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734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734B1
KR101407734B1 KR1020120108191A KR20120108191A KR101407734B1 KR 101407734 B1 KR101407734 B1 KR 101407734B1 KR 1020120108191 A KR1020120108191 A KR 1020120108191A KR 20120108191 A KR20120108191 A KR 20120108191A KR 101407734 B1 KR101407734 B1 KR 101407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
housing
insertion slot
termina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1166A (ko
Inventor
최선학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8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734B1/ko
Publication of KR20140041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된 하우징(10)이 골격과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공간(12)에는 터미널(30)이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블록(20)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블록(20)에는 상기 터미널(30)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부(22)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30)에는 전선(50)의 피복을 뚫고 들어가도록 삽입날(35)이 형성된 삽입슬롯(34)이 구비된다. 상기 삽입슬롯(34)에는 상기 전선지지단(14)에 안착된 상태의 전선(50)이 삽입되면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터미널(30)은 상기 터미널블록(20)에 위치된 상태에서 다수개가 한번에 각각의 전선(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조립체를 결합함에 의해 한 번에 다수개의 터미널과 와이어와의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의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전선과 연결된 터미널이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전선과 터미널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선 선단의 피복을 일정 부분 제거하여 심선이 드러나도록 하고 이를 터미널의 바렐로 둘러 감싸게 된다.
하지만, 터미널과 전선의 연결을 이와 같은 방식이 아니라 터미널의 일부가 전선의 피복을 파고들어 전기적 연결을 하도록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별도의 프레스장비가 필요하지 않은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터미널과 전선의 연결은 각각의 터미널을 하우징에 위치시키고 이에 대응되는 전선은 상기 터미널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우징의 커버를 결합한다든지 하우징의 일부를 하우징에 결합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다수개의 터미널과 와이어를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터미널과 와이어의 결합전에 터미널과 와이어를 각각 별도로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41651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커넥터와 같은 분야의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터미널을 하나의 조립체로 만들어 각각의 전선과 한번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의 일부가 전선을 파고들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터미널과 정확하게 대응되는 위치에 전선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미널의 전선연결부에 탄성변형이 가능한 구조를 두어 전선이 삽입슬롯에 보다 원활하게 삽입되게 하면서도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미널이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는 부분에 탄성변형가능한 구조를 둠과 동시에 규제부를 두어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면에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삽입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삽입슬롯과 대응되는 위치에 전선지지단이 형성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전선지지단에 안착된 전선의 피복을 파고 들어가는 삽입날을 구비한 터미널이 터미널블록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미널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터미널본체와 상기 터미널본체의 일측에 직교하게 연장되고 띠모양의 금속판을 사각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하고 이에 상기 삽입날이 형성되는 삽입슬롯이 형성되는 전선연결부와 상기 터미널본체의 전선연결부 반대쪽에 구비되어 상대 터미널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내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지지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전선의 선단이 위치되는 전선단부고정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전선삽입슬롯은 입구측에는 점차 폭이 작아지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선의 외경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고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조립체는 내부에 상기 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부가 다수개 형성되는 터미널블록과, 상기 터미널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블록의 입구에 장착되어 상기 전선과 터미널이 연결될 때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결합부에는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하나의 결합공을 형성하는 탄성결합편이 다수개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결합편의 탄성변형은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규제리브에 의해 규제된다.
상기 전선연결부의 양측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슬롯에 전선이 삽입될 때, 상기 터미널블록 내에서 상기 전선연결부가 탄성변형되도록 한다.
상기 터미널의 전선연결부에 형성된 삽입슬롯과 일치하게 상기 터미널블록의 하부에는 전선통과부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전선통과부에 인접하여 상기 터미널블록에는 전선누름편이 형성되는데, 상기 전선누름편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전선단부고정슬롯에 있는 상기 전선을 눌러준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터미널을 터미널조립체로 미리 조립을 한 상태에서 각각의 터미널과 전선과의 결합을 진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전선과 터미널을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에 전선을 정확한 위치로 안내하여 고정되어 있도록 구조를 두었으므로, 전선이 터미널과 정확하게 연결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전선지지리브에 전선이 안착된 상태에서 터미널의 전선연결부에 있는 삽입슬롯에 상기 전선과 전선지지리브가 위치하도록 하여 터미널과 전선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므로, 전기적 연결작업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전선지지리브가 터미널의 삽입슬롯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터미널이 보다 견고하게 하우징에 결합되어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이 상대 터미널과 결합하는 부분에 상대 터미널을 탄성변형에 의해 결합시키도록 구조가 만들어져 있고, 일단 결합된 후에는 상대 터미널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규제부를 두었으므로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상태가 매우 견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블록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에서 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조립체가 삽입 완료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배면을 보인 배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우징(10)이 본 실시예의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소정의 내부공간(12)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부공간(12)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을 둘러서는 외벽(13)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12)을 형성한다. 상기 외벽(13)은 상기 하우징(10)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높이가 위치에 따라 다르다.
