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582Y1 -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 Google Patents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582Y1
KR200387582Y1 KR20-2005-0008769U KR20050008769U KR200387582Y1 KR 200387582 Y1 KR200387582 Y1 KR 200387582Y1 KR 20050008769 U KR20050008769 U KR 20050008769U KR 200387582 Y1 KR200387582 Y1 KR 200387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arness
fixing
band cable
band
scre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렬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8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5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5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engaging it by snap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F16L3/23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means of a flexible band
    • F16L3/233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means of a flexible band having a single plastic locking barb
    • F16L3/233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means of a flexible band having a single plastic locking barb the barb having a plurality of ser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밴드케이블의 고정부를 차체패널 또는 방음패드 상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 스텃볼트와 결합되는 나사공의 내부 하단에 걸림턱을 한 쌍 이상 형성함으로써 규격화된 스텃볼트에 의한 방음패드의 두께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스텃볼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은 스텃볼트를 삽입하는 나사공의 하부 내측에 한 쌍 이상의 걸림턱을 대각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함으로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wire harness fixing band cable}
본 고안은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밴드케이블의 고정부를 차체패널 또는 방음패드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 스텃볼트와 결합되는 나사공의 내부 하단에 걸림턱을 한 쌍 이상 형성함으로써 규격화된 스텃볼트에 의한 방음패드의 두께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스텃볼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많이 있다.
이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져 있어서 와이어링이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케이블, 와이어고정판 등의 서포트(Support)부재를 사용하여서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들을 지칭하는 것이다.
상기 밴드케이블은 와이어 하네스를 한꺼번에 묶어서 와이어 하네스를 정리하도록 하는 고정부재의 일종이다.
도 1은 종래의 밴드케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밴드케이블을 사용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밴드케이블(10)은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파형부(22)가 형성되며 와이어 하네스(60)를 감싸 고정할 수 있는 밴드부(20)와, 상기 밴드부(20)의 일단과 연결되며 차체패널(50) 및 방음패드(51)에 함께 돌출 형성된 스텃볼트(stud bolt,52)로써 고정되도록 상부면에서 하부면까지 통공된 나사공(32)이 형성된 고정부(30)와, 상기 고정부(3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삽입공(42)의 내측면에는 파형부(22)와 치합 결합되는 헤드부(4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20)의 일측면에 형성된 파형부(22)는 측면상 직각삼각 형상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파형부(22)가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헤드부(40)의 삽입공(42)에는 탄성턱(44)이 절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턱(44)은 자유 상태 하에서 상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일방향으로 형성된 파형부(22)에 탄력 상태 하에서의 연쇄적인 미끄러짐과 소정부위의 파형부(22)에서의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30)는 정방형의 얇은 판 형상이며 중앙부분에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돌출된 몸체(31)를 구비한 고정판(34)과, 상기 고정판(34)에서 일정 길이의 장방형의 얇은 판으로 연장되며 상향 또는 하향으로 곡률져 와이어 하네스(60)를 안착할 수 있는 안착판(36)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31)의 중공 부분이 나사공(32)이 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공(32)은 상부에는 고정턱(33)이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차체패널(50) 및 방음패드(51)에 