5)은 단면을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츄레이의 폭에 따라 시공현장에서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고, 찬넬(5)은 별도의 지지봉에 의해 천장에 장착되어진다.
종래의 츄레이 고정구(7)는 스프링너트(8)를 찬넬(5)에 삽입시키고, 볼트(14)를 평철(와셔:12)과 스프링너트(8)를 체결하여 평철(12)의 일측이 츄레이(1)의 빔(2)에 형성된 윙부(3)를 눌러주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스프링너트(8)는 직육면체로 형성하되 중앙에는 암나사(10)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압축스프링(9)을 일체로 구비하며, 상면에는 한 쌍의 요홈(11)형성하고, 스프링너트 폭 너비(a)는 찬넬의 삽입 홈의 너비(c)보다 좁게 형성하며, 요홈(10)의 중심거리(b)는 찬넬 삽입 홈의 너비(c)와 같거나 크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평철(와셔:12)은 사각 판 형상의 와셔를 변형한 것으로 일측을 절곡하여 절곡부(12a)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유통공(13)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정구(7)는 스프링너트(8)를 폭이 좁은 너비(a)방향으로 찬넬(5)에 삽입하여 90°회전시켜 요홈(11)이 찬넬(5)의 절곡단부(6)에 닿도록 하며, 압축스프링(9)의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너트(8)를 상승시키도록 하고, 통상의 볼트(14)에 평철(12)을 끼워 넣은 다음 볼트(14)를 스프링너트(8)의 암나사(10)에 체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평철(12)을 스프링너트(8)에 볼트(14)에 의해 고정시킬 때에 평철(12)의 절곡부(12a)는 빔(2)의 윙부(3)를 누르도록 하여 볼트(14)를 조여주어 츄레이(1)를 찬넬(5)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정구(7)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지적된다.
고정구(7)를 구성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부품 즉, 스프링너트(8), 평철(12), 볼트(14)를 구비하여야하고 특히 스프링너트(8)는 너트몸체에 암나사(10)를 형성하고 그 하측에 압축스프링(9)을 장착하여야 함으로써 제작 공정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고가이고, 조립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적으로 부품을 수납함(봉투)에 담겨져 유통되어지는데 스프링너트(8)의 압축스프링(9)이 서로 엉키게되고 심지어는 압축스프링(9)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개선된 케이블츄레이 고정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고정구의 구성을 극히 단순화하여 시공시간을 단축시키고, 부품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츄레이 고정구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정쇠를 영문 대문자 I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측단과 하측단 사이에는 경사진 경사목을 형성하고, 상측단을 누름부로 형성하며, 하측단을 고정부로 형성하고, 고정부의 저면에는 너트부를 형성하여 암나사를 형성하며, 고정부의 상면에는 요홈을 형성하고, 볼트를 너트부의 암나사에 체결하여서 고정구를 구성하여 찬넬의 삽입 홈에 고정쇠의 고정부를 삽입하고, 누름부는 빔의 윙부를 눌러주도록 하여 볼트를 조임으로서 케이블츄레이를 찬넬에 고정하도록 하는 케이블츄레이 고정구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정구의 부품 수를 줄여 휴대 보관 유통이 용이하도록 하고, 체결 조립작업을 단순화하여 보다 신속하게 케이블츄레이를 찬넬에 고정하도록 하는 케이블츄레이 고정구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체결되어지는 볼트의 하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은 지지봉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고정쇠에 볼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츄레이 고정구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들은,
케이블츄레이를 찬넬에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있어서,
고정쇠(21)를 찬넬의 삽입 홈에 삽입시키고, 고정쇠(21)에 볼트(29)를 체결하도록 한 것과
상기 고정쇠(21)는 영문 대문자 I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단과 하단의 사이에 경사목(23)을 형성하고, 상단은 누름부(24)를 형성하며, 하단은 고정부(22)를 형성한 것과,
상기 경사목(23)에는 그루브(25)를 형성한 것과,
상기 고정부(22)에는 저면에 너트부(27)를 형성하여 중앙에 암나사(28)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한 쌍의 요홈(26)을 형성한 것과,
상기 볼트(29)는 하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지지봉(30)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츄레이 고정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짐으로써 단순히 찬넬(5)의 삽입 홈에 고정쇠(21)의 고정부(22)를 삽입시키고 누름부(24)는 빔(2)의 윙부(3)에 덮여지도록 하여서 볼트(29)를 고정쇠(21)에 체결하여 츄레이(1)를 찬넬(5)에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츄레이 고정구가 케이블츄레이에 장착되어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케이블츄레이에서 고정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츄레이 고정구가 케이블츄레이에