상기 내부공간(12)의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전선지지단(14)이 형성된다. 상기 전선지지단(14)은 적어도 전선의 갯수만큼 형성되는데, 상기 전선지지단(14)은 본 실시예에서 육면체 형상으로 3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는 내측벽(16)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벽(16)은 상기 외벽(13)과 나란히 형성되는데, 상기 내측벽(16)에는 전선단부고정슬롯(17)이 형성된다. 상기 전선단부고정슬롯(17)은 상기 전선지지단(14)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전선단부고정슬롯(17)에는 전선(50)의 단부가 안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외벽(13)중 상기 내측벽(16)과 반대되는 쪽에는 각각 전선삽입슬롯(18)이 형성된다. 상기 전선삽입슬롯(18)은 아래에서 설명될 전선(50)이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과 외부사이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전선삽입슬롯(18)은 상기 외벽(13)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상기 전선지지단(14)의 상면과 상기 전선삽입슬롯(18)의 바닥면이 같은 높이로 되면 된다.
상기 전선삽입슬롯(18)은 상부쪽의 안내부(18g)와 내측의 고정부(18p)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부(18g)는 상기 고정부(18p)를 향해 가면서 그 폭이 점차 줄어들도록 되어 상기 고정부(18p)를 향해 전선(50)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18p)의 폭은 전선(50)의 직경보다 약간 작아 전선(50)이 어느 정도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하우징걸이편(19)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걸이편(19)을 관통하여서는 걸이공(19')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1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블록(20)의 하우징걸이턱(26)이 걸어진다. 상기 걸이공(19')은 본 실시예에서 통공형태로 되어 있으나 홈 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걸이편(19)은 본 실시예에서 서로 반대되는 하우징(10)의 양측 외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는 터미널블록(20)이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블록(20)은 상기 하우징(10)과 같이 절연성의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블록(20)의 내부에는 상방으로 개방되게 터미널안착부(22)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22)는 상기 하우징(10)의 전선지지단(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각각의 터미널안착부(22)가 나란히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터미널안착부(22)가 형성되는데, 그 갯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터미널안착부(22)는 상기 터미널블록(20)의 하부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22)의 내부에는 터미널(30)의 일측을 지지하는 터미널스톱단(24)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스톱단(24)은 소정의 평면을 제공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이 더 이상 터미널안착부(22)이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터미널블록(20)의 외면에는 하우징걸이턱(26)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걸이턱(26)은 상기 하우징(10)의 하우징걸이편(19)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걸이턱(26)에는 그 상단에 평면인 걸이면(26')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를 향해서는 경사면(26")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걸이턱(26)들은 상기 터미널블록(20)의 외면중 서로 대응되는 외면에 상기 하우징걸이편(19)과 대응되는 개수만큼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블록(20)의 외면에는 또한, 커버걸이턱(27)이 다수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외면에 각각 커버걸이턱(27)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걸이턱(27)에도 각각 걸이면(27')과 경사면(27")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하우징걸이턱(26)의 걸이면(26') 및 경사면(26")과 각기 다른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걸이면(27')이 터미널블록(20)의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27")이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블록(20)의 하단에는 전선통과부(28)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통과부(28)는 상기 터미널안착부(22)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전선통과부(28)를 전선(50)이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전선통과부(2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의 삽입슬롯(34)이 일치하게 위치된다.
상기 전선통과부(28)의 형상은 상기 터미널블록(20)의 하부로 갈수록 폭이 더 넓어진다. 상기 전선통과부(28)의 상단부는 전선(50)의 직경과 같은 정도의 폭을 가지도록 만들어진다.
