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842U -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842U
KR20100010842U KR2020090005036U KR20090005036U KR20100010842U KR 20100010842 U KR20100010842 U KR 20100010842U KR 2020090005036 U KR2020090005036 U KR 2020090005036U KR 20090005036 U KR20090005036 U KR 20090005036U KR 20100010842 U KR20100010842 U KR 201000108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lat iron
coil spring
fixing device
cabl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배
Original Assignee
두성화스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성화스너(주) filed Critical 두성화스너(주)
Priority to KR2020090005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842U/ko
Publication of KR201000108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8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4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를 개선하여 고정 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트레이를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고정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압착부(111)와 체결공(112)을 구비하는 압착평철(110), 체결공(112)에 대응하는 너트공(121)을 구비하는 체결너트편(120), 압착평철(100)과 체결너트편(120) 사이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130), 체결공(112)과 코일스프링(130)을 관통하여 너트공(121)에 나사조립되는 체결볼트(140)로 구성된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압착평철(110)의 저면에 돌출되는 걸림돌기(113);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압착평철(110)의 걸림돌기(113)에 걸리는 수평걸림부(131);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체결너트편(120)의 일 측면(122)에 걸리는 수직걸림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걸림돌기, 수평걸림부, 수직걸림부, 탄성캡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holding apparatus of cable tray}
본 고안은 전선을 배선하거나 배선용 파이프 등을 설치할 때 사용되는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를 채널(channel)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하여 고정 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트레이를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고정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도 6a,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천장을 가로질러 케이블(20)을 배선할 때에는 케이블(20)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레이(30)를 설치하고, 이 트레이(30) 위에 케이블(20)이 얹혀지도록 배선을 한다. 이러한 트레이(3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천장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고정설치된 채널(40)의 상면에 별도의 고정장치(50)를 사용하여 고정하게 되고, 채널(40)은 천장에 상단이 고정된 지지볼트봉(60)의 하단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채널(40)은 상부에 개구부(41)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벽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30)는 ‘ㄷ’형으로 이루어져 서로 대칭되게 소정간격 이격 배치된 한쌍의 빔(31)과, 양단부가 상기 빔(31)의 하 단 플랜지(31a)에 용접부착되는 연결바(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50)는 도 3,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평철(51)과 체결너트편(52)과 코일스프링(53) 및 체결볼트(54)로 이루어진다. 이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압착부(51a)가 구비된 압착평철(51)은 체결볼트(54)를 삽입할 수 있도록 일측에 체결공(51b)이 형성되고, 체결너트편(52)은 압착평철(51)의 1/2크기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체결볼트(54)를 나사결합시킬 수 있도록 너트공(5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압착평철(51)의 저면 일측과 체결너트편(52)의 상면 타측에는 결속공(51c)(52b)이 각각 형성되고, 코일스프링(53)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결속공(51c)(52b)에 삽입되는 결속절곡편(53a)(53b)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체결너트편(52)을 길이가 긴 갈이방향으로 채널(40)의 개구부(41)에 삽입하여 90°회전시키면, 체결너트편(52)의 양측면이 채널(40)의 양측 내벽에 면접촉되어 체결볼트(54)를 조이는 방향으로는 회전이 방지되고, 이 상태에서 압착평철(51)의 압착부(51a)를 빔(31)의 하단 플랜지(31a)와 채널(40)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위치시킨 다음, 체결볼트(54)를 조이면 코일스프링(53)을 압착하면서 체결너트편(52)은 채널(40)의 걸림턱(42)에 밀착되고 또한 이와 동시에 압착평철(51)의 압착부(51a)는 빔(31)의 하단 플랜지(31a)에 밀착되므로,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트레이(30)의 양측 빔(31)은 채널(40)의 상면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50)는 체결볼트(54)를 조일 때 압착평철(51)이 도 6a에서와 같이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도 6b에서와 같이 체결볼트(54)를 조이는 방향으로 압착평철(51)이 회전되면서 틀어지기 때문에, 고정작업 시 압착평철(51)이 틀어지지 않도록 작업자가 압착평철(51)을 일일이 손으로 잡고 체결볼트(54)를 조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고정 시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금속재인 압착평철(51)의 압착부(51a)와 금속재인 빔(31)의 하단 플랜지(31a)가 접촉하기 때문에, 즉 금속과 금속이 서로 