장착되어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츄레이에서 고정구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츄레이를 찬넬에 고정시키는 과정으로
도 5a는 찬넬에 고정구를 삽입시킨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찬넬에 고정구를 고정시켜 케이블츄레이를 찬넬에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츄레이(turnery) 2: 빔(beam) 3: 윙(wing)부
4: 지지대 5: 찬넬(channel) 6: 절곡단부
7, 20: 고정구 8: 스프링너트 9: 스프링
10: 암나사 11, 26: 요홈 12: 평철(와셔)
12a : 절곡부 13: 유통공 14, 29: 볼트
15: 커버 16: 회동너트 17: 삽입공간
18: 지지봉 18a: 수나사 21: 고정쇠
22: 고정부 23: 경사목 24: 누름부
25: 그루브(groove) 27: 너트부 28: 암나사
30: 지지봉
a: 스프링너트 폭 너비 b, e: 요홈중심거리
c: 찬넬 삽입 홈의 너비 d: 고정쇠 경사목의 너비
f: 고정쇠 고정부의 폭 너비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3내지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츄레이 고정구(20)의 구체적인 실현예를 보인 것으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20)에 의해 츄레이(1)가찬넬(5)에 장착되어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20)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고정구(20)를 체결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20)는 츄레이(1)를 찬넬(5)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츄레이(1)는 2개의 ㄷ자 형상의 빔(2)을 마주보도록 배열하고 하측의 윙부(3) 상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대(4)를 고정하여서 구성되어지며, 찬넬(5)은 단면을의 형상으로 형성한 긴 판재로서 츄레이(1)의 폭에 따라 시공현장에서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고, 하단에 수나사(18a)가 형성된 지지봉(18)을 천장에 장착하고, 지지봉(18)의 수나사(18a)에 찬넬커버(15)의 회동너트(16)를 체결하며 찬넬커버(15)의 삽입공간부(17)에 찬넬(5)의 양 단부를 삽입하여 찬넬(5)을 고정한 것이다.
상기와 고정구(20)는 고정쇠(21)와 볼트(29)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고정쇠(21)는 영문 대문자 I자 형상으로 형성하였고, 상단과 하단의 사이에는 경사목(23)을 형성하였으며, 상단은 누름부(24)를 형성하였고, 하단은 고정부(22)를 형성하였다.
상기 고정부(22)의 저면에는 너트부(27)를 형성하여 중앙에 암나사(28)를 형성하였고, 상면에는 한 쌍의 요홈(26)을 형성하되 요홈(26)의 중심거리(e)는 찬넬(5)의 삽입 홈의 너비(c)와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며, 고정부(22) 폭의 너비(f)는 찬넬(5)의 삽입 홈의 너비(c)보다 넓게 형성하였다.
상기 경사목(23)에는 그루브(25)를 형성하여 고정쇠(21)의 강도를 높였고, 경사목(23)의 너비(d)는 찬넬(5)의 삽입 홈의 너비(c)보다 좁게 형성하였다.
상기 볼트(29)는 하단부에 나사산이 형성하지 않은 지지봉(30)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쇠(21)의 암나사(28)에 보다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사용방법 및 설치 상태를 첨부도면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고정구(20)의 고정쇠(21)를 찬넬(5)에 삽입시켜 볼트(29)를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볼트(29)를 완전히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고정쇠(21)를 비스듬하게 찬넬(5)에 삽입 홈에 삽입한 후에 고정쇠(21)를 수평방향으로 바로 세우게 되면 경사목(23)은 찬넬(5)의 절곡단부(6)와 상면 사이에 위치하게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쇠(21)의 암나사(28)에 볼트(29)를 체결하게 된다.
볼트(29)의 지지봉(3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았으므로 일정한 깊이까지 신속하게 삽입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쇠(21)에 볼트(29)를 헐겁게 체결한 상태에서 빔(2)의 윙부(3)에 누름부(24)가 얹혀지도록 이동시키고,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29)를 완전하게 체결하게 되면 고정부(22)의 요홈(26)은 찬넬(5)의 절곡단부(6)에 닿게되어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고정되어 결국 고정쇠(21)는찬넬(5)에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빔(2)의 윙부(3)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츄레이(1)의 고정위치를 짧은 거리로 옮기고자 할 때에는 단순히 볼트(29)를 풀어서 고정상태를 느슨하게 하여 고정구(20)를 이동시키고 츄레이(1)를 옮긴 다음 볼트(29)를 죄어 고정시키면 되고 완전히 해체하고자할 때에는 볼트(29)를 풀어내어 고정쇠(21)를 꺼내면 해체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츄레이 고정구(20)는 그 구성이 극히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시공이 간편한 것이다.