상기 전선통과부(28)의 상단에 해당되는 상기 터미널블록(20)의 위치에는 전선누름편(29)이 형성된다. 상기 전선누름편(29)은 상기 전선통과부(28)를 통과하여 나온 전선(50)을 상기 하우징(10)의 전선단부고정슬롯(17)내에서 눌러준다.
상기 터미널블록(20)의 터미널안착부(22)에는 터미널(30)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3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30)은 터미널본체(32)가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터미널본체(32)의 일측에 전선연결부(33)가 있다. 상기 전선연결부(33)는 띠모양의 금속판을 사각형으로 말아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전선연결부(33)는 육면체 형상의 내부가 빈 공간이고 양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전선연결부(33)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부(36)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전선연결부(33)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따라서는 삽입슬롯(3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슬롯(34)은 상기 전선연결부(33)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전선연결부(33) 3면에 걸쳐 형성된다. 즉, 상기 전선연결부(33)의 후단면과 이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면에 걸쳐 상기 삽입슬롯(34)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슬롯(34)의 양측 내면을 따라서는 삽입날(35)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날(35)은 아래에서 설명될 전선(50)의 피복을 파고 들 수 있도록 날카롭게 만들어진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삽입슬롯(34)의 내부로 전선(50)이 들어오면 상기 삽입날(35)에 의해 전선(50)의 심선과 전선연결부(33)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슬롯(34)의 폭은 상기 전선(50)의 심선의 직경보다 작아야 한다.
여기서, 상기 전선연결부(33)의 폭(W)은 그 상단과 하단에서 달리될 수 있다. 즉, 전선연결부(33)의 상단에서 폭(W)이 더 넓고, 하단에서는 상대적으로 좁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전선연결부(33)의 양측이 테이퍼지게 형성되면 된다. 이와 같이 전선연결부(33)의 양측이 테이퍼짐에 의해 상기 터미널안착부(22)의 내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가져 상기 삽입슬롯(34)에 전선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선연결부(33)가 탄성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본체(32)의 타단에는 결합부(36)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6)에는 또 다른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된다. 상기 또 다른 터미널은 봉형상으로 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6)에는 베이스판(36')이 상기 전선연결부(33)와 직교하게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판(36')의 횡단면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 대략 'ㄷ'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결합부(36)의 베이스판(36')에는 탄성결합편(37)이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탄성결합편(37)은 본 실시예에서 두 개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육각통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탄성결합편(37)에 의해 결합공(37')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7')내로 상기 봉형상의 터미널이 삽입된다. 상기 결합공(37')에서 보면 상기 베이스판(36')의 표면이 보이는데, 상기 베이스판(36')의 표면은 상기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게 된다.
상기 탄성결합편(37)은 2개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데, 상기 각각의 탄성결합편(37)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은 다양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 횡단면이 육각형상이나, 예를 들면 8각형, 원형, 5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결합편(37)은 상기 결합공(37')을 관통한 상기 봉형상 터미널의 외면에 밀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터미널블록(20)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터미널블록(20)의 터미널안착부(22)에 안착된 터미널(30)의 유동을 방지하는 커버(4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40)는 상기 터미널블록(20)의 입구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만들어진다.
상기 커버(40)의 골격을 커버본체(42)가 형성한다. 상기 커버본체(42)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커버본체(4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걸이편(4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44)은 상기 터미널블록(20)의 커버걸이턱(27)과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걸이편(44)에는 걸이공(46)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커버본체(42)의 3변에 하나씩 총 3개의 걸이편(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본체(42)에는 관통공(48)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48)은 상기 터미널(30)의 결합공(37')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48)을 통해서는 상기 봉형상 터미널이 관통한다.
상기 커버본체(42)의 하면에는 상기 터미널블록(20)의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터미널(30)의 탄성결합편(37)을 지지하는 규제리브(49)가 형성된다. 상기 규제리브(49)는 상기 관통공(48)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위치에 쌍으로 형성된다. 즉, 하의 관통공(48)에 두 개의 규제리브(49)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규제리브(49)는 상기 탄성결합편(37)이 상대 터미널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정도를 규제하게 된다. 즉, 탄성결합편(37)을 지지하여 상대 터미널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커넥터가 조립되는 것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먼저 상기 터미널블록(20)의 터미널안착부(22)에 각각 터미널(30)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40)를 상기 터미널블록(20)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것을 터미널조립체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터미널조립체는 터미널블록(20) 내부의 터미널안착부(22)에 각각의 터미널(30)이 위치되어 다수개의 터미널(30)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고정되어 있도록 만든 것이다. 상기 터미널안착부(22)의 터미널스톱단(24)에 상기 터미널(30)의 베이스판(36')이 안착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판(36')이 상기 터미널스톱단(24)에 안착됨에 의해 상기 터미널안착부(22) 내에서 상기 터미널(30)의 위치가 설정된다.