접촉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밀착력과 마찰력이 떨어져 트레이(30)의 빔(31)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점과, 고정 시 금속과 금속이 서로 접촉되므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고정 시 압착평철이 틀어지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고정 시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압착평철의 밀착력과 마찰력을 크게 증대시켜 트레이를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고정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압착부와 체결공을 구비하는 압착평철, 체결공에 대응하는 너트공을 구비하는 체결너트편, 압착평철과 체결너트편 사이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 체결공과 코일스프링을 관통하여 너트공에 나사조립되는 체결볼트로 구성된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착평철의 저면에는 걸림돌기를 돌출시키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부에는 압착평철의 걸림돌기에 걸리는 수평걸림부를 형성하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부에는 체결너트편의 일 측면에 걸리는 수직걸림부를 형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에 따르면 고정 시 압착평철이 틀어지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작업성을 한층 더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 며, 또한 압착평철의 밀착력과 마찰력이 크게 증대되므로 트레이를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구조적으로 고정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는 도 7a,7b 내지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압착부(111)와 체결공(112)을 구비하는 압착평철(110), 체결공(112)에 대응하는 너트공(121)을 구비하는 체결너트편(120), 압착평철(100)과 체결너트편(120) 사이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130), 체결공(112)과 코일스프링(130)을 관통하여 너트공(121)에 나사조립되는 체결볼트(140)로 구성된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압착평철(110)의 저면에 돌출되는 걸림돌기(113);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압착평철(110)의 걸림돌기(113)에 걸리는 수평걸림부(131);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체결너트편(120)의 일 측면(122)에 걸리는 수직걸림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평철(110)과 체결너트편(120)과 코일스프링(130) 및 체결볼트(140)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고정장치(10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천장에 전선을 배선하거나 배선용 파이프 등을 설치할 때 사용되는 케이블 트레이(200)를 채널(300)에 고정시 켜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압착평철(110)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압착평철(110)에는 트레이(200)를 구성하는 양측 빔(210)의 하단 플랜지(211)에 압착되는 압착부(111)가 구비되고, 또한 압착평철(110)에는 체결볼트(140)를 끼울 수 있도록 체결공(112)이 형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압착평철(110)의 저면에는 코일스프링(130)의 상부에 형성된 수평걸림부(131)가 걸리도록 걸림돌기(113)가 돌출되고, 또한 상기 압착평철(110)의 압착부(111)에는 탄성캡(150)이 장착된다.
상기 체결너트편(120)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채널(300)의 개구부(310)로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체결너트편(120)의 중앙부에는 체결볼트(140)를 나사결합시킬 수 있도록 너트공(121)이 형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체결너트편(120)의 길이가 긴 일 측면(122)에는 코일스프링(130)의 하부에 형성된 수직걸림부(132)가 걸린다.
상기 코일스프링(130)은 압착평철(110)과 체결너트편(120) 사이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코일스프링(130)에는 체결볼트(140)가 끼워진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상부에는 압착평철(110)의 걸림돌기(113)에 걸리는 수평걸림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하부에는 체결너트편(120)의 길이가 긴 일 측면(122)에 걸리는 수직걸림부(13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볼트(140)는 압착평철(110)의 체결공(112)과 코일스프링(130)을 관통하여 체결너트편(120)의 너트공(121)에 나사조립되는 것으로, 이러한 체결볼트(140)는 트레이(200)의 고정 시 압착평철(110)과 코일스프링(130) 및 체결너트 편(120)을 조여준다.
상기 탄성캡(150)은 압착평철(110)의 압착부(111)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탄성캡(150)은 트레이(200)의 고정 시 밀착력과 마찰력을 크게 증대시키고, 또한 탄성캡(150)은 트레이(200)의 고정 시 소음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탄성캡(150)은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고무나 합성수지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레이(200)는 도 11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천장을 가로질러 케이블(400)을 배선할 때 케이블(400)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트레이(200)는 주지된 바와 같이 ‘ㄷ’형으로 이루어져 서로 대칭되게 소정간격 이격 배치된 한쌍의 빔(210)과, 양단부가 상기 빔(210)의 하단 플랜지(211)에 용접부착되는 연결바(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트레이(200)는 도 11에서와 같이 천장과 고정간격 이격되게 고정설치된 채널(300)의 상면에 고정장치(100)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채널(300)은 도 11에서와 같이 천장에 상단이 고정된 지지볼트봉(500)의 하단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채널(300)의 상부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개구부(310)가 형성되고, 채널(300)의 양측벽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320)이 형성된다.
