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450B1 - 조립식 트레이 - Google Patents

조립식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450B1
KR102071450B1 KR1020170166524A KR20170166524A KR102071450B1 KR 102071450 B1 KR102071450 B1 KR 102071450B1 KR 1020170166524 A KR1020170166524 A KR 1020170166524A KR 20170166524 A KR20170166524 A KR 20170166524A KR 102071450 B1 KR102071450 B1 KR 102071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g
supporter
rail
side rai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777A (ko
Inventor
김근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6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4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조립식 트레이가 소개된다.
조립식 트레이는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과,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되고 양 측단부에 서포터가 연결되는 지지 렁과, 사이드 레일의 단부 및 서포터 사이를 수직방향에서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트레이{PREFABRICATED TRAY}
본 발명은 조립식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공장,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장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치된다. 이때,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해서,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는 좌,우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과, 사이드 레일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다수개의 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일정 단위의 길이로 미리 절단되어 제공되거나, 현장에서 필요한 길이로 절단한 후 조립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를 용접하여 제조하거나, 케이블 트레이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볼트를 이용하여 시공현장에서 조립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 케이블 트레이의 경우, 사이드 레일 사이로 결합된 다수개의 렁 사이가 일정 간격(예를 들면, 300mm)을 넘으면, 렁 사이의 일정 간격 사이에 렁을 추가 설치해야 하는데, 렁을 추가적으로 설치를 위해서는, 케이블이 배선된 케이블 트레이를 해체하여 케이블을 걷어 내야 하므로, 생산 시수가 과다하게 발생될 수 있고, 작업시간 또한 장시간 소요될 수 있다.
이에, 케이블이 케이블 트레이에 배선된 상태에서도, 다수개의 렁 사이에 추가적인 렁의 설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국내 공개실용신안 20-2014-0002573호 (2014. 05. 07.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이드 레일에 대한 지지 렁의 설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립식 트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립식 트레이는,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렁; 상기 지지 렁의 양 측단부에 연결되는 서포터; 및 상기 사이드 레일의 단부 및 상기 서포터를 수직방향으로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렁은 케이블이 놓여지는 지지면을 제공하는 제 1 렁부; 상기 제 1 렁부의 일측단에서 하방향으로 수직 연결되는 제 2 렁부; 및 상기 제 1 렁부의 타측단에서 하방향으로 수직 연결되는 제 3 렁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 2 렁부의 단부 및 상기 제 3 렁부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나사산부와 상기 나사산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티볼트; 상기 나사산부를 감싸는 탄성스프링; 및 기 탄성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나사산부에 회전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를 통한 상기 사이드 레일의 단부 및 상기 서포터 간 체결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사이드 레일의 단부 및 상기 서포터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레일의 단부에는 상기 티볼트가 상기 사이드 레일의 단부 및 상기 서포터의 사이공간으로 삽입 및 회전될 때, 상기 티볼트의 헤드부가 구속되는 제 1 걸림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 1 걸림턱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티볼트가 상기 사이드 레일의 단부 및 상기 서포터의 사이공간으로 삽입 및 회전될 때, 상기 티볼트의 헤드부가 구속되는 제 2 걸림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 2 걸림턱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레일은 측벽을 제공하는 제 1 레일부; 상기 제 1 레일부의 상단에서 상기 지지 렁이 위치한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는 제 2 레일부; 및상기 제 1 레일부의 하단에서 상기 지지 렁이 위치한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는 제 3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케이블이 케이블 트레이에 배선된 상태에서도, 추가적인 지지 렁의 설치가 케이블 트레이의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이드 레일에 대한 지지 렁의 설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이드 레일 및 지지 렁의 사이공간으로 체결부재가 삽입 및 회전되는 결합방식을 통해, 사이드 레일 및 지지 렁 간 결합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사이드 레일 및 지지 렁 사이의 결합 오차를 보정(조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과 지지 렁 사이의 연결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트레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조립식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과 지지 렁 사이의 연결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과 지지 렁 사이의 연결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트레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트레이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100)과, 한 쌍의 사이드 레일(100)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렁(200: rung)과, 지지 렁(200)의 양 측단부에 연결되는 서포터(240)와, 사이드 레일(100) 및 서포터(240) 사이를 고정하는 체결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레일(100)은 케이블 