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580B1 - 케이블 덕트 고정구 - Google Patents

케이블 덕트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580B1
KR101449580B1 KR1020120116970A KR20120116970A KR101449580B1 KR 101449580 B1 KR101449580 B1 KR 101449580B1 KR 1020120116970 A KR1020120116970 A KR 1020120116970A KR 20120116970 A KR20120116970 A KR 20120116970A KR 101449580 B1 KR101449580 B1 KR 101449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uct
inner supporting
supporting member
channel
out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0491A (ko
Inventor
김봉수
Original Assignee
김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수 filed Critical 김봉수
Priority to KR1020120116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580B1/ko
Publication of KR20140050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채널에 케이블 덕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결합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있어서,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채널의 개구부에 삽입되고, 중심에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을 기준으로 장방향의 양측 단부에 쐐기홈이 형성되는 내측 지지부재; 상기 채널의 개구부가 위치한 상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후술할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양측부에 상기 채널의 개구부 양 단부 내측에 위치하도록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를 수용하여 압착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부로 절곡되어 소정높이 단차를 이루며 연결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외측 고정부재;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측 지지부재의 상부면과 외측 고정부재의 저면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고정부재를 탄성으로 지지하며, 실리콘, 우레탄,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외측 고정부재의 관통공, 탄성부재의 중심 및 내측 지지부재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재를 승하강 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덕트 고정구{CABLE DUCT FIXER}
본 발명은 실내의 각종 전기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배설되는 케이블 덕트의 내측에 절곡된 플랜지와 채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외측고정부재와 내측지지부재 사이에 마찰력이 높은 실리콘, 우레탄,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조립이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각종 전기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은 통행 등의 편의를 위하여 천장 부분에 위치되도록 하고 있다.
천장 슬래브로부터 상하 방향의 일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태의 고정수단에 의해 다수의 채널이 고정되고, 상기 다수의 채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케이블 덕트가 설치된다. 이때 케이블 덕트를 상기 채널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채널의 내측에 삽입되는 내측 지지부재와, 채널의 외측 및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에 안착되는 외측 고정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고정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고정부재 간에 결합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스프링 및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를 조여 케이블 덕트가 상기 채널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볼트로 구성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가 사용되고 있다.
이를 위한 구현 예로서, 내측 지지부재 저부면의 중심부 상에 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되고, 또한 외측 지지부재의 중심부에도 스프링의 하단이 고정되는 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되어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스프링이 고정된 상태로 개재되어 일체를 이루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가 사용되고 있다.
등록특허 10-1130468호 등록특허 10-0710022호
상기한 특허문헌 1에는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저부에 수용하여 압착하는
외측 고정부재의 압착판부를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나온 구조로 하여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의 압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내측 지지부재로 사용되는 압착평철의 체결공으로 삽입되는 체결볼트에 코일스프링을 끼워 체결너트편의 너트공에 나사 결합시키되, 압착평철의 저면과 체결너트편의 상면에서 각 체결공 및 너트공의 외주에는 환상의 V홈을 대향 되게 형성하여 압착평철과 체결 너트편과의 사이에서 체결볼트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이 각 환상V홈에 장전되도록 하고, 압착평철과 체결 너트편에 형성된 각 환상V홈에는 복수개의 결속공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고 코일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에 결속절곡편을 각각 형성하여 체결볼트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을 상/하측의 환상V홈에 장전시킬 때에 코일스프링의 상/하단에 형성된 결속절곡편을 압착평철과 체결너트편에 형성된 각 결속공 중에서 소정 위치의 결속공에 삽입시켜 주도록 된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케이블 덕트 고정구 및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특허문헌 1에서 고정 볼트가 회전될 시 압착 평철과 체결 너트편에 마찰력이 작으므로 스프링이 겉돌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첫째에서 언급한 스프링의 겉도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2에서 스프링의 양 단부를 절곡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또한 별도로 스프링의 양단부를 수직으로 절곡하여야 되며, 이에 따라 압착 평철 및 체결 너트편에 상기 스프링의 절곡부가 삽입될 별도의 홈을 형성하여야 되므로 이에 따라 제조비용 3 내지 5배 정도 더 들어가고 제조시간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케이블 덕트 고정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각 부품들을 종류별로 수납한 상태로 공급하게 되는데, 스프링을 한군데 모아두게 되면, 스프링들이 엉켜있어서 작업자가 한 번에 스프링을 파지하지 못하고 분리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이 번거로워지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케이블 덕트에 플랜지를 결합할 때 압착 평철 및 체결 너트편 사이에 고정되지 않는 스프링을 사용할 경우 스프링 및 압착 평철이 겉돌 수 있으며, 이때 압착 평철과 체결 너트편의 조립방향을 재조정해야 됨에 따라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케이블 덕트 및 플랜지를 결합할 때 사용되는 외측고정부재와 내측지지부재 사이에 마찰력이 높은 실리콘, 우레탄,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조립이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외측고정부재에 