이때 상기 전선연결부(33)의 삽입슬롯(34)과 상기 전선통과부(28)가 서로 일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터미널(30)이 터미널안착부(22)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40)를 상기 터미널블록(20)에 장착한다. 즉, 상기 커버(40)의 걸이편(44)에 상기 터미널블록(20)의 커버걸이턱(27)이 걸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걸이편(44)은 상기 커버걸이턱(27)의 경사면(27")을 따라가면서 탄성변형되다가, 상기 경사면(27")을 지나가면 상기 커버걸이턱(27)이 상기 걸이공(46)에 안착되고 상기 걸이면(27')이 상기 걸이공(46)의 내면 일측에 걸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터미널조립체를 상기 하우징(10)에 장착하면서 전선(50)과 상기 터미널(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에 상기 터미널조립체를 결합하기에 앞서, 상기 하우징(10)의 전선삽입슬롯(18)을 관통하여 전선(50)이 상기 하우징(10)의 전선지지단(14)에 놓여지도록 한다. 이때, 전선(50)의 단부는 상기 전선단부고정슬롯(17)에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전선삽입슬롯(18)으로 상기 전선(50)을 삽입할 때에는 상기 안내부(18g)는 상대적으로 폭이 전선(50)의 직경에 비해 넓으므로 쉽게 삽입할 수 있고, 점차 폭이 좁아지므로 상기 고정부(18p)를 향해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8g)에 의해 안내된 전선(50)은 상기 고정부(18p)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선(50)을 각각의 위치에 놓은 상태로 상기 터미널조립체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으로 삽입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조립체의 터미널블록(20) 외면에 형성된 하우징걸이턱(26)의 경사면(26")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으로 들어가면서 상기 하우징걸이편(18)을 안내하여 탄성변형시킨다.
상기 하우징걸이편(18)이 상기 경사면(26")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하우징걸이편(18)의 걸이공(19)의 내면에 상기 하우징걸이턱(26)의 걸이면(26')이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는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조립체의 내부에 있는 터미널(30)의 전선연결부(33)는 상기 전선지지단(14)상에 안착되어 있는 전선(50)으로 접근한다. 이때, 상기 전선(50)은 상기 전선삽입슬롯(18)의 고정부(18p)에 안착되어 위치가 가이드되고 또한 상기 터미널조립체의 터미널블록(20)에 형성된 전선통과부(28)내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선(50)은 상기 전선통과부(28)내로 들어가면서, 상기 터미널(30)의 전선연결부(33)에 형성된 삽입슬롯(34)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전선연결부(33)의 양단은 상기 전선(50)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양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전선연결부(33) 양단에 형성된 테이퍼에 의한 틈새가 탄성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삽입슬롯(34)의 내부로 상기 전선(50)이 들어가게 되면 상기 삽입날(35)이 피복을 파고 들어 심선과 접촉하게 된다. 특히 전선연결부(33)의 3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삽입슬롯(34)에 의해 상기 전선(50)의 심선과 전선연결부(33)는 최소 4군데에서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전선(50)과 상기 터미널(30)사이의 전기적 결합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커넥터는 압축기 등의 제품에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상기 커버(40)의 관통공(48)을 통해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30)의 결합부(36)에 결합된다. 즉, 상기 탄성결합편(37)의 사이에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탄성결합편(37)은 약간의 탄성변형을 하게 되는데, 상기 커버(40)에 형성된 규제부(49)에 의해 일정 이상의 탄성변형은 방지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터미널조립체가 터미널블록(20), 터미널(30) 그리고 커버(40)로 구성되었지만, 상기 터미널블록(20)의 구조를 변경하여 터미널(30)이 터미널블록(20)의 상방이 아닌 외측면쪽에서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커버(40) 없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커버(40)가 설치되는 쪽이 터미널블록(20) 자체에 의해 막힌 상태로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터미널(30)이 전선(50)과 결합될 때 밀리지 않도록 터미널블록(20) 자체에 커버(40)에 해당되는 구조를 일체로 두는 것이다.