한편,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착평철(110)의 걸림돌기(113)는 2개가 한조로 돌출되어 그 사이로 코일스프링(130)의 수평걸림부(131)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에서와 같이 압착평철(110)의 저면에 2개의 걸림돌기(113)를 각각 형성하여 이 2개의 걸림돌기(113) 사이로 코일스프링(130)의 수평걸림부(131)가 끼워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100)도 작업자가 고정장치(100)의 체결너트편(120)을 길이가 긴 길이방향으로 채널(300)의 개구부(310)에 삽입하여 90°회전시키면, 체결너트편(120)의 양측면이 채널(300)의 양측 내벽에 면접촉되어 체결볼트(140)를 조이는 방향으로는 회전이 방지되고, 이 상태에서 아착평철(110)의 압착부(111)를 빔(210)의 하단 플랜지(211)와 채널(300)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위치시킨 다음, 체결볼트(140)를 조이면 코일스프링(130)을 압착하면서 체결너트편(120)은 채널(300)의 걸림턱(320)에 밀착되고 또한 이와 동시에 압착평철(110)의 압착부(111)는 빔(210)의 하단 플랜지(211)에 밀착되므로,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트레이(200)의 양측 빔(210)이 채널(3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코일스프링(130)의 상부에 형성된 수평걸림부(131)가 압착평철(110)의 저면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13)에 걸리고, 또한 코일스프링(130)의 하부에 형성된 수직걸림부(132)가 체결너트편(120)의 일 측면(122)에 걸려 압착평철(110)의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즉 고정작업 시 종래와 같이 압착평철이 체결볼트를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틀어지지 않고, 압착평철(110)이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고정작업 시 작업자가 압착평철(110)을 손으로 잡 지 않고 편리하게 체결볼트(140)를 조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100)에 따르면 구조적으로 트레이(200)의 고정작업 시 압착평철(110)이 틀어지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작업성을 한층 더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금속재인 압착평철(110)의 압착부(111)에 밀착력과 마찰력을 크게 증대시키고 소음을 방지하는 탄성캡(150)이 장착되기 때문에, 즉 종래와 같이 금속재인 압착평철의 압착부와 금속재인 빔의 하단 플랜지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압착평철(110)의 압착부(111)에 장착된 탄성캡(150)이 빔(210)의 하단 플랜지(211)에 접촉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밀착력과 마찰력이 증대되고 소음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100)에 따르면 고무재인 탄성캡(150)과 금속재인 빔(210)의 하단 플랜지(211)가 접촉되어 압착평철(110)의 밀착력과 마찰력이 크게 증대되기 때문에, 트레이(200)의 빔(210)을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구조적으로 고정작업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종래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a,6b는 종래 고정장치의 문제점을 보인 평면도.
도 7a,7b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고정장치 110 : 압착평철
111 : 압착부 112 : 체결공
113 : 걸림돌기 120 : 체결너트편
121 : 너트공 122 : 측면
130 : 코일스프링 131 : 수평걸림부
132 : 수직걸림부 140 : 체결볼트
150 : 탄성캡

Claims (4)

  1. 압착부(111)와 체결공(112)을 구비하는 압착평철(110), 체결공(112)에 대응하는 너트공(121)을 구비하는 체결너트편(120), 압착평철(100)과 체결너트편(120) 사이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130), 체결공(112)과 코일스프링(130)을 관통하여 너트공(121)에 나사조립되는 체결볼트(140)로 구성된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압착평철(110)의 저면에 돌출되는 걸림돌기(113);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압착평철(110)의 걸림돌기(113)에 걸리는 수평걸림부(131);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체결너트편(120)의 일 측면(122)에 걸리는 수직걸림부(132)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평철(110)의 압착부(111)에는 탄성캡(150)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캡(150)은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평철(110)의 걸림돌기(113)는 2개가 한조로 돌출되어 그 사이로 코일스프링(130)의 수평걸림부(131)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20090005036U 2009-04-27 2009-04-27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1000108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036U KR20100010842U (ko) 2009-04-27 2009-04-27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036U KR20100010842U (ko) 2009-04-27 2009-04-27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842U true KR20100010842U (ko) 2010-11-04

Family

ID=4420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036U KR20100010842U (ko) 2009-04-27 2009-04-27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84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10101A (zh) * 2016-02-15 2016-05-25 成都格瑞思文化传播有限公司 新型电缆桥架盖板
KR101861542B1 (ko) * 2017-12-08 2018-05-28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공동주택 공동구 전력케이블 트레이 구조
KR200494973Y1 (ko) * 2020-10-08 2022-02-08 신현우 단자대 고정용 스토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10101A (zh) * 2016-02-15 2016-05-25 成都格瑞思文化传播有限公司 新型电缆桥架盖板
KR101861542B1 (ko) * 2017-12-08 2018-05-28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공동주택 공동구 전력케이블 트레이 구조
KR200494973Y1 (ko) * 2020-10-08 2022-02-08 신현우 단자대 고정용 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1419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building members
KR20100010842U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070044167A (ko) 라인 포스트 애자
KR20100008558U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1462626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체결장치
KR100883391B1 (ko) 파이프 체결장치
CN107791846B (zh) 张紧装置及具有该张紧装置的供电系统
KR100710022B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160023436A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FI70098B (fi) Kabelklaemma
KR20140132845A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0405366Y1 (ko) 프로파일용 너트
KR101893092B1 (ko) 특고압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
KR20160128255A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1840458B1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KR102239486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1263484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결합클립
KR101445307B1 (ko) 전기접속용 단자대
KR100696233B1 (ko) 공동주택용 텐션 단자함 고정구
KR200387582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100581332B1 (ko) 다기능 슬라이드형 전선 고정장치
KR102079810B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JP5952691B2 (ja) 集合端子台装置及び固定具
JPH0112493Y2 (ko)
JP7153359B2 (ja) 等電位ボンディング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