함몰 형성시켜 이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채널의 개구부에 결합할 시 외측고정부의 겉도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채널의 개구부에 삽입되고, 중심에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을 기준으로 장방향의 양측 단부에 쐐기홈이 형성되는 내측 지지부재; 상기 채널의 개구부가 위치한 상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양측부에 상기 채널의 개구부 양단부 내측에 위치하도록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를 수용하여 압착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부로 절곡되어 소정높이 단차를 이루며 연결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외측 고정부재;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측 지지부재의 상부면과 외측 고정부재의 저면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고정부재를 탄성으로 지지하며, 실리콘, 우레탄,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외측 고정부재의 관통공, 탄성부재의 중심 및 내측 지지부재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재를 승하강 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외주면에 상기 고정볼트의 회전에 의해 내측 지지부재가 승하강될 때 발생되는 압착력을 완충시키는 완충홈이 형성되고,
상기 쐐기홈은, 상기 내측 지지부재의 상하부면 양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의하면, 첫째, 케이블 덕트와 플랜지를 채널에 고정할 때 외측고정부재와 내측 지지부재 사이에 실리콘 등과 같이 마찰력 및 밀착력이 높은 탄성수단을 개재하므로 고정 볼트를 체결할 시 외측 고정부재가 겉돌지 않아 작업의 진행속도가 빨라지고 이로 인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케이블 덕트에 채널을 결합할 때 탄성부재를 작업자가 한 번에 파지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종래처럼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고정부재에 절곡된 스프링의 양 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별도의 삽입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비용의 감소 및 제조기간의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외측 고정부재에 채널의 단부 내측면과 접하는 부분에 함몰부를 형성하므로 고정 볼트 체결 시 외측 고정부재가 겉돌지 않아 작업의 진행속도가 빨라지고 이로 인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를 구성하는 외측 고정부재의 저면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를 구성하는 외측 고정부재의 저면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는, 일측에 개구부(201)가 형성되는 복수의 채널(200)에 케이블 덕트(300)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채널(200)은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개구되는 개구부(201)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01)는 'ㄷ'형이 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202)를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202)의 양 단부에 후술할 내측 지지부재(50)의 쐐기홈(53)이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채널(200)의 개구부(201)에 삽입되고, 중심에 나사공(55)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내측 지지부재(50)가 구비된다. 상기 내측 지지부재(50)는, 상기 나사공(55)을 기준으로 장방향의 양측 단부에 쐐기홈(5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 지지부재(50)의 대각방향의 양 모서리는 고정 볼트(20)를 회전할 시 채널(200)에 걸리지 않도록 라운딩 처리되어 형성된다.
게다가 상기 쐐기홈(53)은, 도면에 지지부재(50)의 상부 양 단부에만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내측 지지부재(50)의 상하부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하부면 방향에 상관없이 삽입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채널(200)의 개구부(201)가 위치한 상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후술할 고정볼트(20)가 삽입되는 관통공(37)이 형성되는 본체부(31)와, 상기 케이블 덕트(300)의 플랜지(301)를 수용하여 압착하는 압착부(33)와, 상기 압착부(33)가 상기 본체부(31)로부터 상부로 절곡되어 소정높이 단차를 이루며 연결되게 하는 연장부(35)로 이루어지는 외측 고정부재(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37)의 양측부에 상기 채널(200)의 개구부(201) 양 단부 내측에 위치하도록 돌출형성되는 돌출부(32)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2)는 그 이면에서 프레스 가공을 하여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측 지지부재(50) 및 외측 고정부재(30)를 탄성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4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상기 고정볼트(20)가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측 지지부재(50)의 상부면과 외측 고정부재(30)의 저면부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0)는 실리콘, 우레탄,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한 재료들은 마찰력 및 밀착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고정 볼트(20)를 체결할 시 외측 고정부재(30)가 겉돌지 않아 작업의 진행속도가 빨라지고 이로 인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0)는, 외주면에 완충홈(41)이 형성되는데, 상기 완충홈(41)은 고정볼트(20)의 회전에 의해 내측 지지부재(50)가 승하강될 때 발생되는 압착력을 완충시키기 위한 것이다.
게다가 케이블 덕트(300)에 채널(200)을 결합할 때 탄성부재를 작업자가 한 번에 파지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간편해진다.
또한, 기존의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고정부재에 절곡된 스프링의 양 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별도의 삽입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비용의 감소 및 제조기간이 단축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의 양 단부를 절곡하는 공정이 없어지므로 제조비용의 감소 및 제조기간이 단축된다.
한편, 상기 외측 고정부재(30)의 관통공(37), 탄성부재(40)의 중심 및 내측 지지부재(50)의 나사공(55)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재(50)를 승하강시키는 고정볼트(20)가 구비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삭제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는 케이블 덕트(300)를 채널(200) 상에 수직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우선 내측 지지부재(50)를 채널(200)의 개구부(201) 내부에 삽입한 후 쐐기홈(35)을 채널(200)의 내측에 형성되는 'ㄷ'형의 절곡부(202)의 끝단에 안착시킨다.
이후 나사공(55)의 중심, 탄성부재(40)의 중심 및 관통공(37)의 중심을 일직선상에 정렬한 후 상기 고정볼트(20)를 회전하여 조이게 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200)과 케이블 덕트(300)가 수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0 : 고정볼트 30 : 외측 고정부재
31 : 본체부 32 : 돌출부
33 : 압착부 35 : 연장부
37 : 관통공 40 : 탄성부재
41 : 완충홈 50 : 내측 지지부재
53 : 쐐기홈 55 : 나사공
200 : 채널 201 : 개구부
202 : 절곡부 300 : 케이블 덕트
301 : 플랜지