10: 하우징 12: 내부공간
13: 외벽 14: 전선지지단
16: 내측벽 17: 전선단부고정슬롯
18: 전선삽입슬롯 18p: 고정부
18g: 안내부 19: 하우징걸이편
20: 터미널블록 22: 터미널안착부
24: 터미널스톱단 26: 하우징걸이턱
27: 커버걸이턱 28: 전선통과부
29: 전선누름편 30: 터미널
32: 터미널본체 33: 전선연결부
34: 삽입슬롯 35: 삽입날
36: 결합부 37: 탄성결합편
37': 결합공 40: 커버
42: 커버본체 44: 걸이편
46: 걸이공 48: 관통공
49: 규제리브 50: 전선

Claims (9)

  1. 외면에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삽입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삽입슬롯과 대응되는 위치에 전선지지단이 형성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전선지지단에 안착된 전선의 피복을 파고 들어가는 삽입날을 구비한 터미널이 터미널블록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미널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터미널본체와 상기 터미널본체의 일측에 직교하게 연장되고 띠모양의 금속판을 사각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하고 이에 상기 삽입날이 형성되는 삽입슬롯이 형성되는 전선연결부와 상기 터미널본체의 전선연결부 반대쪽에 구비되어 상대 터미널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내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지지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전선의 선단이 위치되는 전선단부고정슬롯이 형성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삽입슬롯은 입구측에는 점차 폭이 작아지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선의 외경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조립체는 내부에 상기 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부가 다수개 형성되는 터미널블록과, 상기 터미널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블록의 입구에 장착되어 상기 전선과 터미널이 연결될 때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커넥터.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하나의 결합공을 형성하는 탄성결합편이 다수개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결합편의 탄성변형은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규제리브에 의해 규제되는 커넥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연결부의 양측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슬롯에 전선이 삽입될 때, 상기 터미널블록 내에서 상기 전선연결부가 탄성변형되도록 하는 커넥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전선연결부에 형성된 삽입슬롯과 일치하게 상기 터미널블록의 하부에는 전선통과부가 각각 형성되는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통과부에 인접하여 상기 터미널블록에는 전선누름편이 형성되는데, 상기 전선누름편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전선단부고정슬롯에 있는 상기 전선을 눌러주는 커넥터.
KR1020120108191A 2012-09-27 2012-09-27 커넥터 KR101407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191A KR101407734B1 (ko) 2012-09-27 2012-09-27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191A KR101407734B1 (ko) 2012-09-27 2012-09-27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166A KR20140041166A (ko) 2014-04-04
KR101407734B1 true KR101407734B1 (ko) 2014-06-13

Family

ID=5065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191A KR101407734B1 (ko) 2012-09-27 2012-09-27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9134A (zh) * 2019-04-22 2019-07-02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接线端子及空调器
CN110133347B (zh) * 2019-06-27 2024-04-19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省力推进式计量电能表顶端挂接器
KR102473309B1 (ko) * 2020-07-08 2022-12-05 ㈜알파오 전력계량기용 무정전 루프백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0911A (ja) * 1994-12-26 1996-07-12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素子封入部材の電線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0911A (ja) * 1994-12-26 1996-07-12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素子封入部材の電線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166A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163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housing side wall with resilient inner arm and stationary outer arm
US9685726B2 (en) Terminal and connector assembly
US7651375B2 (en) Cable assembly having outer cover robustly supported
US9450319B2 (en) Cable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having the same
US983774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48467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atch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949057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guiding means
US9608353B1 (en) Conductive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30164996A1 (en) Connector
US20180294596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hereof
JP2019117692A (ja) 回路基板用l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00130042A1 (en) Connector socket, a connector plug, and an appliance fitted with a connector
KR101407734B1 (ko) 커넥터
US8974248B2 (en)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CN211743514U (zh) 用于插塞连接器的保持框架
US9780478B2 (en)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US9325081B2 (en) Cable connector with low impedance
US20170093075A1 (en) Connector
US1015359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longated housing and interconnected upper and lower shells attached to the housing
KR102102588B1 (ko) 플러그 장치 및 배전 시스템
KR101737958B1 (ko) 조인트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조인트커넥터
KR101810130B1 (ko) 커넥터
KR20130022229A (ko) 커넥터조립체
US6644994B1 (en) Connector with a function of getting rid of surges
US20140256181A1 (en)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