특히, 고정구(20)의 고정쇠(21)는 성형이 매우 단순한 것으로 제조단가를 낮춰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고, 볼트(29)의 하단부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고정쇠(21)의 암나사(28)에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구(20)의 부품이 서로 엉키거나 하는 것이 없으므로 보관 유통이 용이하며 시공작업의 특성상 다수개의 고정구(20)의 소지하고 사다리 위에 올라가 작업하여야함으로 종래의 고정구(7)에 비하여 경량이어서 보다 작업자의 피로를 덜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케이블츄레이를 찬넬에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있어서,
    고정쇠(21)를 찬넬(5)의 삽입 홈에 삽입시키고, 고정쇠(21)에 볼트(29)를 체결하도록 한 것과
    상기 고정쇠(21)는 영문 대문자 I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단과 하단의 사이에 경사목(23)을 형성하고, 상단은 누름부(24)를 형성하며, 하단은 고정부(22)를 형성한 것과,
    상기 경사목(23)에는 그루브(25)를 형성한 것과,
    상기 고정부(22)에는 저면에 너트부(27)를 형성하여 중앙에 암나사(28)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한 쌍의 요홈(26)을 형성한 것과,
    상기 볼트(29)는 하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지지봉(30)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츄레이 고정구
KR2020010006748U 2001-03-13 2001-03-13 케이블츄레이 고정구 KR200236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748U KR200236124Y1 (ko) 2001-03-13 2001-03-13 케이블츄레이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748U KR200236124Y1 (ko) 2001-03-13 2001-03-13 케이블츄레이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124Y1 true KR200236124Y1 (ko) 2001-10-08

Family

ID=7306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748U KR200236124Y1 (ko) 2001-03-13 2001-03-13 케이블츄레이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12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843B1 (ko) * 2005-07-07 2007-02-07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 트레이 행거
KR100931951B1 (ko) * 2007-11-30 2009-12-15 주식회사 대동금속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
KR101130476B1 (ko) * 2010-08-31 2012-03-27 윤용호 케이블 덕트 고정용 채널의 채널 단부 덮개
KR101130468B1 (ko) * 2010-08-31 2012-03-27 윤용호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101449580B1 (ko) * 2012-10-19 2014-10-13 김봉수 케이블 덕트 고정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843B1 (ko) * 2005-07-07 2007-02-07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 트레이 행거
KR100931951B1 (ko) * 2007-11-30 2009-12-15 주식회사 대동금속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
KR101130476B1 (ko) * 2010-08-31 2012-03-27 윤용호 케이블 덕트 고정용 채널의 채널 단부 덮개
KR101130468B1 (ko) * 2010-08-31 2012-03-27 윤용호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101449580B1 (ko) * 2012-10-19 2014-10-13 김봉수 케이블 덕트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0553B1 (en) Snap engagement electrical fitting for EMT
US7422404B2 (en) Facilitated tightening device
US4050603A (en) Clamp for securing bar hanger to electrical wiring box
US4281773A (en) Electrical wiring box
US5587555A (en) Conductor holding device
US3104087A (en) Means for supporting electrical fixtures
US7101231B2 (en) Locking spring-clamp terminal block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same
US5942726A (en) Self-attaching electrical box
US4316999A (en) Electrical wiring box and cable clamp
US5201484A (en) Stacking cable clamp
US20060180331A1 (en) Snap fit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outer frustro conical retainer ring and internal unidirectional snap fit wire conductor retainer
US20070163804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frustro-conical snap fit retaining ring for enhancing electrical grounding of the connector assembly to an electrical box and installation tool therefor
US4724282A (en) Electrical box
US3298646A (en) Beam flange clamp
US5013872A (en) Cable clamp
US20060258207A1 (en) Panel-mounted, low voltage terminal
EP1746697B1 (en) Securing element for securing a box to a wire cable tray
KR200236124Y1 (ko) 케이블츄레이 고정구
US4223178A (en) Locking member for outlet box cable
EP1652279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cable installation
US6800812B1 (en) Universal ground clamp
EP0549094A1 (en) Structural element
US3232572A (en) Fastening device for wall-hooks and similar mounting devices
WO2018237365A1 (en) NUT FIXING CLAMP AND NUT FIXING CLAMP
JP2014098275A (ja) 屋根上搭載機器の取付け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