함께 삽입된 스텃볼트(52)의 임의의 나사산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헤드부(40)는 고정판(34)과 안착판(36)의 접한 부분에 형성되어 삽입공(42)으로 밴드부(20)를 휘게 하여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밴드케이블(10)은 밴드부(20)의 타단부가 와이어 하네스(60)를 감은 상태에서 헤드부(40)의 삽입공(42)으로 끼워지면서 일방향으로 형성된 파형부(22)에 탄성턱(44)이 연쇄적으로 미끄러져 소정부위의 파형부(22)에 위치 고정됨으로써, 와이어 하네스(60)를 안정되게 묶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밴드케이블은 이를 고정하기 위해 스텃볼트를 사용하는 바, 스텃볼트의 길이는 규격화되어 있음과 더불어 스텃볼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턱은 나사공의 상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방음패드의 두께가 얇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나사공의 고정턱이 상부에 형성됨에 따라 스텃볼트의 끝단부를 걸어 고정하기 때문에 스텃볼트의 걸림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스텃볼트를 삽입하는 고정부의 나사공 하단 내측에 한 쌍 이상의 걸림턱을 상향되는 대각 방향으로 돌설함과 동시에 끝단에 돌설돌기를 형성하여 스텃볼트의 나사산에 끼여 스텃볼트를 고정함으로써 스텃볼트와 고정부 사이에 개재되는 방음패드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텃볼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은 스텃볼트를 삽입하는 나사공의 하부 내측에 한 쌍 이상의 걸림턱을 대각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함으로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10)은 와이어 하네스(60)를 감싸 고정하기 위해 가요성이 있는 밴드부(20)와, 와이어 하네스(60)와 밴드부(20)를 차체패널(50) 및 방음패드(51)의 하부에서 삽입되는 스텃볼트(5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30)와, 고정부(130)의 일측에 통공 형성되어 밴드부(20)의 일단에 연결되며 밴드부(20)가 삽입되며 파형부(22)를 고정하는 헤드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밴드부(20)는 와이어 하네스(60)를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가요성이 있고, 외측면에는 측면상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파형부(22)가 형성되어 후술할 헤드부(40)의 탄성턱(44)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형부(22)에 대응되는 헤드부(40)의 삽입공(42) 내측면에는 탄성턱(44)을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 파형부(22)를 탄력적으로 끼워 고정한다.
이때, 상기 탄성턱(44)은 상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직각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파형부(22)에 탄력 상태 하에서의 연쇄적인 미끄러짐과 소정부위의 파형부(22)에서의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130)는 차체패널(50) 및 선택적으로 방음패드(52)의 하부에서 삽입되며 둘레에 나사산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스텃볼트(52)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공(132)이 형성된 몸체(131)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고정부(130)는 정방형의 얇은 판 형상이며 중앙부분에 중공의 원통형상인 몸체(131)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한 고정판(134)과, 상기 고정판(134)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와이어 하네스(60)를 가압하기 위한 안착판(136)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31)는 일정한 직경의 나사공(13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31)는 차체패널(50) 또는 방음패드(51)와 하부를 접한 상태로 스텃볼트(52)를 나사공(132)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고정된다.
이때, 상기 몸체(131)는 스텃볼트(52)에 의해 차체패널(50) 및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방음패드(51)를 가압하며 밴드케이블(10) 전체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나사공(132)은 차체패널(50) 또는 방음패드(51)에 인접되는 하단 내측에 마주 하는 한 쌍 이상의 걸림턱(133)을 돌출 형성한다.
이때, 상기 걸림턱(133)은 몸체(131)와 일체로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33)은 나사공(132)의 상단 방향으로 대각 경사지게 형성하여 스텃볼트(52)를 용이하게 삽입하면서 쉽게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걸림턱(133)은 끝단에 뾰족한 돌설돌기(135)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 돌설돌기(135)는 스텃볼트(52)의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에 위치하여 스텃볼트(52)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나사공(132)의 하방으로 스텃볼트(52)의 이탈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돌설돌기(135)는 스텃볼트(52)를 지지하도록 내구성을 갖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와이어 하네스(60)는 밴드케이블(10)의 밴드부(20) 내측면에 올려놓고 밴드부(20)를 굽혀 헤드부(40)의 삽입공(42)에 삽입시킨다.