경로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레일(100)은 지지 렁(2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 경로는 해양 구조물 내 케이블(C)의 거치/전개가 이루어지는 경로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립식 트레이는 해양 구조물의 데크 하부에 설치될 수 있지만, 데크 하부 이외에도, 건물 및 선박 등 전원이 사용되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레일(100)은 직선 형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레일(100)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사이드 레일(100)의 배치 및 형태는 다른 환경의 설계 조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사이드 레일(100)은 전체적으로 "ㄷ"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사이드 레일(100)은 측벽을 제공하는 제 1 레일부(110)와, 제 1 레일부(110)의 상단에서 절곡되는 제 2 레일부(120)와, 제 1 레일부(110)의 하단에서 절곡되는 제 3 레일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들 제 2 레일부(120) 및 제 3 레일부(130)는 지지 렁(200)이 위치한 방향, 다시 말해, 조립식 트레이의 내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지지 렁(200)은 한 쌍의 사이드 레일(100)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지지 렁(200)이 한 쌍의 사이드 레일(100) 사이에 기 설치된 통상의 지지 렁 사이에 설치되거나, 다수개의 지지 렁(200)이 한 쌍의 사이드 레일(1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렁(200)은 케이블(C)이 놓여지는 지지면 및 슬릿(201)을 제공하는 제 1 렁부(210)와, 제 1 렁부(210)의 일측단에서 하방향으로 수직 연결되는 제 2 렁부(220)와, 제 1 렁부(210)의 타측단에서 하방향으로 수직 연결되는 제 3 렁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240)는 제 2 렁부(220)의 단부 및 제 3 렁부(230)의 단부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서포터(240)는 지지 렁(200)의 양 측단부를 상호 연결(용접)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300)와의 결합시, 서포터(240)에는 체결부재(300)의 헤드부(312)가 지지될 수 있다.
체결부재(300)는 사이드 레일(100)의 단부 및 서포터(240) 사이를 수직방향에서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부재(300)는 티볼트(310), 탄성스프링(320) 및 너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300)의 티볼트(310)는 티(T)자 형태로 제공되는 볼트로, 나사산이 외부에 형성된 나사산부(311)와, 나사산부(311)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헤드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스프링(320)은 티볼트(310)와 너트(330) 사이에서 완충되도록 티볼트(310)의 나사산부(311)를 감싸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너트(330)는 탄성스프링(320)을 개재하여 나사산부(311)에 회전 결합됨으로써, 사이드 레일(100)의 단부 및 서포터(240)를 압착 고정할 수 있다.
예컨대, 체결부재(300)를 통한 사이드 레일(100)의 단부 및 서포터(240) 간 체결시, 너트(330)의 조임에 따른 티볼트(310)의 가압을 통해, 티볼트(310)의 헤드부(312)가 사이드 레일(100)의 단부 및 서포터(240)에 접촉 지지되므로, 체결부재(300)는 사이드 레일(100) 및 지지 렁(200)을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조립식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과 지지 렁 사이의 연결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사이드 레일(100)의 단부에는 제 1 걸림홈(411)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 1 걸림턱(410)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 걸림홈(411)은 티볼트(310)가 사이드 레일(100)의 단부 및 서포터(240)의 사이공간(G)으로 삽입 및 회전될 때, 티볼트(310)의 헤드부(312)가 구속되므로, 티볼트(3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포터(240)에는 제 2 걸림홈(412)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 2 걸림턱(420)이 마련될 수 있다. 제 2 걸림홈(412)은 티볼트(310)가 사이드 레일(100)의 단부 및 서포터(240)의 사이공간(G)으로 삽입 및 회전될 때, 티볼트(310)의 헤드부(312)가 구속되므로, 티볼트(3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볼트(310)가 사이드 레일(100)의 단부 및 서포터(240)의 사이공간(G)으로 삽입 및 회전된 상태, 다시 말해, 티볼트(310)의 헤드부(312)가 사이드 레일(100)의 제 1 걸림홈(411) 및 서포터(240)의 제 2 걸림홈(412)에 걸쳐진 상태에서, 너트(330)의 조임에 의해 티볼트(310)가 가압되면, 티볼트(310)의 헤드부(312)가 사이드 레일(100)의 제 1 걸림홈(411) 및 서포터(240)의 제 2 걸림홈(412)에 고정되므로, 체결부재(300)는 사이드 레일(100)의 제 1 걸림홈(411) 및 서포터(240)의 제 2 걸림홈(412)을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블(C)이 배선된 케이블 트레이에 지지 렁(200)을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 지지 렁(200)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점에 위치시킨다. 이때, 지지 렁(200)의 양 단부는 사이드 레일(100)의 제 2 레일부(120) 및 제 3 레일부(130)에 걸쳐지게 위치될 수 있다.
지지 렁(200)의 양 단부가 사이드 레일(100)의 제 2 레일부(120) 및 제 3 레일부(130)에 걸쳐지게 위치되면, 체결부재(300)의 티볼트(310)를 지지 렁(200)의 양 단부와 사이드 레일(100)의 단부 간 사이공간(G)에 수직방향으로 삽입한다. 티볼트(310)가 사이공간(G)에 삽입되면, 티볼트(310)의 헤드부(312)가 사이드 레일(100)의 단부 및 서포터(240)에 지지되도록 티볼트(310)를 90도 회전시킨다.(도 2 참조)
티볼트(310)의 헤드부(312)가 사이드 레일(100)의 단부 및 서포터(240)에 위치되면, 티볼트(310)의 나사산부(311)에 탄성스프링(320) 및 너트(330)를 차례로 삽입한 후, 너트(330)를 나사산부(311)의 나사산을 따라 회전시켜 조임으로써, 체결부재(300)를 통해 사이드 레일(100)의 단부 및 서포터(240)를 압착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이 케이블 트레이에 배선된 상태에서도, 추가적인 지지 렁의 설치가 케이블 트레이의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이드 레일에 대한 지지 렁의 설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사이드 레일 및 지지 렁의 사이공간으로 체결부재가 삽입 및 회전되는 결합방식을 통해, 사이드 레일 및 지지 렁 간 결합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사이드 레일 및 지지 렁 사이의 결합 오차를 보정(조정)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사이드레일 110 :제 1 레일부
120 :제 2 레일부 130 :제 3 레일부
200 :지지 렁 210 :제 1 렁부
220 :제 2 렁부 230 :제 3 렁부
240 :서포터 300 :체결부재
310 :티볼트 320 :탄성스프링
330 :너트