Claims (3)

  1.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채널(200)의 개구부(201)에 삽입되고, 중심에 나사공(55)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55)을 기준으로 장방향의 양측 단부에 쐐기홈(53)이 형성되는 내측 지지부재(50); 상기 채널(200)의 개구부(201)가 위치한 상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고정볼트(20)가 삽입되는 관통공(37)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37)의 양측부에 상기 채널(200)의 개구부(201) 양단부 내측에 위치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32)로 이루어진 본체부(31)와, 케이블 덕트(300)의 플랜지(301)를 수용하여 압착하는 압착부(33)와, 상기 압착부(33)가 상기 본체부(31)로부터 상부로 절곡되어 소정높이 단차를 이루며 연결되는 연장부(35)로 이루어지는 외측 고정부재(30);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상기 고정볼트(20)가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측 지지부재(50)의 상부면과 외측 고정부재(30)의 저면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재(50) 및 외측 고정부재(30)를 탄성으로 지지하며, 실리콘, 우레탄,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탄성부재(40) 및 상기 외측 고정부재(30)의 관통공(37), 탄성부재(40)의 중심 및 내측 지지부재(50)의 나사공(55)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재(50)를 승하강 시키는 고정볼트(20)를 포함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0)는, 외주면에 상기 고정볼트(20)의 회전에 의해 내측 지지부재(50)가 승하강될 때 발생되는 압착력을 완충시키는 완충홈(41)이 형성되고,
    상기 쐐기홈(53)은, 상기 내측 지지부재(50)의 상하부면 양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
  2. 삭제
  3. 삭제
KR1020120116970A 2012-10-19 2012-10-19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101449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970A KR101449580B1 (ko) 2012-10-19 2012-10-19 케이블 덕트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970A KR101449580B1 (ko) 2012-10-19 2012-10-19 케이블 덕트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491A KR20140050491A (ko) 2014-04-29
KR101449580B1 true KR101449580B1 (ko) 2014-10-13

Family

ID=5065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970A KR101449580B1 (ko) 2012-10-19 2012-10-19 케이블 덕트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5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124Y1 (ko) * 2001-03-13 2001-10-08 김영산 케이블츄레이 고정구
KR20100008558U (ko) * 2009-02-20 2010-08-30 두성화스너(주)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120020999A (ko) * 2010-08-31 2012-03-08 윤용호 케이블 덕트 고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124Y1 (ko) * 2001-03-13 2001-10-08 김영산 케이블츄레이 고정구
KR20100008558U (ko) * 2009-02-20 2010-08-30 두성화스너(주)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120020999A (ko) * 2010-08-31 2012-03-08 윤용호 케이블 덕트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491A (ko)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1419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building members
US20120000689A1 (en) Junction box for solar battery
EP3066398A1 (en) Carrier structure for solar panels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a carrier structure
US8695682B2 (en) Pull bar device for a sunshade assembly
CN108306609B (zh) 夹具及具有夹具的板状元件组装系统
KR101474512B1 (ko) 걸쇠와 클립바를 이용한 천장 패널 고정 구조
US20160115979A1 (en) Fixture for a vehicle
KR101449580B1 (ko)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101864568B1 (ko)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KR101130468B1 (ko)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100710022B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CN102956995B (zh) 夹线组件
JP6489307B2 (ja) 下地材固定金具
KR100849354B1 (ko)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101843356B1 (ko) 사이드 레일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1389370B1 (ko)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KR20140132845A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WO2018237365A1 (en) NUT FIXING CLAMP AND NUT FIXING CLAMP
KR102239486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160128255A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US20160114740A1 (en) Fixture for a vehicle
KR101499690B1 (ko) 내구성과 작업성이 향상된 케이블 지지용 채널 결합체
KR101806573B1 (ko) 노브와 레버의 조립체
KR200480808Y1 (ko) 메쉬트레이용 조명장치 장착구
KR20100010842U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