상기 밴드부(20)가 삽입공(42)에 일정 삽입되면서 탄성턱(44)에 파형부(22)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밴드케이블(10)의 고정부(130)는 차체패널(50) 및 선택적으로 방음패드(51)에 삽입된 스텃볼트(52)에 의해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부(130)의 나사공(132)에 스텃볼트(52)가 일정 삽입되면서 나사공(132)의 하단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133)에 의해 하방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걸림턱(133)은 끝단에 돌설돌기(135)를 연장 형성하여 스텃볼트(52)의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에 견고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그래서, 상기 스텃볼트(52)는 돌설돌기(135)에 의해 나사공(132)의 하방 및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나사공(132) 내부에서 스텃볼트(52)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돌리면, 돌설돌기(135)는 스텃볼트(52)의 나사산 사이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스텃볼트(52)를 나사공(132) 내부로 삽입하거나 빼내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에 의하면, 규격화된 스텃볼트의 길이로 인해 스텃볼트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밴드케이블의 나사공의 내측 하단에 한 쌍 이상의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밴드케이블과 차체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방음패드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차체패널에 밴드케이블 고정시, 스텃볼트는 나사공 내측 하단에 돌설된 걸림턱에 의해 중앙부를 고정하기 때문에 연속된 나사산으로 인해 쉽게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끝단에 뾰족한 돌설돌기를 형성하여 스텃볼트의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에 끼이게 함으로써 스텃볼트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밴드케이블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밴드케이블을 사용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밴드케이블 20: 밴드부
22: 파형부 30,130: 고정부
32,131: 몸체 32,132: 나사공
33: 고정턱 34,134: 고정판
36,136: 안착판 40: 헤드부
42: 삽입공 44: 탄성턱
50: 차체패널 51: 방음패드
52: 스텃볼트 60: 와이어 하네스
133: 걸림턱 135: 돌설돌기

Claims (2)

  1. 와이어 하네스를 감아 정렬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에 연장되어 차체패널 및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방음패드 상에 고정하도록 스텃볼트를 삽입하기 위해 나사공을 통공한 몸체를 갖는 고정부를 형성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나사공은 상기 차체패널 또는 방음패드와 접하는 하부 내측에 한 쌍 이상의 걸림턱을 대각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함으로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끝단에 뾰족한 돌설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스텃볼트의 나사산 사이에 끼움으로써 상기 스텃볼트의 하방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2005-0008769U 2005-03-30 2005-03-30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387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769U KR200387582Y1 (ko) 2005-03-30 2005-03-30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769U KR200387582Y1 (ko) 2005-03-30 2005-03-30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582Y1 true KR200387582Y1 (ko) 2005-06-20

Family

ID=4368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769U KR200387582Y1 (ko) 2005-03-30 2005-03-30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5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2739A (zh) * 2014-12-26 2017-08-29 现代岱摩斯 线缆保持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2739A (zh) * 2014-12-26 2017-08-29 现代岱摩斯 线缆保持架
CN107112739B (zh) * 2014-12-26 2018-12-21 现代岱摩斯 线缆保持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32465A1 (en) Wire harness arrangement structure
US20110308853A1 (en) Harness Retaining Means and Harness Wiring Structure
KR200431314Y1 (ko) 밴드케이블
EP1746697B1 (en) Securing element for securing a box to a wire cable tray
KR200393275Y1 (ko)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부재
KR20080043490A (ko)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 고정클립
KR200387582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442540Y1 (ko) 와이어 하네스용 클립
KR20038814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JPH0627615U (ja) バンドクランプ
KR200391767Y1 (ko) 클립과 밴드 케이블의 결속구조
JP5473572B2 (ja) バスダクト支持装置、バスダクト支持装置の付勢低減用治具、及びバスダクト支持装置の施工方法
KR200305325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CN103403987A (zh) 配备外部构件的电线和具有所述配备外部构件的电线的线束
KR200421637Y1 (ko) 원형 밴드 케이블
KR200413714Y1 (ko) 밴드케이블
KR200396153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200431313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200347449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구조
KR200401180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분리구조
KR200405978Y1 (ko) 밴드케이블의 보강구조
KR200391066Y1 (ko) 밴드케이블
JP3123973U (ja) 電線保持具及び電線保持具用の弾性シート部材
KR200441160Y1 (ko) 가이드를 갖는 밴드클립
KR200427626Y1 (ko) 편심형 밴드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