Claims (6)

  1.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렁;
    상기 지지 렁의 양 측단부에 연결되는 서포터; 및
    상기 사이드 레일의 단부 및 상기 서포터를 수직방향으로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나사산부와 상기 나사산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티볼트;
    상기 나사산부를 감싸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탄성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나사산부에 회전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를 통한 상기 사이드 레일의 단부 및 상기 서포터 간 체결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사이드 레일의 단부 및 상기 서포터에 접촉 지지되고,
    상기 사이드 레일의 단부에는
    상기 티볼트가 상기 사이드 레일의 단부 및 상기 서포터의 사이공간으로 삽입 및 회전될 때, 상기 티볼트의 헤드부가 구속되는 제 1 걸림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 1 걸림턱이 마련되는 조립식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렁은
    케이블이 놓여지는 지지면을 제공하는 제 1 렁부;
    상기 제 1 렁부의 일측단에서 하방향으로 수직 연결되는 제 2 렁부; 및
    상기 제 1 렁부의 타측단에서 하방향으로 수직 연결되는 제 3 렁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 2 렁부의 단부 및 상기 제 3 렁부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제공되는 조립식 트레이.
  3. 삭제
  4. 삭제
  5.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렁;
    상기 지지 렁의 양 측단부에 연결되는 서포터; 및
    상기 사이드 레일의 단부 및 상기 서포터를 수직방향으로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나사산부와 상기 나사산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티볼트;
    상기 나사산부를 감싸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탄성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나사산부에 회전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를 통한 상기 사이드 레일의 단부 및 상기 서포터 간 체결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사이드 레일의 단부 및 상기 서포터에 접촉 지지되고,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티볼트가 상기 사이드 레일의 단부 및 상기 서포터의 사이공간으로 삽입 및 회전될 때, 상기 티볼트의 헤드부가 구속되는 제 2 걸림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 2 걸림턱이 마련되는 조립식 트레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레일은
    측벽을 제공하는 제 1 레일부;
    상기 제 1 레일부의 상단에서 상기 지지 렁이 위치한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는 제 2 레일부; 및
    상기 제 1 레일부의 하단에서 상기 지지 렁이 위치한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는 제 3 레일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트레이.
KR1020170166524A 2017-12-06 2017-12-06 조립식 트레이 KR102071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524A KR102071450B1 (ko) 2017-12-06 2017-12-06 조립식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524A KR102071450B1 (ko) 2017-12-06 2017-12-06 조립식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777A KR20190066777A (ko) 2019-06-14
KR102071450B1 true KR102071450B1 (ko) 2020-01-30

Family

ID=6684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524A KR102071450B1 (ko) 2017-12-06 2017-12-06 조립식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4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3Y1 (ko) * 2002-09-26 2003-01-14 민형식 복합 조립식 형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468B1 (ko) * 2010-08-31 2012-03-27 윤용호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20140002573U (ko) 2012-10-24 2014-05-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래더형 케이블 트레이의 클램프
KR20160109598A (ko) * 2015-03-12 2016-09-21 주식회사 아시아전관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3Y1 (ko) * 2002-09-26 2003-01-14 민형식 복합 조립식 형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777A (ko)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333B1 (ko)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US9249925B2 (en) Apparatus for mounting a photovoltaic module
KR101038975B1 (ko) 지중배전용 전력케이블 곡선지지장치
JP2007519494A (ja) 懸架される格納棚
KR101557344B1 (ko) 벽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JP2013181285A (ja) 間仕切り壁の耐震構造
KR102071450B1 (ko) 조립식 트레이
JP5782747B2 (ja) 野縁取付金具
KR101859753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전선 분리구 결합구조
KR101281159B1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KR20120074097A (ko) 결합위치 가변 행어 및 이 행어가 적용된 천장틀 시스템.
JP5877573B1 (ja) 支柱固定具
KR20170143061A (ko) 방향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CN108756201B (zh) 一种装配式悬挑支架及其装配工艺
KR101282747B1 (ko) 가로 파이프의 신축 이음이 가능한 울타리
CN203797162U (zh) 一种小间隙可调节管道支撑装置
KR200476065Y1 (ko) 케이블 트레이용 트레이
KR200476352Y1 (ko) 메쉬 케이블 트레이용 수직엘보우
KR200448211Y1 (ko) 스페이서 댐퍼 취부용 보조장치
JP6886788B2 (ja) 耐震天井構造
KR200489719Y1 (ko) 태양광발전모듈용 지지구조물
KR102396140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200468510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230055882A (ko) 파이프렁을 구성한 케이블트레이
KR20140005570U (ko) 비닐하우스용 중방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